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032A -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032A
KR20200084032A KR1020207016780A KR20207016780A KR20200084032A KR 20200084032 A KR20200084032 A KR 20200084032A KR 1020207016780 A KR1020207016780 A KR 1020207016780A KR 20207016780 A KR20207016780 A KR 20207016780A KR 20200084032 A KR20200084032 A KR 20200084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terminal device
signaling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664B1 (ko
Inventor
디 장
쿤펑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이 시간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단말이 시간 n 이후 제1 시간 동안 제1 정보에 따라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정보를 포함하고, 제1 기준 신호는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단말이 시간 n 이후 제2 시간 동안 제2 정보에 따라 PDSCH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정보를 포함하고, 제3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링크 실패 이후 링크 복구까지의 시간 동안 단말이 PDCCH/PDSCH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 특히,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서비스의 개발은 무선 통신의 데이터 전송률과 효율성에 대한 요구 사항을 높인다. 데이터 전송률 및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은 매우 넓은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선 통신에 대한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파 경로 손실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전파 도달 거리가 비교적 짧아지고, 서비스 영역(커버리지 영역)이 작아진다. 빔포밍 기술은 전파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 도달 거리가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들 중 하나이다.
빔포밍은 전송단이 수행하는 전송 빔포밍과, 수신단이 수행하는 수신 빔포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송 빔포밍 동안, 일 영역에 도달하기 위해 특정 방향으로 집중 전파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향성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안테나가 배열되는 형태는 안테나 어레이로 지칭될 수 있고, 어레이에 포함된 각각의 안테나는 어레이 요소(array element)로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는 복수의 유형, 예를 들어 선형 어레이 및 평면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전송 빔포밍이 사용될 때, 신호 지향성이 향상됨에 따라 전송 거리가 증가한다. 또한, 포인팅된 방향(pointed direction) 이외의 방향으로는 신호가 거의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피어(peer) 수신단의 신호에 대한 간섭이 상당히 감소된다. 수신단은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빔포밍 동안, 전파는, 대응하는 방향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신된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방향으로 중앙에서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대응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간섭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이득을 제공한다.
기지국과 단말이 통신을 위해 빔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 과정에 있어서의 장벽에 의한 차단 및 고 주파수 채널에서의 열악한 회절 능력으로 인해, 현재 서비스의 빔이 차단되고, 신호 전송을 계속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통신이 갑자기 중단될 수 있다. 즉, 링크 장애가 발생한다.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새로운 링크가 적절하게 사용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수신하는 방법은 현재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에 해당한다.
본 출원은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및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회복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CCH/PDSCH를 적절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측에 적용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PDCCH를 검출하는 단계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PDSCH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Quasi Co-location) 가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신호는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즉, 제1 기준 신호는 PDCCH의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이다.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정보를 포함한다. 제3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즉, 제3 기준 신호는 PDSCH의 DMRS이다.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신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 적용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는 단계 및/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Quasi Co-location,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신호는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즉, 제1 기준 신호는 PDCCH의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이다.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정보를 포함한다. 제3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즉, 제3 기준 신호는 PDSCH의 DMRS이다.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QCL 가정 정보는 QCL 가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QCL 정보는, 빔포밍 정보 및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측의 수신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이 QCL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 측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은 PDCCH 또는 PDSCH의 복조 기준 신호와, 단말 디바이스가 이전에 보고한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자원이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보고된 CSI-RS 자원 인덱스는, CSI-RS 자원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측정 동안 이전에 설정된 하나의 전송 및 수신 빔 쌍에 대응한다. QCL 관계를 만족하는 2 개의 기준 신호 또는 채널은 동일한 수신 빔 정보를 가진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에 기초하여, UE는, 추론을 통해,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수신 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수신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전에 보고된, CSI-RS 기반 측정에서 획득한 복수의 전송 및 수신 빔 쌍에서의 수신 빔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QCL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2 기준 신호의 빔 그룹 인덱스 번호,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인덱스 번호, 제2 기준 신호의 포트 번호 및 제2 기준 신호의 포트 그룹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준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전에 보고된, CSI-RS 기반 측정에서 획득한 복수의 전송 및 수신 빔 쌍 중 하나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제2 기준 신호의 빔 그룹 인덱스 번호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빔 그룹 인덱스 번호는,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세트 인덱스 번호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자원 세트 인덱스 번호와 동일하다.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인덱스 번호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자원 인덱스 번호는, UE의 보고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원 인덱스 번호 세트에서 상대적 인덱스 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기준 신호의 4 개의 절대적 자원 인덱스 번호 {1, 5, 7, 9}를 보고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결과에 따라, 제2 기준 신호의 상대적 자원 인덱스 번호는 {0, 1, 2, 3} 중 어느 하나이다. 상대적 자원 인덱스 번호 0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인덱스 번호 1에 대응하고, 상대적 자원 인덱스 번호 1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인덱스 번호 5에 대응하고, 상대적 자원 인덱스 번호 2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인덱스 번호 7에 대응하고, 상대적 자원 인덱스 번호 3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2 기준 신호의 자원 인덱스 번호 9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QCL 정보는 또한 일부 공간 특징 파라미터, 예를 들어, 도착 각(angle of arrival)(AoA), 도미넌트 AoA(Dominant AoA), 도착 평균 각, 도착 각의 전력 각도 스펙트럼(power angular spectrum(PAS) of AoA), 출발 각(angle of departure, AoD), 도미넌트 출발 각, 출발 평균 각, 출발 각의 전력 각도 스펙트럼, 단말 전송 빔포밍, 단말 수신 빔포밍, 공간 채널 상관, 기지국 전송 빔포밍, 기지국 수신 빔포밍, 평균 채널 이득, 평균 채널 지연,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및 공간 수신 파라미터(spatial Rx para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공간 특징 파라미터는 제1 기준 신호의 안테나 포트와 제2 기준 신호의 안테나 포트 사이의 공간 채널에 대한 특징을 기술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QCL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측에 대한 수신 프로세싱 프로세스 또는 빔포밍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것을 돕는다.
본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PDCCH를 검출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디코딩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PDCCH 및 제2 기준 신호는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PDCCH 및 제2 기준 신호의 DM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본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제4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디코딩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PDSCH 및 제4 기준 신호는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PDCCH 및 제4 기준 신호의 DM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제1 측면에서 설명된 방법이 수행될 때,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기 전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CCH/PDSCH를 적절하게 수신할 수 있어,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2 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 PDCCH 및 PDSCH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정보 표시 방법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시나리오 1: 단말 디바이스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제2 기준 신호와 관련된 몇 가지 경우를 설명한다.
경우 1: 제2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여, 양호한 채널 품질/신호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식별(또는 선택), 즉,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빔(여기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을 의미함)을 선택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여기서는 단말 전송 빔을 의미함)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의 전송 신뢰성을 보장한다. 다운링크 빔과,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은 매칭 관계(matching relationship)에 있는 빔 쌍이다. 빔 쌍은, 빔 훈련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빔 쌍 훈련 프로세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세스 이전의 프로세스이다. 양호한 채널 품질/신호 품질을 갖는 식별된(또는 선택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전송 빔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특정 전송 빔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수신한다. 각각의 단말 전송 빔은 수신 빔에 대응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서, 단말 전송 빔이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한다는 것은 동일한 지향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전송 빔과, 단말 전송 빔에 대응하는 단말 수신 빔은 동일한 빔일 수 있고, 동일한 트랜시버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전송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와, 대응하는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는 QCL을 만족할 수 있다.
경우 2: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및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또는 통신 링크 실패, 빔 장애, 빔 실패, 링크 장애, 링크 실패, 통신 장애, 통신 실패 등으로 지칭됨)가 발생함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는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경우 3: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함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고, 둘 다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 4: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훈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경우 5: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훈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고, 둘 다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시간의 시작 모멘트는 모멘트 n이고,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1 시그널링은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시그널링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QCL 정보이다.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layer-3 signaling)(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레이어 2 시그널링(layer-2 signaling)(MAC-CE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및 레이어 1 시그널링(layer-1 signaling)(DCI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제1 임계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즉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CCH QCL 정보를 수신한 후, 통신 링크는 정상으로 회복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CCH를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검출한다.
시나리오 2: 단말 디바이스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와 관련된 몇 가지 경우를 설명한다.
경우 1: 제4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여, 양호한 채널 품질/신호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식별(또는 선택), 즉,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빔(여기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을 의미함)을 선택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여기서는 단말 전송 빔을 의미함)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의 전송 신뢰성을 보장한다. 다운링크 빔과,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은 매칭 관계에 있는 빔 쌍이다. 빔 쌍은, 빔 훈련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빔 쌍 훈련 프로세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세스 이전의 프로세스이다. 양호한 채널 품질/신호 품질을 갖는 식별된(또는 선택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전송 빔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특정 전송 빔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수신한다.
경우 2: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및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또는 통신 링크 실패, 빔 장애, 빔 실패, 링크 장애, 링크 실패, 통신 장애, 통신 실패 등으로 지칭됨)가 발생함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는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경우 3: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함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고, 둘 다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 4: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동안 새로운 빔을 훈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사례 5: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동안 새로운 빔을 훈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 및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고, 둘 다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2 임계값 및 제1 임계값의 값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 6: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신 빔을 디폴트로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는 SS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SS 블록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경우 7: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able, TCI table)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TCI 테이블이 디폴트 상태를 포함하고, 디폴트 상태에 대응하는 TCI 상태의 인덱스 값은 예를 들어 0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된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한다. 이 경우,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 특정 구현에 대해서는 단계 S702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는 SS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SS 블록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경우 8: 신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DCI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TCI state)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TCI 테이블은 실제로, 전용 CORESET(dedicate CORESET)에 해당하는 TCI 테이블을 의미한다. 이 경우, 구현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PDSCH를 검출한다. 디폴트 QCL 정보는 제4 기준 신호 및 제3 기준 신호의 QCL 가정 정보로서 시나리오 2의 경우 1 내지 경우 6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되는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 구현은 다음을 의미한다. 디폴트 상태가 수신된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말 디바이스는 TCI 상태를 디폴트 상태로 자동적으로 해석한 다음,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시나리오 2에서 경우 1 내지 경우 6 중 어느 하나의 PDSCH 검출 방식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는,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고,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한다. 디폴트 QCL 정보는 제2 임계값 및 제3 기준 신호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의 QCL 가정 정보로서 시나리오 2의 경우 1 내지 경우 6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되는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 구현은 다음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TCI 상태가 디폴트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TCI 상태를 유효한 것으로 식별한 다음,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거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TCI 상태가 디폴트 상태 이외의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TCI 상태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다음,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한다.
본 출원에서, 제2 시간의 시작 모멘트는 모멘트 n이고,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3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3 시그널링은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테이블은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구성된 TCI 테이블이다. 특히, 본 출원에서는 2 개의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이전 CORESET(previous CORESET) 및 전용 CORESET이 사용된다. 이전 CORESET은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에 대응하고, 이전에 빔 링크에서 통신이 정상일 때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며, 전용 CORESET은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주로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CORESET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제어 채널 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블라인드 검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NR 표준이 공식화되는 과정에서 CORESET의 개념이 제시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세트는 제어 영역에서 각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분할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 자원 세트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자원 세트와 연관된 다른 구성, 예를 들어 검색 공간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 영역의 분할을 통해 획득한 복수의 제어 자원 세트에서, 제어 자원 세트는 구성 정보가 상이하며,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 폭이 상이하고 시간 도메인 길이가 상이하다. 본 출원에서 제3 시그널링으로 표시되는 PDSCH TCI 테이블은 실제로, 링크 장애/링크 실패가 이전에 발생한 이전 CORESET에서의 TCI 테이블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전 CORESET에 대한 TCI 테이블을 재구성한 후, 그것은 이전에 실패한 링크가 다시 정상으로 복구됨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및 레이어 2 시그널링(MAC-CE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2 임계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후에 제4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제4 시그널링은,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SCH QCL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한다.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DCI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한다.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 세트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한다.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실패가 발생한 자원 세트(즉, 이전 CORESET)이다. 이 경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시간 주파수 자원을 변경하지 않고,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QCL을 재구성하여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복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시간이 만료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전송된 제어 정보를 적절히 검출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자원 세트이다. 즉, 링크 실패가 발생한 자원 세트는 폐기되고, 새로운 자원 세트가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새 자원 세트의 시간 주파수 자원 및 QCL은 모두,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자원 세트의 것과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로서,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QCL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는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전술한 PDCCH QCL 정보이다.
제1 측면에서 설명된 방법이 수행될 때,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기 전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CCH/PDSCH를 적절하게 수신할 수 있어,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측면에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대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측면에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대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1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메모리,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제1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즉, 제1 측면에서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2 측면에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메모리,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제2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즉, 제2 측면에서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에 설명된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에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한다. 명령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한다. 명령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측면에서 설명된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제1 측면에서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호출하거나,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제2 측면에서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호출하거나,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 또는 배경에서 기술적 해결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 예들 또는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 아키텍처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다중 빔 네트워크에서의 여러 PDCCH 전송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빔 훈련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빔 장애 검출 및 링크 복구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정보 표시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정보 표시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구현 부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출원의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고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래의 진화된 5 세대(5th 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 NR(New Radio) 시스템, 머신 투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 하나 이상의 단말(103) 및 코어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기지국 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일부 단말 기능(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과 마이크로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거나,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B) 또는, 5G 시스템 또는 NR(new radio) 시스템의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AP(Access Point), TRP(Transmission Receive Point), CU(Central Unit)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으며, 전술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3)은 전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분산될 수 있거나, 고정형(stationary)이거나, 이동형(mobile)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103)은 이동 디바이스,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유닛(mobile unit), M2M 단말, 라디오 유닛, 원격 유닛, 단말 에이전트, 이동 클라이언트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중 빔 통신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하고,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도록 안테나 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전체 셀(107)을 커버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여러 방향으로 복수의 빔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빔들을 여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무선 신호(예를 들어, 다운링크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및/또는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빔 스캔(Beam scanning)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103)은 전송 빔을 측정하고, 단말(103)이 수신할 수 있는 전송 빔의 신호 품질을 결정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빔 측정(Beam measurement)이라고 한다.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03)에는 또한 안테나 어레이가 제공되거나, 단말(103)은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여러 빔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 및 단말(103)은 모두 복수의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가 단말(103)에 PDCCH를 송신하는 방식이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될 수 있다.
도 2a는, PDCCH를 단말(103)에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01)가 하나의 전송 빔(예를 들어, 빔 a)을 사용하고,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103)이 하나의 수신 빔(예를 들어, 빔 1)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빔 a와 빔 1이 쌍을 이룬다.
도 2b는, PDCCH를 단말(103)에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01)가 하나의 전송 빔(예를 들어, 빔 a)을 사용하고,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103)이 복수의 수신 빔(예를 들어, 빔 1 및 빔 3)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빔 a와 빔 1이 쌍을 이루고, 빔 a와 빔 3이 쌍을 이룬다.
도 2c는, PDCCH를 단말(103)에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01)가 복수의 전송 빔(예를 들어, 빔 a 및 빔 b)을 사용하고,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103)이 복수의 수신 빔(예를 들어, 빔 1 및 빔 3)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c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빔 a와 빔 1이 쌍을 이루고, 빔 b와 빔 3이 쌍을 이룬다.
도 2d는, PDCCH를 단말(103)에 송신하기 위해 단말(103)이 복수의 전송 빔(예를 들어, 빔 a 및 빔 b)을 사용하고,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103)이 동일한 수신 빔(예를 들어, 빔 1)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d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빔 a와 빔 1이 쌍을 이루고, 빔 b와 빔 1이 쌍을 이룬다.
이에 대응하여,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4 개의 PDCCH 전송 시나리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1)가 PDSCH를 단말(103)에 송신하는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차별적인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및 수신 빔은, 기지국 전송 빔(또는 기지국 송신 빔으로 지칭됨) 및 기지국 수신 빔을 포함하는 기지국 빔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기지국 전송 빔 및 복수의 기지국 수신 빔을 가질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및 수신 빔은, 단말 전송 빔(또는 단말 송신 빔으로 지칭됨) 및 단말 수신 빔을 포함하는 단말 빔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단말 전송 빔 및 복수의 단말 수신 빔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쌍을 이룬 기지국 전송 빔 및 단말 수신 빔과 쌍을 이룬 단말 전송 빔 및 기지국 수신 빔은, 빔 훈련 프로세스에서 쌍을 이룬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빔 훈련 프로세스이다. 도 3의 (e)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빔이 훈련되는 프로세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빔을 송신하고,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빔을 측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빔 중 비교적 최적인 빔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반대로, 도 3의 (d)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빔이 훈련되는 프로세스이다. 단말은 복수의 빔을 송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빔을 측정하고, 단말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빔 중 비교적 최적인 빔을 단말에 통지한다. 빔 훈련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과의 통신에 있어 비교적 최적인 N 개의 빔 쌍(Beam Pair Link, BPL)을 획득한다. 빔 쌍(BPL) <Bx, B'x>에서, Bx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을 나타내고, B'x는 단말의 수신 빔을 나타낸다. 빔 쌍(BPL) <By, B'y>에서, By는 단말의 전송 빔을 나타내고, B'y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 빔을 나타낸다. 이후의 단말과의 통신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 개의 BPL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비교적 최적의 빔은, 빔이 비교적 높은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각각의 기지국 수신 빔은, 하나의 대응하는 기지국 전송 빔을 가진다. 여기에서, 기지국 수신 빔이 기지국 전송 빔에 대응한다는 것은 동일한 지향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 수신 빔과, 기지국 수신 빔에 대응하는 기지국 전송 빔은 동일한 빔일 수 있고, 동일한 트랜시버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 수신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와, 대응하는 기지국 전송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는 QCL(Quasi Co-location)을 만족할 수 있다.
이 응용에서, 각각의 단말 수신 빔은, 하나의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을 가진다. 여기에서, 단말 수신 빔이 단말 전송 빔에 대응한다는 것은 동일한 지향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수신 빔과,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은 동일한 빔일 수 있고 동일한 트랜시버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와,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는 QCL을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빔은, 기준 신호 자원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거나, QCL 정보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은 QCL(Quasi Co-location)의 개념에 관한 것이다. QCL은 빔포밍 정보 및 사용자의 수신 측의 수신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QCL 정보는 일부 공간 특징 파라미터, 예를 들어, 출발 수평 각(출발 방위각(Azimuth angle of Departure, AoD)), 출발 수직 각(출발 천정각(Zenith angle of Departure, ZoD)), 출발 수평 각 확산(출발 방위각 확산(Azimuth angle spread of Departure, ASD)) 및 출발 수직 각 확산(출발 천정각 확산(Zenith angle spread of Departure, ZSD))과 같은 출발 각에 관련된 파라미터나, 도착 수평 각(도착 방위각(Azimuth angle of Arrival, AoA)), 도착 수직 각(도착 천정각(Zenith angle of Arrival, ZoA)), 도착 수평 각 확산(도착 방위각 확산(Azimuth angle spread of Arrival, ASA)) 및 도착 수직 각 확산(도착 천정각 확산(Zenith angle spread of Arrival, ZSA))과 같은 도착 각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공간 특징 파라미터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들의 안테나 포트들 사이의 공간 채널의 특징을 기술한다. QCL 정보는 또한 공간 수신(Receive, RX)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QCL 정보는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주파수 편이, 평균 이득 및 평균 지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QCL에 포함되는 공간 특징 파라미터는 또한 전술한 파라미터 이외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것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후보 종래 기술에서, QCL을 단말에 표시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후보 종래 기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에 송신되는 QCL은 다음을 표시 및 제한한다: 단말에 의해 이전에 보고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수행된 측정에서 획득한 M 개의 전송 및 수신 빔 쌍 중 하나가 QCL 관계를 만족한다. 즉, 현재 데이터에 대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수신 빔은, 단말에 의해 이전에 보고된, CSI-RS 기반 측정에서 획득한 M 개의 전송 및 수신 빔 쌍의 하나의 수신 빔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빔의 CSI-RS를 측정하여, 몇 개의 비교적 최적인 빔, 예를 들어 4 개의 빔을 선택하고, 4 개의 최적인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 빔 측정 정보는 BSI(Beam Status Information)이고, 내용은 빔의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주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에 송신되는 QCL은, 단말에 의해 이전에 보고된, CSI-RS 기반 측정에서 획득한 4 개의 전송 및 수신 빔 쌍의 제3 CSI-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며, 단말은 제3 CSI-RS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SCH를 수신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전술한 빔 훈련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과의 통신에서 비교적 최적인 N 개의 빔 쌍(Beam Pair Link, BPL)을 획득한다. 이후의 단말과의 통신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 개의 BPL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그러나, 통신 프로세스에서의 차단 및 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열악한 회절 능력으로 인해, 현재 서비스의 빔이 차단되고 신호 전송을 계속할 수 없다. 빔이 차단되고 통신이 갑자기 중단되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 빔 품질을 검출하고 빔이 차단될 때 링크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빔이 차단 될 때 링크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대해, 빔 실패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 자원 세트(빔 실패 검출 RS 세트) 및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복구를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 자원 세트(후보 빔 식별 RS 세트)(후보 기준 신호 자원 세트라고도 함)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빔 실패 검출 RS 세트의 RS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기준 신호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세트의 일부 또는 모든 기준 신호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PR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본 출원에서, 통신 링크 장애는 또한 통신 링크 실패, 빔 장애, 빔 실패, 링크 장애, 링크 실패, 통신 장애, 통신 실패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 개념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해, 단말은, 후보 기준 신호 세트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 자원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 여기에서, 빔 실패 검출 RS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에 대한 채널 품질을 검출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전송 빔은, 단말과 통신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빔이다. 후보 빔 식별 RS 세트는, 단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 상에서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한 후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 세트이다. 본 출원에서, 링크 재구성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의 복구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특정 구현에서, 빔 장애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 자원 세트와,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 자원 세트는 또한 다른 명칭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DCCH/PDSCH의 QCL 관계를 단말에 통지하여 단말이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PDSCH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현재 표준에서는, PDCCH의 QCL 관계를 단말에 통지하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및/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반 정적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이 합의되었다. PDSCH의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및 RRC CE 및/또는 MAC CE를 포함하는 동적 시그널링은, PDSCH의 QCL 관계(TCI 테이블)를 단말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모든 통신 링크 장애는 다음 시나리오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빔을 사용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경우, 전송 빔이 차단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은 계속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통신이 중단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할 수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단말(200)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단말 프로세서(201), 메모리(202), 통신 인터페이스(203), 수신기(205), 전송기(206), 커플러(207), 안테나(208), 단말 인터페이스(202) 및 입력/출력 모듈(오디오 입력/출력 모듈(210), 키 입력 모듈(211), 디스플레이(212) 등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 요소들은 버스(204)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들은 버스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통신 인터페이스(203)는, 단말(200)과 다른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203)는 LTE(Long Term Evolution)(4G)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거나, 5G 또는 미래의 뉴 라디오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단말(2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제한되지 않으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03), 예를 들어, 로컬 액세스 네트워크(Local Access Network, LAN)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전송기(206)는, 단말 프로세서(20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 예를 들어 빔포밍을 통해 지향성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205)는 안테나(208)에 의해 수신되는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 예를 들어 빔포밍을 통해 지향성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송기(305)/수신기(306)는 빔포밍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의 지향성 전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이는 송신된 신호/수신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 W1, ..., Wm을 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기지국 빔 스위칭은, 전송기(305)/수신기(306)의 빔포밍 제어기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되어, 신호/수신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송기(206) 및 수신기(205)는 하나의 무선 모뎀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전송기(206)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20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08)는, 전송 라인의 전자기 에너지를 자유 공간의 전자기파로 변환하거나, 자유 공간의 전자기파를 전송 라인의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플러(207)는, 안테나(208)에 의해 수신되는 이동 통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분할하고, 이동 통신 신호를 복수의 수신기(205)에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전송기(206) 및 수신기(205) 외에, 단말(200)은 다른 통신 구성 요소, 예를 들어 GP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전술한 무선 통신 신호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무선 통신 신호, 예를 들어 위성 신호 또는 단파 신호를 지원할 수 있다. 단말(200)은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고, 유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LAN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출력 모듈은, 단말(200)과 단말/외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주로 오디오 입력/출력 모듈(210), 키 입력 모듈(211), 디스플레이(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출력 모듈은 카메라, 터치 스크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출력 모듈은 단말 인터페이스(209)를 사용하여 단말 프로세서(201)와 통신한다.
메모리(202)는 단말 프로세서(201)와 연결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의 명령 그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 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비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2)는 운영 체제(이하, 시스템이라 칭함),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iOS, Windows 또는 Linux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2)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그램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추가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02)는 단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용을 생생하게 표시하고, 메뉴, 대화 상자 또는 키와 같은 입력 제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 .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202)는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신호 전송 방법을 단말(200) 측에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신호 전송 방법의 구현에 대해서는, 후속 실시 예들을 참조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201)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프로세서(201)는 메모리(212)에 저장된 프로그램, 예를 들어,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신호 전송 방법을 단말(200) 측에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단말(103)일 수 있고, 이동 디바이스,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유닛(mobile unit), 라디오 유닛, 원격 유닛, 단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말(200)은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의 구현일 뿐임을 유의해야 한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200)은 또한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 메모리(302), 통신 인터페이스(303), 전송기(305), 수신기(306), 커플러(307) 및 안테나(30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 요소들은 버스(304)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들은 버스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와 다른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단말(20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03)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03)는 LTE(Long Term Evolution)(4G)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거나, 5G 또는 미래의 뉴 라디오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제한되지 않으며, 유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303)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300) 사이의 백홀(backhaul) 연결은 유선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전송기(305)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 예를 들어 빔포밍을 통해 지향성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306)는 안테나(308)에 의해 수신되는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 예를 들어 빔포밍을 통해 지향성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송기(305)/수신기(306)는 빔포밍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의 지향성 전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이는 송신된 신호/수신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 W'1, ..., W'm을 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기지국 빔 스위칭은, 전송기(305)/수신기(306)의 빔포밍 제어기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되어, 신호/수신된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송기(305) 및 수신기(306)는 하나의 무선 모뎀으로 간주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하나 이상의 전송기(305)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306)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08)는, 전송 라인의 전자기 에너지를 자유 공간의 전자기파로 변환하거나, 자유 공간의 전자기파를 전송 라인의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플러(307)는, 수신된 이동 통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분할하고, 이동 통신 신호를 복수의 수신기(306)에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와 연결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의 명령 그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 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비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운영 체제(이하, 시스템이라 칭함), 예를 들어 uCOS, VxWorks 또는 RTLinux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그램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추가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는 무선 채널을 관리하고, 호(call) 및 통신 링크를 설정 및 해제하고, 로컬 제어 영역 내의 단말에 대한 셀 핸드오버 제어를 제공하는 등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는, 관리 모듈/통신 모듈(Administration Module/Communication Module, AM/CM)(음성 채널 스위칭 및 정보 교환의 중심으로 사용됨), 기본 모듈(Basic Module, BM)(호 프로세싱, 시그널링 프로세싱, 무선 자원 관리 및 회로 유지 기능을 완료하도록 구성됨), 트랜스코더 및 서브 멀티플렉서(Transcoder and SubMultiplexer, TCSM) 유닛(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 및 트랜스코딩 기능을 완료하도록 구성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2)에 저장된 프로그램, 예를 들어,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신호 전송 방법을 네트워크 디바이스(300) 측에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일 수 있고,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트랜시버,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NodeB, eNodeB, 액세스 포인트, TRP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의 구현일 뿐임을 유의해야 한다. 실제 응용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또한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단말(20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 대응하는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빔 장애 검출 및 링크 복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빔 장애 검출 및 링크 복구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601.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검출을 수행하고 새로운 빔을 식별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새로운 빔 식별에서 식별은 다음을 의미한다.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단말은,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해, 후보 기준 신호 세트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 자원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전송 빔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검출하고, 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에서 통신 링크 장애가 발생함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전송 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송 빔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에서 통신 링크 장애의 발생 원인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프로세스에서의 차단 및 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열악한 회절 능력으로 인해, 현재 서비스의 빔이 차단되고 신호 전송을 계속할 수 없다.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PR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검출을 계속하고,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양호한 채널/신호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식별(또는 선택)한다. 양호한 채널/신호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식별하는 것은,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을 식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은 다음을 의미한다.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PR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거나,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이 복수의 빔 중 가장 우수하다. 이 경우, 가장 우수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은,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식별된 기지국 전송 빔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개별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전송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복수의 전송 빔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을 선택한다. 본 출원에서,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빔과 양호한 채널/신호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선택된 기지국 전송 빔은 양호한 품질을 갖기 때문에, 이는 기지국 전송 빔에 대응하는 단말 수신 빔 또한 양호한 품질을 가짐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는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 또한 양호한 품질을 가짐을 표시한다.
S602. 단말 디바이스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링크 실패 또는 통신 실패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계 S601에서 양호한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을 식별하며, 양호한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에 대응하는 단말 수신 빔 또한 양호한 품질을 가진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을 갖는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 또한 양호한 품질을 가진다. 단말은, 양호한 품질을 갖는 단말 전송 빔을 이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에서, 기지국 전송 빔은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한다. 단말의 각 수신 빔은 단말의 하나의 전송 빔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단말 수신 빔이 단말 전송 빔에 대응한다는 것은 동일한 지향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수신 빔과,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은 동일한 빔일 수 있고, 동일한 트랜시버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와,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는 QCL될(quasi co-locationed) 수 있다. 선택적으로, QCL은 다음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거나, 결정된 대응성(determined correspondence)을 가짐을 의미한다: 도착 각(angle of arrival)(AoA), 도미넌트 AoA(Dominant AoA), 도착 평균 각, 도착 각의 전력 각도 스펙트럼(power angular spectrum(PAS) of AoA), 출발 각(angle of departure, AoD), 도미넌트 출발 각, 출발 평균 각, 출발 각의 전력 각도 스펙트럼, 단말 전송 빔포밍, 단말 수신 빔포밍, 공간 채널 상관, 기지국 전송 빔포밍, 기지국 수신 빔포밍, 평균 채널 이득, 평균 채널 지연,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등.
S603.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S604.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빔 측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여러 전송 빔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여러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S605. 단말 디바이스는 빔 품질을 보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빔 품질을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빔 채널 품질을 보고하기 위해 M 개의 비교적 최적인 기지국 전송 빔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비교적 최적인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은 다음을 의미한다.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PR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거나,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기지국 전송 빔의 채널 품질이 복수의 기지국 전송 빔 중 가장 우수하다. 이 경우, 가장 우수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은,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 식별된 기지국 전송 빔에 해당한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에서 링크 실패/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QCL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가 PDCCH/PDSCH를 수신/검출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빔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현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전송 빔을 의미한다. 빔에서 링크 실패/링크 장애가 발생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기지국 전송 빔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PR 또는 CQ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음을 검출함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빔 채널 품질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PDCCH/PDSCH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QCL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PDCCH/PDSCH를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도록 재 지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단말(20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 대응하는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2 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 PDCCH 및 PDSCH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정보 표시 방법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정보 표시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정보 표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에서 링크 실패/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의해 재구성된 QCL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수신/검출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표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701. 단말 디바이스는,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링크 실패를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빔 링크 실패 또는 통신 실패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링크 실패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빔의 품질 및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의 품질이 특정 수준으로 저하될 때 통신 실패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즉, PDCCH를 송신 및 수신하는 빔 페어(Beam Pair Link, BPL)의 품질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저하되는 경우 통신 실패가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모든 기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링크 실패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여기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계 S601에서, 양호한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해당 빔은 도 2a 내지 도 2d의 빔 b라고 가정함)을 식별하고, 양호한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에 대응하는 단말 수신 빔(해당 빔은 도 2a 내지 도 2d의 빔 2라고 가정함) 역시 양호한 품질을 가진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을 갖는 단말 수신 빔(빔 2)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단말 수신 빔과,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은 동일한 빔이므로, 단말 전송 빔 역시 빔 2라고 가정함) 역시 양호한 품질을 가진다. 단말은 양호한 품질을 갖는 단말 전송 빔(빔 2)을 이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양호한 품질을 갖는 기지국 전송 빔을 식별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또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 자원)를 식별함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양호한 품질을 갖는 식별된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을 이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이 경우, 다운링크 빔 정보(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기준 신호 자원의 채널 품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는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피드백될 수 있다. 피드백을 위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자원이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빔 정보를 암시적으로 통지받을 수 있다. PRACH 자원과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대응(연관) 관계에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요청을 수신하는 특정 PRACH 자원을 식별하여, 단말에 의해 식별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 자원을 학습할 수 있다. 피드백을 위해 PUCCH 자원이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를 명시적으로 통지받을 수 있다. 업링크 빔과 다운링크 빔 사이에 상호성(reciprocity)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양호한 품질을 갖는 식별된 단말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빔을 이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빔과 다운링크 빔 사이에 상호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링크(즉, 기지국 전송 빔)가 실패하더라도, 업링크에서 링크 실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단말은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거나, 빔 스캐닝을 통해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 즉, 복수의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이전 업링크 빔을 사용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빔이 양호한 품질을 가진다는 것은, 빔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S70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PDCCH를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PDCCH를 검출하며,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정보를 포함하고, 제1 기준 신호는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PDCCH를 검출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 다시 말해, PDCCH 및 제2 기준 신호는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PDCCH 및 제2 기준 신호의 DM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PDCCH는 제2 기준 신호와 동일한 공간 수신 파라미터(Spatial Rx parameter)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여기에서, 제1 시간의 시작 모멘트는 모멘트 n이고,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1 시그널링은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시그널링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QCL 정보이다.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layer-3 signaling)(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레이어 2 시그널링(layer-2 signaling)(MAC-CE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및 레이어 1 시그널링(layer-1 signaling)(DCI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2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지며, 단계 S601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특정 단말 전송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단말 전송 빔들(빔 2)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한다.
본 출원에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
이들 두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 상에서 링크 실패가 발생함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현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들 두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훈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C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C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임계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즉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CCH QCL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검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정보 표시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정보 표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에서 링크 실패/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의해 재구성된 QCL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SCH를 수신/검출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표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801. 단말 디바이스는,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단계 S801에 관한 설명은 단계 S70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80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PDCCH를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PDSCH를 검출하며, 여기서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정보를 포함하고, 제3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제4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 다시 말해, PDSCH 및 제4 기준 신호는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PDCCH 및 제4 기준 신호의 DM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PDSCH는 제4 기준 신호와 동일한 공간 수신 파라미터(Spatial Rx parameter)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여기에서, 제2 시간의 시작 모멘트는 모멘트 n이고,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3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3 시그널링은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테이블은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구성된 TCI 테이블이다. 특히, 본 출원에서는 2 개의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이전 CORESET(previous CORESET) 및 전용 CORESET이 사용된다. 이전 CORESET은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에 대응하고, 이전에 빔 링크에서 통신이 정상일 때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며, 전용 CORESET은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주로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CORESET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제어 채널 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블라인드 검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NR 표준이 공식화되는 과정에서 CORESET의 개념이 제시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세트는 제어 영역에서 각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분할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 자원 세트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자원 세트와 연관된 다른 구성, 예를 들어 검색 공간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 영역의 분할을 통해 획득한 복수의 제어 자원 세트에서, 제어 자원 세트는 구성 정보가 상이하며,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 폭이 상이하고 시간 도메인 길이가 상이하다. 본 출원에서 제3 시그널링으로 표시되는 PDSCH TCI 테이블은 실제로, 링크 장애/링크 실패가 이전에 발생한 이전 CORESET에서의 TCI 테이블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전 CORESET에 대한 TCI 테이블을 재구성한 후, 그것은 이전에 실패한 링크가 다시 정상으로 복구됨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RRC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및 레이어 2 시그널링(MAC-CE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전술한 제4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관련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지며, 단계 S601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전송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전송 빔(빔 2)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본 출원에서, 전술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실패가 발생한 후 및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들 두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 상에서 링크 실패가 발생함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현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좋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제2 임계값 및 전술한 제1 임계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들 두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가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시간 동안 새로운 빔을 훈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식별한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가장 우수한 채널 품질을 갖는 기준 신호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즉, 이 때, 단말 디바이스는 PDSCH 및 기준 신호의 DM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CL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예를 들어, 빔 2)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신 빔(빔 2)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제2 임계값 및 전술한 제1 임계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즉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SCH QCL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SCH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재구성된 QCL은, 링크 장애/링크 실패가 이전에 발생한 이전 CORESET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QCL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SCH QCL 정보는 TCI 상태로 표시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TCI 테이블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TCI 테이블은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되거나 MAC CE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TCI 테이블은 PDSCH의 복수의 후보 QCL 정보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되는 복수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TCI 상태를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송신하며, 여기서 TCI 상태는 PDSCH의 QCL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TCI 테이블의 상태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TCI 상태를 수신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PDSCH를 검출/수신하기 위해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시함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빔에서 링크 장애/실패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CI 상태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지 않은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 방식으로 PDSCH를 검출한다. 디폴트 방식은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 특정 구현에 대해서는 단계 S702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는 SS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SS 블록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able, TCI table)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제2 임계값을 만족하고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TCI 테이블이 디폴트 상태를 포함하고, 디폴트 상태에 대응하는 TCI 상태의 인덱스 값은 예를 들어 0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된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한다. 이 경우,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 특정 구현에 대해서는 단계 S702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는 SS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SS 블록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PDSCH를 검출하기 전에,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DCI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TCI state)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이 경우, 구현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TCI 상태가 디폴트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TCI 상태를 유효한 것으로 식별한 다음,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거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TCI 상태가 디폴트 상태 이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거나, TCI 상태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정한 다음,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한다. 다른 구현은 다음과 같다. 디폴트 상태가 수신된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말 디바이스는 TCI 상태를 디폴트 상태로 자동적으로 해석한 다음,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전송 빔을 사용하여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전송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에 대한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2 임계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제4 시그널링은,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PDSCH QCL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한다.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DCI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를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 세트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한다.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실패가 발생한 자원 세트(즉, 이전 CORESET)이다. 이 경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시간 주파수 자원을 변경하지 않고, 제2 제어 자원 세트에 대한 QCL을 재구성하여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복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시간이 만료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전송된 제어 정보를 적절히 검출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된 자원 세트이다. 즉, 링크 실패가 발생한 자원 세트는 폐기되고, 새로운 자원 세트가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새 자원 세트의 시간 주파수 자원 및 QCL은 모두,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자원 세트의 것과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로서,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QCL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는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전술한 PDCCH QCL 정보이다.
본 출원에서, CORESET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할당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다.
본 출원이 구현될 때,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기 전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CCH/PDSCH를 적절하게 수신할 수 있어,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400)은 송신 유닛(401) 및 제1 검출 유닛(402)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유닛(401)은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검출 유닛(402)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고, 및/또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의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제1 기준 신호는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의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제3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시그널링은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0)는,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C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를 대해 구성된다.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0)는,
제2 시간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제1 검출 유닛(402)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PDSCH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디폴트 QCL 정보는 제2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제1 검출 유닛(402)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고,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디폴트 QCL 정보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3 시그널링은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테이블은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0)는,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유닛 - 여기서,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제4 시그널링은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0)는,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0)는,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5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0)는,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정보 - 여기서, QCL 정보는,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 -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3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400)에 포함된 기능 유닛들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500)는 수신 유닛(501) 및 송신 유닛(50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501)은,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송신 유닛(502)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제1 기준 신호는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고; 및/또는
송신 유닛(502)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제3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관련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및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및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제1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시그널링은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502)은,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C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및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제4 기준 신호는,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5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TCI 테이블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3 시그널링은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테이블은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502)은,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제4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제4 시그널링은,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CI 상태는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및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5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5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이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5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 포함되는 기능 유닛의 상세한 구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 방안들이 구현될 때,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링크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기 전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PDCCH/PDSCH를 적절하게 수신할 수 있어,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 개시된 내용과 조합하여 설명되는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또는 당 업계에 잘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요소 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ASIC은 트랜시버 또는 릴레이 디바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개별 컴포넌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목적, 기술적 해결 방안 및 유리한 효과는 전술한 특정 구현들에서 상세히 추가로 설명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특정 구현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기술적 해결 방안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균등한 교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19)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quasi co-location assumption)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layer-3 signaling), 레이어 2 시그널링(layer-2 signaling) 및 레이어 1 시그널링(layer-1 signal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able, TCI table)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TCI state)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디폴트 QCL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임 - 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고,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디폴트 QCL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임 -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1항,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 - 여기서, 상기 QCL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 - 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4. 제15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4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9. 단말 디바이스로서,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7.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것 - 여기서, 상기 디폴트 QCL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임 - 을 포함하거나,
    상기 검출 유닛이,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고,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것 - 여기서, 상기 디폴트 QCL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임 -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38. 제29항, 제34항, 제35항,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단말 디바이스.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단말 디바이스.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 - 여기서, 상기 QCL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 -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4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1.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
  52. 제43항, 제48항, 제49항,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4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네트워크 디바이스.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7.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수신기 및 전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디바이스.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6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5.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고,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것 - 여기서, 상기 디폴트 QCL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임 -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66. 제57항, 제62항, 제63항, 제64항 또는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68.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단말 디바이스.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단말 디바이스.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 - 여기서, 상기 QCL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 - 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7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수신기 및 전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네트워크 디바이스.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4. 제71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6.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7.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8.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9. 제76항 또는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
  80. 제71항, 제76항, 제77항, 제78항 또는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4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2.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네트워크 디바이스.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5.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기를 제어하여, 모멘트 n에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검출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프로세서.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87.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88. 제85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서.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프로세서.
  9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91.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92.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93. 제90항 또는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2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모멘트 n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QCL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고, 디폴트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는 것 - 여기서, 상기 디폴트 QCL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임 - 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94. 제85항, 제90항, 제91항, 제92항 또는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서.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프로세서.
  96.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프로세서.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프로세서.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 - 여기서, 상기 QCL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 - 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프로세서.
  99.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기를 제어하여, 모멘트 n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 여기서,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는 링크 재구성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전송기를 제어하여,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및/또는
    전송기를 제어하여,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멘트 n 이후 제1 시간 동안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제3 기준 신호 및 제4 기준 신호에 대한 QCL 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신호는 상기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제2 임계값을 만족하는 기준 신호임 -,
    프로세서.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을 만족하는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10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102. 제99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레이어 2 시그널링 및 레이어 1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PDC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서.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상기 PDC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프로세서.
  104.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와 연관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105.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링크 장애가 발생한 후 상기 링크 재구성 요청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채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 중에서 채널 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106.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전송 구성 표시 테이블(TCI 테이블)에서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디폴트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4 기준 신호는, 상기 PDCCH와의 QCL 관계를 만족하는 기준 신호, 또는 초기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107. 제104항 또는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전송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TCI 테이블에서의 상태이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 이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됨 -, 프로세서.
  108. 제99항, 제104항, 제105항, 제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의 종료 모멘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모멘트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레이어 3 시그널링 및 레이어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상기 PDSCH의 TCI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테이블은 상기 PDSCH의 후보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서.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제4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4 시그널링은 레이어 1 시그널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3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TCI 테이블에서 TCI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TCI 상태는 상기 PDSCH의 QCL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4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PDSCH QC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SCH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프로세서.
  110.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고, 링크 재구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 -, 프로세서.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시간의 상기 종료 모멘트 이후에 제2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는, 링크 장애가 발생한 자원 세트임 -, 프로세서.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제어 자원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자원 세트의 QCL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프로세서.
  113.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2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단말 디바이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43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57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단말 디바이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7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통신 시스템.
  114.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
  115.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
  116.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7.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8.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9.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KR1020207016780A 2017-11-17 2018-07-12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449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53339.5 2017-11-17
CN201711153339.5A CN109803423A (zh) 2017-11-17 2017-11-17 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PCT/CN2018/095512 WO2019095709A1 (zh) 2017-11-17 2018-07-12 一种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032A true KR20200084032A (ko) 2020-07-09
KR102449664B1 KR102449664B1 (ko) 2022-09-30

Family

ID=665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780A KR102449664B1 (ko) 2017-11-17 2018-07-12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51433B2 (ko)
EP (1) EP3713336B1 (ko)
JP (1) JP7030192B2 (ko)
KR (1) KR102449664B1 (ko)
CN (4) CN109803423A (ko)
BR (1) BR112020009800A2 (ko)
CA (1) CA3084555C (ko)
WO (1) WO2019095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3423A (zh) * 2017-11-17 2019-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1751183B2 (en) * 2018-01-12 2023-09-05 Nokia Technologies Oy CORESET and QCL association in beam recovery procedure
CN110417525B (zh) * 2018-09-28 202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处理装置及存储介质
CN111416639B (zh) * 2019-01-07 2021-06-2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JP7407186B2 (ja) * 2019-06-13 2023-12-2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2118037B (zh) * 2019-06-21 2022-10-1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波束切换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11496276B2 (en) * 2019-07-04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s
CN112187426B (zh) * 2019-07-05 2022-06-1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天线端口确定方法和通信设备
CN112398615B (zh) * 2019-08-15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Tci状态确定方法、信道传输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
CN111082912B (zh) * 2019-10-12 2023-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确定方法及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EP4068830A4 (en) * 2019-11-26 2023-07-26 Ntt Docomo,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11711115B2 (en) * 2020-04-30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Quasi-co-location (QCL) indication for 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enabled sidelink communications
EP4150949A4 (en) * 2020-05-15 2024-02-21 Apple Inc BEAM FAILURE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CI MODE
US11736957B2 (en) * 2020-06-10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ynamic downlink and uplink quasi co-location relationship reporting
US20220302986A1 (en) * 2020-08-04 2022-09-22 Apple Inc. Cross-Cell Beam Failure Recovery
CN116114209A (zh) * 2020-08-06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用户设备预期的公共波束切换的方法和装置
CN116567171B (zh) * 2021-09-03 2024-04-23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8070B2 (en) * 2012-05-14 2015-11-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2015KN00417A (ko) * 2012-10-04 2015-07-17 Lg Electronics Inc
US9307521B2 (en) * 2012-11-01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scheme and quasi co-location assumption of antenna ports for PDSCH of transmission mode 10 for LTE advanced
CN104349460B (zh) * 2013-07-25 2019-09-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下行配置信息通知、获取方法以及基站和用户设备
KR102241076B1 (ko) * 2013-07-29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IB CoMP 방법 및 장치
US9930515B2 (en) * 2014-05-15 2018-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discovery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06465374B (zh) * 2014-05-30 2020-11-10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CN105812105B (zh) * 2014-12-30 2020-05-08 杭州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解调参考信号的传输装置、系统及方法
WO2016122232A1 (ko) * 2015-01-30 2016-08-0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48458B2 (en) * 2015-03-13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coordinated transmission on unlicensed spectrum
CN107079459A (zh) 2015-08-11 2017-08-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从波束故障中恢复
US10015757B2 (en) * 2015-09-14 2018-07-03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EP3566336A1 (en) 2017-01-06 2019-11-13 IDAC Holdings, Inc. Beam failure recovery
US11134492B2 (en) * 2017-04-12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covery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EP4132103A1 (en) * 2017-08-10 2023-02-08 IPLA Holdings Inc. Connected mode mobility in new radio
US10666400B2 (en) * 2017-09-11 2020-05-26 Nokia Technologies Oy Enhancing monitoring of multipl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beam based system
CN109803423A (zh) * 2017-11-17 2019-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6410 *
3GPP R1-1717805 *
3GPP R1-1718803* *
3GPP R2-1711337* *
3GPP TS38.213 v1.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56239A (zh) 2020-06-30
JP2021503811A (ja) 2021-02-12
BR112020009800A2 (pt) 2020-11-03
CA3084555C (en) 2024-01-09
JP7030192B2 (ja) 2022-03-04
EP3713336B1 (en) 2022-06-08
CN111357362A (zh) 2020-06-30
CN110536446A (zh) 2019-12-03
CN111356239B (zh) 2021-01-01
US11451433B2 (en) 2022-09-20
EP3713336A4 (en) 2021-01-20
EP3713336A1 (en) 2020-09-23
CN110536446B (zh) 2020-08-07
CA3084555A1 (en) 2019-05-23
KR102449664B1 (ko) 2022-09-30
CN109803423A (zh) 2019-05-24
WO2019095709A1 (zh) 2019-05-23
US20200280483A1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664B1 (ko) 신호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
WO2019137509A1 (zh) 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1611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
US11716691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EP34560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ighbors in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beamforming
US10644777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for layer-3 (L3) mobility
US20210239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ine of Sight (LOS)
US10498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operations management
US11438081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CN109076533B (zh) 利用波束成形信号初始附着在通信系统中的方法和系统
CN117998381A (zh) 用于通信波束恢复的系统和方法
EP3742653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1387956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JP7157515B2 (ja) ユーザ装置、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