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387A -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387A
KR20200084387A KR1020180166081A KR20180166081A KR20200084387A KR 20200084387 A KR20200084387 A KR 20200084387A KR 1020180166081 A KR1020180166081 A KR 1020180166081A KR 20180166081 A KR20180166081 A KR 20180166081A KR 20200084387 A KR20200084387 A KR 20200084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home appliance
home
server
usa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순
최민욱
박건용
문재현
Original Assignee
박형순
박건용
문재현
최민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순, 박건용, 문재현, 최민욱 filed Critical 박형순
Priority to KR102018016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387A/ko
Publication of KR2020008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는, 상기 스마트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인식부; 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설정부; 및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A SERVER COMPRISING THE INTEGRATED SYSTEM IN SMART HO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과 IoT 기술을 융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구축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전세계 시장은 연평균 28.8%, 국내 시장은 연평균 38.5%로 꾸준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며, IoT 시장의 성장에 따라 스마트 홈 시장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집안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가전제품에 IoT 기술이 내장되어 각 가정마다 홈 IoT 플랫폼이 구축되는 날이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출시된 대부분의 IoT 기기는 해당 기기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수동적 명령을 기다리는 선명령 후작동 시스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IoT 기기의 작동을 원할 때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나 리모컨 등의 원격제어기기를 통해 직접적인 조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매번 IoT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모두 직접 내려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하고 번거롭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생활 방식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진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집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들도 소정의 사용 패턴대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점을 반영한 스마트 홈 플랫폼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된 홈 IoT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에 의해 제안되는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는, 상기 스마트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인식부; 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설정부; 및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스마트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스마트 홈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동작 가능한 자동화된 홈 IoT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가 제공하는 스마트 홈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가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가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가 제공하는 스마트 홈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100)(이하, 서버라고 함)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는 IoT 기능이 내장된 가전기기(120)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이로부터 유의미한 패턴을 찾아낸 후,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할 행동들을 예측하여 가전기기(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은 머신 러닝, 딥 러닝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20)는 스마트 홈 내에 구비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가전기기(120)의 사용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의 가전기기(120) 사용 정보(예를 들어, 시간, 기능 등)를 소정 기간 동안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는 가전기기(120)들과 IoT 통신을 수행하여, 가전기기(120)가 전송하는 작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가전기기(120)의 사용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규칙적으로 생활하며 이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20)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가전기기(120)들은 저마다 고유한 사용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커피 머신(126)은 매일 아침 출근 전에 동작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100)는 이와 같은 가전기기(120)의 고유한 사용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출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20)들을 동작 시키거나 사용자에게 가전기기(120)들의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이동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가전기기(120)들의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가전기기(120)의 현재 상태, 가전기기(120)의 동작 정보, 사용자의 행동패턴, 가전기기(120)의 사용패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에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스마트 홈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홈 플랫폼은, a) 행동 패턴 조작, b) 행동 패턴 추천, c) 가전제품 조작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행동 패턴 조작 기능은 가전기기(120)의 사용패턴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수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전기기(120)의 사용패턴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파악한 사용패턴을 적용하여 가전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파악한 사용패턴을 스케줄러에 등록한 후, 사용자가 가전기기(120)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 미리 가전기기(120)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새로운 사용패턴을 추가하거나, 추천된 사용패턴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행동 패턴 추천 기능은 사용자에게 가전기기(120)의 사용패턴을 추천하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 앱 화면에는 행동패턴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행동패턴 목록을 조회하고, 행동패턴을 생성 및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가전제품 조작 기능은 가전기기(12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가전기기(120)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도 1에서, 사용자는 앱을 통해 현재 TV(122)의 상태를 확인하고, TV(122)의 전원이나 채널 및 볼륨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현재 보일러(124)의 상태를 확인하고, 보일러(124)의 전원과 온도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앱을 통해 현재 커피 머신(126)의 상태를 확인하고, 커피 머신(126)의 전원을 조작하거나 커피 종류를 선택하여 커피를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앱에 입력한 가전제품의 조작은 서버(100)로 전송되고, 서버(100)에 의해 각 가전기기(12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앱은 보안성 강화를 위해, 로그인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를 조작한다. IoT 디바이스는 TV나 커피 머신, 보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서버(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행동패턴을 추출한다. 행동패턴은 시간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시, 출근 시, 퇴근 시, 취침 전 등의 시간대에 따라 다양한 패턴들을 명명한 뒤, 요일, 시간, 사용할 기기와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과거의 행동 패턴을 인공지능으로 학습한 뒤,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행동패턴을 추출하고 IoT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서버(100)는 추출된 행동패턴을 자동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IoT 디바이스가 동일한 행동패턴을 일정 횟수 이상 반복하는 경우, 서버(100)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해당 행동패턴의 평균값을 추출하고 이를 행동패턴 DB에 추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100)는 추출된 행동패턴의 자동 등록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추출된 행동패턴을 행동패턴 DB에 저장할 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저장할 것을 선택하면, 서버(100)는 추출된 행동패턴을 행동패턴DB에 저장한 후, 자동 등록된 행동패턴에 따라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시점에 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으로 알려줄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저장하지 않을 것을 선택하면, 서버(100)는 추출된 행동패턴을 행동패턴 DB에 저장하지 않는다.
서버(100)는 행동패턴 DB에 등록된 행동패턴대로 IoT 디바이스들이 동작하도록 각 IoT 디바이스들을 자동 실행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가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각각이 가진 고유의 생활패턴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는 IoT 기기별로 동작 정보를 측정하고, 인공지능에 의한 학습을 수행하여 규칙적인 사용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100)는 머신 러닝의 일종인 DBSCA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IoT 기기의 동작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DBSCAN(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일종으로 밀도 방식의 클러스터링을 사용한다. K Means나 Hierarchical 클러스터링의 경우 군집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하는 방식인 반면, 밀도 기반의 클러스터링은 점이 세밀하게 몰려 있어서 밀도가 높은 부분을 클러스터링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어느 점을 기준으로 반경 x내에 점이 n개 이상 있으면 하나의 군집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IoT 기기의 동작 정보는 IoT 기기의 종류, 동작 요일, 기기 상태 및 동작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래프의 X축에는 동작 요일이, Y축에는 기기 상태가. Z축에는 동작시간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X축에서 1에서 7까지의 숫자는 각각 월요일(1)에서 일요일(7)까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Y축의 경우 IoT 기기를 켜는 동작을 10(on)으로 기기를 끄는 동작을 0(off)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On과 Off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숫자 1과 0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DBSCAN의 클러스터링 기법 상 1과 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같은 클러스터로 묶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On에 해당하는 숫자를 1이 아닌 10으로 표현하였다.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하늘색의 작은 원은 클러스터로 묶이지 않은 일명 쓰레기 log이고, 청색 별, 녹색 삼각형 등 색깔 있는 도형들은 클러스터로 묶이게 된 행동 패턴이 될 log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과거에는 의미가 없었던 여러 IoT 기기의 수많은 동작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로부터 행동패턴 및 사용패턴이라는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한다. 이 경우, 도출된 행동패턴 및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일정한 시간에 특정 기기의 전원을 켜는 등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IoT 기기를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가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사용패턴을 표시하는 경우이다. 서버(100)는 가전기기(120)의 사용패턴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등록된 복수개의 사용패턴의 상세 내용과, 사용패턴의 실행여부에 대한 설정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는 현재까지 인공지능을 통해 자동으로 추출하거나 사용자가 등록한 가전기기(120)의 사용패턴을 모두 조회하고, 각각의 사용패턴의 실행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화면상에 Before work 사용패턴(410)이 표시된다. Before work 사용패턴(410)은, 업무 시작 전의 사용패턴으로(411), 대상 가전기기(413)는 커피 머신이다. 작동되는 요일(412)은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및 금요일이고, 작동되는 시간(414)은 오전 7시45분이다.
따라서, 커피 머신은 사용자의 제어 없이도 매일 오전 7시45분에 스스로 전원이 켜지고 동작을 시작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커피 머신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패턴의 실행여부에 대한 설정 버튼(415)을 통해 해당 사용패턴의 사용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패턴을 정의하여 등록하는 경우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직접 보일러에 대한 사용패턴을 정의하여 등록할 수 있다. 기기 이름 탭(421)에는 사용패턴의 대상 기기가 입력된다. 날짜 탭(422)에는 기기가 작동될 요일이, 시간 탭(423)에는 작동시작시간과 작동유지시간이 입력된다. 동작 탭(424)에는 기기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도 4b에서, 보일러는 지정된 시간에 설정 온도로 켜지도록 등록된다.
도 4c는 푸시 알림을 나타낸다. 서버(100)는 사용패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패턴이 자동으로 등록되거나 사용패턴의 실행 시간이 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사용패턴의 실행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인공지능에 의해 IoT 기기의 사용패턴이 추출되어 자동 등록되는 경우, 앱을 통하여 어떠한 사용패턴이 등록되는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등록된 사용패턴과 유사한 사용패턴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경우 등록되는 사용패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패턴에 대한 알림은 푸시 메시지(43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앱의 화면에는 앱에서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430)가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100)는 통신부(510), 인식부(520), 패턴 설정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스마트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기기는 IoT 기능을 포함하여 통신부(510)와 IoT 통신을 수행하거나, 센서 기능을 포함하여 측정 데이터를 통신부(5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는 패턴 설정부(530)가 사용패턴을 자동으로 추출하거나 제어부(540)가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510)는 가전기기 및 사용자 단말과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부(520)는 통신부(510)가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가전기기가 동작 시작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부(520)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문이 락 되는 시점 및 다시 열리는 시점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출근 시간과 퇴근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패턴 설정부(53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로부터 가전기기의 고유 사용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패턴 설정부(530)는 인식부(520)가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패턴 설정부(530)는 가전기기의 과거사용패턴을 학습하고 이로부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이 자동으로 추출되거나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앱을 통하여 기능을 선택한다(S610).
IoT 기기 제어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 대상인 IoT 기기를 선택하고(S611), IoT 기기를 조작한다(S612).
행동 패턴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행동 패턴을 조회하고(S621), 기존의 행동 패턴을 수정 또는 삭제하거나 새로운 행동 패턴을 추가할 수 있다(S622).
이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한 행동 패턴의 등록 외에, 스스로 IoT 기기의 사용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홈 플랫폼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서버는 커피 머신 기기의 사용패턴 분석을 통해 직장인 A씨가 주로 마시는 커피와 시간대를 파악하여 매일 출근 전 자동으로 커피 머신을 작동시키고 커피를 내려줄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A씨는 퇴근 후 집에 와서 에어컨을 켜고 집이 시원해질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A씨의 퇴근 시간을 분석하여 집에 도착하기 전 미리 에어컨을 작동시켜 A씨 귀가 시에 집은 시원한 상태로 냉방 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기 전, 미리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IoT 기기(에어컨,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를 작동시켜 집 안의 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홈에 적용될 뿐 아니라, IoT 기반 커넥티드 카, 스마트 IoT 오피스 등 다양한 환경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반복적인 생활 패턴이 행해지는 곳이라면 어디든 본 발명이 적용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 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 120: 가전기기
510: 통신부 520: 인식부
530: 패턴 설정부 540: 제어부

Claims (9)

  1.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인식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설정부; 및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가전기기의 과거사용패턴을 학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패턴이 자동으로 추출되거나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5.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과거사용패턴을 학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추출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패턴이 자동으로 추출되거나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166081A 2018-12-20 2018-12-20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84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81A KR20200084387A (ko) 2018-12-20 2018-12-20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81A KR20200084387A (ko) 2018-12-20 2018-12-20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387A true KR20200084387A (ko) 2020-07-13

Family

ID=7157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081A KR20200084387A (ko) 2018-12-20 2018-12-20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43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156B1 (ko) 2020-09-28 2021-06-01 박나은 네트워크 환경 내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2184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세스코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13053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세스코 인터렉티브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184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세스코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9156B1 (ko) 2020-09-28 2021-06-01 박나은 네트워크 환경 내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23113053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세스코 인터렉티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5282B (zh) 智能控制面板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6538221B2 (ja) 情報通知方法、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CA2959707C (e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JP6720170B2 (ja) スマートスペー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124450A1 (en) Set top box automation
US92076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electrical devices at a building structure
EP2506232B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ystem
CN109413515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US201402970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utomated resourc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KR20200084387A (ko) 스마트 댁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JP6861373B2 (ja) 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US10571873B2 (en) Aggregating automated-environment information across a neighborhood
US20150198938A1 (en) Systems,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EP3291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20130297259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ropriate services detection for a smart building
KR201500590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6045982B2 (ja)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37409A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20190050485A (ko) Ui 관리 서버 및 ui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WO2021198057A1 (en) A system for monitoring a space by a portable sensor device and a method thereof
CN107852340A (zh) 集线器装置及其提供服务的方法
CN115731684A (zh) 无线按键开关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WO2023048720A1 (en) Hierarchical mobile application launch
CN113625582A (zh) 用于家电设备控制的系统、方法、装置及云端服务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