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831A -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831A
KR20200083831A KR1020180173353A KR20180173353A KR20200083831A KR 20200083831 A KR20200083831 A KR 20200083831A KR 1020180173353 A KR1020180173353 A KR 1020180173353A KR 20180173353 A KR20180173353 A KR 20180173353A KR 20200083831 A KR20200083831 A KR 2020008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hole
barb
anchor
anch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644B1 (ko
Inventor
이예린
백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8017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6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plastically deformed during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47Mode of fixation of anchor to tendon or ligament
    • A61F2002/0852Fixation of a loop or U-turn, e.g. eyelets, anchor having multiple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는, 섬유질로 이루어진 앵커 몸체(10)와, 상기 앵커 몸체(10)에 체결되는 봉합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조직을 골(bone)에 고정하도록 천공된 골 내부로 인입 후 형상 변형 및 고정되는 슬리브 앵커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10) 또는 봉합사(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진 미늘(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앵커 몸체나 봉합사에 미늘이 형성되어 연조직 결착시 잘 풀리지 않고 매듭이 풀리더라도 미늘 형상에 의해 잘 이탈하지 않게 되고, 뿐만 아니라, 미늘은 생체분해성 원료로 형성되어 일정 기간까지만 봉합사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고, 일정 기간 후에는 자연스럽게 분해됨으로써 앵커를 분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sleeve anchor with biodegradable barb}
본 발명은 힘줄, 인대 및 근육과 같은 연조직을 골에 고정하도록 골 내부로 인입 후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는 슬리브 앵커에 관한 것으로, 봉합사나 앵커 몸체에 생분해성 미늘이 형성되어 있어 수술 과정 및 수술 직후에 뼈나 연조직에 우수하게 고정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제거가 용이한,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힘줄, 인대 및 근육과 같은 연조직에 손상(파열)이 발생하거나 연조직이 끊어진 경우 그 손상된 부분의 연조직을 골(bone)에 부착 및 고정하여 치료하는 수술 방법이 사용된다.
예컨대, 스포츠나 레져 인구의 증가에 따라 회전근개(rotator cuff) 파열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는 경우 손상된 부위를 제거한 후 정상인 회전근개를 골에 고정하여 치료한다.
이때, 회전근개 등과 같은 연조직을 골에 고정하도록, 골에 구멍을 뚫어 앵커를 박고, 앵커에 연결된 봉합사를 연조직에 묶음으로써 연조직을 골에 부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136707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6855호 등에서 소개하는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의 앵커를 뼈에 볼트 결합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골밀도 등의 차이에 따라 뼈에 형성된 나사산과 앵커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앵커가 느슨해지고, 봉합사 역시 느슨해지면서 연조직을 견고하게 붙잡아 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술용 드릴을 이용하여 뼈에 나사공을 형성하기 어렵고, 의사가 수술용 드라이버로 앵커를 볼트 체결하는 동안 거부감을 느끼며, 환자의 입장에서도 금속 재질의 앵커를 삽입함에 따른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이에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4796호, 특허문헌 1)에서는 앵커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봉합사를 체결하고, 앵커 몸체를 골 내로 인입 후 봉합사를 잡아당겨 형상 변형에 의한 앵커링이 이루어지게 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완전한 오메가 형상을 이루지 못하게 될 경우 골 내에서 장시간 동안 앵커링 작용을 하거나 일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봉합사를 잡아당기면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플랫타입 슬리브 앵커"(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9682호, 특허문헌 2)에는 섬유질의 앵커 몸체를 봉합사가 여러 번에 관통하도록 이루어져 앵커의 형상이 일정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입공과 인출공 사이의 여러 텐션공 사이를 봉합사가 관통하는 구조는 텐션공에서 잡아주는 힘이 인입공 및 인출공 주변에서 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앵커의 고정력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시술시 봉합사를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칫 봉합사가 끊어지는 문제점까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앵커 몸체를 뼈에 삽입한 후 봉합사를 이용하여 연조직에 묶어 결착하게 되는데, 이 봉합사를 잘못 결착할 경우 앵커가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34796 (2016.06.23) KR 10-1849682 (2018.04.11)
본 발명의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앵커 몸체나 봉합사에 미늘이 형성되어 연조직 결착시 잘 풀리지 않고 매듭이 풀리더라도 미늘 형상에 의해 잘 이탈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미늘은 생체분해성 원료로 형성되어 일정 기간까지만 봉합사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고, 일정 기간 후에는 자연스럽게 분해됨으로써 앵커를 분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때, 미늘은 금형을 이용하여 봉합사에 일체화시키되, 금형 설치 전 봉합사 표면을 미량 박리하여 홈과 박리편을 형성함으로써 금형 내부로 공급된 고분자가 홈과 박리편을 통해 접촉 면적이 높아져 미늘이 봉합사롭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봉합사는 복수 개로 구성하면서 인입공과 인출공은 하나씩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연속으로 위치하는 각 열의 텐션공 숫자를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텐션공에서는 앵커 몸체를 최대한 잡아주게 하고, 텐션공에서 잡아주는 힘이 인입공과 인출공에서는 하나로 모이게 하여 힘의 분산을 최소화함으로써 뼈에 앵커를 고정할 대 앵커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섬유질로 이루어진 앵커 몸체(10)와, 상기 앵커 몸체(10)에 체결되는 봉합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조직을 골(bone)에 고정하도록 천공된 골 내부로 인입 후 형상 변형 및 고정되는 슬리브 앵커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10) 또는 봉합사(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진 미늘(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20)는 초고강력사(UPE)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미늘(70)은 PDO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앵커 몸체(1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앵커몸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인입공(3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 인출공(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합사(20)는, 중공관의 양단을 관통하는 메인봉합사(23)와, 상기 인입공(30)으로 일측이 삽입되어 인출공(40)으로 타측이 인출되는 제1봉합사(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늘(70)은 상기 메인봉합사(23) 및 제1봉합사(21)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앵커 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미늘(70)은 봉합사(20)의 표면에 금형(71)이 설치되고, 금형(71) 내부로 PDO 고분자를 압출하여 성형되되, 상기 봉합사(20)의 표면을 나이프(N)로 긁어내어 표면에 파여진 홈(25)과 긁어내어 돌출된 박리편(24)이 형성되고, 이 홈(25)과 박리편(24)이 형성된 위치에 금형(71)을 설치함으로써 압출시 고분자가 홈(25)에 충진되고, 박리편(24)을 감싸 PDO 고분자가 봉합사(20)에 견고하게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봉합사(20)는 제2봉합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봉합사(21)와 제2봉합사(22)가 하나의 인입공(30)과 인출공(40)을 관통하고, 상기 인입공(30)과 인출공(40) 사이에 다수 개의 텐션공(5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텐션공(50)들은 상기 인입공(30) 및 인출공(40)과 연속되도록 위치한 외측텐션공(51)과, 상기 외측텐션공(51)들 사이에 위치한 내측텐션공(52)으로 구성되고, 외측텐션공(51)은 앵커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봉합사(20)의 수에 대응되는 갯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텐션공(52)은 앵커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외측텐션공(51)의 숫자보다 적은 갯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외측텐션공(51)을 단독으로 관통한 봉합사(20)들이 내측텐션공(52)에 복수 개가 관통하여 양측의 외측텐션공(51) 사이에서 봉합사(20)들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앵커 몸체나 봉합사에 미늘이 형성되어 연조직 결착시 잘 풀리지 않고 매듭이 풀리더라도 미늘 형상에 의해 잘 이탈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미늘은 생체분해성 원료로 형성되어 일정 기간까지만 봉합사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고, 일정 기간 후에는 자연스럽게 분해됨으로써 앵커를 분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미늘은 금형을 이용하여 봉합사에 일체화시키되, 금형 설치 전 봉합사 표면을 미량 박리하여 홈과 박리편을 형성함으로써 금형 내부로 공급된 고분자가 홈과 박리편을 통해 접촉 면적이 높아져 미늘이 봉합사롭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봉합사는 복수 개로 구성하면서 인입공과 인출공은 하나씩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연속으로 위치하는 각 열의 텐션공 숫자를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텐션공에서는 앵커 몸체를 최대한 잡아주게 하고, 텐션공에서 잡아주는 힘이 인입공과 인출공에서는 하나로 모이게 하여 힘의 분산을 최소화함으로써 뼈에 앵커를 고정할 대 앵커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의 실시옐ㄹ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미늘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텐션공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텐션공이 형성되었을 때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슬리브 앵커는 크게 앵커 몸체(10)와, 봉합사(20) 및 미늘(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6의 실시예에서 앵커 몸체(10)는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중공관으로 메인봉합사(23)가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앵커 몸체(10)는 중공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랫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때, 앵커 몸체(10)는 관 형태일 경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플랫 타입일 경우 유연성을 갖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앵커 몸체(10)의 재질은 익히 알려진 초고분자량 PE(UHMWPE)와 같은 각종의 폴리에틸렌(PE)을 비롯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lon) 및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섬유사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메인봉합사(23)가 중공관 형태의 앵커 몸체(10)의 양단을 관통하는 한편, 앵커 몸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인입공(3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 인출공(40)이 형성되어 제1봉합사(21)가 인입공(30) 측으로 중공 내부로 인입된 후 인출공(40) 측으로 타측이 빠져나온 형태를 취한다.
더하여, 미늘(70)은 앵커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앵커 몸체(10)는 도구를 이용하여 수술시 중앙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히기 때문에 미늘(70)은 앵커 몸체(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을 향해 경사지게 서로 대칭을 이룬다.
미늘(70)은 도시된 예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과 같이 앵커 몸체(1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설할 경우 시술시 미늘(70)의 경사진 방향으로 앵커 몸체(10)가 뼈 속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이후에는 미늘(70)이 골 조직에 걸려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는 형상이 되는 바, 도면과 같은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인입공(30)과 인출공(40)에 제1봉합사(21) 외에 제2봉합사(22)가 끼워지는 구조이다.
이 경우 중공 내부에 두 개의 봉합사가 끼워지기 때문에 당기는 과정에서 봉합사가 끊어지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의 실시예는 앵커 몸체(10)가 아닌 봉합사(20)에 미늘(70)이 형성된 예이다.
구체적으로 메인봉합사(23) 및 제1봉합사(21)는 앵커 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미늘(7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도 1의 예와 마찬가지로 미늘(70)의 경사진 방향이 앵커 몸체(10)의 중앙을 향하기 때문에 도구를 이용하여 뼈 속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의 삽입은 용이해지게 되며, 반대로 이탈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도 4의 경우 도 2와 마찬가지로 인입공(30)과 인출공(40)에 제1봉합사(21) 외에 제2봉합사(22)가 끼워지는 구조이다.
도 3과 도 4과 같이 봉합사(20)에 미늘이 형성될 경우 앵커 몸체(10) 내부로 들어가는 부분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사(20)가 앵커 몸체(10) 내부에 끼워진 채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 앵커 몸체(10) 내부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봉합사(20)에 미늘(70)이 형성되는 도 3, 4의 예의 경우 연조직에 봉합사(20)를 고정할 때 매듭성이 우수해지고, 매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연조직에 견고하게 봉합사(20)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는 앵커 몸체(10)의 외주면 및 봉합사(20)에 모두 미늘(70)이 형성된 예이다.
이 경우 앵커 몸체(10)가 뼈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봉합사(20)는 연조직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봉합사(20)가 비 분해성일 경우 앵커 몸체(10)와 봉합사(20)를 분리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미늘(70)은 생분해성 원료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미늘(70)은 PDO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봉합사(20)는 초고강력사(UPE)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초고강력사(UPE)의 경우 쉽게 끊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PDO 고분자를 압출 성형할 경우 부착성이 우수해지기 때문이다.
도 7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현해내기 위해 미늘(70)을 형성하는 과정이 간단히 모식화되어 있다.
도 7의 (A)에는 봉합사(20)나 앵커 몸체(10)의 표면에 금형(71)을 설치한 후, 이 금형(71) 내부로 PDO 고분자를 주입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압출 성형된 PDO 고분자가 봉합사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7의 (B)와 같은 방식으로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도면의 예는 봉합사(20)의 표면을 나이프(N)로 긁어내어 표면에 파여진 홈(25)과 긁어내어 돌출된 박리편(24)이 형성되고, 이 홈(25)과 박리편(24)이 형성된 위치에 금형(71)을 설치함으로써 압출시 고분자가 홈(25)에 충진되고, 박리편(24)을 감싸 PDO 고분자가 봉합사(20)에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즉, 표면적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박리편(24)이 압출되는 PDO의 뿌리 역할을 하여 견고한 일체화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인입공(30)과 인출공(40) 사이에 텐션공(50)이 위치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의 앵커 몸체(10)는 전술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플랫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랫 타입으로 이루어질 경우 메인봉합사(23)는 앵커 몸체(10)의 양단에 접착 고정된다.
도 8의 (A)는 메인 몸체(10)의 일측 외주면을, (B)는 내주면을 나타낸 것으로, 플랫 타입의 경우는 도 8의 (A)는 메인 몸체(10)의 전면을, (B)는 후면을 의미하게 된다.
도 8의 예에서 메인봉합사(23)는 앵커 몸체(10)의 단부에 연결되거나, 단부를 통해 내부를 통과한다.
더하여, 인입공(30)과 인출공(40)은 각각 하나씩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봉합사(21)와 제2봉합사(22)가 하나의 인입공(30) 및 인출공(4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데 반해 인입공(30) 및 인출공(40)과 인접한 외측텐션공(50)은 2개로 이루어져 각 봉합사(20)가 각각의 외측텐션공(50)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도면에서 외측텐션공(51)은 앵커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채 연속된 2개의 제1외측텐션공(51a)과 2개의 제2외측텐션공(51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외측텐션공(51a)과 제2외측텐션공(51b) 사이에서 상기 봉합사(20)는 "X"자 형태로 교차하여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의 상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수술도구(T)에 설치한 상태에서 하나씩의 인입공(30)과 인출공(40)을 기점으로 하여 제1외측텐션공(51a)으로 각각 분기된 후, 제2외측텐션공(51b)에 도달할 때에는 "X"자 형태로 교차한 뒤 통과하게 되고, 내측텐션공(52)에서는 다시 하나로 합쳐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내측텐션공(52)은 복수 개의 봉합사(20)가 모두 관통하는 하나의 제1내측텐션공(52a)과, 상기 제1내측텐션공(52a)과 연속하여 위치하며 제1내측텐션공(52a)을 관통한 모든 봉합사(20)가 관통하는 하나의 제2내측텐션공(52b)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앵커 몸체(10)가 접히는 부분에서 봉합사(20)들이 서로 밀착된 채 일자형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앵커 몸체(10)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연속된 텐션공(50)들을 통과하는 봉합사는 일부는 중공 내부로, 일부는 중공 외부로 돌출된다.
만일, 앵커 몸체(10)가 플랫 타입일 경우 텐션공(50)들을 통과하는 봉합사는 일부는 후면으로, 일부는 전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또한, 도 8, 9에는 앵커 몸체(10)에 보강부(60)가 형성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앵커 몸체(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인입공(30) 사이, 인입공(30)과 제1외측텐션공(51a), 제1외측텐션공(51a)과 제2외측텐션공(51b), 제2외측텐션공(51b)과 제1내측텐션공(52a) 사이, 인출공(40)과 앵커 몸체(10)의 타측 단부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봉합사(20)가 미통과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강부(60)는 장방형을 이루며, 앵커 몸체(10)의 다른 표면에 비해 전방이나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수술용 도구(T)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봉합사(20)가 지나가는 표면의 반대에 위치하여 앵커 몸체(10)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봉합사(20)가 교차하는 형태로 텐션공(50)들을 통과하기 때문에 봉합사(20)를 당길 경우 교차된 형태로 관통된 봉합사(20)들이 일자형으로 움직이려 하게 되어 자칫 앵커 몸체(10)가 찢기려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만일, 텐션공들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경우 텐션공에서 잡아주는 힘이 인입공 및 인출공으로 빠져나갈 대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상술한 구성의 경우 텐션공(50)에서 잡아주는 힘이 하나의 인입공(30) 및 인출공(40)으로 모아지기 때문에 히이 분산되지 않게 되어 뼈에 앵커를 고정할 때 앵커 몸체(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연속된 제1외측텐션공(51a)과 제2외측텐션공(51b) 사이에서 봉합사들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앵커 몸체(10)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와 분포도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봉합사에만 높은 텐션이 걸려 봉합사가 끊어지려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대략 'U'자형이 되도록 앵커 몸체(10)를 반으로 접어 골 내부로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봉합사(20)를 잡아 당기면 앵커 몸체(1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골에 형성된 삽입구멍보다 부피(혹은 단면적)가 커지게 되고, 앵커 몸체(10)가 골 내부에 고정(즉, 앵커링)되며, 앵커 몸체(10)를 통해 골에 고정된 봉합사(20)로 연조직을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손상된 힘줄, 인대 및 근육과 같은 연조직의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미늘(70)은 앵커 몸체(10)의 앵커링 기능을 강화시키며, 봉합사(20)의 연조직 고정을 강화시켜주게 되며, 일정 기간 후에는 자연 분해된다.
본 발명은 힘줄, 인대 및 근육과 같은 연조직 손상 발생시 손상 부분의 연조직을 골에 부착 및 고정하여 치료시 골에 구멍을 뚫어 앵커를 박고 앵커에 연결된 봉합사를 연조직에 묶는 수술에 적용된다 할 것이다.
10 : 앵커 몸체 20 : 봉합사
21 : 제1봉합사 22 : 제2봉합사
23 : 메인봉합사 24 : 박리편
25 : 홈 30 : 인입공
40 : 인출공 50 : 텐션공
51 : 외측텐션공 51a : 제1외측텐션공
51b : 제2외측텐션공 52 : 내측텐션공
52a : 제1내측텐션공 52b : 제2내측텐션공
60 : 보강부 70 : 미늘
71 : 금형 T : 수술용 도구
N : 나이프

Claims (5)

  1. 앵커 몸체(10)와, 상기 앵커 몸체(10)에 체결되는 봉합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조직을 골(bone)에 고정하도록 천공된 골 내부로 인입 후 형상 변형 및 고정되는 슬리브 앵커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10) 또는 봉합사(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진 미늘(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20)는 초고강력사(UPE)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미늘(70)은 PDO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1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앵커몸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인입공(3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 인출공(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합사(20)는, 중공관의 양단을 관통하는 메인봉합사(23)와, 상기 인입공(30)으로 일측이 삽입되어 인출공(40)으로 타측이 인출되는 제1봉합사(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늘(70)은 상기 메인봉합사(23) 및 제1봉합사(21)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앵커 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70)은 봉합사(20)의 표면에 금형(71)이 설치되고, 금형(71) 내부로 PDO 고분자를 압출하여 성형되되,
    상기 봉합사(20)의 표면을 나이프(N)로 긁어내어 표면에 파여진 홈(25)과 긁어내어 돌출된 박리편(24)이 형성되고, 이 홈(25)과 박리편(24)이 형성된 위치에 금형(71)을 설치함으로써 압출시 고분자가 홈(25)에 충진되고, 박리편(24)을 감싸 PDO 고분자가 봉합사(20)에 견고하게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5.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20)는 제2봉합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봉합사(21)와 제2봉합사(22)가 하나의 인입공(30)과 인출공(40)을 관통하고,
    상기 인입공(30)과 인출공(40) 사이에 다수 개의 텐션공(5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텐션공(50)들은 상기 인입공(30) 및 인출공(40)과 연속되도록 위치한 외측텐션공(51)과, 상기 외측텐션공(51)들 사이에 위치한 내측텐션공(52)으로 구성되고,
    외측텐션공(51)은 앵커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봉합사(20)의 수에 대응되는 갯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텐션공(52)은 앵커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외측텐션공(51)의 숫자보다 적은 갯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외측텐션공(51)을 단독으로 관통한 봉합사(20)들이 내측텐션공(52)에 복수 개가 관통하여 양측의 외측텐션공(51) 사이에서 봉합사(20)들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KR1020180173353A 2018-12-31 2018-12-31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KR10215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353A KR102155644B1 (ko) 2018-12-31 2018-12-31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353A KR102155644B1 (ko) 2018-12-31 2018-12-31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31A true KR20200083831A (ko) 2020-07-09
KR102155644B1 KR102155644B1 (ko) 2020-09-15

Family

ID=7160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353A KR102155644B1 (ko) 2018-12-31 2018-12-31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6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4705A2 (en) * 2010-03-19 2011-11-09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ound barb medical device and method
KR101634796B1 (ko) 2016-01-19 2016-06-29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KR20170018541A (ko) * 2015-08-10 2017-02-20 박분 기능성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
KR20180033217A (ko) * 2015-07-20 2018-04-02 아스렉스, 인코퍼레이티드 가시가 형성된 가요성 가닥을 갖는 유연한 앵커 조립체 및 사용 기법
KR101849682B1 (ko) 2018-01-12 2018-04-17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플랫타입 슬리브 앵커
US20180177505A1 (en) * 2016-12-28 2018-06-28 Jack Chu Barbed su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4705A2 (en) * 2010-03-19 2011-11-09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ound barb medical device and method
KR20180033217A (ko) * 2015-07-20 2018-04-02 아스렉스, 인코퍼레이티드 가시가 형성된 가요성 가닥을 갖는 유연한 앵커 조립체 및 사용 기법
KR20170018541A (ko) * 2015-08-10 2017-02-20 박분 기능성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
KR101634796B1 (ko) 2016-01-19 2016-06-29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US20180177505A1 (en) * 2016-12-28 2018-06-28 Jack Chu Barbed suture
KR101849682B1 (ko) 2018-01-12 2018-04-17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플랫타입 슬리브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644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6307A1 (en) Tissue engaging member
US201200594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air of a soft tissue to bone attachment
US9687222B2 (en) Knotless repair technique using tape/suture hybrid
US7867251B2 (en) Reattachment of tissue to base tissue
CA2972993C (en) Ligament fixation device and method
US6656183B2 (en) Tissue repair system
AU20142492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tissue
US20150051700A1 (en) System for attaching a ligament graft
US20180125472A1 (en) Soft suture anchor assembly with barbed suture and attached tissue fixation disk
KR20200027980A (ko) 자체-묶음 봉합 구조 장치
US20170172561A1 (en) Hybrid suture anchor
KR101634796B1 (ko)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WO2013186525A1 (en) Synthetic ligament assembly
KR20200083831A (ko) 생분해성 미늘이 구비된 슬리브 앵커
US20140128888A1 (en) Self locking knotless suture
KR101849682B1 (ko) 플랫타입 슬리브 앵커
KR102141421B1 (ko) 봉합사 교차 관통형 슬리브 앵커
JP6636137B2 (ja) 靭帯組織を骨に固定するよう構成される可撓性ワイヤの骨内取り付けシステム
KR101814508B1 (ko) X―짜임 슬리브 앵커
KR101612383B1 (ko) 내외측 봉합사를 구비한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EP3811874B1 (en) Suture anchor construct
US20170143474A1 (en) Ligament screw attachment device
US20180064434A1 (en) Flexible constructs
US11844511B2 (en) Surgical system and method permitting percutaneous insertion of anchors
US20230338017A1 (en) Tapetak and methods of anchoring soft tissue to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