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10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103A
KR20200085103A KR1020190001222A KR20190001222A KR20200085103A KR 20200085103 A KR20200085103 A KR 20200085103A KR 1020190001222 A KR1020190001222 A KR 1020190001222A KR 20190001222 A KR20190001222 A KR 20190001222A KR 20200085103 A KR20200085103 A KR 2020008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link
refrigerator
shelf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505B1 (ko
Inventor
유선일
이대성
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05B1/ko
Priority to US16/682,902 priority patent/US11460240B2/en
Priority to EP19213084.7A priority patent/EP3677860A1/en
Priority to CN202010011284.XA priority patent/CN111412703B/zh
Publication of KR2020008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 1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품 또는 식품 용기가 적재되는 고정 선반과,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 1저장 공간의 전방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가동 선반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선반은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양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링크를 상기 제 1저장 공간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링크의 회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구비되는 수납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 등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에 따라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냉동실의 온도를 냉장실의 온도와 동일하게 하여 보다 넓은 공간의 냉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음식물은 종류, 가공 및 포장 상태에 따라 보관 위치가 달라 질수 있으며, 냉장실 및 냉동실에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장고의 냉장실 및 냉동실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는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될 수 있으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냉장실 및 냉동실과 같은 저장공간에 다양하게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저장 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선반들의 경우 다수의 선반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위치되는 선반의 경우 사용자의 평균 눈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 상부에 위치되는 선반의 경우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의 수납하거나, 저장된 식품을 인출하고자 할 때 선반의 위치가 매우 높아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저장공간 상부에 위치되는 선반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하거나, 수납 및 인출하기에는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의 경우 사용빈도가 떨어지게 되어 냉장고의 저장공간 사용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선반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선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및 인출 위치를 가변함으로 식품을 손쉽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선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및 인출 위치를 가변함으로 저장장공간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 1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품 또는 식품 용기가 적재되는 고정 선반과,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 1저장 공간의 전방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가동 선반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선반은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양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링크를 상기 제 1저장 공간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링크의 회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선반부가 수평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링크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반부는 상기 식품 또는 식품 용기가 적재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양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링크가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링크는 상기 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에 적재된 식품 또는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바다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저장부의 양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링크는 상기 각 구동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저장부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여 상기 저장공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 하우징에는 소정 길이의 이동 랙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이동 랙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로터 댐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링크 중 하나가 체결되어 체결된 링크과 같이 회동되는 회동 전환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에 의해 상기 회동 전환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동 전환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 전환부는 일측에 상기 회동 가이드 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 가이드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이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제 1곡면 슬롯과, 상기 회동 가이드가 회전될 때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제 2곡면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 전환부의 회동시 상기 회동 전환부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저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1저장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 2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제 2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저장부는 상기 제 2저장 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 2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의 선반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의 선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및 인출 위치를 가변함으로 식품을 손쉽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의 선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및 인출 위치를 가변함으로 저장장공간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아웃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 선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 선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슬라이드 인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하강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아웃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는 전면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위치하며 제 1저장공간(100a)이 현성되는 제 1저장부(100)와, 제 1저장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드로워 형태로 개폐되는 제 2저장공간(200a)을 구비하는 제 2저장부(2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저장공간(100a) 또는 제 2저장공간(200a)은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으로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저장공간(100a) 및 제 2저장공간(200a)이 냉장실의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하여 설명하지만 냉장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저장공간(100a) 또는 제 2저장공간(200a)에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 또는 온도에 따라 제 1저장공간(100a) 및 제 2저장공간(200a)이 각각이 냉장실/냉동실 또는 냉동실/냉장실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제 1저장공간(100a) 및 제 2저장공간(200a)이 모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 1저장공간(100a)의 경우 냉장고(10)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제 1저장공간(100a)에는 제 1저장공간(100a)에 저장되는 식품을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132, 3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선반(132, 300)은 제 1저장공간(100a)에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 1저장공간(100a)에 구비되는 선반(132, 300)들의 경우 다수의 선반(132, 300)이 제 1저장공간(100a)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300)은 하측에 위치하는 다른 선반(132)의 전방으로 인출 및 하강되는 가동 선반(30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저장공간(100a)에 배치되는 선반(132, 300)들의 경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의 배치상태에서 상측 또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선반(300)의 경우 선반(300)의 높은 위치에 따라 식품 또는 식품이 담긴 용기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가 다소 어렵다.
따라서 제 1저장공간(100a)에 배치되는 선반들 중 최상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300)의 경우 가동 선반(300)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 할 수 있다. 가동 선반(300)의 경우 냉장고(10)에 대한 설명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 1저장공간(100a)의 개구의 일측에는 제 1저장공간(100a)을 개폐함과 동시에 제 1저장공간(100a)과 분리되는 별도로 도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14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140)는 제 1저장공간(100a)을 개폐함과 동시에 별도의 수납 공간인 홈바 공간을 포함하는 이너 도어(160)와, 이너 도어(160)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아웃터 도어(15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웃터 도어(150)와 이너 도어(160)의 폭과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터 도어(150)의 배면(즉, 이너 도어(160)를 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미도시)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도어(15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웃터 도어 가스켓(151)이 둘러진다. 그리고 아웃터 도어(150)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 가장자리 배면에는 래치 유닛(153)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유닛(153)은 아웃터 도어 가스켓(15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아웃터 도어(150)의 외측면에는 냉장고(10)의 제 1저장부(100) 및 제 2저장부(2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57)와, 제 1저장부(100) 및 제 2저장부(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너 도어(160)는 중앙부에 소정 크기의 개구부(161)가 형성되고, 이너 도어(16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166)가 장착된다. 개구부(161)는 이너 도어(160)가 닫히고 아웃터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166) 내부로 사용자의 손이 접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아웃터 도어(150)의 배면에 둘러지는 아웃터 도어 가스켓(151)은 이너 도어(160)의 전면에 밀착되며, 개구부(161)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진다. 따라서 아웃터 도어(150)가 이너 도어(16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 즉 아웃터 도어(1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너 도어(160)와 아웃터 도어(150)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한편, 이너 도어(160)의 개구부(161)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162)이 장착될 수 있다. 다수의 도어 바스켓(162)은 이너 도어(160)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도어(16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도어 다이크(door dike, 165)가 돌출될 수 있고, 수납 케이스(166)의 전단부는 도어 다이크(16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다이크(165)의 외측에 해당하는 이너 도어(16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이너 도어 가스켓(163)이 둘러진다.
따라서 이너 도어(160)가 아웃터 케이스(11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 즉 이너 도어(160)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너 도어 가스켓(163)이 제 1저장부(100)의 아웃터 케이스(1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제 1저장공간(100a)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또한, 이너 도어(160)의 전면부, 구체적으로는 아웃터 도어(150)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 유닛(153)에 대응하는 지점에 로킹 유닛(16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도어(150)가 이너 도어(160)의 전면에 밀착되면 래치 유닛(153)이 로킹 유닛(164)에 걸려서, 아웃터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너 도어(160)의 전면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도어 스위치(15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스위치(155)는 아웃터 도어(150)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배치될 수도 있고, 회전축에 가까운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저장부(200)는 제 1저장부(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냉장고(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로워(210, 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저장부(200)의 경우 드로워(210, 220)의 인출에 의해 식품이 저장되는 제 2저장공간(200a)이 노출될 수 있으며, 복수의 드로워(210, 220)에 의해 제 2저장공간(200a)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제 2저장부(200)는 제 1저장부(10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저장부(200)는 제 2저장부(200)의 제 2저장공간(200a)을 개방함과 동시에 식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워(210, 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드로워(210, 220)는 제 2저장부(200)의 상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부 드로워(210)와 제 2저장부(200)의 하측 전면을 형성하는 하부 드로워(2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의 내측, 제 1저장공간(100a) 및 제 2저장공간(200a)과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에는 제 1저장공간(100a) 및 제 2저장공간(200a)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계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 사이클과 제 1저장공간(100a)과 제 2저장공간(200a)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실의 위치 및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가동 선반(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 선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선반(300)은 제 1저장공간(100a)의 비교적 상측에 위치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제 1저장공간(100a)의 다른 선반(132)의 전방으로 인출 및 하강되는 선반부(400)와, 제 1저장부(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선반부(400)의 수평 이동 및 회동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구동부(500)를 구비한다.
선반부(400)는 제 1저장공간(100a)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구동부(500)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에 의해 회동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선반부(400)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내측 상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선반부(40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상부에 인입된 상태로 선반부(400)에 적재된 식품 또는 용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외측 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식품 또는 식품 저장용기가 선반부(400)에 적재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구동부(500)는 선반부(400)의 양측에 위치하며 선반부(400)에 연결되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회동되는 것을 지지한다. 여기서 구동부(500)는 제 1저장부(100)를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제 1저장부(100)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선반부(400)는 제 1저장공간(100a)의 깊이 방향 너비보다 소정 간격 작은 너비(D, 도 6참고)로 형성되어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부(410)와, 몸체부(410) 양측 후방에 형성되며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420)와, 몸체부(410) 후방에 위치하며 양측 지지부(42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몸체부(410)에 적재되는 식품 및 용기가 몸체부(410) 후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바(4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부(420)는 몸체부(410) 양측 후방에서 몸체부보다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 1링크(440)가 연결되는 제 1연결부(422) 및 제 2링크(450)가 연결되는 제 2연결부(423)가 형성된다.
한편 제 1연결부(422)와 제 2연결부(423)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부(410)의 초기 위치 및 회동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몸체부(410)의 회동 구조상 제 1연결부(422)가 제 2연결부(423)보다 지지부의 후방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의 상부에는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가 제 1연결부(422) 및 제 2연결부(423)에 연결되기 위한 제 1연결홀(미도시)과 제 2연결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의 하부에는 구동부(5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축(444)과, 회전축(458)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링크(440)에 형성되는 결합축(444)의 경우 구동부(500)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다각형의 결합축(444)을 갖으면, 제 2링크(450)의 경우 구동부(500)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한 회전축(458)을 구비된다.
한편,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는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가 연결되는 지지부(420)의 제 1연결부(422) 및 제 2연결부(423)에 대하여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410)가 제 1저장공간(100a)으로 수납된 상태에서와 몸체부(410)가 제 1저장공간(100a)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동일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6 및 도 7참조).
즉,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의 경우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갖는 상태에서 몸체부(410)의 지지부(4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1연결부(422) 및 제 2연결부(423)에 의해 이격되는 회전축을 갖게 된다. 이때 몸체부(410)는 따라서 몸체부(410)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의 회전방경을 따라 회동될 때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될 수 있다(도 7 참고).
한편, 구동부(500)는 선반부(400)와 선반부(400)에 연결되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를 제 1저장공간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구동부(500)에 대하여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부(500)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하우징(530)과 이동 하우징(5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이동 하우징(530)이 제 1저장공간(100a)의 전후방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하우징(520)과, 고정 하우징(520)의 외측에 체결되어 고정 하우징(520)을 아웃터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 사이 공간에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51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동부(5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되는 선반부(400)가 가동 선반(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 선반(132)의 폭(D)보다 큰 회전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동 선반(300)의 선반부(400)가 고정 선반(132)의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의 길이가 가동 선반(300)의 선반부(400)가 고정 선반(132)의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는 길이를 갖을 경우 가동 선반(300)과 고정 선반(132)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넓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함과 동시에 가동 선반(300)의 구동부(500)의 체결되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의 회동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의 회동 위치 가변은 구동부(50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또한,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 중 적어도 하나는 선반부(400)의 회동 이동에 따라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회동 위치를 갖거나,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링크(450)에 제 1링크(44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링크(450)의 일부가 제 1저장공간(100a)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절곡부(456)가 더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410)의 양측에 체결되는 제 1링크(440)의 경우 몸체부(410)의 회동시 몸체부(410)의 좌우 진동을 감소하기 위하여 한쌍의 제 1링크(440)를 연결하는 보강바(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바(460)에 의해 몸체부(410)가 이동될 때 한쌍의 제 1링크(440) 사이를 연결하여 제 1링크(440)가 개별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저장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0)의 내측면 양측에는 각각 대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각 구동부(500)와 선반부(400)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선반부(40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1이동 슬롯(122) 및 제 2이동 슬롯(124)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고)
여기서 제 1이동 슬롯(122) 및 제 2이동 슬롯(124)은 구동부(500)와 선반부(400)를 연결하는 제 1이동 슬롯(122) 및 제 2이동 슬롯(124)이 구동부(500)의 작동에 따라 제 1저장공간(100a)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있도록 이너 케이스(120)의 양측 내벽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가동 선반의 구동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 선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제 1저장부(100)를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10) 및 이너 케이스(120)의 양측 사이 공간에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일측 구동부(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며, 타측 구동부(50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제 1저장부(100)의 아웃터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동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510), 고정 하우징(520), 이동 하우징(530)으로 이루어지며, 이동 하우징(530)에 제 1링크(440)와 제 2링크(45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 하우징(520)은 선반부(400)측을 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이동 하우징(530)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하우징(520)은 일측면을 형성하는 외벽부(521)와, 외벽부(521)의 전방 하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524)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하우징(520)의 내측 상면 및 하면은 이동 하우징(530)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여 이동 하우징(5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522)와, 하부 가이드(5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통부(524)는 고정 하우징(520)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 하우징(530)의 이동시 이동 하우징(530)이 이동되는 방향의 공기가 고정 하우징(520)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이동 하우징(530)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 하우징(5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동 하우징(530)은 고정 하우징(520) 측을 향하는 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함체 형상의 고정 하우징(520) 내측에 고정 하우징(520)의 상/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이동 하우징(530)은 타측면을 형성하는 내벽부(531)와, 내벽부(531)의 외측 상면 및 하면은 고정 하우징(520)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 접하여 이동되는 상부 접촉면(532) 및 하부 접촉면(533)이 형성된다.
고정 프레임(510)은 고정 하우징(5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아웃터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 사이에서 고정 하우징(520)을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 하우징(5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510)은 소정 길이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고정 하우징(520) 자체의 강도가 보장된다면 고정 프레임(510)의 사용없이 고정 하우징(520)만을 사용하여 구동부(5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 하우징(520)과 이동 하우징(530) 사이에는 이동 하우징(530)의 이동시 이동 하우징(530)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 랙(549)과 로터 댐퍼(528)가 구비될 수 있다. 로터 댐퍼(528)는 고정 하우징(52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동랙(549)은 이동 하우징(530) 내측에 이동 하우징(530)의 내벽부(5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랙(549)에는 이동 하우징(530)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터 댐퍼(528)에는 이동랙(549)의 기어이에 치함되는 기어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하우징(530)의 이동에 따라 이동랙(549)의 기어이에 치합된 기어가 회전되고 기어의 회전을 로터 댐퍼(528)가 감속시켜 이동 하우징(530)의 이송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하우징(530)의 하부 전방에는 제 2링크(450)의 회전축(458)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홀(537)이 형성되며, 회동홀(537)의 후방 상측에는 제 1링크(440)의 결합축(444)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536)이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홀(537)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2링크(450)의 회전축(458)의 경우 제 2링크(450)의 회동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관통홀(536)을 통과하여 위치하는 제 1링크(440)의 결합축(444)은 후술할 회동 전환부(542)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체결된다.
또한, 이동 하우징(530)의 내측에는 제 1링크(440)의 결합축(444)에 체결되어 제 1링크(440)의 회동에 따라 결합축(444)을 회전 축으로 하여 제 1링크(440)와 같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동 전환부(542)와, 일측이 이동 하우징(53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회동 전환부(542)에 연결되어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속도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실린더 댐퍼(538)를 구비하며, 고정 하우징(520)에 회동 전환부(542)와 마주하게 구비되어 이동 하우징(530)의 수평 이동 및 제 1링크(440)의 회동시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525) 및 회동 전환부(542)가 회전된 상태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546)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동 전환부(542)는 삼각형태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제 1링크(440)의 결합축이 체결되는 제 1링크 결합홀(543)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모서리에는 실린더 댐퍼(538)의 일단이 연결되는 댐퍼 연결축(544)이 형성되고, 또 다른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에는 회동 가이드(525)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슬라이드 돌기(545)가 구비된다.
한편, 제 1링크 결합홀(543)의 경우 제 1링크(440)의 자유 회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1링크(440)에 형성되는 결합축(444)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 댐퍼(538)는 일측이 이동 하우징(53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댐퍼 고정보스(5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회동 전환부(542)의 댐퍼 연결축(544)에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 댐퍼(538)는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면서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가이드(525)는 고정 하우징(52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동 하우징(530)이 고정 하우징(520)의 내부에서 이동 때, 제 1링크(440)가 회동될 때 회동 전환의 회전을 안내 및 제한한다. 이러한 회동 가이드(525)는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 1곡면 슬롯(516) 및 제 2곡면 슬롯(527)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곡면 슬롯(526)은 이동 하우징(530)이 고정 하우징(520)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때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즉,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하우징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회전 전환부의 슬라이드 돌기가 제 1곡면 슬롯을 따라 회동되면서, 회동 전환부(542)에 연결된 실린더 댐퍼(538)가 수축된다.
또한, 제 2곡면 슬롯(527)은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하우징이 이동된 상태에서 선반부(40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회동되어 인출될 때 제 1링크(440)에 연결된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를 안내한다.
즉, 선반부(400)의 회동에 연동되는 제 1링크(440)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 전환부(542)가 회동되면서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가 제 2곡면 슬롯(527)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 전환부(542)가 회전된다,
이때 회전되는 회동 전환부(542)에는 실린더 댐퍼(538)가 연결되어 있으며, 회동 전환부(542)가 회전됨에 따라 실린더 댐퍼(538)가 수축하여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킨다. 이에 회동 전환부(542)에 연결된 제 1링크(440) 및 제 1링크(440)에 연결된 선반부(40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한편, 탄성 지지부(546)는 이동 하우징(530)의 내측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부 고정보스(535)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546)는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 반경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회동 전환부(542)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지지돌기(547) 및 지지돌기(547)가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지지돌기(547)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탄성홈(548)이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546)는 회동 전환부(542)가 완전히 회전되면(즉, 선반부(400)가 완전히 인출되면) 회동 전환부(542)의 단부를 지지돌기(547)가 소정의 탄성력을 가압하여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을 제한한다. 따라서 탄성 지지부(546)에 의한 회동 전환부(542)의 탄성 고정은 회동 전환부(542)에 연결되는 제 1링크(440) 및 선반부(4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동 선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슬라이드 인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하강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가동 선반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가동 선반(300)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 가동 선반(300)의 구동부(500)의 작동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일측 구동부(500)의 고정 하우징(520)의 외벽부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하지만 고정 하우징(520)의 형태를 다르게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동부(500)의 설명을 기초로하여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부(400)의 초기 위치는 선반부(400)가 제 1저장공간(100a)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며, 이동 하우징(530)이 고정 하우징(520)의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이때 고정 하우징(520)의 로터 댐퍼(528)는 이동 하우징(530)의 이동랙(549)의 선단에 위치하며,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는 회동 가이드(525)의 제 1곡면 슬롯(526)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부(400)를 제 1저장공간(100a)에 대해서 인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선반부(400)의 몸체부(410)를 잡아당겨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인출한다.
이에 이동 하우징(530)이 고정 하우징(520)에 대하여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수평 이동한다. 이때 선반부(400)의 몸체부(410)를 지지하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는 회동되지 않으며, 선반부(400), 제 1링크(440), 제 2링크(450) 및 이동 하우징(530)이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하우징(52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하우징(530)은 로터 댐퍼(528)에 의해 이동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이동 하우징(530)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랙(549)이 고정 하우징(520)에 고정된 로터 댐퍼(528)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속되며, 이동 하우징(530)에 연결되는 제 1링크(440), 제 2링크(450) 및 선반부(40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어 질 수 있다.
한편, 고정 하우징(520)에 대하여 이동 하우징(530)이 이동될 때 회동 가이드(525)의 제 1곡면 슬롯(526)에 삽입된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는 제 1곡면 슬롯(526)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2곡면 슬롯(527)으로 이동된다.
이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반부(400)를 더욱 당겨 인출하게 되면, 선반부(400)에 연결된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가 구동부에 연결되는 결합축(444) 및 회전축(45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부(500)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링크(450)는 선반부(400)의 회동에 따라 자유 회동되며, 제 1링크(440)는 제 1링크(440)가 연결된 회동 전환부(542)를 회동시킨다. 제 1링크(440)가 회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는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는 제 1곡면 슬롯(526)에서 제 2곡면 슬롯(527)으로 이동되면서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이 안내된다.
그리고 회동 전환부(542)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 전환부(542)에 연경된 실린더 댐퍼(538)가 수축하면서 회동 전환부(54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한다. 따라서 회동 전환부(542)에 연결되는 제 1링크(44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어 회전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부(40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될 경우, 회동 전환부(542)의 슬라이드 돌기(545)는 회동 가이드(525)의 제 2곡면 슬롯(527)의 끝단부까지 이동되어 제 2곡면 슬롯(527)에 거치되어 고정되고, 제 1링크(440)는 회동 가이드(525)의 고정에 따라 회동이 정지된다.
또한, 회동 가이드(525)의 제 2곡면 슬롯(527)을 따라 회전되는 회동 전환부(542)의 회동측 단부는 이동 하우징(530)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부(546)의 지지돌기(547)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 외측으로 인출된 선반부(400)는 회동되는 제 1링크(440) 및 제 2링크(450)의 고정에 따라 더 이상 회동되지 않으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 외측으로 인출된 가동 선반(300)의 선반부(400)에 식품 또는 식품이 담기 용기를 적재하고 선반부(400)를 다시 회동시켜 선반부(400)를 도 8과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제 1저장공간(100a)에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선반(300)의 선반부(400)가 제 1저장공간(100a)의 전방 외측에서 제 1저장공간(100a)의 초기 위치로 다시 수납되는 과정은 상술한 가동 선반(300)의 인출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선반(300)의 선반부(400)의 수납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고(10)의 가동 선반(300)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가동 선반(300)의 수납 및 인출 위치를 가변함으로 식품 및 식품이 저장된 용기를 손쉽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 선반(300)의 수납 및 인출 위치를 가변함으로 저장공간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냉장고 100: 제 1저장부
100a: 제 1저장공간 110: 아웃터 케이스
120: 이너 케이스 130: 고정 선반
150: 아웃터 도어 160: 이너 도어
200: 제 2저장부 200a: 제 2저장공간
210: 상부 드로워 220: 하부 드로워
300: 가동 선반 400: 선반부
410: 몸체부 420: 지지부
430: 걸림바 440, 450: 제 1, 2링크
500: 구동부 510: 고정 프레임
520: 고정 하우징 525: 회동 가이드
530: 이동 하우징 538: 실린더 댐퍼
542: 회동 전환부 546: 탄성 지지부

Claims (12)

  1. 제 1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품 또는 식품 용기가 적재되는 고정 선반과,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 1저장 공간의 전방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가동 선반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선반은
    상기 제 1저장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양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링크를 상기 제 1저장 공간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링크의 회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선반부가 수평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링크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식품 또는 식품 용기가 적재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양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링크가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링크는 상기 지지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에 적재된 식품 또는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바다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저장부의 양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링크는 상기 각 구동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저장부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여 상기 저장공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에는 소정 길이의 이동 랙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이동 랙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로터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링크 중 하나가 체결되어 체결된 링크과 같이 회동되는 회동 전환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에 의해 상기 회동 전환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동 전환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전환부는 일측에 상기 회동 가이드 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 가이드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이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제 1곡면 슬롯과,
    상기 회동 가이드가 회전될 때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제 2곡면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 전환부의 회동시 상기 회동 전환부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1저장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 2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제 2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장부는 상기 제 2저장 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 2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001222A 2019-01-04 2019-01-04 냉장고 KR10258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22A KR102583505B1 (ko) 2019-01-04 2019-01-04 냉장고
US16/682,902 US11460240B2 (en) 2019-01-04 2019-11-13 Refrigerator
EP19213084.7A EP3677860A1 (en) 2019-01-04 2019-12-03 Refrigerator
CN202010011284.XA CN111412703B (zh) 2019-01-04 2020-01-06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22A KR102583505B1 (ko) 2019-01-04 2019-01-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103A true KR20200085103A (ko) 2020-07-14
KR102583505B1 KR102583505B1 (ko) 2023-09-27

Family

ID=6876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22A KR102583505B1 (ko) 2019-01-04 2019-01-04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60240B2 (ko)
EP (1) EP3677860A1 (ko)
KR (1) KR102583505B1 (ko)
CN (1) CN1114127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972A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선반시스템
US11578909B2 (en) * 2020-05-26 2023-02-14 Whirlpool Corporation Shelf assembly for an appliance
EP4174422A1 (en) 2021-10-27 2023-05-03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movable carrier
CN115265056A (zh) * 2022-07-25 2022-11-01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465A (ja) * 2002-04-25 2003-11-14 Toshiba Corp 冷蔵庫
KR20110037553A (ko) * 2009-10-07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선반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080874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KR20130053593A (ko) * 2011-11-15 201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125212A1 (en) * 2012-11-05 2014-05-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603592B1 (ko) * 2015-04-06 2016-03-15 (주)청호시스템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KR20160061750A (ko)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08312861U (zh) * 2018-04-19 2019-01-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3441A (en) * 1956-10-16 1958-07-15 Gen Electric Storage cabinet drawer assembly
US2926507A (en) * 1958-12-05 1960-03-01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975012A (en) * 1959-08-12 1961-03-14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195970A (en) * 1962-08-01 1965-07-20 Borg Warner Receptacle-supporting assembly
US3195969A (en) * 1963-09-23 1965-07-20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JPH08303914A (ja) 1995-05-12 1996-11-22 Hitachi Ltd 冷凍冷蔵庫
WO2003091643A1 (fr) 2002-04-25 2003-11-0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ment de rayonnage et refrigerateur pourvu dudit element
KR100555826B1 (ko) * 2003-10-04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7621605B2 (en) * 2004-09-30 2009-11-24 Easy Lift Llc Shelf extending and lifting system
US7731805B2 (en) * 2006-11-30 2010-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lift system
US8231190B2 (en) * 2008-02-01 2012-07-31 Whirlpool Corporation Articulated freezer drawers
KR101508384B1 (ko) 2008-09-17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602215B1 (ko) * 2009-05-08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E102011053985A1 (de) * 2011-09-27 2013-03-28 Paul Hettich Gmbh & Co. Kg Beschlag
US9194622B2 (en) * 2013-08-21 2015-11-24 BSH Hausgeräte GmbH Cooling device having a movable container
KR101829374B1 (ko) 2014-12-31 201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7606842A (zh) 2016-07-12 2018-01-19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搁架固定件以及制冷设备
CN106382787B (zh) 2016-11-01 2019-03-19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高度可调节的冰箱搁架
KR20190001222A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처리용 챔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465A (ja) * 2002-04-25 2003-11-14 Toshiba Corp 冷蔵庫
KR20110037553A (ko) * 2009-10-07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선반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080874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KR20130053593A (ko) * 2011-11-15 201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125212A1 (en) * 2012-11-05 2014-05-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60061750A (ko)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03592B1 (ko) * 2015-04-06 2016-03-15 (주)청호시스템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CN208312861U (zh) * 2018-04-19 2019-01-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60240B2 (en) 2022-10-04
EP3677860A1 (en) 2020-07-08
US20200217582A1 (en) 2020-07-09
CN111412703B (zh) 2022-05-27
CN111412703A (zh) 2020-07-14
KR102583505B1 (ko)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8668B2 (en) Refrigerator
KR20200085103A (ko) 냉장고
EP2438373B1 (en) Refrigerator
EP2728284B1 (en) Refrigerator
EP3029401B1 (en) Refrigerator
US10634422B2 (en) Refrigerator
US10139154B2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EP2725314B1 (en) Refrigerator
US11920859B2 (en) Refrigerator
KR101717517B1 (ko) 냉장고
KR102043201B1 (ko) 냉장고
KR102609769B1 (ko) 냉장고
KR102415653B1 (ko) 냉장고
KR20090109297A (ko) 냉장고
US10684066B2 (en) Refrigerator
KR100540076B1 (ko) 서랍형 냉장고의 수납물품 인출저장장치
KR0123450B1 (ko) 냉장고도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