KR20200085511A -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 Google Patents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511A
KR20200085511A KR1020190001696A KR20190001696A KR20200085511A KR 20200085511 A KR20200085511 A KR 20200085511A KR 1020190001696 A KR1020190001696 A KR 1020190001696A KR 20190001696 A KR20190001696 A KR 20190001696A KR 20200085511 A KR20200085511 A KR 20200085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ir
window
purifying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라
Original Assignee
김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라 filed Critical 김보라
Priority to KR102019000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5511A/ko
Publication of KR2020008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 안으로 외부공기가 정화되어 들어올 수 있도록 공기정화장치, 배출장치, 공기 질 측정장치 및 전원부분 등을 블록 형태로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창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창들에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하단마감블록;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연결하거나,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단의 모든 장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블록;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정화하여 흡입하는 공기정화블록; 전면에 공기질 표시창과 내부 공기질측정센서가 위치하고, 후면에 외부 공기질측정센서가 구비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블록;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퇴출블록; 상기 각각의 블록들과 상단 창틀을 연결하는 상단마감블록;과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의 전기공급에 문제가 있을 경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태양광집진블록: IOT상품을 제어하기 위한 홈서버블록; 창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높이조절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Air purifier can be installed in a window consisting of a block-type}
본 발명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정화장치, 배출장치 및 제어부분 등을 블록 형태로 구성하고, 일정크기의 빈 블록이나, 특수기능(IOT시스템용 홈서버, 태양광집진장치 등)을 조합하여, 크기가 다른 창틀에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그리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중국은 빠른 경제발전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들로 고통받고 있다.
각 나라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공기청정기를 구비하여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의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냄새등을 잡아줄 수 있지만, 사람이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라돈은 처리할 수 없으며, 또한 집안으로 들어온 외부의 공기는 공기청정기를 통하기 이전에 인체에 먼저 흡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요즘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나, 대형건물은 공조기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유입하고 있으나, 오래된 건물과 일반가정은 공조기를 별도로 설치하기 어려워 공기 질이 좋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공조기가 있는 건물 역시 공조기 만으로는 환기가 어려워 창문을 통하여 환기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집 안으로 외부공기가 정화되어 들어올 수 있도록 공기정화장치, 배출장치, 공기 질 측정장치 및 전원부분 등을 블록 형태로 구성하고, 각 블록들을 다양한 크기의 빈 블록들과 조합하여, 크기가 다른 창틀에 맞출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창들에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하단마감블록;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연결하거나,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단의 모든 장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블록;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정화하여 흡입하는 공기정화블록;
전면에 공기질 표시창과 내부 공기질 측정센서가 위치하고, 후면에 외부 공기질 측정센서가 구비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블록;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퇴출블록;
창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높이조절블록;
상기 각각의 블록들과 상단 창틀을 연결하는 상단마감블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의 상부는 각 모서리에 다른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홀이 있고, 바닥에는 다른 블록들과 연결하기 위한 돌출부가 있다. 다만, 하단마감블록은 돌기대신 실리콘 패킹으로 하단 창들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단마감블록은 상단에 돌기 대신에 상단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실리콘 패킹이 부착되어 있어 각각의 블록들은 상부 홀과, 바닥 돌기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단 및 하단마감블록은 실리콘 패킹으로 창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모서리의 돌기증 일부는 전기를 연결하는 접점부로 구성되어 각 블록들에게 전기를 연결해 주며, 일부는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연력하는 접점으로 구성되어 각 블록들이 전기 및 데이터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블록의 후면에는 공기 흡입구가 전면에는 공기 토출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블록의 내부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여러개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정화블록의 전면을 개폐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퇴출블록의 전면에는 공기 흡입구가, 후면에는 공기 토출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퇴출블록의 내부에는 사용하지 않을 시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장치가 있어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기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행함으로써, 단순히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청정기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비산, 이산화탄소, 실내 미세먼지 등 여러 가지 내부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기 전에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에 깨끗한 공기만을 유입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는 여러개의 블록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일반인이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창틀에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는 다양한 블록들로 구성되어있어 필요한 장비들만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정화블록의 숫자를 늘려서 사용하며, 공기 질을 측정할 필요가 없을 경우 공기질측정블록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는 블록형태의 새로은 시스템을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곳은 태양광집진블록을 이용하여 장비를 구동할 수 있으며, IOT를 위한 홈서버나 IP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전반적으로 가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도1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의 블록들을 표시한 도면으로 좌측으로는 전면, 우측으로는 후면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 공기정화기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2는 각각의 블록들이 결합되어 창문에 설치되기 전 블록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 공기정화기의 결합사시도 이다.
도3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정화기의 블록들 중 추가로 설치 가능한 홈네트워크 서버블록과 외부전기 사용이 불가능한 곳에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집진블록, 높이 조절을 위해 설치 가능한 높이조절용블록을 따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의 최종 설치된 모습으로 블록들이 모두 결합되어 창문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이다.
도5는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정화기의 블록들 중 공기정화블록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6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정화기의 블록들 중 공기퇴출블록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의 블록들을 표시한 도면으로 좌측으로는 전면, 우측으로는 후면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 공기정화기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 공기정화기는 창문에 공기정화기의 본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단에 고무패킹(40)이 설치된 하단마감블록(150),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기배선으로 연결되거나 배터리가 장착될 수도 있고, 전면에 표시창과 전원제어와 관련된 제어버튼이 장착되어 있는 전원블록(14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31)와 공기를 정화하기위한 공기정화필터(131) 그리고, 정화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공기토출구(132)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정화블록(130), 전면에 공기질 표시창(121)과 내부의 공기질을 분석하기 위한 공기오염도 측정센서(122)가 위치하고, 후면에 외부에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오염도 측정센서(221)가 구비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블록(120), 전면에 공기흡입구(111)가 설치되어 있고 후면에 공기토출구(211)가 설치되어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퇴출블록(110), 상기 각각의 블록들과 상단 창틀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단에 고무패킹(30)이 부착되어 있는 상단마감블록(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들의 상부는 각 모서리에 다른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홀(20)이 있고, 바닥에는 다른 블록들과 연결하기 위한 돌출부(10)가 있다. 다만, 하단마감블록은 돌기 대신 실리콘 패킹(40)으로 하단 창들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단마감블록은 상단에 돌기 대신에 상단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실리콘 패킹(30)이 부착되어 있어 각각의 블록들은 상부 홀(20)과, 바닥 돌기(10)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단 및 하단마감블록은 실리콘 패킹(30, 40)으로 창틀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록들을 연결하기 위한 모서리의 돌기(10)증 일부는 전기를 연결하는 접점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블록들에게 전원블록(140)으로부터 전기를 연결해 주며, 일부는 공기질측정블록(120)으로 부터 공기정화블록(130)과 공기퇴출블록(11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연결하는 접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각각의 블록들이 결합되어 창문에 설치되기 전 블록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 공기정화기의 결합사시도 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단마감블록(100)과 하단마감블록(150) 사이에는 도1에서 표시한 볼록의 상단 홀(20)과 하단 돌기(10)가 정확히 결합되어 외부 오염된 공기가 블록사이로 들어오지 못하게 틈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블록들 사이에 실리콘 등의 완충재로 완벽하게 밀착할 수도 있다.
도3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정화기의 블록들 중 추가로 설치 가능한 홈서버블록(160)의 전면과 후면, 태양광집진블록(170)의 전면과 후면, 높이 조절을 위해 설치 가능한 높이조절용블록(180)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단의 공기정화를 목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블록 이외에 IOT 장치를 구성하여 원격에서 공기정화 장치 및 다른 무선장치(각종 가전 및 전등 가스밸브 등)들을 제어할 목적으로 내부에 무선안테나 및 장비가 설치되고, 제어확인창(161)을 통하여 IOT장치의 연동 여부 및 설정을 확인할 수 있는 홈서버블록(160), 외부전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장소나 전기료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후면에 태양광집진판(271)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하며, 전면에 전기 집진 내역과 현재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171)이 설치된 태양광집진블록(170) 및 다양한 크기의 창에 높이를 조절하고 상단의 장비에 홈(20)과 돌기(10)를 통하여 전원 및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높이조절용블록(18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도4는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의 최종 모습으로 창문에 볼록들이 모두 결합되어 창문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일반 가정의 창틀(300)의 가장자리 하단에 도1에서 표시한 하단마감블록(150)을 설치하고, 상단으로 블록들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블록을 설치한 후 다양한 규격의 상단 마감블록(100)과 도3에서 표시한 홈서버블록(160)이나, 높이조절용블록(170)을 설치한 후 창문(320)을 닫고 블록과 창문틀(310)이 최대한 밀칠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5는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정화기의 블록들 중 공기정화블록(130)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공기정화블록(130)은 후면에 공기 흡입구(231)와 전면에 공기 토출구(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모터(133)가 설치되어 있어 전원블록(140)에서 하부 불록의 상단 홀(20)과 공기정화블록(130)의 하단 돌기(1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면 모터(133)가 작동하여 후면의 공기 흡입구(231)를 통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내부의 공기정화필터(131)을 통하여 정화하여 전면에 공기 토출구(132)를 통해 실내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도6은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정화기의 블록들 중 공기퇴출블록(110)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전면에 설치된 공기 흡인구(111)을 통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와 따뜻해져 오염된 공기를 후면의 공기 토출구(211)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기퇴출블록(110)은 내부에 전기로 작동되는 차단막(112)이 설치되어 있어, 전원블록(140)으로 부터 하부 블록의 상단 홀(20)과 공기퇴출블록(110)의 하단 돌기(10)을 통하여 전기가 공급되면 차단막(112)이 열리고 환풍모터(113)가 작동하여 내부의 이산화탄소와 오염되어 따뜻해진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 이다.
10: 블록 하단 돌기 20: 블록 상단 홀
30: 상단 고무 패킹 40: 하단 고무 패킹
100: 상단마감블록(전면) 110: 공기퇴출불록(전면)
111: 공기퇴출블록 공기흡입구 112: 공기차단막
120: 공기질측정블록(전면) 121: 공기질 표시창
122: 내부공기질 측정 센서 130: 공기정화블록(전면)
131:공기정화필터 132: 공기정화블록 공기토출구
140: 전원블록(전면) 141: 전원블록 표시창
150: 하단마감블록 160: 홈서버블록(전면)
161: 홈서버블록 표시창 170: 태양광집진블록(전면)
171: 태양광집진블록 표시창 180: 높이 조절 블록(전·후면)
200: 상단마감블록(후면) 210: 공기퇴출불록(후면)
211: 공기퇴출블록 공기토출구 220: 공기질측정블록(후면)
221: 외부공기질 측정 센서 230: 공기정화블록(후면)
231: 공기정화블록 공기흡입구 240: 전원블록(후면)
241: 전원블록 방열창 250: 하단마감블록(후면)
260: 홈서버블록(후면) 261: 홈서버블록 방열창
270: 태양광집진블록(후면) 271: 태양광집진판
300: 가정용 창틀 310: 가정용 창문틀
320: 가정용 창문 유리

Claims (9)

  1.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정화기로 공기정화블록과 공기정화블록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블록형태로 조립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블록 및 상부 또는 하부 블록과 연결하기 위하여 블록의 상단 모서리에 홀이 위치하고, 하단모서리에 돌기가 위치하여 각 홀과 돌기가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3. 제 2항에 있어 블록의 상단 모서리의 홀과 하단모서리의 돌기에 전기 접점을 설치하여 블록마다 전기를 공급하거나, 데이터 접점을 설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4. 제 1항에 있어 블록을 연결하고 창문에 설치할 경우 오염된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실리콘 등의 부자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5. 제 2항에 있어 공기정화블록은 후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한 공기 흡입구와 전면에는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6. 제 5항에 있어 공기정화블록에는 내부에 공기정화용 필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7. 제 6항에 있어 공기정화용 필터는 공기정화블록의 전면을 개방하여 쉽게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8. 제 1항에 있어 공기정화블록을 지원하기 위하며,
    창들에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하단마감블록;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연결하거나,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단의 모든 장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블록;
    전면에 공기질 표시창과 내부 공기질측정센서가 위치하고, 후면에 외부 공기질측정센서가 구비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블록;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퇴출블록;
    창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높이조절블록;
    상단 창틀과 하단의 블록들을 연결하는 상단마감블록; 이 구비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9. 제 8항에 있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전기공급에 문제가 있을 경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태양광집진블록:
    IOT용 상품을 제어하기 위한 홈서버블록; 등 별도의 기능성블록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설치 가능한 블록형태의 공기정화기





KR1020190001696A 2019-01-07 2019-01-07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KR20200085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96A KR20200085511A (ko) 2019-01-07 2019-01-07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96A KR20200085511A (ko) 2019-01-07 2019-01-07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11A true KR20200085511A (ko) 2020-07-15

Family

ID=7160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696A KR20200085511A (ko) 2019-01-07 2019-01-07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55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899A1 (ko) * 2021-03-16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7833B1 (ko) * 2022-08-11 2023-03-08 서현재 스마트 환풍기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899A1 (ko) * 2021-03-16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7833B1 (ko) * 2022-08-11 2023-03-08 서현재 스마트 환풍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2396B (zh) 一种双循环式新风系统和新风机
CN111288583B (zh) 一种多功能新风净化机及运行控制方法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1860454B1 (ko) 실내공기의 순환, 배출 및 흡입기능을 구비한 공기순환시스템
KR20200085511A (ko) 블록형태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 가능한 공기 정화기
CN105805849A (zh) 一种壁挂式新风净化换气机及其控制方法
KR20080047103A (ko)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창호
KR20190068869A (ko)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CN105570998A (zh) 一种新风、空气净化两用系统
JP3235004U (ja) 多機能外気送風機
CN205897489U (zh) 一种双通道空气净化器
CN108019878A (zh) 一种手术室多功能环境控制系统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20200003471A (ko) 교체 가능한 창호용 환기 장치
CN207907437U (zh) 手术室多功能环境控制系统
CN207179859U (zh) 一种用于中央空调回风口的空气净化装置
CN203848443U (zh) 一种过桥式窗式动力型通风净化装置
CN205425207U (zh) 一种太阳能智能节能新风净化窗扇
CN205037456U (zh) 一种新风、空气净化两用系统
KR20080047112A (ko) 공기정화용 창호
CN203848412U (zh) 一种窗式通风净化装置
CN210292149U (zh) 一种新型入室空气净化器
CN201391964Y (zh) 一种通风换气装置
KR100528847B1 (ko) 공기 청정 필터장치
CN214009445U (zh) 一种杀菌祛味新风换气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