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270A -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270A
KR20200085270A KR1020207010215A KR20207010215A KR20200085270A KR 20200085270 A KR20200085270 A KR 20200085270A KR 1020207010215 A KR1020207010215 A KR 1020207010215A KR 20207010215 A KR20207010215 A KR 20207010215A KR 20200085270 A KR20200085270 A KR 2020008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user
user device
messaging service
media content
conten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핀치
Original Assignee
켄달-레인, 스티븐
마이클 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달-레인, 스티븐, 마이클 핀치 filed Critical 켄달-레인, 스티븐
Publication of KR2020008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65Ensuring data consistency and integ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에서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메타파일은 적어도 (i)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제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i)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전달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함 ― ; (c)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을 푸시 기술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풀링 기술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단계;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를 완료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 파일의 이용가능성을 통지하는 단계; 및 (f) 사전 결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전기통신과 같은 전기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동적으로 적응된 미디어 플레이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입
지난 10년 동안, 디지털 기술들은 소비자들 및 회사들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 영향은, 통신에 액세스하고 그리고/또는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모바일 디지털 디바이스들에 소비자들의 관심이 더 많이 끌림에 따라, 미디어 산업에 특히 중요해졌다. 또한, 고속 네트워크들의 확산은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소비하고 그리고/또는 통신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전기통신 제공자들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 의한 다양한 메시징 서비스들 및 다른 부가 가치 서비스들의 개발로 이어졌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더 강력해짐에 따라, MMS(Media Messaging Service)와 같은 메시징 서비스들은 그것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의 그리고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스틸 이미지들 또는 애니메이션 등)의 사용자-친화적 전달을 허용하기 때문에 점점 더 대중화되었다. 통상적으로, 데이터는, 예컨대, 모바일/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전달되고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전달되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할 때, 특히 예컨대, 비디오 클립들과 같은 큰 미디어 파일들을 전송/수신할 때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적합한 미디어 플레이어를 생성하도록 요구되는 큰 데이터 파일들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상당한 요금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많은 MMS 서비스 제공자들은 전송 또는 수신될 수 있는 최대 파일 사이즈에 제한을 부과하여서, 사용자가 더 큰 미디어 파일을 전달하기를 원할 때, 웹사이트로의 링크(URL)가 대신에 전송/수신되어야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수신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 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거나 또는 다운로드하여야 한다.
더욱이, 디지털 서비스들은, 예컨대, 이미지들, 애니메이션들 또는 심지어 비디오 클립들을 사용하여 특정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로 광고를 전송함으로써, 전세계의 많은 부분들에서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합법적인 모바일 마케팅 툴이 되었다. 그러한 모바일 마케팅은, 특정 물품 및 서비스들을 판촉하기 위해, 잠재적 고객들에게 시간 및/또는 위치에 민감하고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마케팅은, 그것이 서비스/물품 제공자와 그것의 타겟 고객 사이의 크게 개선된 상호 작용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스마트폰 앱들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마케팅 및 광고 자원으로서 점점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네트워크들을 통해 잠재적 고객들에게 마케팅 미디어 파일들을 전송하는 것은 마케팅 담당자에게 상당한 비용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즉, 대폭 할인된(heavily-discounted) 벌크 메시징 레이트들이 적용될 때에도 MMS 메시징을 광고-중심 서비스(advertisement-driven service)로서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예컨대, 임의의 사이즈의 비디오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할 수 있는 실행가능하고, 효율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게다가, 맞춤화되고(tailored) 동적인 미디어 컨텐츠, 광고들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선되고 커스터마이징된(customised)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미디어 메시징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는 종래 기술의 위의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려고 추구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그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에서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메타파일은 적어도 (i)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제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i)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전달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함 ― ;
(c)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을 푸시 기술(push technology)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풀링 기술(pull technology)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단계;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를 완료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 파일의 이용가능성을 통지하는 단계; 및
(f) 사전 결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컨대, "트루(true)" 비디오 메시지가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 직접 전송될 수 있고, 통지가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에 수신되자마자 수신된 비디오 메시지가 완성되어 그 전체를 재생할 준비가 될 것이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메타파일(명령 파일)이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예컨대, "무료" 구글 클라우드 메신저를 통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 푸시된 이후에, 미디어 파일은 애플리케이션이 스크린에 보이지 않으면서 "백그라운드"에 다운로드되고, 오직 모든 요구되는 데이터가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 다운로드될 때에만 그것의 존재가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메타파일에서 제공된 미디어 엘리먼트들은 컴파일링되지 않으며, 임의의 표준 웹 서버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개별 데이터 파일들로서 존재한다. 또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 후속적으로 전달되는 실제 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사이즈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업적 암시들(예컨대, 서버-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면, 메시지들은 전송자에게 거의 비용 없이 전송될 수 있어, 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무료"인 광고주-자금 서비스(advertiser-funded service)를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방법이 피어-투-피어 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하며, 여기서 한 최종 사용자는 다른 최종 사용자에게 메시지(들)를 포워딩할 수 있다.
유리하게, 단계 (a), 단계 (b), 단계 (c), 단계 (d), 단계 (e) 및 단계 (f)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동적으로 적응가능한 미디어 플레이어 인터페이스의 생성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2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특성들을 동적으로 수정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3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파일, 하나 이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엘리먼트(들), 및 외부 미디어 컨텐츠에 링크하도록 그리고/또는 외부 미디어 컨텐츠를 시작(launch)시키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CTA(Call To Action) 기능 엘리먼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동적으로 적응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온 더 플라이(on the fly)"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생성될 수 있어, 그에 따라서, 미디어 컨텐츠(예컨대, 비디오)뿐만 아니라 향상된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임의의 특정 요구들에 "맞춤화될"(적응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미디어 플레이어의 메뉴 옵션들은, 비디오가 현재 재생 중인지 또는 정지되어 있는지, 또는 비디오가 끝까지 보여졌는지, 또는 미디어 파일이 수신된 이후에 경과한 시간 또는 날짜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타파일을 수신할 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설치된 앱 또는 생성/수정된 미디어 플레이어)은 선택된 기준에 따라 어떤 타입의 인터페이스 및 컨텐츠가 가장 유리한지를 판정할 것이다.
유리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파일, 상기 하나 이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엘리먼트(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CTA 기능 엘리먼트(들) 중 임의의 것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프로파일 데이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 파라미터(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또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CTA 기능 엘리먼트(들)와 동작가능하게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UR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URL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 파라미터(들)로부터 생성된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미디어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특정 사용자 특성들 또는 선호도들에 맞춤화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메타파일은 사전 결정된 파일 사이즈 제한 이하인 파일 사이즈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사이즈 제한은 4 킬로바이트(kB)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유리하게, 단계 (d), 단계 (e) 및 단계 (f) 중 임의의 것은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푸시 기술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제3 자 메시징 서비스 및/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푸시 기술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의 상호 작용과 관련하여 검출된 사용자 거동(user behaviour)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CTA 기능 엘리먼트(들)에 동작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다.
이것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사용자 특성들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하여, 그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훨씬 더 정확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 단계 (d)의 실행은 사전 결정된 제1 조건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전 결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가 아니라는 것일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상기 사전 결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Fi)라는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전달에 대한 잠재적 비용들이 최소화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단계 (d)는, 상기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무결성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을 전제로,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풀링 기술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은 상기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상기 결정된 무결성 특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에서 제공된 임계 값과 매칭한다는 것일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상기 무결성 특성은 체크섬 함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 메시징 서비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미디어 저장 및 전달 플랫폼,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자 메시징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는 비디오 메시징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비디오 메시징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적응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현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 설명 및 아래에서 주어지는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예로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임의의 제한적 의미가 아닌 오직 예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의 기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간략화된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시스템 컴포넌트들 사이의 동작들을 포함하여,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의 상세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간략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새로운 비디오 메시지의 도착을 표시하는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및 앱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메타파일로부터 획득된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하는 새로운 비디오 메시지의 앱 상의 통지 영역에 대한 예시적 도면이고;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은 미디어 플레이어를 시작시키고 비디오 클립을 자동-재생한다.
도 5는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포함하는 앱 내의 비디오 수신함(video inbox)의 예시이다.
도 6은 비디오 수신함의 열린(opened) 고객 옵션 메뉴의 예시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우측 3개의 온-스크린(on-screen) 버튼들, 온-스크린 버튼들의 기능들 및 그래픽들이 메타파일에서 정의된 것을 포함하여, 비디오가 재생되고 있을 때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앱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예시적 메타파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제공된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서버-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또한 임의의 다른 미디어 타입 및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 어레인지먼트(peer-to-peer application arrangement)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설명을 목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결정(determine)', '계산(calculate)' 및 '컴퓨팅(compute)'이라는 용어들, 및 그 변형들은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임의의 타입의 방법론, 프로세스, 수학적 연산 또는 기법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생성(generating)' 및 '적응(adapting)'이라는 용어들은 또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비디오)를 조작하기 위한 임의의 타입의 데이터 또는 신호 프로세싱을 상호 교환가능하게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컨텐츠' 또는 '미디어 컨텐츠'라는 용어는 오디오, 텍스트, 그래픽들, 비디오, 이미지들, 애니메이션 및 다른 가능한 형태들의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앱(App)'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용어들은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되고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일 피스(piece)의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상호 교환가능하게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또는 방법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이로써, 본원에서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제한적 특징들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지만, 단순히 청구항들 및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기초로 해석될 것이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디오 메시징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200)로 메시지들을 "푸시"하기 위해, 예컨대, GCM(Google Cloud Messaging)과 같은 제3 자 메시징 서비스(106)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푸시 서버(102)를 포함한다. 푸시 서버(102)는 GCM 서버와의 연결을 "감독(supervise)"(즉, 제어)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및 업데이트(예컨대, 사용자 피드백을 유지 및 업데이트)하고, 또한 제어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푸시 서버(102)는 고속 인터넷 연결을 통해 GCM 서버(106)에 연결된다.
비디오 메시징 시스템(100)은, 푸시 서버(102)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예컨대, GCM 서버(106)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시, 미디어 파일들을 저장하고 미디어 파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104)를 더 포함한다.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200)로 미디어 파일들을 "풀링(pull)"하는 데 임의의 다른 트리거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GCM(Google Cloud Messaging) 서비스와 같은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는 구글-제공 연결 서버(106), 연결 서버와 상호 작용하는 제3 자 앱 서버(도시되지 않음), 및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서 실행되는 GCM-인에이블 클라이언트 앱을 포함한다.
GCM 서비스(106)는 GCM 서비스를 자신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함께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제3 자 개발자들이 이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로써, 코어 GCM 소프트웨어는 메인 안드로이드 SDK(Software Development Kit)에 대한 확장으로서 자유롭게 이용가능하다. GCM 서비스 자체는 구글로부터 비용 없이 이용가능하고, 임의의 날에 전송될 수 있는 메시지들의 수에 대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GCM 소프트웨어는 "리스너(listener)들"(일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에서는 "콜백(callback)들"로 또한 지칭되는 이벤트 구동 함수)을 사용하는 일반적 JavaTM 프로그래밍 패턴을 따르는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앱으로 통합된다. 그것은 소프트웨어가 GCM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들을 핸들링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다. 임의의 수신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야 하는 것 대신에, 오직 메시지가 도착할 때에만 통지가 트리거된다. 이 통지는 OS(Operating System)에 등록되고, 그러한 통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실제로 실행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과 함께 GCM을 이용하는 동안, GCM 서비스는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200)로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많은 더 복잡한 양상들을 핸들링한다. 예컨대, 고유 식별자(ID)를 갖는 안드로이드 폰에 메시징하기 위해 GCM을 사용함으로써, 개발자들은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어느 네트워크에 연결되는지 그리고 데이터가 특정 연결을 통해 어떻게 전송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신들이 고민하여야 하는 문제로부터 자유롭다. GCM은 또한 저장-및-포워딩 기능을 제공하여, 어떤 이유로든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도달가능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가 큐잉되고, 메시지의 전달이 나중에 자동으로 재시도되게 한다.
또한, 요구되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명시적 관여가 존재하지 않는다.
GCM 소프트웨어는 현재 OS2.2 이상을 지원하는 모든 안드로이드 폰들 상에서 작동하도록 적응되지만, 구형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200)의 경우, 최대 OS3.0 사용자들이 먼저 그들의 핸드셋들에서 구글 계정을 셋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OS4.0.4부터는 계속, 구글 계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GCM은 임의의 사용자 개입 없이 작동할 것이다.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가 구글 클라우드 메시징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지만, 본 발명의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 및 시스템(100)은 다른 클라우드 메시징 프레임워크들과 함께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GCM은 제3 자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에게 편리한 메시지 전달 메커니즘이다. 그러나, GCM "푸시(pushed)" 메시지에 허용된 현재 최대 파일 (메시지) 사이즈는 단지 4 KB(킬로바이트)이며, 이는 비교적 적은 양의 데이터이고, 그에 따라서, 비디오 메시징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은 최대 파일 사이즈가 GCM 사이즈 제한(예컨대, 4 KB) 미만인 전용(proprietary) XML-기반 메타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GCM을 이용한다. 이 메타파일은 특히, 모든 미디어 컨텐츠(비디오 및 임의의 그래픽들)가 다운로드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한다. 실제 미디어는 메타파일 내의 URL들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 미디어 서버들(104)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시스템 및 방법)의 통상적 동작이 이제 도 2를 특히 참조하여 설명된다. 푸시 서버(102)는 초기에 메시지를 GCM 서버(106)로 전송하며, 여기서 핸드셋으로 작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모든 양상들이 핸들링된다. 이것은,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오프라인인 경우, 예컨대, 메시지의 큐잉 및/또는 저장을 포함한다.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이 처음 사용될 때, 그 특정 사용자에 대해 고유 식별 번호(ID)가 생성되고, 그 ID는 그런 다음, GCM 서비스에 등록된다. 고유 식별 번호(ID)는 푸시 서버(102)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새로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향후 식별을 허용한다.
유입(incoming) GCM 메시지가 수신될 때, 그것의 작은(즉, 최대 4 KB) 이진 페이로드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위해 GCM 리스너 프레임워크가 콜(call)된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GCM 메시지 페이로드는 XML 파일(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해석되며, 이는 그런 다음,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제공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에 의해 요구되는 임의의 특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파서(parser)(신택스 분석기(syntax analyser))를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는 많은 파라미터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은, 메인 비디오 파일의 어드레스(다운로드 링크), 및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미디어 플레이어에 의해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미디어를 앱에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URL들이다.
XML 메타파일을 수신할 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은 멀티미디어 클립(버튼 그래픽들 및 설명 텍스트들을 포함함)에 의해 요구되는 미디어 엘리먼트들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그런 다음 각각의 미디어 엘리먼트를 차례로 다운로드한다. 미디어 컨텐츠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서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동안,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일런트 상태(silent)"로 유지된다. 일단 모든 미디어 항목들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다운로드되었으면, 사용자 통지가 생성되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데이터(예컨대, 메인 비디오 파일)가 정확하게 송신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파일 체크섬이 XML 파일의 미디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적합한 송신 검증 방법이 임의의 다운로드된 컨텐츠에 사용되고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비디오 파일을 수신할 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체크섬이 메타파일로부터 추출된 값과 매칭하지 않는 경우, 비디오 파일의 다운로드는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로 성공적으로 송신될 때까지 재시도된다. 추가로, 실패된 다운로드 시도 횟수가 사전 결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대안적 다운로드 위치(대안적 URL)가 메타파일에서 제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 동안, 다음의 단계들이 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다:
(i) 미디어 컨텐츠(비디오, 그래픽들 등) 및 XML 메타파일(들)이 운영 센터에서 제공된 PC 워크스테이션들에서 준비되는 단계;
(ii) XML 메타파일(들)이, 예컨대, 인터넷 링크를 통해 푸시 서버(102)로 업로드되는 단계;
(iii) 미디어 파일들(대응하는 XML 메타파일(들)에 의해 참조됨)이, 예컨대, 인터넷 링크를 통해 미디어 서버(들)(104)로 업로드되는 단계;
(iv) 푸시 서버(102)가 다음을 수행하는 단계:
- 구글 클라우드 메시징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 사용자 피드백 통계를 유지,
- 관리를 위한 "제어 패널"을 제공,
(v) 미디어 서버(104)가 미디어 파일들을 저장하는 단계;
(vi) 푸시 서버(102)와 GCMS(Google Cloud Messaging Server)(106) 사이에 고속 인터넷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링크는 XML 메타파일이 푸시 서버(102)로부터 GCMS(106)로 "다운스트림(downstream)"에서 푸시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업스트림(upstream)" 메시지들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GCMS(106)를 통해 푸시 서버(102)로 다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vii) 예컨대, 다음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푸시 서버(102)로 인터넷 링크들 OTA(Over-The-Air)를 설정하는 단계:
- GCM 등록 정보,
- 사용자 선호도들 & 세팅들(채널 정의들 및 선택들을 포함함),
(viii) GCMS(106)로부터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XML 메타파일을 "푸시" (OTA)하고,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GCMS(106)를 통해 푸시 서버(102)로 역 "업스트림" 피드백 경로를 다시 "푸시" (OTA)하는 단계.
(ix) GCMS(106)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이 XML 메타파일을 프로세싱하고,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모든 요구되는 미디어(비디오 파일, 그래픽들, 이미지들 등)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x) 미디어 서버로부터 핸드셋으로 인터넷 (OTA)하는 단계 ― GCMS(106)를 통해 푸시 메시지(메타파일)를 수신할 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요구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사일런트 상태(silently)"로, 즉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서 "풀링(pull)"한다.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메시지의 수신 및 재생
다음의 프로세스들 및 사용자 상호 작용들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전용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되었다. 특히 도 3 내지 도 7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비디오 메시지를 수신할 시, 메시지 통지는, 예컨대, 통상적 안드로이드 통지 영역(202)에서 표준 통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예컨대, 통지 영역에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비디오 메시지를 직접 재생하거나, 또는 데스크탑 아이콘을 선택하고 메시지 수신함(204)으로부터 새로운 메시지를 열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새로운 비디오 메시지는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대응하는 메타파일로부터 획득된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통지 영역(202)에서 비디오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은 미디어 플레이어를 시작시키고, 비디오 클립(206)을 직접, 즉, 비디오 메시지 수신함(204)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자동-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비디오 메시지 수신함(204)은 각각의 어소시에이트 비디오 클립(associates video clip)(206)을 재생하는 데 필요한 모든 미디어 및 메타파일들을 포함하는 디렉토리로서 구현된다. 각각의 리스트 항목을 수신할 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은 대응하는 메타파일을 쿼리(query)하고 다음의 예시적 정보를 추출한다:
- 비디오 파일의 명칭,
- 섬네일 이미지 파일(thumbnail image file)의 명칭,
- 비디오 클립 제목,
- 메시지가 새로운지(재생되지 않았는지)를 표시하는 "플래그"(즉, 임의의 적합한 표시기)
"새로운 메시지 플래그"가 세팅된 경우, 비디오 클립 아이콘의 백그라운드는 밝은 노란색(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단 비디오 클립(206)이 재생되면, 백그라운드 색은 기본 청회색(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본 색)으로 다시 세팅된다.
이용가능한 수의 미디어 항목들이 이용가능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윈도우 공간에 맞지 않은 경우, 수신함 보기(Inbox view)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스크롤 업 및 스크롤 다운될 수 있고,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긴 클릭(long click)"으로 임의의 항목을 누를 때, 선택된 항목의 재생이 즉시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상 클릭(normal click)"으로 임의의 수신함 항목을 누를 때, 메뉴(208)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뉴(208)는 비디오 클립(206)을 재생하는 옵션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비디오 클립(206)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메뉴(208)는 수신함 항목들, 즉, 비디오 클립들(206) 중 하나의 "정상 클릭"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이러한 특정 비디오 클립(206)에 대해 이용가능한 옵션들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한다. '재생', '삭제' 및 '세팅들'과 같은 일부 옵션들이 모든 비디오 클립들(206)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링크' 아이콘(210)으로 도시된 것들과 같은 다른 옵션들은 각각의 비디오 클립(206)에 대해 특수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링크' 아이콘(210)으로 도시된 메뉴 버튼들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들로 미디어 플레이어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옵션들일 수 있다. '클립 정보' 옵션은 작은 섬네일 이미지와 함께 팝-업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비디오 클립의 간단한 설명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의 팝-업 메뉴로부터 '재생'을 선택하거나 또는 통지 영역(202)에서 플레이어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은 미디어 플레이어 스크린을 활성화시킬 것이다.
도 7은 메인 스크린(212)에서 재생되는 비디오를 도시하며, 3개의 온-스크린 버튼들(214, 216, 218)이 스크린의 우측에 제공된다. 온-스크린 버튼들(214, 216, 218)에 대한 링크들 및 섬네일 그래픽들은 메타파일에서 정의되고, 팝-업 메뉴(208)의 것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섬네일 그래픽은 버튼 정의의 일부이고,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다운로드된다. 통상적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스크린들에 대한 물리적 사이즈 제한들로 인해, 3개 또는 4개의 온-스크린 버튼들(214, 216, 218)이 실제 최대 버튼들일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고정된 제한된 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버튼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하나의 방식은, 더 많은 버튼들이 정의되고 그런 다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스크롤될 수 있는 스크롤가능한 버튼 영역에 의한 것이다.
또한, 메인 스크린 영역(212)은, 온-스크린 버튼들(214, 216, 218)을 숨김으로써 비디오 영역의 전체 스크린에 걸쳐 "최대화"하거나 또는 비디오가 온-스크린 버튼들(214, 216, 218)과 함께 보여지게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세팅들 & 프로파일링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제공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가 수신하기를 희망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대한 임의의 선호도들을 사용자가 특정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오직 사용자가 원하고 관심 있는 미디어 컨텐츠만이 고객(즉,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보장한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수정된 사전 설치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제공된 사용자 선호도들은 더 구체적인 광고 타겟팅을 가능하게 하여, 그에 따라서, 광고 기회들을 향상시킨다.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세팅들 & 프로파일링 기능은 다음과 같은 3개의 하위-카테고리들로 분류된다:
- 개인 프로파일 세팅들,
- 채널 선택들, 및
- 애플리케이션 세팅들,
여기서, 3개의 세팅들 각각은 자체 세팅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이 처음 사용될 때, 자동-실행 셋업 마법사에 의해 프로파일 정보가 수집된다. 이러한 프로파일링 프로세스는 개인 프로파일 세팅들 및 임의의 채널 선택들에 대응하는 2개의 셋업 스크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2개의 스크린들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세팅 스크린은 또한, 임의의 선호도들 또는 세팅들을 변경하기 위해 메뉴 시스템으로부터 나중에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의를 전제로, 사용자의 프로필 데이터는 메타파일에서 제공된 기본 URL과 병합될 수 있다. 예컨대, 음악 웹사이트로의 재지향(re-direction)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고객 메뉴 웹 링크를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괄호 내에 제공된 파라미터들은, 최종 URL에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연령' 및 '음악 선호도들'을 포함하라는 요청을 미디어 플레이어로 표시하기 위한 플레이스 홀더(placeholder)들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들이 쿼리 스트링에 추가되거나 또는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메타파일 포맷 및 커스터마이징된 메뉴 & 피드백 옵션들의 사양
비디오 메시지에 요구되는 모든 미디어 항목들의 URL들에 추가하여, 미디어 플레이어가 다양한 추가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메타파일은 또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재생될 비디오의 파일명들 및 간단한 설명들;
- 비디오의 URL들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그래픽들 및 텍스트 파일들;
-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앱 메시지 수신함으로부터 인보크(invoke)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된 메뉴들의 임의의 정의들 ― 이것은 또한 임의의 커스터마이징된 메뉴 버튼들에 대한 섬네일 그래픽들을 포함할 수 있음 ― ;
- 애플리케이션 수신함(204) 및 통지 영역(202)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에 대한 섬네일 그래픽들(도 5, 도 6, 도 7 참조);
및 선택적으로:
- 원 클릭(One Click) 검색 기능에 대한 검색 용어들의 정의;
- 피드백 & 보고 데이터의 정의;
- 특정 시간에 사용자에게 통지하기에 적합한 타이밍 기능들;
- 특정 시간에 메시지를 자동-삭제하는 타이밍 기능;
사용자 응답 메커니즘들
특정 목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비디오 메시지들에 액세스하는 것은 유용한 커스터마이제이션(customisation)들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그러한 커스터마이제이션은 사용자들이 수신된 메시지에 빠르고 쉽게 응답하거나 또는 수신된 메시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피드백 옵션들이 메타파일 내의 저작 스테이지(authoring stage)에서 "메시지별(message-by-message)"로 특정된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메시지에 따라 응답 옵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메타파일 내의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메시지별로, 다음의 고객 메뉴 옵션들이 특정될 수 있다:
- 메뉴 옵션에 대한 라벨 텍스트(예컨대, '주문 트랙', '웹에 대한 추가 정보' 등);
- 피드백 응답 타입;
또한, 다음의 타입들의 피드백 응답(예컨대, CTA(Call-to-Action)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 특정된 번호(예컨대, 판매 라인)에 콜(call)하는 것;
- 특정된 번호로 자동-생성 SMS를 전송하는 것;
- 특정된 URL로 브라우저를 시작시키는 것;
SMS 및 URL-로의 브라우징(Browse-to-URL) 옵션들 모두의 경우, 비디오 클립 식별 및 추적을 보조하기 위해 메타파일로부터 추출된 추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SMS 및 URL-로의 브라우징 옵션들 모두의 경우, (허가들이 획득되는 것을 전제로) 사용자의 프로파일로부터의 데이터는 XML 메타파일에 특정된 "기본 데이터"에 병합되거나 또는 첨부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액세스되는 웹사이트의 소유자가 그들의 방문자들에 대해 무언가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SMS 피드백의 경우, 이 데이터는 SMS 텍스트 본문에 자동-포함되고, URL-로의 브라우징 옵션의 경우, 동일한 정보가 쿼리 스트링으로서 미디어 서버(104)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URL-로의 브라우징 기능은 다음을 제공할 수 있다:
- 다른 비디오 클립을 식별하기 위해 쿼리 스트링 내의 정보로 푸시 서버(102)의 URL을 특정하는 능력 ― 따라서, URL-로의 브라우징 옵션은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다른 비디오 클립을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 ;
- 사용자에게 보고 있는 컨텐츠에 특정적인 "지금 구매(buy now)" 웹 페이지를 링크시키는 능력;
- 보고 있는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메타파일 내의) 사전-정의된 검색 용어들을 이용하여 검색 엔진과 링크시키는 능력 ― 이 기능은 사용자 입력(예컨대, 검색 키워드를 입력)에 대한 어떠한 필요성도 없이 "원-클릭" 검색 기능을 초래할 수 있음 ― ;
- 다른 비디오 클립을 식별하기 위해 쿼리 스트링 내의 정보로 푸시 서버(102)의 URL을 특정하는 능력 ― 따라서, URL-로의 브라우징 옵션은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다른 비디오 클립을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
데이터 캡처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2가지 방식들로 분산 메시지들에 대응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 GCM 서비스(106)를 통해 푸시 서버(102)로 다시 전송되는 자동-생성 메시지에 의해. 이 메시지는 비디오의 '재생'이 정지되거나 또는 종료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모드는 그것이 임의의 사용자의 명시적 액션 또는 개입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자동 보고(Auto Reporting)"라 칭해질 수 있다.
(2) 브라우저가 재생-종료 버튼으로부터 또는 메인 팝-업 메뉴로부터 시작될 때, 데이터는 또한 웹 서버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피드백 버튼을 누르고 특정 웹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의식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는 다음을 포함한다:
- 비디오를 보았는지 여부;
- 비디오를 끝까지 보았는지 여부;
- 비디오를 본 횟수;
- 클립 ID(푸시 서버(102)에 의해 할당됨);
-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의 IMEI 번호;
-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의 안드로이드 ID 번호;
-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의 모델;
- 통신 네트워크;
-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언어 세팅;
- 비디오 클립과 연관된 임의의 검색 용어들(이것은 수신 서버가 검색 엔진일 때 웹 피드백에 특히 유용함);
- 선택된 온-스크린 버튼(들)의 임의의 ID ― 오직 웹 피드백의 경우에만 ― ;
- 임의의 선택된 온-스크린 버튼의 텍스트 ― 오직 웹 피드백의 경우에만 ― ;
사용자가 개인 선호도들을 세팅한 경우(및 프라이버시 문제들을 전제로) 다음의 파라미터들이 또한 수집될 수 있다:
- 채널 선택들의 리스트;
- 사용자의 성별;
- 사용자의 생년월일;
- 개인 선호도 섹션에서 제공된 다른 파라미터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여기서 안드로이드 ID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리턴된 ID이고, GCM 서비스에 의해 할당된 동일한 번호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방법(소프트웨어 앱)은 수 분의 재생 길이의 양호한 품질 비디오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 자체는 비용 없이 전달될 수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의 명시적 관여 또는 참여를 요구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서비스 운영자가, 사용자의 개별 취향들에 호소하도록 더 정확하게 맞춤화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전달하도록 돕기 위해 개인 선호도들을 특정할 수 있다. 중요하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신된 비디오 메시지에 응답하거나 또는 수신된 비디오 메시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을 허용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예컨대, 추가 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더 많은 관련 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보도록 특정 웹 사이트로, 또는 전자 상거래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단일-누름(single-press) "CTA(Call to Action)"로 사용자를 지향시키는(direct)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임의의 사용자 응답 옵션의 세부사항들은 매우 유연하며, 클립 저작 스테이지에서 메시지별로 정의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세한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주들에게 가치를 더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컨대, 광고주-중심 수익 모델(advertiser-driven revenue model)에서, 광고들은 비디오 피처(feature)와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은 메인 피처의 시작 및/또는 끝에서의 짧은 비디오 광고들, 재생의 종료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정적 그래픽, 및 광고주의 웹 사이트에 링크시키는 고객 메뉴 옵션들의 사용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다른 비디오 클립을 요청하는 능력은 훨씬 더 긴 비디오가 적합한 수의 더 작은 클립들로 분할되고, 개별 "에피소드들"로서 전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련의 각각의 에피소드에 대해, (i) 일련의 다음 에피소드(들)를 요청하는 것, 및 (ii) 특정한 이전의 에피소드 또는 일반적인 일련의 에피소드들과 관련된 다른 컨텐츠로의 HTML 링크(들)를 제공하는 것 모두를 허용하기 위한 3개 이상의 온-스크린 옵션 버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음 에피소드를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온-스크린 버튼에는 또한, 현재 실행 시간 및/또는 에피소드 번호(예컨대, XML 메타파일로부터 획득됨)가 라벨링될 수 있고, 이는 현재 클립이 재생되는 동안 요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퀀스의 다음 에피소드는 현재 에피소드의 사전 결정된 비율(예컨대, 총 실행 시간의 50 %)을 본 이후에 자동으로 요청될 수 있다.
수신함 디스플레이 옵션들
메타파일에 포함된 정보와 관련하여, 수신함(204) 내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옵션들을 허용하기 위해 각각의 비디오 클립(206)에 태깅(tag)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들이 특정 카테고리의 비디오 클립들(206)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할 수 있게 필터링을 허용하도록 태그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디오 클립들(206)은 알파벳순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분류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검색 용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클립(206)은 시퀀스의 복수의 부분들 또는 "에피소드들"로서 전송될 수 있고, 시퀀스 내의 비디오 클립들(206)은, 수신함(204)이 수신함(204) 내의 단일 항목으로서 일련의 비디오 클립들(206)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구성 부분들을 어그리게이트(aggregate)하는 방식으로 태깅될 수 있다.
피어-피어 메시지 포워딩
순수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로서 본 발명의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 및 시스템만을 사용하는 대신에, 즉, 서비스들이 최종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종 사용자들 사이의 피어-투-피어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즉, 비디오 메시지들이 본 발명의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한 최종 사용자로부터 다른 최종 사용자에게 포워딩되거나 또는 전송될 수 있다.
다음은 포워딩을 통한 피어-투-피어 메시징(단계별)을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을 설명하는 제1 예이다.
(1)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App)이 처음 작동될 때, 고유 GCM-할당 번호(ID)가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에 로깅(log)된다. 이 정보와 함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추가 정보(이를테면, 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어드레스)가 이 고유 사용자 ID와 함께 로깅될 수 있다. 추가 연락처 정보(폰 번호, 이메일 어드레스)는 제2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소유하는 제1 사용자가 미디어 메시지(예컨대,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이들에게 원래 전송된 미디어 메시지)를 제2 사용자(예컨대, 친구 또는 다른 연락처)에게 포워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2)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비디오 메시지를 포워딩하기 위해, (i) 포워딩될 비디오 클립(206), (ii) 누가(즉, 다른 사용자, ID) 비디오 클립(206)을 전송하고 있는지, 및 (iii) (그들의 폰 번호 또는 이메일에 의해 특정된 바와 같은) 수신측이 누구인지를 표시하는 특수 HTTP 요청이 미디어 서버(104)로 전송될 수 있다.
(3) 이 HTTP 요청을 수신할 시, 미디어 서버(104)는 제공된 수신측 폰 번호 또는 이메일로부터 연관된 GCM 네트워크 ID를 결정하고, 특정된 비디오 클립(206)을 특정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라는 요청을 생성한다. 따라서, 한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에게 비디오 클립(206)을 포워딩하는 프로세스는 사실상 미디어 서버(104)로부터 특정된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특정된 비디오 클립(206)을 직접 전송하라는 요청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동일하다.
(4) 특정된 폰 번호 또는 이메일이 기존 GCM 사용자 ID와 연관되지 않은 경우(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되지 않은 경우)(이는 수신측이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된 적합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을 아직 갖고 있지 않은 경우일 것임),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이메일은 자동-생성되어 특정된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은 사용자-생성 미디어 컨텐츠의 피어-투-피어 메시징(단계별)을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을 설명하는 제2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사용자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사진들 또는 비디오들과 같은 사용자-생성 미디어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단계들은 한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들을 포워딩하기 위한 단계들과 유사하다. 특정 변형들은, "RTS(request to send)"가 중앙 미디어 서버(104)에서 생성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자-생성 미디어 컨텐츠를 중앙 미디어 서버(104)로 먼저 업로드하도록 요구되는 것이다. 이벤트들의 시퀀스는 XML 명령 파일(즉, 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되고 푸시 서버(102)를 통해 푸시되는 메타파일)의 자동-생성 및 업로드와 함께 자동으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가 임의의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단지 예로서 설명되었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Claims (25)

  1.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에서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메타파일은 적어도 (i)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제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i)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전달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함 ― ;
    (c)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을 푸시 기술(push technology)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풀링 기술(pull technology)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단계;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를 완료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 파일의 이용가능성을 통지하는 단계; 및
    (f) 사전 결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단계 (a), 단계 (b), 단계 (c), 단계 (d), 단계 (e) 및 단계 (f)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동적으로 적응가능한 미디어 플레이어 인터페이스의 생성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2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 상에 제공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특성들을 동적으로 수정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제3의 자율적으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파일, 하나 이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엘리먼트(들), 및 외부 미디어 컨텐츠에 링크하도록 그리고/또는 외부 미디어 컨텐츠를 시작(launch)시키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CTA(Call To Action) 기능 엘리먼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파일, 상기 하나 이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엘리먼트(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CTA 기능 엘리먼트(들) 중 임의의 것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프로파일 데이터에 따라 선택되며,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 파라미터(들)를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또는 사전 결정된 사용자 선호도들을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CTA 기능 엘리먼트(들)와 동작가능하게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URL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URL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 파라미터(들)로부터 생성된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을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파일은 사전 결정된 파일 사이즈 제한 이하인 파일 사이즈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제공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사이즈 제한은 4 킬로바이트(kB)인,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8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 단계 (e) 및 단계 (f) 중 임의의 것은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푸시 기술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제3 자 메시징 서비스 및/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푸시 기술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과의 상호 작용과 관련하여 검출된 사용자 거동(user behaviour)을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13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CTA 기능 엘리먼트(들)에 동작가능하게 링크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의 실행은 사전 결정된 제1 조건을 전제로 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가 아니라는 것인,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 제17 항 또는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Fi)라는 것인,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0.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는, 상기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무결성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을 전제로, 상기 사전 결정된 미디어 저장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풀링 기술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은 상기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상기 결정된 무결성 특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타파일에서 제공된 임계 값과 매칭하는 것인,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2. 제20 항 또는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상기 무결성 특성은 체크섬 함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3.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 메시징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 메시징 서비스인,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4. 제1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사전 결정된 수의 개별 미디어 컨텐츠 파일 부분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5.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사용자 디바이스, 미디어 저장 및 전달 플랫폼,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자 메시징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며, 제1 항 내지 제24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비디오 메시징 시스템.
KR1020207010215A 2017-10-16 2018-02-28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5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16990.5A GB2567499A (en) 2017-10-16 2017-10-1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messaging service
GB1716990.5 2017-10-16
PCT/GB2018/050513 WO2019077294A1 (en) 2017-10-16 2018-02-2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MESSAGING SER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270A true KR20200085270A (ko) 2020-07-14

Family

ID=6041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215A KR20200085270A (ko) 2017-10-16 2018-02-28 비디오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90475B2 (ko)
EP (1) EP3673625A1 (ko)
JP (1) JP2020537385A (ko)
KR (1) KR20200085270A (ko)
CN (1) CN111512598A (ko)
AU (1) AU2018350973A1 (ko)
CA (1) CA3076093A1 (ko)
GB (1) GB2567499A (ko)
WO (1) WO2019077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9956B2 (en) * 2019-04-15 2023-07-25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Secure data broker
CN111787117A (zh) * 2020-07-06 2020-10-16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2525A (ja) * 1998-02-27 1999-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配信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そのための装置、および当該処理システムに用い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02990A (ja) * 2000-12-28 2002-07-19 Baytech Systems Inc コンテンツ配信支援システム
US20070043823A1 (en) * 2005-08-19 2007-02-22 George David A System and method for pushing activated instant messages
US7903794B1 (en) * 2006-04-05 2011-03-08 Sprint Spectrum L.P. Pictorial voice mail notification with link to voice mail server
US20090024925A1 (en) * 2007-07-18 2009-01-22 Andrew Stevens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derivative media work
US8769558B2 (en) * 2008-02-12 2014-07-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scovery and analytics for episodic downloaded media
US8527877B2 (en) 2008-11-2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media content
US8213971B2 (en) * 2009-04-27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computer applications with SMS messaging
US20130144974A1 (en) * 2011-12-02 2013-06-06 Notice Software LL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ush notification
CN104113509B (zh) * 2013-04-16 2015-12-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媒体文件推送方法和服务器
JP5841178B2 (ja) * 2014-01-22 2016-01-13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表示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US20150326727A1 (en) * 2014-05-07 2015-11-12 Microsoft Corporation Delivery of visual voicemail over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US20150358262A1 (en) * 2014-06-04 2015-12-10 Grandios Technologies, Llc Handheld hyperlink system
US10334066B2 (en) * 2014-07-23 2019-06-25 Varian Medical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for push notifications
CN104794634A (zh) * 2015-04-16 2015-07-22 刘生攀 一种移动终端广告定向推送方法
US10560408B2 (en) 2015-04-29 2020-02-11 Oath Inc.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HTML content to a user's inbox as a native message
US10666750B2 (en) * 2015-11-17 2020-05-26 Google Llc Enhanced push messaging
US9942610B2 (en) * 2016-06-21 2018-04-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verriding crowd-sourced auto-skip commands based on user activity
US11366800B2 (en) * 2016-08-22 2022-06-21 American Megatrends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to automate validating media redirection in testing process
CN106302553A (zh) * 2016-10-26 2017-01-04 李露青 推送信息服务的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50973A1 (en) 2020-03-26
CN111512598A (zh) 2020-08-07
US20200213259A1 (en) 2020-07-02
JP2020537385A (ja) 2020-12-17
US11190475B2 (en) 2021-11-30
WO2019077294A1 (en) 2019-04-25
GB201716990D0 (en) 2017-11-29
GB2567499A (en) 2019-04-17
CA3076093A1 (en) 2019-04-25
EP3673625A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5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video content to a mobile device
US20180013700A1 (en) System for Inserting and Responding to Brand-Related Data in Communicated Messages
CA2714893C (en) Multiple actions and icons for mobile advertising
US7680483B2 (en) Mobile content access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hyperlink message, and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erver and content provider server for the same
US20070282959A1 (en) Message push with pull of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s computing device
US200601906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delivering and sharing audio content
JP2011503717A (ja) ユーザ生成コンテンツ配信のサポート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US10664878B2 (en) Data capture for user interaction with promotional materials
WO2009099874A2 (en) Keyword tracking for microtargeting of mobile advertising
WO2008017695A2 (en) Messaging system
EP1668880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ata to mobile devices
US201500738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ning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n advertisement
WO20212312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hat-based application interactions
US11190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messaging service
GB2505552A (en)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KR20080106487A (ko) 사용자 정의 소프트 폰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KR20190098810A (ko) 인터랙티브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장치
US8554265B1 (en) Distribution of user-generated multimedia broadcasts to mobi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users
US20150302459A1 (en) System for Inserting and Responding to Brand-Related Data in Communicated Messages
GB2519814A (en) Electronic device, server, system and method
AU20112186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user-specified embedded content in a generic web page
EP2577582A1 (en) Providing digital advertisements using a generic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