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513A - 와인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와인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513A
KR20200084513A KR1020190000515A KR20190000515A KR20200084513A KR 20200084513 A KR20200084513 A KR 20200084513A KR 1020190000515 A KR1020190000515 A KR 1020190000515A KR 20190000515 A KR20190000515 A KR 20190000515A KR 20200084513 A KR20200084513 A KR 2020008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stored
sensor
storage devic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206B1 (ko
Inventor
유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06B1/ko
Priority to PCT/KR2019/018739 priority patent/WO2020141834A1/en
Priority to US16/730,233 priority patent/US11553806B2/en
Priority to EP20150126.9A priority patent/EP3677862A1/en
Publication of KR2020008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3/00Bottle cupboards; Bottle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lication aspects of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인보관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와인을 수납할 있는 선반;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및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와인보관장치의 도어 개폐를 최소화하면서도 와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인보관장치 {WINE S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인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관하는 와인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와인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인을 최적의 풍미로 즐기기 위해서는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여러 조건을 최적화하여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에 따라 와인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로서 와인셀러나 와인냉장고 등이 출시되었다.
와인은 와인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보관 방법이 다르다. 예를 들어, 와인에 따라 적정 보관 온도, 적정 보관 기간 등이 다르다. 따라서 와인을 와인셀러 내에 보관하는 중에도, 보관된 와인의 정보 및 각 와인의 보관 관련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와인 정보 또는 와인 보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와인셀러의 도어를 자주 열게 되면, 와인셀러 내의 온도 변화가 초래되어 보관된 와인이 빨리 숙성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보관장치의 도어 개폐를 최소화하면서도 와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와인보관장치의 도어 개폐를 최소화하면서도 와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와인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와인을 수납할 있는 선반; 상기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인보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소정위치에 대한 사용자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에 관한 식별 결과에 따라,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선반에 수납된 와인의 중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선반에 수납된 와인의 액면 높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액면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식별된 와인의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와인보관장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해 촬상한 와인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 또는 좌우에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반을 향하는 상기 와인의 움직임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와인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상기 이미지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감지에 기초하여, 절전 상태의 상기 이미지센서를 동작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선반에 마련된 복수의 와인수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복수의 와인수납부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호 격리된 제1보관실 및 제2보관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제1보관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 및 터치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제2보관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의 도어 개폐를 최소화하면서도 와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선반 및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선반 및 센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선반 및 센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선반 및 센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가 보관된 와인의 잔량 변화를 감지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가 보관된 와인의 잔량 변화를 감지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안내 정보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와인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와인 식별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와인 식별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와인 식별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복수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배치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예컨대, 와인셀러, 와인냉장고, 와인저장고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별개의 독립된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하우징(200), 도어(300), 디스플레이(400), 선반(500), 센서(600) 및 처리부(70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와인보관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와인병이 보관되는 보관실(210)을 형성한다. 하우징(200)은 보관실(210)에 보관된 와인병이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단열되어 있을 수 있다.
보관실(21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보관실(210)의 내부에는 와인병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보관실(210)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500)이 배치되어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200)을 개폐한다. 도어(300)는 하우징(200)의 전면에 마련되어 보관실(210) 내부에서 순환하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어(300)는 보관실(21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는 보관실(210)에 보관되는 와인병이 햇빛, 특히 자외선에 의해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유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는 사용자가 도어(3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도어(300)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00)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선반(500)은 하우징(200) 내에 마련된다. 선반(500)은 와인을 수납할 있다. 선반(500)은 보관실(210)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공간은 분리 구획되어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보관실(10) 내부를 유동하는 냉기의 순환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선반(500)의 판면에는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600)는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센서(600)의 종류와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처리부(700)는 센서(6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와인 또는 와인 수납에 관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600)에 표시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처리부(700)는 와인 수납 여부의 식별 또는 와인의 식별 등을 위하여 정보처리 또는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700)가 수행하는 정보처리 또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부(700)는, 와인보관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와인보관장치(100)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와인보관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와인보관장치(100)의 제조 시에 와인보관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와인보관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와인보관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처리부(70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처리부(700)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의 편의상, 제어프로그램을 언급하지 않고, 처리부(700)의 동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예컨대,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센서(600)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또한 센서(600)에 의해 획득된 정보 또는 영상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된 정보 또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처리부(700)에서 처리와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을 전제로 설명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와인보관장치(100)는 처리부와 별도로 제어부를 추가 구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터치패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800)은 디스플레이(400)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터치패널(800)의 소정위치에 대한 사용자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에 관한 식별 결과에 따라,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도어(300)에 디스플레이(400)가 마련된 실시예, 그리고 디스플레이(400)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800)이 마련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터치패널(800)의 소정위치(3)를 터치한 경우, 처리부(700)는 터치된 소정위치(3)에 대응하는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4)를,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소정위치(3)와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 사이의 대응관계는 처리부(7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70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널(800)의 소정위치(3)가 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선반(500)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수납된 와인을 식별하여 그에 관한 안내 정보(4)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4)는, 예를 들어, 해당 와인을 나타내는 이미지, 와인의 이름, 생산지, 포도 품종, 출시년도, 와인 보관법, 어울리는 음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와인과 관련된 정보라면 무엇이든 포함될 수 있다.
터치된 소정위치(3)에 대응하는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처리부(700)는 와인이 수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처리부(700)는 와인이 수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와는 다른 형태나 내용의 정보를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도 있고,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100)의 도어(300)를 열지 않고도 와인보관장치(100)에 보관된 와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와인보관장치의 도어 개폐를 최소화하면서도 와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는,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는,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의 감지에 기초하여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는, 예를 들어,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이 센서(600)가 압력센서로 구현된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7이 센서(600)가 광센서로 구현된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며, 도 8이 센서(600)가 이미지센서로 구현된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센서(600)가 압력센서로 구현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선반(500)은, 하나의 선반에 복수의 와인을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500)은, 도 5와 같이, 각각 하나의 와인을 수납할 수 있는 와인수납부(501-507)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각 와인수납부(501-507)는, 인접한 와인수납부(501-507)와의 관계에서, 수납된 와인병의 입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각 와인수납부(501-507)에 수납된 와인병의 입구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센서(600)가 압력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압력센서는 각각의 와인수납부(501-507)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압력센서(601-60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와인수납부(501-507)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압력센서(601-607)가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그 경우, 각각의 압력센서(601-607)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와인수납부(501-507)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압력센서(601-607)는 선반(5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무엇으로든 구현 가능하고 그 종류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처리부(700)는 각각의 압력센서(601-607)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압력센서(601)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 처리부(700)는 해당 압력센서(601)로부터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었음을 획득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처리부(700)가 소정 압력센서(601)로부터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었음을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처리부(700)는 압력센서(601)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함에 따라 발생시킨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벤트를 캐치함으로써 해당 압력센서(601)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었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처리부(700)가 소정 압력센서(601)로부터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었음을 획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의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각 와인수납부마다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선반(500) 및 센서(6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압력센서(601-607)는, 처리부(700)와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와인수납부(501-507)에 대응되도록 마련된 각각의 압력센서(601-607)마다 배선이 필요하게 되는데, 배선의 수가 많아지면 배선 처리를 하기 곤란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필요한 배선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선반(500)은 복수의 와인수납부(501-507)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601-60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선반(500)은 복수의 와인수납부(501-507)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601-607) 중 인접한 두 센서(601-60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511-5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반(500)은 복수의 센서(601-607) 중 일단에 연결된 배선(510 또는 517)을 더 포함하여, 해당 배선(510 또는 517)만이 처리부(7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도 6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와 달리, 각 와인수납부(501-507)에 수납된 와인병의 입구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와인수납부(501-507)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선반(500)의 양 측단에 번갈아가며 배선이 배치된 도 6와 달리, 배선은 선반의 일 측단에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500)은, 선반(500)의 일 측단에 선반(5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처리부(700)와 직접 연결되는 배선으로부터 분기되어 나온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와인수납부(501-507)는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선반(500) 전체에 대하여 할당된 하나의 공통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선은 각 와인수납부(501-507)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601-607)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회로기판 구조가 인쇄된 필름이, 선반에 부착되거나 점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선반(500)이 위와 같은 배선 구조를 갖는 경우, 와인의 수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어느 센서(601-607)에서 획득되었는지를 처리부(700)가 식별할 수 있도록, 각 센서(601-607)는 그에 대응하는 와인수납부(501-507)에 와인이 수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그 감지 정보에 더하여, 해당 감지를 수행한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처리부(7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601-607)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경우, 각 센서(601-607)는 압력 감지 정보 이외에, 해당 센서의 위치정보를 처리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선반(500)에 대해서는 하나의 배선만으로 처리부(700)와 연결되어 처리부(700)와의 사이에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필요한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와인보관장치의 디자인 또는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센서(600)와 처리부(700)가 상호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처리부(700)와의 사이에서 감지 결과 등을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의 디자인 또는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센서(600)가 광센서로 구현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600)는, 도 7과 같이, 각각의 와인수납부(501-507)에 대응하는 복수의 광센서(611-61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와인수납부(501-507)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광센서가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광센서 구현 방식의 일 예로서, 하나의 광센서(예를 들어 611)는 발광센서(611a)와 수광센서(61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각각의 광센서(611-617)는, 발광센서(611a-617a)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센서(611b-617b)에 의해 감지되는지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와인수납부(501-507)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와인수납부(501-507)는 인접한 와인수납부(501-507)와의 관계에서는, 수납된 와인병의 입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각 와인수납부에 수납된 와인병의 입구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반(600)의 일측면에서 광센서(611-617)의 발광센서(611a-617a)와 수광센서(611b-617b)가 서로 번갈아 가며 마련되는 도 7과 달리, 선반(600)의 일측면에는 발광센서(611a-617a)만이 마련되고, 선반(600)의 타측면에는 수광센서(611b-617b)만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광센서(611-617)와 처리부(700)와의 통신 및 이를 위한 배선과 관련하여, 앞서 압력센서(601-607)를 구비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광센서(611-617)가 처리부(700)와 개별적으로 유선으로 연결되는 실시예 외에도,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선반 전체에 할당된 하나의 공통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회로기판 구조가 인쇄된 필름이 선반에 부착되거나 점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거나, 센서(600)가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처리부(700)와의 사이에서 감지 결과 등을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다는 등의 내용은 광센서(611-617)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의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각 와인수납부마다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센서(600)가 이미지센서로 구현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600)는, 도 8과 같이, 선반(500) 및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을 촬상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이미지센서(620)가 하나만 마련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센서(6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센서(620)만으로 와인보관장치(100)에 수납된 모든 와인을 촬상할 수 없는 경우, 이미지센서(620)는 서로 다른 위치를 촬상하는 복수의 이미지센서, 예를 들어, 각각 와인보관장치(100)의 상부와 하부를 촬상하는 2개의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이미지센서(620)가 와인보관장치(100)의 후면(200b)에 마련되어 와인보관장치(100)의 전면(200a)에 위치한 도어(300)를 향해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배치된 예를 도시하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이미지센서(620)는 어디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는 반대로, 이미지센서(620)는 와인보관장치(100)의 전면(200a)에 위치하여 후면(200b)을 향해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인보관장치(100)의 후면(200b)에 위치한 하나의 이미지센서(620)가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을 촬상하는 실시예를 전제로 설명한다.
처리부(700)는 이미지센서(620)가 촬상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선반(500)의 각 와인보관부(501-507)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620)가 촬상한 이미지를 통해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함에 있어서, 처리부(700)가 사용 가능한 영상처리 및 분석 기술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처리부(700)는 영상 내에서 와인에 해당하는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SVM(Support Vector Machin) 알고리즘 등을 이용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이나 딥 러닝(Deep Learning), 그 중에서도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딥 러닝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객체 인식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다양한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와인에 해당하는 객체가 와인보관장치(100) 내에서 보관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처리부(700)는, 예를 들어, 와인으로 식별된 객체가 영상 내에 위치하는 좌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선반(500) 내 각 와인보관부(501-507)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식별표지를 마련하여, 이미지센서(620)가 촬상한 이미지 내에서 해당 식별표지를 인식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와인보관부 및 그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의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각 와인수납부마다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가 수납된 와인의 잔량 또는 잔량 변화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처리부(700)는 압력센서를 통해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의 중량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선반(500)에 마련된 와인수납부(501-507) 중 한 곳에 와인이 수납되면,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압력센서(601)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압력센서(601)는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외에도, 감지된 압력의 정도에 기초하여, 수납된 와인의 중량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700)는 식별된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된 와인의 잔량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처리부(700)는 압력센서(601)를 통해 감지된 무게의 변화를 이용하여, 그로부터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처리부(700)는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대한 와인의 수납 여부에 관한 정보 외에도,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대응하는 압력센서(601)의 감지값 또는 중량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910과 같이, 처리부(700)는 압력센서(601)를 통해,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되었음을 식별함과 더불어,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수납된 와인의 중량이 1Kg임을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수납된 와인을 와인수납부(501)에서 꺼내어 소정 양을 음용한 뒤 해당 와인을 다시 와인수납부(501)에 넣은 경우, 압력센서(601)는 그 때의 압력센서(601)의 감지값 또는 중량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920과 같이, 처리부(700)는 압력센서(601)를 통해, 와인수납부(501)에서 와인이 꺼내어졌다가 다시 수납되었음을 식별함과 더불어, 와인수납부(501)에 다시 수납된 와인의 중량이 500g임을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기 저장된 압력센서(601)의 감지값 또는 중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처리부(700)는 기 보관되었다가 꺼내졌던 와인이 새로 보관되었음을 식별하는 한편, 새로 보관된 와인이 기 보관되었던 와인과 비교하여 중량이 얼마나 줄었고 현재 얼만큼의 잔량이 남아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 와인수납부(501)에 다시 수납된 와인은 중량이 1Kg에서 500g으로 절반으로 줄었으므로, 처리부(700)는 최초 보관된 와인의 총 용량의 절반만이 남아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한 처리부(700)는, 식별된 와인의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변경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센서(600)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이미지센서(620)를 통해 수납된 와인의 잔량 또는 잔량변화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센서(600)가 이미지센서(620)를 포함하는 경우, 선반(500)에 마련된 와인수납부(501-507) 중 한 곳에 와인이 수납되면, 이미지센서(620)는 촬상한 이미지를 통해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에 해당하는 객체가 존재함을 인식함으로써,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센서(620)는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외에도, 수납된 와인의 액면 높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처리부(700)는 수납된 와인의 액면 높이를 식별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700)는 식별된 액면 높이의 변화에 기초하여, 한번 수납되었던 와인이 꺼내어져 개봉된 후 다시 수납되었는지 여부와 잔량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처리부(700)는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대한 와인의 수납 여부에 관한 정보 외에도,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대한 와인의 액면 높이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1010과 같이, 처리부(700)는 이미지센서(620)를 통해, 와인수납부(501)에 와인이 수납되었음을 식별함과 더불어, 해당 와인수납부(501)에 수납된 와인의 액면 높이가 최대 높이임을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수납된 와인을 와인수납부(501)에서 꺼내서 적어도 일부를 음용한 뒤 해당 와인을 다시 와인수납부(501)에 넣은 경우, 이미지센서(620)는 그 때의 액면 높이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1020과 같이, 처리부(700)는 이미지센서(620)를 통해, 와인수납부(501)에서 와인이 꺼내어졌다가 다시 수납되었음을 식별함과 더불어, 와인수납부(501)에 다시 수납된 와인의 액면 높이가 최대 높이의 2/3임을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기 저장된 와인의 액면 높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처리부(700)는 해당 와인은 한번 수납되었던 와인이 꺼내어져 개봉된 후 다시 수납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700)는 새로 보관된 와인이 기 보관되었던 와인과 비교하여 액면 높이가 얼마나 줄었고 현재 얼만큼의 잔량이 남아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 와인수납부(501)에 다시 수납된 와인은 액면 높이가 2/3으로 줄었으므로, 처리부(700)는 최초 보관된 와인의 총 용량의 1/3 상당의 와인이 줄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한 처리부(700)는, 식별된 와인의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터치패널(800)의 소정위치(3)를 터치한 경우, 처리부(700)가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하는 정보로서, 터치된 소정위치(3)에 대응하는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4)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1101과 같이, 선반(500)에 수납된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4)의 일 예로서 처리부(700)는, 해당 와인의 이름, 생산지, 포도 품종, 출시년도, 적정 보관 온도, 알코올 도수, 어울리는 음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600)를 포함하고, 센서(6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반(500)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이에 기초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도 11의 1102와 같이, 처리부(700)는 해당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 언제 보관되기 시작했는지, 그로부터 현재까지는 얼마의 기간이 경과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도 9 및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한번 보관되었던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로부터 꺼내어진 후에 적어도 일부가 음용된 후 다시 보관되었는지 여부를, 해당 와인의 잔량 정보 또는 잔량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에 기초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도 11의 1103, 1104와 같이, 처리부(700)는 해당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 언제 개봉되었다가 다시 보관되기 시작했는지(1103), 그로부터 현재까지는 얼마의 기간이 경과했는지(1104), 현재의 잔량은 얼마나 되는지(1105), 와인이 최적의 풍미를 갖는 시기 또는 한번 개봉되었던 시기 등을 참조하였을 때 와인의 숙성 정도는 어떠할지(1106), 와인의 숙성 속도와 비교해 현재의 음용 속도나 템포는 적절한지 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사용자의 와인 음용 속도가 적절 속도보다 느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와인을 빨리 음용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1107)를 더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와인 음용 속도가 적절 속도보다 빠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와인을 천천히 음용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부(700)는, 와인의 잔량을 표시함에 있어서, 이를 그램이나 킬로그램 등의 중량 단위로 표시할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리터나 밀리리터 등의 용량 단위로 변환하여 표시(1105)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정보는 와인보관장치(100)에 적어도 한번은 보관되었던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로부터 꺼내어진 후 다시 보관된 경우에 제공 가능한 정보이므로, 처리부(700)는 위 안내 정보를, 기존의 안내 정보(1101, 1102)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 정보가 한번 추가되어 표시되기 시작한 후로도, 보관되어 있던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서 꺼내어진 후 다시 보관될 때마다 위 정보는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으므로, 처리부(700)는 보관되어 있던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서 꺼내어진 후 다시 보관될 때마다 위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업데이트 방법은 기존 정보를 대체할 수도 있고, 기존 정보에 더하여 계속적으로 히스토리를 누적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인의 보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 수납되었는지 여부 이외에, 보관되는 와인 자체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와인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는, 바코드 리더기(1201)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201)는 와인보관장치(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201) 또는 바코드 리더기(1201)를 포함한 표시부(1200)는 복수의 선반(5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201) 또는 바코드 리더기(1201)를 포함한 표시부(1200)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0)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경우, 바코드 리더기(1201)에 의한 와인 식별은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바코드 리더기(1201)를 포함한 표시부(1200)는, 와인보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보관실에 관한 정보표시부(1202) 및 보관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입력부(1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 와인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1201)에 근접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바코드 리더기(1201)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700)는, 바코드 리더기(1201)를 통하여 와인을 식별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와인수납이 감지되면, 식별된 와인과 수납된 위치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처리부(700)는 바코드 리더기(1201)를 통하여 와인을 식별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센서(6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반(500)의 소정 위치에 와인이 수납되었다고 식별된 것에 기초하여, 처리부(700)는 해당 위치에 수납된 와인에 관한 정보로서, 바코드 리더기(1201)에 의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와인의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인보관장치에 보관되는 와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와인 식별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이미지센서를 통해 촬상한 와인의 이미지로부터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와인을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는 와인보관장치(100) 하우징(200)의 상하 및/또는 좌우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와인을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와인을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는 복수 개가 아니라 한 개의 이미지센서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3은 와인을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가 하우징(200)의 상하좌우 모두에 마련된 실시예, 즉 와인보관장치(100)가 상측 이미지센서(1301), 하측 이미지센서(1302), 좌측 이미지센서(1303), 우측 이미지센서(1304)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선반(500)을 향하는 와인의 움직임 감지에 기초하여, 와인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700)는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 근접했음을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와인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제어할 수 있다.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 근접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와인보관장치(100)는 근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와인을 와인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과정 중에 자동으로 해당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처리부(700)는, 와인의 특정 부위가 선반(500) 수납입구의 특정 위치에 위치했는지를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와인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7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센서(1301-1304)를 통해 촬상 가능한 영역(1300)에 대하여, 와인의 라벨이 해당 촬상 가능 영역(1300)의 중심에 위치했는지를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와인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와인을 와인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과정 중에 자동으로 해당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미지센서(1301-1304)가 촬상한 와인의 이미지로부터 해당 와인을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처리부(700)는, 예를 들어 와인을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가 도 13과 같이 배치된 경우, 상측 이미지센서(1301), 하측 이미지센서(1302), 좌측 이미지센서(1303) 및 우측 이미지센서(1304)가 각각 촬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이 된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이미지센서(1301), 하측 이미지센서(1302), 좌측 이미지센서(1303) 및 우측 이미지센서(1304)가 촬상한 이미지가 각각 1401, 1402, 1403, 1404와 같은 경우, 처리부(700)는 위 촬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 와인의 라벨(1400)을 식별할 수 있고 그 식별된 라벨(1400)에 따라 와인 자체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700)는 와인 식별 과정에서, 와인의 라벨(1400)과 그에 대응하는 와인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700)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로부터 학습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라벨(1400) 식별 및 라벨(1400)에 따른 와인 식별 시 처리부(700)가 항상 촬상된 모든 이미지를 활용하여 라벨(1400)이나 와인을 식별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하나의 촬상 이미지만으로도 라벨(1400)이나 와인 식별이 가능할 경우 처리부(700)는 하나의 촬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1400)이나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고 복수 개의 촬상 이미지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처리부(7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센서(1301-1304)가 촬상한 이미지를 결합한 이미지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센서(1301-1304)가 촬상한 이미지의 라벨(1400)을 결합한 라벨의 이미지로부터, 해당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와인을 와인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과정 중에 자동으로 해당 와인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근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1301-1304)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서, 처리부(700)는 근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절전상태로 대기하도록 하고, 와인의 근접여부 판단 및 이미지센서를 통한 촬상이 필요한 시점에 근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1301-1304)를 동작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그 일 예로서 와인보관장치(100)의 도어(300)가 열릴 때 근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1301-1304)를 동작상태로 전환하는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처리부(700)는, 근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절전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한다(S1501). 이후 처리부(700)는 도어(300)가 열리는지 여부를 감지하여(S1502), 도어(300)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근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1301-1304)를 동작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S1503). 이후 근접센서의 감지에 따라 와인이 와인보관장치(100)에 근접한 것이 감지되면, 처리부(700)는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이미지센서(1301-13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와인을 와인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과정 중에 자동으로 해당 와인을 식별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와인보관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와인보관장치(100)에 보관되는 와인에 대한 자동 식별이 가능한 경우, 와인보관장치(100)에 보관되었던 와인을 꺼내어 개봉하고 음용한 후 해당 와인을 재보관할 때, 기존의 보관 위치와 다른 위치에 보관하더라도, 해당 와인에 대한 보관 상태나 보관 기간, 잔량 변화 등의 보관 이력을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인보관장치(100)의 제1위치에 보관되어 있던 A 와인을 꺼내어 개봉하고 음용한 후, 남은 A 와인을 와인보관장치(100)의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처리부(700)는 A 와인이 재 보관되는 과정에서 해당 와인이 A 와인임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A 와인이 기존의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보관되더라도, 기존의 제1위치에 관해 저장되었던 A 와인의 정보에 이어서 제2위치의 A 와인의 정보를 A 와인에 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인보관장치(100)에 보관되는 와인에 관한 정보를, 보관위치를 기준으로 저장하지 않고, 와인 자체를 기준으로 저장하게 되어, 보관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동일 와인에 대해서는 와인 안내 정보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와인 정보 제공의 적절성이 향상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보관장치(100)의 하우징(200)은, 상호 격리된 제1보관실(211) 및 제2보관실(212)을 포함한다. 또한, 도어(300)는, 디스플레이(400)가 마련되고 제1보관실(211)을 개폐하는 제1도어(301)와, 터치패널(800)이 마련되고 제2보관실(212)을 개폐하는 제2도어(302)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인보관장치(100)의 도어 전체에 걸쳐 터치패널(800)이 마련된 디스플레이(400)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와인보관장치(100)가 2개의 보관실 및 각각에 대응하는 도어로 분리되어, 제1보관실(211)을 개폐하는 제1도어(301)에는 디스플레이(400)만이 구비되고, 제2보관실(212)을 개폐하는 제2도어(302)에는 터치패널(800)만이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도어 전체에 걸쳐 터치패널이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와인보관장치의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100: 와인보관장치
200: 하우징
300: 도어
400: 디스플레이
500: 선반
600: 센서
700: 처리부

Claims (12)

  1. 와인보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와인을 수납할 있는 선반;
    상기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와인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소정위치에 대한 사용자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에 관한 식별 결과에 따라,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와인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이미지센서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선반에 와인이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와인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선반에 수납된 와인의 중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하는 와인보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선반에 수납된 와인의 액면 높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액면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된 와인의 잔량을 식별하는 와인보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식별된 와인의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와인에 관한 안내 정보를 변경하는 와인보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해 촬상한 와인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와인을 식별하는 와인보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 또는 좌우에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반을 향하는 상기 와인의 움직임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와인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상기 이미지센서를 제어하는 와인보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감지에 기초하여, 절전 상태의 상기 이미지센서를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와인보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선반에 마련된 복수의 와인수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복수의 와인수납부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와인보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와인보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격리된 제1보관실 및 제2보관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제1보관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 및 터치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제2보관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와인보관장치.
KR1020190000515A 2019-01-03 2019-01-03 와인보관장치 KR10260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15A KR102601206B1 (ko) 2019-01-03 2019-01-03 와인보관장치
PCT/KR2019/018739 WO2020141834A1 (en) 2019-01-03 2019-12-30 Wine storage apparatus
US16/730,233 US11553806B2 (en) 2019-01-03 2019-12-30 Wine storage apparatus
EP20150126.9A EP3677862A1 (en) 2019-01-03 2020-01-02 Wine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15A KR102601206B1 (ko) 2019-01-03 2019-01-03 와인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13A true KR20200084513A (ko) 2020-07-13
KR102601206B1 KR102601206B1 (ko) 2023-11-10

Family

ID=6910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15A KR102601206B1 (ko) 2019-01-03 2019-01-03 와인보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53806B2 (ko)
EP (1) EP3677862A1 (ko)
KR (1) KR102601206B1 (ko)
WO (1) WO20201418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66B1 (ko) * 2020-12-23 2021-08-30 이상원 스마트 가방 보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가방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141A (ko) * 2019-07-22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 지능 장치
CN114061722B (zh) * 2020-08-07 2024-05-24 青岛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酒瓶内剩余酒量的检测方法、酒柜及可读存储介质
FR3121823B1 (fr) * 2021-04-16 2023-10-06 Frio Entreprise alimentation électrique de clayettes de cave à vin
FR3121824B1 (fr) * 2021-04-16 2023-10-27 Frio Entreprise clayettes de cave à vin
CN113349564B (zh) * 2021-07-19 2022-10-18 过仕琴 一种智能恒湿酒类产品电子存储托架
CN113758091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CN113758092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CN113758089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WO2023055668A1 (en) * 2021-09-28 2023-04-06 Stirred Inc. Machine learning-based ingredient and craft cocktail recipe recommendation engi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093A (ko) * 2006-10-18 200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셀러
US20140125599A1 (en) * 2012-11-05 2014-05-08 Whirlpool Corporation Interactive transparent touch screen doors for wine cabinets
KR20160028947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9905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5041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80025040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18134379A (ja) * 2017-02-23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ボトル保管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992A (ko)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관위치 자동 선택이 가능한 와인 냉장고 및 제어 방법
US20070162357A1 (en) 2005-12-19 2007-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Cella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a wine cellar
WO2013009990A2 (en) 2011-07-12 2013-01-17 Richard Ward Wine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US10157316B2 (en) 2012-11-05 2018-12-18 Whirlpool Corporation Interactive touch screen device for wine
CN203860754U (zh) 2013-12-02 2014-10-08 深圳市新潮电器有限公司 酒柜
US10146495B2 (en) * 2016-12-21 2018-12-04 Curt A Nizzoli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10582790B2 (en) 2017-02-23 2020-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ottle storag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093A (ko) * 2006-10-18 200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셀러
US20140125599A1 (en) * 2012-11-05 2014-05-08 Whirlpool Corporation Interactive transparent touch screen doors for wine cabinets
KR20160028947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9905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5041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80025040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18134379A (ja) * 2017-02-23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ボトル保管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66B1 (ko) * 2020-12-23 2021-08-30 이상원 스마트 가방 보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가방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225107A1 (ko) * 2020-12-23 2022-10-27 이상원 스마트 가방 보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가방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53806B2 (en) 2023-01-17
KR102601206B1 (ko) 2023-11-10
WO2020141834A1 (en) 2020-07-09
EP3677862A1 (en) 2020-07-08
US20200214474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206B1 (ko) 와인보관장치
CN109716378B (zh) 信息收集系统、电子货架标签、电子pop广告设备和字符信息显示设备
CN110140341B (zh) 电子装置
KR2021013409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물품 관리 방법
US20150002660A1 (en) Electric product
EP2792979A2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8199569A5 (ko)
US20150209614A1 (en) Swimming race system, swimming race method, method of managing water quality, and display apparatus
BR112012004830B1 (pt) Aparelho de exibição e método de controle
US11548760B2 (en) Elevator display system
JP5111978B2 (ja) 展示棚照明システム
US11335010B2 (en)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KR102145607B1 (ko) 전기제품
US20180317670A1 (en) Housing and system
US11898787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146495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170017326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208673426U (zh) 智能售货装置
US11512896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movable camera
JP6407638B2 (ja) 自動改札機システム
US20180202841A1 (en) Inventory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12629110B (zh) 冰箱
JP522873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管理装置
KR101969413B1 (ko) 포토센서 기반 rfid 제어기술을 적용한 절전형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CN114209188B (zh) 陈列柜中物品陈列角度的调整方法、陈列柜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