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179A -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179A
KR20200084179A KR1020190000273A KR20190000273A KR20200084179A KR 20200084179 A KR20200084179 A KR 20200084179A KR 1020190000273 A KR1020190000273 A KR 1020190000273A KR 20190000273 A KR20190000273 A KR 20190000273A KR 20200084179 A KR20200084179 A KR 2020008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ultrasonic
elements
present
injec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이치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이치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이치에이
Priority to KR102019000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179A/ko
Publication of KR2020008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g. edrophonium, ch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에 의하면, 초음파소자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피부 표면에 조사함으로써 지방분해 자극점을 자극하여 지방의 제거 효과를 얻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을 주사제 조성물을 통해 지방 용해 물질을 피하에 주사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준의 지방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Removing method of free fatty acid using injection composition and ultrasonic irradiator}
본 발명은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 제거용 주사제와 초음파를 사용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제 조성물과 아울러 초음파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피부속 깊이 있는 지방 조직을 열화시켜 제거하거나 분해를 촉진함과 아울러 혈류에 방출된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 FFA)의 대사작용을 촉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의 발달과 의식주 문화의 발달로 현대인들은 비만에 대한 관심도가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지방의 축적으로 비만으로 이어질 경우 당뇨, 고혈압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비만이 되지 않기 위해서 무단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비만이 없는 건강한 사람들도 또한 미용적 체형 보정을 위해서 체지방을 조절하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국부적인 과잉 지방층을 비침습적인 수단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도 되고 있다.
체내의 열량소비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순으로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신체의 기초대사 및 운동으로 소모되는 열량보다 많은 열량의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지방으로 축적되게 된다. 따라서 근본적인 지방의 축적을 막기 위해서는 기초 대사량 및 운동으로 소모되는 열량보다 적게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충분한 운동으로 섭취한 음식물의 열량을 소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대인은 환경적 요인으로 충분한 열량 소비를 할 기회가 부족하며 또한 충분한 열량 소비를 하기 위해서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수반한다.
최근, 지방 제거를 위한 직접적인 방법으로서 지방흡입이 도입되어 원하는 부위의 체지방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게 되었으나, 이러한 외과적인 방법은 지방세포 뿐만 아니라 주위의 신경계, 혈관, 근육 조직 등에 손상을 주기도 하고 과도한 지방의 제거로 급격한 체내 조직의 불균형으로 쇼크사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시술하는 동안 환자에게는 적지 않은 통증을 느끼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유증과 부작용을 남길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과적인 시술을 하지 않고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원하는 부분의 과잉 체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비침습성, 비수술성 요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은 데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및 레보카르니틴(Levocarnitine)을 함유한 주사제 조성물과 더불어 초음파 조사 수단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인체의 일 지점에 장착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한 장착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에 적층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위치하며, 100㎑ ∼ 3,000㎑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소자들을 포함하는 지방제거장치를 사용하며, 데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및 레보카르니틴(Levocarnit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제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소자들은 서로 상이한 초음파 출력에너지 및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음파소자들은 1mW/㎠ ∼ 500,000mW/㎠ 범위의 초음파 출력에너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CB기판에는 온도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온도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초음파소자들의 조사강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에 의하면, 초음파소자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피부 표면에 조사함으로써 지방분해 자극점을 자극하여 지방의 제거 효과를 얻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을 주사제 조성물을 통해 지방 용해 물질을 피하에 주사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준의 지방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지방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지방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에 의하면 비만 부위에 광대역 초음파 에너지와 광대역 광 에너지를 동시에 조사하여 그 상승적 자극으로서 지방 조직에 축적되어 있는 지질의 분해를 촉진하고, 조직간격과 혈류 속에 방출된 유리지방산의 대사작용을 촉진한다.
즉, 발광소자들(40)이 조사하는 레이저 광이 혈류 속에 방출된 유리지방산의 대사작용을 촉진시키고, 초음파소자들(50)이 출력하는 초음파가 열작용 및 동공 효과에 의해 지방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지방제거방법에 사용되는 지방제거장치는 밴드 형태의 장착부재(10)를 포함한다. 밴드형의 장착부재(10)는 팔이나 다리, 허리 등의 신체를 감싸 고정되며, 벨크로 파스너나 똑딱단추 등을 사용해서 신체에 탈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장착부재(10)에는 1개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하, PCB이라 함)(20)이 설치되고, PCB기판(20)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들(40)과 다수개의 초음파소자들(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장된다. PCB기판(20)과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은 보다 넓은 부위를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그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PCB기판(20)은 패드부재에 적층되어 장착부재(10)에 설치될 수 있다. 패드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패드부재에 접착 등을 통해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패드부재는 PCB기판(20)이 장착부재(10)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회로의 손상 등을 방호한다.
장착부재(10)에는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장착될 수 있고, 제어모듈은 PCB기판(20)에 전기를 공급해서 발광소자들(40)과 초음파소자들(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발광소자들(40), 초음파소자들(50)의 에너지 및 동작방법과 지방제거 장치의 상태를 관찰하거나 제어한다. 전원공급수단은 휴대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고, 콘센트를 통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어뎁터일 수 있다.
발광소자들(40)은 광 에너지를 조사한다. 발광소자들(40)은 레이저 또는 엘이디광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며, 레이저 다이오드(LD) 또는 엘이디(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초음파소자들(50)은 초음파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소자들(50)은 고강도집속초음파(HIFU,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를 출력한다. 초음파소자들(50)은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가 될 것이다. 초음파소자들(50)은 PCB기판(20)에 탑재된 하우징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서 하우징에 출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소자들(50)은 탄성부재의 탄성압력으로 사용시에 피부 표면에 밀착되어 압력을 가하게 된다. 하우징은 탄성부재를 수용함과 아울러 초음파소자들(50)의 수평방향으로의 변위를 방지한다.
패드부재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패드부재에 설치되어 PCB기판(20)의 둘레를 감싼다. 지지부재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부 면에 접촉하여 본 발명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부재의 높이는 발광소자들(40)과 피부 표면과의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초음파소자들(50)이 탄성부재에 의해 적절한 압력으로 피부 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피부 표면과 접촉하는 지지부재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는 발광소자들(40)이 광을 조사하고 초음파소자들(50)이 초음파를 출력하는 동안 피부면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모듈에 전송한다.
제어모듈은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온도데이터를 기초로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모듈은 온도에 따른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의 값을 각각 기 저장하고,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피부 온도에 해당하는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를 읽어, 그 읽은 값에 해당하는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를 출력하도록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설정시간 내에서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설정시간은 제어모듈에 기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한 데이터일 수 있다.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는 설정시간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갖을 수 있고, 발광소자들(40) 및 초음파소자들(50)의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에 따라 설정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는 비만 부위에 광대역 초음파 에너지와 광대역 광 에너지를 동시에 조사하여 그 상승적 자극으로서 지방 조직에 축적되어 있는 지질의 분해를 촉진하고, 조직간격과 혈류 속에 방출된 유리지방산의 대사작용을 촉진한다. 즉, 발광소자들(40)이 조사하는 레이저 광이 혈류 속에 방출된 유리지방산의 대사작용을 촉진시키고, 초음파소자들(50)이 출력하는 초음파가 열작용 및 동공 효과에 의해 지방을 제거한다.
초음파소자들(50)은 서로 상이한 초음파 출력에너지 및 주파수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초음파소자들(50)을 이루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상한 주파수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소인 범위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개의 소대역폭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되게 초음파 출력에너지 및 주파수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초음파 에너지가 확산되기 때문에 지방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초음파소자들(50)은 하나의 열을 이루며 배열됨으로써 초음파 에너지를 유효하게 확산하여 지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발광소자들(40)은 650nm ∼ 98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들(40)은 인체 조직의 광 투과특성에서 윈도우(Window)에 해당되는 650nm ∼ 980nm 범위를 가급적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발광소자들(40)은 초음파소자들(50)의 열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인체 조직의 광 투과특성에서 윈도우(Window)에 해당되는 650nm ∼ 980nm 범위를 가급적 빈틈없이 커버하여 혈류 속에 방출된 유리지방산의 대사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한다.
인체조직의 광 투과율은 표피층의 멜라닌(melanin) 색소와 진피 및 피하조직에 있어서의 수분과 헤모글로빈 성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650nm ∼ 980nm 범위에서는 비교적 흡수율이 적어서 윈도우(window) 특성을 나타내므로, 발광소자들(40)은 650nm ∼ 980nm 범위의 광(레이저)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들(40)은 광을 100㎑ ∼ 3,000㎑ 범위의 펄스신호로 변조하여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레이저 광을 펄스신호로 변조하여 생체조직에 조사하면, 조사부위에는 소규모의 광-음향효과(photo-acoustic effect)가 발생한다. 따라서, 발광소자들(40)이 광을 100㎑ ∼ 3,000㎑ 범위의 펄스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면 조사부위에는 이 주파수 범위의 초음파 진동이 발생하고, 그것이 그 부근의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지방분해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주사제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지방 분해제로서 사용되어오던 데옥시콜릭산 주사제의 지방 분해 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미토콘드리아 멤브레인 간 지방산의 이동을 매개하는 물질인 레보카르니틴을 상기 데옥시콜릭산과 함께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로서, 데옥시콜릭산과 레보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데옥시콜릭산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국소 부위의 지방 분해, 즉 지방 제거의 효과가 인정되었지만, 그 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는바, 본 발명은 데옥시콜릭산과 함께 레보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 조성물을 통해 종래 데옥시콜릭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주사제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된 수준, 즉 만족할 만한 수준의 국소 지방 제거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데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은 담즙산의 일종으로, 종래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지방 분해 효과 및 안정성이 인정된 성분이다.
상기 데옥시콜릭산은 지방 분해를 위하여, 총 주사제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4.0중량% 수준으로 포함됨이 일반적이었는바, 본 발명 역시 총 주사제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데옥시콜릭산을 1.0~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범위로 포함한다. 상기 데옥시콜릭산이 상기한 범위 미만일 경우 지방 분해 효과가 적으며, 상기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레보카르니틴은 미토콘드리아 멤브레인 간 지방산의 이동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체의 지방 연소를 가속화하여 지방의 제거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보카르니틴을 상기 데옥시콜릭산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기 레보카르니틴 또는 데옥시콜릭산을 단독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욱 개선된 지방 제거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레보카르니틴을 총 주사제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5.0중량% 수준으로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의 수준으로 포함한다. 이는 지방 제거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것으로, 상기한 범위 미만이면 지방 제거의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지방 제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지방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주사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데옥시콜릭산 1.0~4.0중량%, 레보카르니틴 0.1~5.0중량% 및 잔량의 염기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며, pH가 7.0~9.0인 주사제 조성물의 지방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국소란, 예를 들어, 피부 영역, 피하 영역이 포함될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 눈 밑, 턱 밑, 팔 밑, 복부, 허벅지, 종아리, 목, 겨드랑이 밑, 둔부, 엉덩이, 뺨, 이마, 종아리, 등, 대퇴부, 넓적다리, 발목 또는 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제 조성물은 피하, 복강 내,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주사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적 부위당 0.001ml 내지 10ml가 경피 또는 피하로 투여될 수 있다.
(실시예 1)
Deoxycholic acid 1.5중량%, levocarnitine 0.3중량%를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 주사용 증류수 98.2중량%에 가하여 pH 7.8의 주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Deoxycholic acid 1.5중량%, levocarnitine 1.0중량%를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 주사용 증류수 97.5중량%에 가하여 pH 7.5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Deoxycholic acid 1.0중량%, levocarnitine 2.0중량%를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 주사용 증류수 97.0중량%에 가하여 pH 7.8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을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중 BMI 25 이상의 복부비만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복부둘레의 감소 수치를 확인하였는바, Deoxycholic acid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levocarnitine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Deoxycholic acid와 levocarnitine를 혼합하여 사용한 제형인 실시예가 유의미한 수준의 개선된 복부둘레 감소 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단독으로 사용된 Deoxycholic acid의 효과를 현저히 개선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패드부재
20 인쇄회로기판
40 발광수단
50 초음파수단

Claims (4)

  1. 인체의 일 지점에 장착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한 장착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에 적층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위치하며, 100㎑ ∼ 3,000㎑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소자들을 구비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며,
    데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및 레보카르니틴(Levocarnit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제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소자들은 서로 상이한 초음파 출력에너지 및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제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소자들은 1mW/㎠ ∼ 500,000mW/㎠ 범위의 초음파 출력에너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제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에는 온도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온도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초음파소자들의 조사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제거 방법.
KR1020190000273A 2019-01-02 2019-01-02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KR20200084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73A KR20200084179A (ko) 2019-01-02 2019-01-02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73A KR20200084179A (ko) 2019-01-02 2019-01-02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79A true KR20200084179A (ko) 2020-07-10

Family

ID=7160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73A KR20200084179A (ko) 2019-01-02 2019-01-02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41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578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ed muscle stimulation using an energy guidance field
US118265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CA2747537C (en) Treatment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of a nerve
KR20130119795A (ko) 초음파와 광을 이용한 지방제거장치
US201403790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w-power laser treatment of adipose cells
KR20100028150A (ko) 광대역 초음파와 광대역 레이저 광을 이용한 비만치료기
EP3634290B1 (en) System for fat reduction and improving skin laxity
JP2023513982A (ja) 複合光-生化学的作用原理による身体着用型痛み治療装置
KR200355189Y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KR20200084179A (ko) 주사제 조성물과 초음파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RU2203112C2 (ru) Способ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фотокоррекции веса
KR20200084486A (ko) 주사제 조성물과 광 조사 수단을 사용한 지방 제거 방법
US202203052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RU200013298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фотокоррекции веса
US202400246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118968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202302413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202400915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2273749B1 (ko) 미세전류 발생 디바이스 및 탈모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한 두피관리기
ES1298498Y2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satendido del paciente
WO20230788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the patient
CN115192903A (zh) 一种兼具药物导入部件和红外热疗部件的骶尾神经电刺激专用电极片
CN117258158A (zh) 低能量激光治疗秃头的方法以及健发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