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618A - Connection structures of Slab Track and Ballast Tra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Connection structures of Slab Track and Ballast Tra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4618A KR20200084618A KR1020190000716A KR20190000716A KR20200084618A KR 20200084618 A KR20200084618 A KR 20200084618A KR 1020190000716 A KR1020190000716 A KR 1020190000716A KR 20190000716 A KR20190000716 A KR 20190000716A KR 20200084618 A KR20200084618 A KR 202000846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gravel
- steel structure
- track bed
- isl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 빔과 판재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된 강재구조물을 콘크리트도상과 자강도상의 접속부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접속부의 안정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crete road and a gravel roa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a stabilization of a connection section by installing a steel structure previously manufactured using a steel beam and a plate to a connection section of a concrete road and a magnetic strength road By making possible, it relates to a concrete structure and a gravel road connection structure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aintainabilit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일반철도 및 지하철 신설선에 터널과 토공, 교량과 토공구간내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 접속부에서 여러 형태의 궤도파괴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Several types of orbital destruction are occurring at the concrete and gravel road junctions in tunnels, earthworks, bridges, and earthwork sections on new railroad lines and subway lines.
즉,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부는 궤도의 지지강성이 변화되는 구간으로, 통상 교량이나 터널에 구성되는 콘크리트도상은 강성 지지체로 상대적으로 큰 지지강성을 갖고 있는 반하여 교량이나 터널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구성되는 자갈도상은 콘크리트도상에 비해 작은 지지강성을 갖고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rete and gravel roads is a section in which the support stiffness of the track changes, and the concrete islands, which are usually composed of bridges or tunnels, are rigid supports and have relatively large support stiffness, whereas the bridges or tunnels are constructed from the end of the bridge The gravel islands that are used have a smaller support stiffness than the concrete islands.
이처럼 자갈도상의 지지강성이 콘크리트도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동일한 하중이 재하될 경우, 지지강성이 약한 자갈도상구간에서 더 많은 침하가 발생하게 되며, 침목 및 레일이 보다 큰 폭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도상자갈의 세립화 및 궤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support stiffness of the gravel road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concrete road, when the same load is applied, more subsidence occurs in the gravel road section with weak support stiffness, and the sleepers and rails move up and down with a larger width. There is a problem that fine-grained gravel and orbital distortion occur.
또한, 상기와 같이 자갈도상에서 일어나는 침목 및 레일의 거동으로 인한 충격 및 마찰이 콘크리트도상으로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콘크리트도상에 매립된 방진상자의 파손 및 침목 주변의 균열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impact and friction due to the behavior of the sleepers and rails occurring on the gravel road are transferred to the concrete road as it is,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amage to the dust box embedded in the concrete road and cracks around the sleep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궤간 사이에 별도의 보강 레일을 설치하고 있으나, 보강 레일을 설치하는 공법은 자갈도상의 하부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보강 없이 궤도의 상부 구조만을 일시적으로 보강하게 되므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갈도상구간에 도상침하 현상이나 레일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parate reinforcing rail is installed between the rails, but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reinforcing rail temporarily reinforces only the upper structure of the track without fundamental reinforcement of the substructure on the gravel road. As it progres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tlement of the gravel or the lifting of the rail occurs in the gravel road section.
한편, 특허문헌1에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부에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을 자갈도상에 매립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지지강성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제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ructure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supporting stiffness of the concrete and gravel roads by installing a lattice-type approach block embedded in the gravel roads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rete road and the gravel road. It is.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은, 격자형 프레임 구조로 제작된 상단 콘크리트 가로부재와 하단 콘크리트 가로부재, 상기 상단 콘크리트 가로부재와 하단 콘크리트 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상단 콘크리트 세로부재, 상기 하단 콘크리트 가로부재로부터 수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되 연직방향의 지지강성을 점차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길이가 상이한 하단 콘크리트 세로부재로 구성된다.The grid-like approach block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upper concrete horizontal member and the lower concrete horizontal member made of a grid-shaped frame structure, the upper concrete vertical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crete horizontal member and the lower concrete horizontal member, the lower concrete It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horizontal member in the vertical lower direction, but is composed of the lower vertical concrete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to gradually change the supporting rigid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특허문헌1에 따른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에 의하면,접속부의 지지강성을 점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급격한 지지강성의 차이로 인한 침하 및 궤도파괴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ttice-type approach block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by gradually changing the supporting stiff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ettlement and orbital destr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apid supporting stiffness of the concrete and gravel roads. .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의 경우, 상단 콘크리트 세로부재와 하단 콘크리트 세로부재를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 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attice-type approach block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directly placing the upper concrete vertical member and the lower concrete vertical member in the fiel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lengthe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부에서 침하 및 궤도파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ettlement and orbital destruction from occurring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gravel, and the concrete and gravel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maintainab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n a diagra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경계지점에서 콘크리트도상과 일체화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채로 자갈도상을 향하여 외팔보의 형태로 연장되게 설치된 강재구조물; 상기 강재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강재구조물에 안착되는 침목; 상기 강재구조물과 침목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방진패드; 및 상기 강재구조물을 덮어주도록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부에 자갈을 시공한 것으로 이루어진 자갈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재구조물은, 철도 레일의 하부에서 철도 레일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며, 두께가 접속부 끝단 콘크리트도상으로부터 자갈도상으로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저면의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지지빔; 상기 두 지지빔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방진패드 및 침목이 안착되도록 평판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carry out the task for removing the conventional defects is fixed end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phase at the boundary of the concrete phase and gravel phase; A steel structure installed to be extend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toward a gravel island while one end is fixed to the fixed end; Sleepers seated on the steel structure to be supported by the steel structure; An anti-vibration pad disposed between the steel structure and the sleeper; And a gravel layer consisting of gravel constructed on the concrete road and the gravel road connection so as to cover the steel structure; wherein the steel structure is arranged to have a structure parallel to the railroad rail at the bottom of the railroad rail. , Two support beams in which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concrete figure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to the gravel figure; It is installed so as to form one structure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beam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made of a flat plate structure so that a dustproof pad and sleepers are seated on the upper part. It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op.
한편 상기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판재 중 일부 연결판재는 연결판재에 안착되는 침목의 양끝단면과 접촉하면서 침목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미리 설정된 곳에 침목이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설정부는 연결판재의 양끝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road and the gravel road, some of the connection plate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are in contact with both end faces of the sleepers seated on the connection plates,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leepers and inducing the sleepers to be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place It includes a positioning unit, the positioning un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bent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late.
한편 상기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강재구조물은, 두 지지빔을 연결하면서 강재구조물을 횡단하는 구조를 가지며, 콘크리트도상과 마주하는 배면이 고정단의 전면에 밀착되는 자갈막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road and the gravel road, the steel structure has a structure that traverses the steel structure while connecting the two support beams, and the rear surface facing the concrete roa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end;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일부분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저면을 포함하여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두 지지빔을 서로 이격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연결판재를 이용하여 두 지지빔의 상단부를 연결시켜 강재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S10);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경계지점에 콘크리트도상과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고정단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강재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블록을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부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30); 상기 S10 단계를 통해 제작된 강재구조물을 받침블록 상에 배치하고, 강재구조물의 일측단부를 고정단에 고정시키는 단계(S40); 접속부에 배치된 강재구조물의 연결판재에 방진패드를 배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배치하는 단계(S50); 궤광높이조절블록을 접속부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60); 레일을 배치하고, 침목과 체결하는 단계(S70); 궤간 조정 및 레일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단계(S80); 상기 접속부에 자갈을 살포하고, 다짐하는 단계(S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wo support beams formed to be gradually reduced in thickness, including a bottom surface formed in a part inclined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beams using a connecting plate to form a steel structure. Manufacturing step (S10); Forming a fixed end having a structu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phas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rete phase and the gravel phase (S20); Placing a support block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crete road and the gravel road (S30); Disposing a steel structure produced through the step S10 on a support block, and fixing one side end of the steel structure to a fixed end (S40); Disposing a dust pad on a connecting plate of a steel structure dispos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placing a sleeper thereon (S50); Arranging the light height adjusting block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S60); Placing a rail and fastening with a sleeper (S70); Step of performing gauge adjustment and rail height adjustment (S80); It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and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ravel phas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tep of spraying and compacting gravel in the connection portion (S90).
한편 상기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는 서로 다른 두께는 갖는 다수의 받침블록을 두 지지빔의 저면에 배치하여 강재구조물을 수평한 자세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and gravel road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S30 is arranged in a horizontal posture by plac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wo support beams.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제작된 강재구조물을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부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접속부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since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connection portion by installing a pre-manufactured steel structure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crete and gravel diagram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workability and maintainability.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조물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구조물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구조물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고정단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받침블록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강재구조물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방진패드와 침목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궤광높이조절블록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궤광높이조절대를 이용하여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자갈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end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structure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dust pad and sleep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height adjusting block is dispos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installed stat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rail is adjusted using the light guide height adjust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avel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조물의 단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구조물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구조물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side view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구조물은 고정단(110), 강재구조물(120), 침목(130), 방진패드(140), 자갈층(150)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상기 고정단(110)은 강재구조물(120)을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경계지점에서 콘크리트도상(10)과 일체화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fixed
이러한 고정단(110)은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경계지점에 수평한 자세를 갖는 바 형태의 부재를 설치하거나, 상기 경계지점에 계단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거나, 상기 경계지점에 대응하는 콘크리트도상(10)의 단부를 계단형의 구조로 가공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계단형의 구조를 갖는 고정단(110)이 경계지점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The fixed
이와 같은 고정단(110)의 상면에는 강재구조물(120)을 고정하기 위한 앙카볼트가 설치되는 체결공(111)에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상기 강재구조물(120)은 접속부 내에서 외팔보의 형태로 콘크리트도상(10)으로부터 자갈도상(20)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접속부의 지지강성을 완만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일측단부가 고정단(1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타측단부는 수평한 자세로서 자갈도상(20)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다.The
이러한 강재구조물(120)은 2개의 지지빔(121)과, 상기 두 지지빔(121)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가 구성되게 하는 다수의 연결판재(122)로 구성된다.The
상기 2개의 지지빔(121)은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다.The two
한편, 각각의 지지빔(121)은 공지의 I형강으로 이루어지되, 저면의 일부분이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each
즉, 상기 지지빔(121)의 저면은 수평부(1211)와 경사부(1212)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도상(10) 쪽에 위치하는 단부에 수평부(1211)가 형성되고, 자갈도상(20) 쪽에 위치하는 단부에 경사부(1212)가 형성된다.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지지빔(121)의 일측 단부가 고정단(110)에 결합된 경우, 지지빔(121)은 콘크리트도상(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Therefore, when one end of the
상기 연결판재(122)는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지빔(121)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연결판재(122)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두 지지빔(121)을 연결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흡사 사다리와 유사한 형태의 강재구조물(120)을 구성하게 된다.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판재(122)에는 방진패드(140)가 설치되고, 그 위에 침목(130)이 배치된다.An
한편, 다수의 연결판재(122) 중, 일부 연결판재(122)의 양끝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위치 설정부(1221)가 형성되며, 연결판재(122)의 양끝단부에 형성되는 위치 설정부(1221)는 침목(130)의 길이에 상당하는 사이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따라서, 두 위치 설정부(1221)의 사이에 배치되는 침목(130)은 위치 설정부(1221)에 의해 측면방향 유동이 제한되며, 항상 정해진 위치에 침목(130)이 배치됨에 따라 침목(130)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계측작업 없이도 설계값에 따른 정확한 위치에 침목(130)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이러한 위치 설정부(1221)를 포함하는 연결판재(122)는 일정간격 마다 하나씩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2개의 일반 연결판재(122)를 사이에 두고 위치 설정부(1221)를 포함하는 연결판재(122)가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The connecting
한편, 자갈도상을 형성하는 자갈이 콘크리트도상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재구조물(120)이 고정단(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자갈막이(123)가 강재구조물(120)에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preventing the gravel forming the gravel islands from moving toward the concrete islands, the
상기 자갈막이(123)는 수직한 자세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되, 강재구조물(120)을 횡단하면서 두 지지빔(121)을 연결하며, 콘크리트도상(10)과 마주하는 배면이 고정단(110)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단(1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강재구조물(120)은 접속구조물의 시공에 앞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후, 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침목(130)은 강재구조물(120)을 구성하는 연결판재(122)에 안착되게 설치된다.The
상기 방진패드(14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평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침목(130)과 연결판재(1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The
상기 자갈층(150)은 강재구조물(120)과 방진패드(140) 및 침목(130)의 설치가 완료된 후, 강재구조물(120)을 덮어주도록 자갈을 깔고 다짐 시공을 한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고정단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받침블록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강재구조물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방진패드와 침목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궤광높이조절블록이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궤광높이조절대를 이용하여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1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자갈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xed end is form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se block is dispos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el structure is disposed,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dust pad and sleep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light height adjusting block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loyed state,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il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ail using a light height adjust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nd FIG. 11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gravel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구조물을 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일부분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저면을 포함하여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두 지지빔(121)을 서로 이격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연결판재(122)를 이용하여 두 지지빔(121)의 상단부를 연결시켜 강재구조물(120)을 제작하는 단계(S10);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경계지점에 콘크리트도상(10)과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고정단(110)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강재구조물(120)을 지지하는 받침블록(31)을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부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30); 상기 S10 단계를 통해 제작된 강재구조물(120)을 받침블록(31) 상에 배치하고, 강재구조물(120)의 일측단부를 고정단(110)에 고정시키는 단계(S40); 접속부에 배치된 강재구조물(120)의 연결판재(122)에 방진패드(140)를 배치하고, 그 위에 침목(130)을 배치하는 단계(S50); 궤광높이조절블록(32)을 접속부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60); 레일(40)을 배치하고, 침목(130)과 체결하는 단계(S70); 궤간 조정 및 레일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단계(S80); 상기 접속부에 자갈을 살포하고, 다짐하는 단계(S90);로 구성된다.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struc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wo support beam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including a bottom part formed of an inclined structure ( 121) placing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beams 121 using the connecting plate 122 to produce a steel structure 120 (S10); Forming a fixed end 110 having a structu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island 10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S20); A step (S30) of placing a support block 31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0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Disposing the steel structure 120 produced through the step S10 on the support block 31 and fixing one side end of the steel structure 120 to the fixed end 110 (S40); Disposing the anti-vibration pad 140 on the connecting plate member 122 of the steel structure 120 dispos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placing the sleeper 130 thereon (S50); Arranging the light height adjusting block 32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S60); Placing the rail 40 and fastening with the sleeper 130 (S70); Step of performing gauge adjustment and rail height adjustment (S80); It is composed of; spraying gravel to the connection, and compacting (S90).
상기 S10 단계는 지지빔(121)과 연결판재(122)로 이루어지는 강재구조물(120)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공정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지지빔(121)의 상단부에 다수의 연결판재(122)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tep S10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상기 S20 단계는 강재구조물(120)이 고정되는 고정단(11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수평한 자세를 갖는 바 형태의 부재를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경계지점에 고정되게 설치하거나, 상기 경계지점에 계단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경계지점에 대응하는 콘크리트도상(10)의 단부를 계단형의 구조로 가공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p S20 is a process of forming a
상기 S30 단계는 강재구조물(120)을 수평한 자세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받침블록(31)을 접속부의 바닥에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step S30, a plurality of supporting
한편, 상기 받침블록(31)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목재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빔(121)의 경사부(1212)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받침블록(31)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강재구조물(120)을 수평한 자세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S40 단계는 미리 제작된 강재구조물(120)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이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공정으로, 지지빔(121)의 저면을 구성하는 수평부(1211)가 고정단(110)에 안착되고, 자갈막이(123)가 고정단(110)의 전면에 밀착되며, 지지빔(121)의 저면이 받침블록(31)에 안착되도록 강재구조물(120)을 배치한 다음, 앙카볼트와 스프링와셔 및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빔(121)의 단부를 고정단(110)에 고정시키게 된다.The step S40 is a process of transporting the
상기 S50 단계는 접속부에 수평한 자세로 배치된 강재구조물(120)의 연결판재(122) 상에 방진패드(140)와 침목(13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tep S50 is made by sequentially arranging the
한편, 강재구조물(120)을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판재(122) 중 일부 연결판재(122)는 위치 설정부(1221)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설정부(1221)에 놓이는 침목(130)을 기준으로 나머지 침목(130)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상기 S60 단계는 미리 준비된 다수의 궤광높이조절블록(32)을 접속부의 바닥에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tep S60 is mad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ight height adjusting blocks 32 prepared in advance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S70 단계는 접속부에 배치된 침목(130) 상에 레일(40)을 설치하고, 레일(40)과 침목(130)을 체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tep S70 is made to install the
상기 S80 단계는 레일(40)의 설치가 이루어진 후 실시되는 공정으로, 궤간조정 및 레일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step S80 is a process perform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한편, 레일 높이 조절 작업에는 공지의 궤광높이조절대(33)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rail height adjustment work, a known light
상기 S90 단계는 접속부에 자갈을 살포하고 다지는 작업을 통해 자갈층(150)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tep S90 is made to form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미리 제작된 강재구조물(120)을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접속부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더욱이 외팔형의 형태로 콘크리트도상(10)에 고정되고, 경사부(1212)를 포함하여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 강재구조물(120)의 구조 인하여 접속부의 지지강성이 서서히 변화됨에 따라 열차의 운행과정에서 재하되는 하중을 접속부의 지반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괘도파괴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anyone who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고정단 120: 강재구조물
121: 지지빔 122: 연결판재
1221: 위치 설정부 123: 자갈막이
130: 침목 140: 방진패드
150: 자갈층<Explana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 fixed end 120: steel structure
121: support beam 122: connecting plate
1221: positioning unit 123: cobblestone
130: sleeper 140: anti-vibration pad
150: gravel layer
Claims (5)
상기 고정단(110)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채로 자갈도상(20)을 향하여 외팔보의 형태로 연장되게 설치된 강재구조물(120);
상기 강재구조물(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강재구조물(120)에 안착되는 침목(130);
상기 강재구조물(120)과 침목(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방진패드(140); 및 상기 강재구조물(120)을 덮어주도록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부에 자갈을 시공한 것으로 이루어진 자갈층(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재구조물(120)은,
철도 레일(40)의 하부에서 철도 레일(40)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며, 두께가 접속부 끝단 콘크리트도상(10)으로부터 자갈도상으로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저면의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지지빔(121);
상기 두 지지빔(121)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방진패드(140) 및 침목(130)이 안착되도록 평판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판재(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A fixed end 110 formed to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concrete island 10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A steel structure 120 installed to be extend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toward the gravel island 20 with one end fixed to the fixed end 110;
Sleepers 130 seated on the steel structure 120 to be supported by the steel structure 120;
An anti-vibration pad 140 dispos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teel structure 120 and the sleeper 130; And a gravel layer 150 made of gravel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so as to cover the steel structure 120.
The steel structure 120,
It is arranged to have a structure parallel to the railroad rail 40 at the lower part of the railroad rail 40, and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concrete roadway 10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section to the gravel roadway. Support beam 121;
The two support beams 121 are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122 formed of a flat plate structure so that the anti-vibration pads 140 and sleepers 130 ar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 Connection structure of concrete and gravel island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상기 다수의 연결판재(122) 중 일부 연결판재(122)는 연결판재(122)에 안착되는 침목(130)의 양끝단면과 접촉하면서 침목(13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미리 설정된 곳에 침목(130)이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위치 설정부(1221)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설정부(1221)는 연결판재(122)의 양끝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om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 122, the connecting plate 122 is in contact with both end faces of the sleeper 130 seated on the connecting plate 12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leeper 130 and sleeper 130 in a predetermined place It includes a positioning unit 1221 to guide the position, but the positioning unit 1221 is formed on the concrete and gravel ro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ucture bent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late (122) Connection structure.
상기 강재구조물(120)은, 두 지지빔(121)을 연결하면서 강재구조물(120)을 횡단하는 구조를 가지며, 콘크리트도상(10)과 마주하는 배면이 고정단(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자갈막이(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structure 120 has a structure that traverses the steel structure 120 while connecting the two support beams 121, and the gravel whose back facing the concrete island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end 110 Membrane (123);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and gravel islan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경계지점에 콘크리트도상(10)과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고정단(110)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강재구조물(120)을 지지하는 받침블록(31)을 콘크리트도상(10)과 자갈도상(20)의 접속부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30);
상기 S10 단계를 통해 제작된 강재구조물(120)을 받침블록(31) 상에 배치하고, 강재구조물(120)의 일측단부를 고정단(110)에 고정시키는 단계(S40);
접속부에 배치된 강재구조물(120)의 연결판재(122)에 방진패드(140)를 배치하고, 그 위에 침목(130)을 배치하는 단계(S50);
궤광높이조절블록(32)을 접속부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S60);
레일(40)을 배치하고, 침목(130)과 체결하는 단계(S70);
궤간 조정 및 레일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단계(S80); 및
상기 접속부에 자갈을 살포하고, 다짐하는 단계(S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시공방법.Two support beams 121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including a bottom surface formed in a partly inclined structure, are arranged side by si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beams 121 using a connecting plate 122 The step of manufacturing a steel structure 120 by connecting (S10);
Forming a fixed end 110 having a structu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island 10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S20);
A step (S30) of placing a support block 31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120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crete island 10 and the gravel island 20;
Disposing the steel structure 120 produced through the step S10 on the support block 31 and fixing one side end of the steel structure 120 to the fixed end 110 (S40);
Disposing the anti-vibration pad 140 on the connecting plate member 122 of the steel structure 120 dispos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placing the sleeper 130 thereon (S50);
Arranging the light height adjusting block 32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ortion (S60);
Placing the rail 40 and fastening with the sleeper 130 (S70);
Step of performing gauge adjustment and rail height adjustment (S80); And
Spraying and compacting the gravel to the connecting portion (S90);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crete road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avel road.
상기 S30 단계는 서로 다른 두께는 갖는 다수의 받침블록(31)을 두 지지빔(121)의 저면에 배치하여 강재구조물(120)을 수평한 자세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상과 자갈도상의 접속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tep S30,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31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wo support beams 121, so that the steel structure 120 is disposed in a horizontal posture. Connec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0716A KR102135831B1 (en) | 2019-01-03 | 2019-01-03 | Connection structures of Slab Track and Ballast Tra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0716A KR102135831B1 (en) | 2019-01-03 | 2019-01-03 | Connection structures of Slab Track and Ballast Tra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4618A true KR20200084618A (en) | 2020-07-13 |
KR102135831B1 KR102135831B1 (en) | 2020-07-21 |
Family
ID=7157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0716A KR102135831B1 (en) | 2019-01-03 | 2019-01-03 | Connection structures of Slab Track and Ballast Tra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83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730A (en) | 2004-12-24 | 2006-06-2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 method supporting rigidity of railroad bridge and public works-connection part |
KR100759923B1 (en) * | 2007-05-28 | 2007-09-18 | 김정현 | Low height and longspan girder for a railway |
KR100802356B1 (en) * | 2006-09-15 | 2008-02-12 | 주식회사 삼성산업 | Buffer structure of track elasticity changing section over concrete floor |
KR20140132144A (en) | 2013-05-07 | 2014-11-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lab track structure for railway with lattice approach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2019
- 2019-01-03 KR KR1020190000716A patent/KR1021358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730A (en) | 2004-12-24 | 2006-06-2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 method supporting rigidity of railroad bridge and public works-connection part |
KR100802356B1 (en) * | 2006-09-15 | 2008-02-12 | 주식회사 삼성산업 | Buffer structure of track elasticity changing section over concrete floor |
KR100759923B1 (en) * | 2007-05-28 | 2007-09-18 | 김정현 | Low height and longspan girder for a railway |
KR20140132144A (en) | 2013-05-07 | 2014-11-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lab track structure for railway with lattice approach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5831B1 (en) | 2020-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2906B1 (en) | Precast slab track system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507523B1 (en) | Slab track structure for railway with lattice approach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2105230B1 (en) |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 |
KR100454405B1 (en) | Method for changing steel bridge of supporting rail into concreat bridge | |
JP4540632B2 (en) | Erection girder | |
KR20160117923A (en) | Slab track structure of steel-fram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rc) for railwa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EP1700954A2 (en) | Prefabricated modular member, permanent railway for tramways and subways including said member, and process for laying the same | |
KR102003695B1 (en) | Rail Track Assembly For Steel Railway Bridge | |
KR102135831B1 (en) | Connection structures of Slab Track and Ballast Tra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262755B1 (en) | Plate girder railway bridge having integrated cross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21609B1 (en) | Precast concrete slab for precast slab track, its horizental support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
KR100303287B1 (en) | Scaffolding and Expansion Joints | |
JP4858850B2 (en) | Installation method for vibration-proof track of existing track | |
KR102122610B1 (en) | Concrete track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used suitably for a rapid improvement of ballast track, and concrete slab support device and railway building device for the same | |
JP7100006B2 (en) | Bridge collapse prevention structure | |
KR20070001411A (en) | Bridge deck with stay-in-place precast concrete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454387B1 (en) | Support-type temporary bent for jacking-up upper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thereof and upper structure jack-up method using the same | |
JP3636624B2 (en) | Ladder-type sleeper anti-vibration rubber moun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653559B1 (en) | Method of repairing railway | |
JP6823389B2 (en) | Railroad support structure | |
JP3087093B2 (en) |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bridge in the railway viaduct | |
KR102578491B1 (en) | Demolition method of concrete girder forming ramp bridge | |
KR102276215B1 (en) | Point part structure for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 |
KR101266094B1 (en) | Repairing and Reinfocing Method of Structure Approaches | |
JP7129168B2 (en) | Bridg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