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694A -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 Google Patents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694A
KR20200083694A KR1020180171482A KR20180171482A KR20200083694A KR 20200083694 A KR20200083694 A KR 20200083694A KR 1020180171482 A KR1020180171482 A KR 1020180171482A KR 20180171482 A KR20180171482 A KR 20180171482A KR 20200083694 A KR20200083694 A KR 2020008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ion
paper
printing
modul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2448B1 (en
Inventor
남태헌
황준현
김호연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8017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44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lection device with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various election papers,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a first port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an election paper is inserted or discharged, and a second por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along a transfer path and through which the election paper is inserted or discharged; a display module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ction or allowing a user to input input information about election; at least one detection module provided on the transfer path and detecting the election paper inserted through the first port or the second port at a preset position; a printing module provided on the transfer path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 by a second distance and printing 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a transfer module for moving the election paper on the transfer path in a first direction moving toward the second port from the first port,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hereto; and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y one among a front printing mode, a rear printing mode or a continuous printing mode to be driven to correspond to a type or position of the inserted election paper,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input information therein to correspond to a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본 발명은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입되는 선거용지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쇄모드가 적용되어 선거의 투표 및 개표를 선택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multiple types of election paper, and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r location of the inputting election paper, any one of a plurality of modes is applied to vote for election And 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counting.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대다수 의회민주주의 국가들은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또는 특정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의 다양한 선거가 국민들의 의사결정수단으로 일반화되어 있다.In the majority of parliamentary democracies in the world, including Korea, various elections such as presidential elections, parliamentary elections, or elections to select representatives of specific groups, have been generalized as a means of decision making by the people.

따라서 세계 각국엔 다양한 선거로 인한 투표가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개표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개표 결과를 빨리 집계하기 위해 개표장치가 널리 보급되는 실정이다.As a result, voting due to various elections is taking place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many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voting process.

한편 우리나라 기초단체장 선거와 같이 도지사, 시장, 도의원, 시의원 등 여러 사람을 한 번의 투표로 뽑아야 될 경우 국가에 따라 여러 종류의 투표용지를 받아 한 번에 투표하거나 한 투표용지에 여러 사람을 투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채택된다.On the other hand, if a number of people such as governors, mayors, provincial councilors, and city council members should be selected with a single vote, such as the election of the head of a basic organization in Korea, various types of ballots may be received at one time, or several people may be voted on one ballot. Various methods are adopted.

따라서, 선거를 치르기 위한 투표장치 및 투표완료 후 개표와 집계를 위한 개표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a voting device for an election and a counting device for counting and counting after the completion of voting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특히 투표 및 개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의 이용 시 선거카드 이외에 개시카드나 종료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선거의 용도나 후보자의 수 등에 따라 선거용지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using devices for voting and counting, various types of cards, such as an opening card or an ending card,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election card, and the election paper may have different specification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election or the number of candidates. .

그러나 기존의 선거장치는 단순히 정해진 하나의 형태로 선거용지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선거카드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electoral apparatus simply uses the election paper in a predetermined form,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pply various election cards.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선거정보 및 기표정보 등을 추가로 기록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고려해 선거에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dditional election information and vote information are additionally record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information in the election considering the informa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제10-0994079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9407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종의 선거용지 중에서 투입되는 선거용지에 따라 선거정보를 인쇄하고, 인쇄 시 선거용지에 대응하는 형태로 다중의 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선거정보를 인쇄함으로써, 다양한 선거용지를 사용해 능동적으로 선거를 진행할 수 있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ints 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election paper input from among various types of election paper, and when printing, any of multiple printing modes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election paper By selecting one and printing election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variety of election papers capable of actively conducting elections using various election pape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거용지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제1출입구 및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제1출입구와 연통하며 상기 선거용지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상에 구비되어 선거에 관련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가 선거에 대한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출입구 또는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선거용지를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제1출입구에서 제2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이송경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선거용지에 입력정보를 포함한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모듈,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제1출입구에서 제2출입구로 이동하는 제1방향 또는 이와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모듈 및 투입된 상기 선거용지의 종류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프론트 인쇄모드, 리어 인쇄모드 또는 연속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도록 선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내부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가 단일 용지로 구성되어 제1출입구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다시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되며, 상기 리어 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가 복수 개로 연속하며 연결되어 상기 제2출입구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되고, 상기 연속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가 롤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출입구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에서 인쇄영역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정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housing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entrance and exit along the first exit and the transport path of the election paper is inserted or discharged and the election paper is inserted or discharged 2 A main body including an entrance, a display module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output relevant information to an election or a user to input input information about an election, and is configured by at least one or more on the transport path to include the first entrance or the first 2 A sensing module that detects the election paper inputted through the exi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s provided on the transport path spaced a second distance from the first exit, and prints 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put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A printing module, a transfer module for moving the election paper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entrance to the second exit on the transport path, or a transfer module for moving the election paper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nd the fro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r position of the electoral paper input And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o operate one of a print mode, a rear print mode, or a continuous print mode,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input information therein corresponding to a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front In the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and is input to the first entrance, and after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it is discharged back to the first entrance, and in the rear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 is provided in plural. Continuous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ntrance and after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from the printing module, it i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and in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 is formed to be long in the form of a roll to the second entra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put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after printing the stop informa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rint area in the print module.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제1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상기 제2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인쇄모듈과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인쇄모듈과 상기 제1감지센서 사이에서 상기 인쇄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선거용지가 기 설정된 대기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어 인쇄모드 또는 연속인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modul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election site input through the first entrance, the second entranc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ing module and the first distance Spaced apart by a second, a second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the election paper input through the second entrance, disposed between the printing module and the first sensing sensor on the transport path adjacent to the printing module is of the election paper It includes a thir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election paper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waiting position, and when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performs the front print mode and performs the second detection. When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rear print mode or the continuous print mode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선거용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기록된 고유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cation sensor for identifying the unique information recorded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on the election site on the transport path.

또한,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대기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1거리만큼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추가 이송하여 후방을 상기 인쇄모듈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인쇄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선거용지를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여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rinting mode detects the election paper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transfers it to the first direction, places it in the waiting position, and places the election paper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distance from the waiting position. In addition, the rear end is placed at a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is located, and the election module prints the elec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election module transfers the election paper from the printing position to the second direction.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ntrance.

또한, 상기 선거용지는 복수 개가 연속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각각에 독립적인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ion paper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 and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independent identification code.

또한, 상기 선거용지는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인쇄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마커를 감지하는 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선거용지를 구분하여 전면에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ion pape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marker on the back surface, the detection modul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 module on the transport path and further includes a recogn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arker, and the control module is the mark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ection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the front side by dividing the election paper by reference.

또한, 상기 리어 인쇄모드는,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여 제2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선거용지의 상기 마커가 상기 인식센서에서 감지되면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인쇄모듈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선거용지에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인쇄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ar printing mode, the second sensing sensor detects the election paper and transfers it to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the marker of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the election paper is located in the printing module. It is arranged in a position, and after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i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printing position to the second direction by the transfer module and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또한, 상기 선거용지는, 배면에 복수 개의 색상이 순차 배열되어 색상을 기준으로 전면에 상기 인쇄영역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인쇄영역에 독립적으로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ion paper has a plurality of colors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back surface, and has the print area on the front surface based on the color, and the election information can be independently printed on each of the print areas.

또한, 상기 본체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출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복수 개의 상기 선거용지가 수납된 상태로 안착되는 별도의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upport uni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to be sea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election papers are stored on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선거용지는 롤 형태로 길게 연속하여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로 구획되어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ion paper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in a long form in a roll shape and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print the elec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연속 인쇄모드는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여 제2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가 감지되면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인쇄모듈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선거용지에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이동모듈에 의해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제2거리만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the second sensing sensor detects the election paper and transfers it in a second direction, and when the election sensing paper is detected by the third sensing sensor, the election paper is placed at a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is located. After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election paper, the election paper may be transported by the mobile module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second distance and discharged to the first exit.

또한, 상기 연속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정보를 추가 인쇄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가 상기 제2거리만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인쇄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인쇄모듈에 의해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when the elec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inted,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after the election paper is transferred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second distance and disposed at the printing position. Can.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쇄용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제2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출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선거용지를 수납하는 수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and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entrance to receive the election paper.

또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선거정보를 상기 식별센서가 인식 가능한 형태의 결과코드 및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형태의 텍스트로 각각 인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ing module may print the election information as a result code in a form recognizable by the identification sensor and text in a form visually recognizable by a user.

또한, 상기 식별코드는 각각의 상기 선거용지에 대해 생성시간, 고유번호, 생성장소 및 해당 선거일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creation time, a unique number, a place of creation, and a corresponding election date for each election site.

또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구비되어 상기 선거용지의 일면에 접촉해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 및 상기 선거용지를 중심으로 상기 인쇄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를 가압하며 상기 인쇄부와 상기 선거용지가 접촉하도록 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ing module is provided on the transport path and is arranged to face the printing unit and the printing unit for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election paper and the election paper, press the election paper and press the And a platen roller that allows the printing unit to contact the election paper.

본 발명의 선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체상에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를 포함하며 각각으로 투입되는 선거용지의 투입위치 또는 선거용지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인쇄모드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동작하여 다양한 종류의 선거용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it includes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on the main body,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printing modes is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location of the election paper or the type of election paper to be input, and all of the various types of election pap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둘째, 선거용지의 배면에 순차 배열된 다종의 색상을 통해 하나의 용지를 복수 개의 인쇄영역으로 구획하고 독립적으로 각각 기표정보를 인쇄함으로써, 복수 개의 선거군에 대해 동시에 선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election for a plurality of electoral groups by dividing one sheet into a plurality of print areas and printing the vote information independently through multiple colors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back of the election shee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선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거장치에 사용되는 선거용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선거장치에서 단일한 형태의 선거용지가 제1출입구로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제3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인쇄위치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제2방향으로 이송하여 제1출입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선거장치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선거장치에서 제2출입구로 선거용지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9의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제2방향으로 이송되어 인식센서에서 마커를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9의 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인쇄되어 제1출입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9의 선거장치에서 사용되는 변형된 형태의 선거용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선거장치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선거장치에서 제2출입구로 선거용지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4의 선거장치에서 선거용지가 제1출입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7은 도 14의 선거장치에서 추가인쇄를 위해 선거용지가 제1방향으로 다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ion device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the election paper used in the 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gle form of election paper is input to the first entrance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site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ure 4 moves along the transport path;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is sensed by the third detection sensor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 4;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osition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 4;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site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 4 i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by transferring in the second direction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l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ection paper is put into the second entrance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direction in the election apparatus of FIG. 9 to detect a marker in the recognition sensor;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is printed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ure 9 i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1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election paper used in the election apparatus of FIG. 9;
1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l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input to the second entrance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ure 14;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ion site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ure 14 i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ection papers are transferre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for additional printing in the election device of FIG. 14.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는 특정 지역이나 선거구 또는 투표장소 등에서 투표를 실시하고, 사용되는 선거용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인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거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enables voting in a specific area, an electoral district, or a polling place, and can be print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election paper used. Hereinafter, an 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거장치는 단일한 낱장형태의 선거용지, 복수 개가 연속하여 길게 연결된 형태의 선거용지 또는 롤 타입의 선거용지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사용되는 선거용지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인쇄모드가 적용된다.First, in the 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a single piece of election paper, a plurality of pieces of election paper in a continuous connection or a roll type of election paper is used, and according to the used election paper The corresponding print mode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거장치는 크게 본체(100), 디스플레이모듈(200), 감지모듈(300), 인쇄모듈(400), 이송모듈(500) 및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The 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ain body 100, a display module 200, a detection module 300, a printing module 400, a transfer module 500 and a control module (not shown).

상기 본체(100)는 전체를 감싸는 케이스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출입구(110) 및 제2출입구(120)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100 is a case surrounding the whole,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s shown, the display module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entrance 110 and the second entrance 120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상기 제1출입구(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서 개방 형성되며, 상기 선거용지(10)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출입구(120)는 상기 제1출입구(11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나, 상기 제1출입구(110)와 이격되어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선거용지(10)가 삽입 또는 배출된다.The first entrance 110 is formed open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election paper 10 is formed in a form that is inserted or discharged, the second entrance 120 is the first entrance 110 ), but separated from the first entrance 110 and configured separately, the election paper 10 is inserted or discharged.

여기서, 상기 제1출입구(110) 및 상기 제2출입구(120)는 상기 본체(10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선거용지(10)가 이동하는 이송경로(130)를 따라 양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이송경로(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투입구 또는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first entrance 110 and the second entrance 12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along the transport path 130 through which the election paper 10 moves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It serves as an inlet or outlet so that the election site 10 can move along the transport path 13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출입구(110)와 상기 제2출입구(1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100)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경로(130)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ntrance 110 and the second entrance 120 are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transfer path 130 is interlocked.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일정 각도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ing means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be disposed to have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거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선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형성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선거용지(10)를 투입한 후 선거의 시작을 위한 인증 및 관리자정보, 참관인정보 등의 관리정보를 입력하거나, 유권자가 후보자에게 투표할 수 있도록 이를 표시하고 선택한 후보자에 대한 기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odule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heck election information or input good information. The display module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ormed in a box shape as shown, and after inputting the election paper 10, management for authentic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visitor information, etc. for starting an election It is formed as a touch panel so that information can be entered or voters can vote for the candidates and input voter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andidates.

여기서, 상기 입력정보는 선거의 진행 시 모드 별로 입력되는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기표정보, 관리자가 입력한 관리자와 참관인에 관한 관리정보 및 선거 결과에 대한 집계정보 등을 포함한다.Here, the input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input for each mode in the course of the elec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vote entered by the user, management information about the manager and observer input by the administrator, and aggregate information on election results.

그리고 선거정보는 선거의 종류나 실시장소 및 선거시간 등 선거 용지를 이용하는 정보가 아니라 미리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제어모듈에 기록된 내용이거나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le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ain body 100 or the control module in advance, or information that is automatically stored by the system, not information using election papers such as the type of election, the place of conduct, and election time.

한편, 상기 감지모듈(3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거나, 상기 선거용지(10)의 위치를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module 30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or detects the location of the election paper (10).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모듈(300)은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출입구(110) 또는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상기 선거용지(10)를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감지한다.Specifically, the detection module 300 is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r more on the transport path 130, and the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election paper 10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or the second entrance 120 Detects in.

상기 감지모듈(300)은 상기 이송경로(130)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는 제1인식센서(310), 제2인식센서(320), 제3인식센서(330) 및 식별센서(340)를 포함한다.The detection module 300 is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130,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to detect the election site (10) and 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sensor 340.

상기 제1인식센서(310)는 상기 제1출입구(1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한다.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110 to detect the election paper 10 that is input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인식센서(310) 내지 상기 제3인식센서(330)는 각각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이송경로(13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선거용지(10)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선거용지(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are eac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ransport path 130, the election paper moving along the transport path 130 ( The presence or absence of 10) can be sensed, and accordingly, the location of the election site 10 can be specified.

여기서, 상기 제1인식센서(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출입구(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고, 상기 제2인식센서(320)는 제2출입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인쇄모듈(400)과 제1거리(L1)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한다.Here,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110, as shown, detects the election paper 10 that is input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the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120 and is separated from the printing module 400 by a first distance (L1) by the election paper 120, which is input through the second entrance 120 ( 10) is detected.

즉, 상기 제1인식센서(310)는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고, 상기 제2인식센서(320)는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며, 추후, 해당 위치에서 상기 선거용지(10)의 유무도 함께 감지한다.That is,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detects the election paper 10 that is input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and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is through the second entrance 120 It mainly performs the role of sensing the electoral paper 10 to be input, and lat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lectoral paper 1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also detected.

이와 같이 상기 제1인식센서(310) 및 상기 제2인식센서(320)는 각각 상기 선거용지(10)의 유무를 감지해 후술하는 상기 제어모듈에 감지 정보를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and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respectivel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transmit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described later.

여기서, 후술하는 상기 인쇄모듈(400)은 상기 제1인식센서(310)와 상기 제2인식센서(320) 사이에서 상기 이송경로(130)상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Here, the printing modul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on the transfer path 130 between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and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한편, 상기 제3인식센서(330)는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상기 인쇄모듈(400)과 상기 인식센서(350) 사이에서 상기 인쇄모듈(4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가 인쇄되기 위한 대기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 module 400 between the print module 400 and the recognition sensor 350 on the transport path 130, through which the election paper Let (10) be seated in the waiting position for prin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인식센서(310) 내지 상기 제3인식센서(330)는 광학센서로 구성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선거용지(10)의 유무를 감지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인식센서(310) 내지 상기 제3인식센서(330)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is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lection paper 10 at each location, of course, unlike this, the first recognition The sensor 310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한편, 상기 식별센서(34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구비되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10)에 기록된 식별코드(12)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식별정보를 인식한다.Meanwhile,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12 recorded on the election paper 1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is inputted, and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on.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센서(340)는 기 설정된 정보와 상기 선거용지(10)에 기록된 정보를 비교하여 이에 대응하여 다음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compares the preset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election paper 10 so that the next step proceeds in response.

본 발명에서 상기 선거용지(10)는 다종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에는 각각 설정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식별코드(1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센서(340)는 상기 선거용지(10)가 투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식별하거나 수집해 후술하는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ion paper 10 is composed of multiple types, and at least some of them include identification codes 12 each having unique information set.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detects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identifies or collec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described later.

일반적으로 상기 식별코드(12)는 특정 문양이나 바코드 QR코드 NFC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코드(12)는 상기 선거용지(10)의 종류에 따라 QR코드 형태로 형성된다.In general, the identification code 1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pecific pattern or barcode QR code NFC,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code 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QR c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ion paper 10 do.

이때, 상기 선거용지(10)에는 독립적인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코드(12)가 구비되며, 상기 식별코드(12)에는 해당 선거용지(10)의 생성시간, 고유번호, 생성장소, 해당 선거의 종류 및 선거일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election paper (10)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12) including independ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12) is the creation time, unique number, place of creation, the election of the election paper (1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ype and election date.

따라서,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식별센서(340)에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식별코드(12)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후술하는 제어모듈에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선거용지(1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it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12 with the information set in the control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valid election paper 10. I can judge.

또한, 상기 식별코드(12)는 각각에 고유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센서(340)에서 인식된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모드가 선택 제어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12 includes unique authority informa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mode is se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센서(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상기 제1인식센서(310)와 상기 제3인식센서(330) 사이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선거용지(10)에 구비된 상기 식별코드(12)를 인식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and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on the transport path 130 as shown, and the election paper ( The identification code 12 provided in 10) is recogn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모듈(300)은 상술한 상기 제1인식센서(310) 내지 상기 제3인식센서(330)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식별센서(340)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2)를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location of the election paper 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and the identification sensor ( Through 340), the identification code 12 provided on the election site 10 may be recognized to col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추가적으로 상기 감지모듈(300)은 별도의 인식센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식센서(350)는 상기 식별센서(340)와 별도로 상기 선거용지(10)상에 구비된 마커(14)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이송경로(130)상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선거용지(10)에 형성된 상기 마커(14)를 감지한다.Additionally, the detection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recognition sensor 350. Specifically, the recognition sensor 350 is a means for sensing a marker 14 provided on the election paper 10 separately from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and is disposed and transferred on the transport path 130. The marker 14 formed on the election paper 10 is sens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거용지(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낱장형태, 복수 개의 독립된 선거용지(10)가 연속하여 길게 연결된 형태 또는 롤 타입 용지형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선거용지(10)에는 별도의 마커(14)가 구비된다.As for the election p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sheet form, a plurality of independent election papers 10 continuously connected in a long form or a roll type paper form may be used, as shown in FIG. The election paper 1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arker 14.

상기 마커(14)는 상기 선거용지(10)의 위치를 확하게 파악하거나 이를 기준으로 길이를 구분하기 위한 레퍼런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식센서(350)를 통해 감지된다.The marker 14 is configur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election site 10 or to serve as a reference point for distinguishing the length based on this, and is detected through the recognition sensor 350.

이때, 상기 인식센서(350)는 일반적은 IR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커(14)는 적외선 감지가 가능한 흑연을 포함한 잉크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거용지(10)의 일면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ecognition sensor 350 may be generally composed of an IR sensor, and the marker 14 is formed of ink including graphite capable of infrared detection, an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ion paper 10.

이를 통해 상기 인식센서(350)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한다. 특히 상기 선거용지(10)가 롤 타입이거나 또는 복수 개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인식센서(310) 내지 상기 제3인식센서(330)만으로는 하나의 단위를 구분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상기 마커(14)의 감지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를 구분한다.Through this, the election paper 10 is detected through the recognition sensor 350. In particular,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of a roll type or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tinuously forme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one unit only with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Accordingly, the marker ( 14) to distinguish the election paper (10).

즉, 상기 선거용지(10)가 복수 개로 연속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더라도, 각각의 선거용지(10)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마커(1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마커(14)를 기준으로 상기 선거용지(10)를 구분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10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election paper 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markers 14, so that the election papers are based on the markers 14 (10) can be distinguished.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인식센서(350)에서 상기 마커(14)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선거용지(10)를 상기 인쇄모듈(400)이 위치한 인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rker 14 is detec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350, the election paper 10 may be moved to the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400 is locat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센서(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상기 제3인식센서(330)와 상기 식별센서(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거용지(10)의 길이나 선거용지(10)상의 상기 마커(14)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gnition sensor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and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on the transport path 130 as shown, and the election paper 10 I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r position of the marker 14 on the election paper 10.

이와 같이 상기 감지모듈(300)이 구성되어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상기 선거용지(10)의 유무나 위치를 감지하고, 복수 개가 연속한 경우 각각의 선거용지(10)를 구획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nsing module 30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lection paper 10 on the transport path 130, and to divide each election paper 10 when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tinuous.

한편, 상기 인쇄모듈(4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선거용지(10)에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이송경로(130)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10)가 경유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printing module 400 is configured to print election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10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is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130 inside the main body 100 to select the election. The paper 10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모듈(400)은 상기 제1출입구(110)에서 제2출입구(120) 방향으로 상기 제2거리(L2)만큼 이격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선거용지(10)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로 인쇄한다.Specifically, the printing module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trance 110 by the second distance L2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trance 1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ion is selectively moved up and down the election paper 10 Prin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인쇄모듈(400)은 상기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선거정보를 상기 식별센서(340)가 인식 가능한 형태의 결과코드 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택스트 형태로 각각 상기 선거용지(10)의 일면에 인쇄한다.At this time, the printing module 400, the 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the result code in a form recognizable or a text form visually recognizable by the user, each side of the election paper 10 Print on.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인쇄모듈(400)은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구비되어 상기 선거용지(10)의 일면에 접촉해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410); 및 상기 선거용지(10)를 중심으로 상기 인쇄부(4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10)를 가압하며 상기 인쇄부(410)와 상기 선거용지(10)가 접촉하도록 하는 플레튼롤러(420)를 포함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printing module 400 is provided on the transport path 130 and contacts the one side of the election paper 10 to print the election information 410; And a platen roller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printing unit 410 centering on the election paper 10 to press the election paper 10 and to allow the printing unit 410 to contact the election paper 10. 420.

상기 인쇄부(410)는 상기 선거용지(10)가 투입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00)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와 함께 상기 선거정보를 상기 선거용지(10)에 인쇄한다.When the election sheet 10 is input, the printing unit 410 prints the election information on the election sheet 10 together with input information input by a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module 200.

여기서, 상기 인쇄부(410)는 선거용지(10)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며, 상기 선거정보의 인쇄 시 복수 개의 타입으로 인쇄를 한다.Here, the printing unit 410 prints the elec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the back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when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it prints in a plurality of types.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부(410)는 상기 선거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형태의 텍스트로 인쇄하며, 이와 별도로 상기 식별센서(340)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의 결과코드를 추가로 인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unit 410 may print the election information as text visually recognizable by a user, and separately print result codes in a form recognizable by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즉, 상기 인쇄부(410)는 상기 선거정보의 인쇄 시 단순히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식별센서(340)를 통해 인식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선거정보를 함께 인쇄한다.That is, the printing unit 410 simply prints the election information in a form that is not only visually confirmed by the user but also recogniz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when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이때, 상기 인쇄부(410)에 의해 인쇄되는 상기 결과코드에는 상기 식별코드(12)의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인쇄하며,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상기 식별코드(12)가 손상되더라도 해당 선거용지(1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ult code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410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12 and prints it. Accordingly, even if the identification code 12 is accidentally damaged, the corresponding election paper 10 ).

이와 같이 상기 인쇄부(410)는 상기 선거용지(10)에 텍스트형태와 결과코드 형태의 두 가지 타입으로 선거정보를 기록하여 추후 선거결과의 확인 및 집계결과의 검수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unit 410 records election information in two types, a text form and a result code form, on the election paper 10 so that it can be used to check the election results and check the aggregated result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부(410)는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선거용지(10)가 이송되는 경우에 따라 하강하여 접촉하지 않으며, 인쇄 시 상승하여 상기 선거용지(10)와 접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rinting unit 41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election paper 10 does not descend and contact depending on the case of being transferred, and rises during printing to contact the election paper 10.

한편, 상기 플레튼롤러(420)는 상기 선거용지(10)를 중심으로 상기 인쇄부(4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10)를 가압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선거용지(10)의 이송에 간섭을 하지 않으며, 하부방향으로 상기 선거용지(10)를 가압하여 상기 인쇄부(410)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platen roller 420 is disposed to face the printing unit 410 centering on the election paper 10 to press the election paper 10. At this time,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ller, as show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port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presses the election paper 10 in a downward direction to stably contact the printing unit 410 d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쇄모듈(400)은 선택적으로 상기 선거용지(10)에 접촉하며, 텍스트 형태 또는 결과코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선거정보를 선거용지(10)에 인쇄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contacts the election paper 10 and is configured to print the election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10 by at least one of a text form or a result code form. do.

한편, 상기 이송모듈(5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복수 개의 롤러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선거용지(10)를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크게 제1이송롤러(510), 제2이송롤러(520) 및 제3이송롤러(5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module 5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llers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election paper 10. The first transfer roller 510, the second transfer roller 520 And a third transfer roller 530.

상기 제1이송롤러(510) 내지 상기 제3이송롤러(530)는 각각 한 쌍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이에 상기 선거용지(10)가 통과하며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이 상기 이송경로(130)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다.The first conveying roller 510 to the third conveying roller 530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air, and are configured to pass and pass the election paper 10 therebetween, and each of the conveying paths 13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송롤러(510)는 상기 제1인식센서(31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520)는 사익 제2인식센서(320)와, 상기 제3이송롤러(530)는 상기 제3인식센서(330)와 각각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ransfer roller 510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520 is a privat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and the third The transfer rollers 530 are dispos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s 330, respectively.

물론, 상기 제1이송롤러(510) 내지 상기 제3이송롤러(530) 이외에 추가적인 롤러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별도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Of course, additional rollers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the first transfer roller 510 to the third transfer roller 530, and at least a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by receiving a separate driving force.

여기서, 상기 제1이송롤러(510) 내지 상기 제3이송롤러(530)는 상기 선거용지(10)가 제1출입구(110)에서 상기 제2출입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방향(W1) 및 이와 반대방향인 제2방향(W2)으로 모두 이동 가능하도록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Here, the first transfer roller 510 to the third transfer roller 530 is the first direction (W1) in which the election paper 10 moves from the first entrance 110 to the second entrance 120 ) And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W2)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각각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이 제어된다.Then, whether or not each rota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described later.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선거용지(10)의 종류 및 투입위치에 따라 상이한 인쇄모드가 동작하며, 각각의 인쇄모드에 따라 상기 제1이송롤러(510) 내지 상기 제3이송롤러(530)는 독립적으로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이 제어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printing mode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input position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the first transport roller 510 to the third transport roller 530 are operated according to each printing mode. Independently, whether or not rotation and rotation direction are controlled.

이와 같이 상기 이송모듈(500)은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이송경로(130)를 따라 제1방향(W1) 또는 제2방향(W2)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회전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module 5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election paper 10 to be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W1 or the second direction W2 along the transfer path 130, and selectively adjusts rotation. Can.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선거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상태를 조절하는 구성이며, 크게 상기 선거용지(10)의 투입위치 또는 종류에 대응하여 프론트 인쇄모드, 리어 인쇄모드 및 연속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도록 선택하여 제어하고, 인쇄결과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verall driving state of the 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 response to the input position or type of the election paper 10, a front print mode, a rear print mode and a continuous print mode Select one to drive and control it, and record the print resul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크게 제어부(미도시) 및 기록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센서(340)에서 인식된 식별정보를 전달 받아 올바른 정보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인식센서(310) 또는 상기 제2인식센서(320)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해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 상기 리어 인쇄모드 또는 상기 연속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시킨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largely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recording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is correct. Then, either the front print mode, the rear print mode, or the continuous print mode is selected by detecting the election paper 10 from either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or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To make it.

이때, 상기 식별코드(12)에는 선거용지(10)에 따라 고유한 권한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권한에 대응하여 올바른지 판단하고 해당 단계를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code 12 includes unique autho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ection paper 10,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it is correct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authority and proceeds with the corresponding step.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거용지(10)의 투입 시 상기 제1인식센서(310)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10)가 단일한 용지로 판단하고,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를 동작하고, 상기 제2인식센서(320)에서 상기 선거용지(10)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10)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리어 인쇄모드 또는 연속인쇄모드를 동작한다.Specifically,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detected by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ion paper 10 is a single sheet, operates the front print mode, and operates the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detected by the two recognition sensor 320,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ion paper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operates the rear print mode or the continuous print mode.

여기서, 상기 선거용지(10)가 복수 개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커(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식센서(350)에서 상기 마커(14)의 감지하는 경우 상기 리어 인쇄모드를 동작한다.Here,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plural, the marker 14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ear print is detected when the recognition sensor 350 detects the marker 14 Activate the mod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거용지(10)의 인쇄를 위한 모드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선거정보를 인쇄할 수 있도록 상기 선거용지(10)의 이송을 제어한다.As such, the control unit selects a mode for printing the election paper 10 and controls the transfer of the election paper 10 so that election information can be printed accordingly.

한편, 상기 기록부는 상기 선거용지(10)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으로, 투표의 진행 시 유권자가 선택한 후보자의 기표정보를 기록하여 추후 집계가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cording unit is configured to record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10 is put in. When voting is in progress, the voter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selected by the voter is recorded so that it can be aggregated later.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선거용지(10)의 투입 시 선거용지(10)가 인쇄될 인쇄모드를 선택하여 선거정보를 인쇄할 수 있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인쇄된 선거정보를 별도로 기록하여 추후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controls so that election information can be printed by selecting a printing mode in which the election paper 10 is to be printed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and simultaneously records the printed election information and can be used later. To mak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거장치는 크게 본체(100), 디스플레이모듈(200), 감지모듈(300), 인쇄모듈(400), 인쇄모듈(400)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탑입으로 이루어진 상기 선거용지(10)에 따라 투입 위치가 상이하며, 투입되는 선거용지(10)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 상기 리어 인쇄모드 및 상기 연속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ain body 100, a display module 200, a detection module 300, a printing module 400, a printing module 400, and a control module,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ops. The input posi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ection paper 10, and one of the front print mode, the rear print mode, and the continuous print mode oper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ype of the input election paper 10.

이에 따라, 하나의 선거장치로도 다양한 종류의 선거용지(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선거용지(10)의 형태를 상이하게 적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인쇄를 할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election papers 10 may be used as a single election device, and printing may be stably performed even if different forms of the election papers 10 are appli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형태로 프론트 인쇄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본다,Next,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rint mode operates in the form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상기 선거용지(10)를 인식하여, 상기 인쇄모듈(400)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다시 상기 제1출입구(110)로 배출된다.The front print mode recognizes the election paper 10 input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prints the election information in the printing module 400,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first entrance 110 again.

이때, 상기 선거용지(10)는 단일한 형태의 한 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거용지(10)에는 별도의 식별코드(12) 및 마커(1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식별센서(340)와 상기 인식센서(350)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election paper 10 is made of a single sheet, and the election paper 1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dentification code 12 and a marker 14 so that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and the It is configured to collect inform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sensor 350 and adjust its position.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1출입구(110)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10)는 상기 이송경로(130)를 따라 상기 제1방향(W1)으로 이송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to the first entrance 110, the election paper 1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W1 along the transport path 130. Is transferred.

이때, 도 5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식센서(310)에서 1차적으로 상기 선거용지(10)의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1인식센서(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센서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며, 상기 선거용지(10)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수광부에서 광의 수신이 차단되는 형태로 감지한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primarily detects whether the election paper 10 is pres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has a light-emitting unit and a light-receiving unit as an optical sensor, and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the light-receiving unit senses the light is blocked.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식센서(310) 내지 상기 제3인식센서(330)는 각각 상기 제1이송롤러(510) 내지 상기 제3이송롤러(530)에 대응하여 인접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are identical to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fer roller 510 to the third transfer roller 530, respectively. Located on board.

이와 같이 상기 제1인식센서(310)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 6과 같이 제1방향(W1)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대기위치에 상기 선거용지(10)를 배치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sensed by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ion paper 1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and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is transferred to (W1) to place the election paper 10 in a separate waiting position.

이때, 상기 선거용지(10)의 이동 시 상기 식별센서(340)와 상기 인식센서(350)를 경유하며, 각각 상기 선거용지(10)에 구비된 상기 식별코드(12)와 상기 마커(14)를 감지한다.At this time,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mov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and the recognition sensor 350, the identification code 12 and the marker 14 provided on the election paper 10, respectively. Detects.

그리고 상기 식별센서(340)에서 상기 식별코드(12)를 감지해 올바른 선거용지(10)인지 판단하고, 만약 올바르지 않은 용지인 경우 상기 이송모듈(500)을 역회전 시켜 상기 선거용지(10)를 배출시킨다.Then, the identification sensor 340 detects the identification code 12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correct election paper 10, and if the paper is incorrect, rotates the transfer module 500 to rotate the election paper 10. Discharge.

상기 선거용지(10)가 제1방향(W1)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3인식센서(330)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선거용지(10)의 이송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며 대기위치에서 인쇄명령을 대기한다.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transferred in the first direction W1 and is detected by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the control module temporarily stops the transfer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prints a command at a standby position. To wait.

여기서, 상기 대기위치는 별도의 위치로 상기 선거용지(10)의 인쇄를 위한 인쇄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머무는 위치로써 상기 이송경로(130)상에서 상기 제1인식센서(310)와 상기 제3인식센서(330) 사이에 위치한다.Here, the standby position is a position that temporarily stays before moving to a printing position for printing the election paper 10 in a separate position, and the first recognition sensor 310 and the third on the transport path 130. It is located between the recognition sensors 33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00)로부터 입력된 상기 선거정보를 상기 제어모듈에서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이송모듈(500)이 추가적으로 동작해 상기 선거용지(10)를 상기 제1방향(W1)으로 제1거리(L1)만큼 추가 이송하여 후방을 상기 인쇄모듈(400)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한다(도 7).In addition, when the elec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display module 200 is controlled to be printed by the control module, the transfer module 500 is additionally operated to move the election paper 10 in the first direction W1. It is further transported by a first distance L1 to arrange the rear at the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400 is located (FIG. 7).

상기 제1거리(L1)는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인쇄부(410)를 통과하여 후방이 상기 인쇄위치에 배치하도록 추가이동하는 거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거리(L1)가 상기 제2인식센서(320)와 상기 인쇄부(410) 사이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제2인식센서(320)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10)의 이송을 멈춤으로써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1거리(L1)만큼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다른 형태로 상기 제1거리(L1)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first distance L1 indicates the distance that the election paper 10 moves further through the printing unit 410 so that the rear side is disposed at the printing pos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istance (L1) represen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and the printing unit 410,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in the election paper (10) When sens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lection paper 10 has moved by the first distance L1 by stopping the transfer of the election paper 10. Of course, unlike this, the first distance L1 may be detected in another form.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거용지(10)를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인쇄위치로 이송 시 상기 제1방향(W1)으로 상기 제1거리(L1)만큼 추가 이송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선거용지(10)의 후방 끝단부가 상기 인쇄부(4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As such, the control unit additionally transfers the election paper 10 by the first distance L1 in the first direction W1 when transferring the election paper 10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printing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election paper 10 The rear end of th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ing unit 410.

이때, 도 7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부(410)는 단순히 상기 선거용지(10)가 이송되는 시점에는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선거용지(10)가 인쇄를 위한 상기 인쇄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부로 승강하여 상기 선거용지(10)의 배면에 접촉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printing unit 410 simply descends downward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transferred, and when the election paper 10 reaches the printing position for printing. It is elevated to the top and contacts the back of the election paper (10).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인쇄부(410)가 상기 선거용지(10)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로 인쇄를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모듈(500)이 역회전하며 상기 선거용지(10)를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송시킨다. Then, as shown in FIG. 8, the printing unit 410 starts printing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module 500 rotates counterclockwise to replace the election paper 10. Transfer in the second direction (W2).

이에 따라, 상기 선거용지(10)의 배면에는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되며, 지속적으로 상기 이송모듈(500)이 구동하여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재1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back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the transport module 500 is continuously driven so that the election paper 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entry.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가 동작하며, 낱장 형태의 상기 선거용지(10)를 한 장씩 인쇄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front print mode operates, and the election sheets 10 in a single sheet form can be printed one by one.

즉,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10)가 단일 용지로 구성되어 제1출입구(110)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400)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다시 상기 제1출입구(110)로 배출된다.That is, in the front print mode, in the front print mode, the election paper 10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and is put into the first entrance 110, and after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400,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again. It i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110.

이어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리어 인쇄모드의 동작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S. 9 to 13,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ar print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거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별도의 지지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in the 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upport unit 140.

상기 지지유닛(140)은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출입구(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복수 개의 선거용지(10)를 수납한 상태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140)은 일반적인 거치대 형태로 상기 제2출입구(120)와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선거용지(1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The support unit 140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120 to support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10 are stored on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support unit 140 is continuously coupled to the second entrance 120 in the form of a general cradle and supports the election paper 10 from the bottom.

여기서, 상기 선거용지(10)는 복수 개가 절첩된 형태로 적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선거용지(10)는 상기 마커(14)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마커(14)를 기준으로 각각의 선거용지(10)를 구분할 수 있다.Here, the election paper 10 is stacked in a plurality of folded form, it is configured in a continuously connected 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election papers 1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arkers 14, and each election paper 10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markers 14.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지지유닛(140)은 상기 제2출입구(120)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거용지(10)의 크기에 대응해 하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unit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second entrance 120,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in an aligned state from the bottom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lection paper 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거장치는 별도의 지지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복수 개가 연속하여 길게 형성된 형태의 상기 선거용지(10)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출입구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support unit 140 to support the election paper 10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tinuously elongated and to be input into the second entrance. Make it possible.

상기 제2출입구(120)로 상기 선거용지(10)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제2인식센서(320)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리어 인쇄모드가 동작된다.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to the second entrance 120,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detects the election paper 10, and based on this, the rear printing mode is operated.

상기 리어 인쇄모드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식센서(320)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이송모듈(500)을 동작시켜 상기 선거용지(10)를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송하여 상기 마커(14)가 상기 인식센서(350)에서 감지되도록 한다.Looking a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ar print mode, first,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detects the election paper 10. Then,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transfer module 500 to transfer the election paper 10 in the second direction W2 so that the marker 14 is detec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350.

이때, 도시된 바와 달리 실제로는 상기 인식센서(350)와 상기 인쇄모듈(400)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인식센서(350)에서 감지되더라도 상기 인쇄모듈(400)과 인접하게 상기 인쇄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unlike the illust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ognition sensor 350 and the printing module 4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ly, even if the election paper 10 is detec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350, the printing is performed. The module 4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ing position.

여기서, 상기 선거용지(10)는 실제로 각각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복수 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선거용지(10)가 연속하여 상기 이송경로(130)를 따라 이송된다.Here, although the election papers 10 are actually configured separately,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10 are formed in a connected 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election papers 10 are continuously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path 130. .

이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송되어 상기 마커(14)를 기준으로 위치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더라도 인쇄를 위한 선거용지(10)의 구분이 가능하다.As such, the election paper 10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W2 to adjust the position based on the marker 14, so that even if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tinuous, the election paper 10 for printing can be divided. Do.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통해 입력된 상기 선거정보를 상기 제어모듈에서 인쇄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부(410)는 승강하여 상기 선거용지(10)의 배면에 접촉해 인쇄를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elec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200 is controlled to be printed by the control module, and accordingly, the printing unit 410 moves up and down to contact the back of the election paper 10 to perform printing. do.

이와 함께 상기 이송모듈(500)이 동작하여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송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출입구(110)로 배출된 상기 선거용지(10)는 사ŸB자가 직접 상기 선거용지(10)를 절단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별도로 마련된 선거함에 투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module 500 is operated so that the election paper 10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W2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ntrance 110 as shown in FIG. 12. The election paper 10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110 can be collected by the company B directly cutting the election paper 10, and can be put in a separate election box.

위의 과정을 통해 상기 리어 인쇄모드가 수행되며, 상기 리어 인쇄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선거용지(10)가 연속하여 연결되더라도 상기 마커(14)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를 구분하며 선거정보를 인쇄해 출력할 수 있다.The rear printing mode is per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in the rear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 10 is classified and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through the marker 14 even if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10 are continuously connected. And print it out.

이와 같은 상기 리어 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10)가 복수 개로 연속하며 연결되어 상기 제2출입구(120)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400)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제1출입구(110)로 배출된다.In the rear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 10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trance 120, and after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in the printing module 400, the first entrance 110 ).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선거용지(1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가 복수 개의 선거군에 대해 동시 선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odified form of the election paper 1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ion paper 10 is configured to enable simultaneous election for a plurality of electoral groups as shown in FIG. It may be.

구체적으로 상기 선거용지(1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복수 개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기는 하나 각각의 상기 선거용지(10)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획되어 있다.Specifically, when looking at the modified form of the election paper 10, each of the election paper 10 is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although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즉, 하나의 선거용지(10)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색상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각의 색상을 별도로 감지하여 상기 선거용지(10)에서 인쇄영역을 분할 구획한다.That is, a single election paper 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or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back surface, and each color is separately sensed to divide the printing area on the election paper 10.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선거군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10)는 배면이 세 가지의 색상을 가지며 순차 배열되어 해당 색상을 기준으로 각각의 선거군에 대한 선거정보를 독립적으로 인쇄되도록 한다.In the case of voting for three electoral groups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electoral land 10 has three colors on the back side and is sequentially arranged to election for each electoral group based on the corresponding color. Allow information to be printed independent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거용지(10)는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송 시 배면의 색상이 인식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영역을 설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ion paper 10 recognizes the color of the back surface when transporting in the second direction W2, and accordingly sets the printing area in the control module as shown in FIG. 13.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감지된 각각의 상기 인쇄영역(A)에 대응하여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되도록 상기 선거용지(10)의 위치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선거군에 대해 동시에 선거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election sheet 10 so that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in correspondence to each detected printing area A, so that a plurality of election groups can be simultaneously elected.

즉,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선거용지(10)의 배면의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경계를 중심으로 영역을 특정하고, 각각의 영역에 독립적으로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module identifies areas based on borders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back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allows the election information to be printed independently on each area.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의 배면 색상에 따라 감지된 상기 인쇄영역(A)이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인쇄모듈(400)이 각각의 선거군에 대한 선거정보를 올바르게 인쇄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한다.Looking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3, when the printing area A detected according to the back color of the election paper 10 is divided into the first area A1 to the third area A3, The control module adjusts the position so that the printing module 400 can correctly print election information for each electoral group.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선거용지(10)의 일면에는 아무런 표시도 없지만, 배면에 형성된 색상을 통해 상기 인쇄영역(A)을 복수 개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상기 선거용지(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does not have any indication on one side of the election paper 10, but divides the printing area A into a plurality of colors through the color formed on the back, and thereby locates the election paper 10.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거장치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서로 다른 배면 색상을 가지는 영역이 순차 배열된 상기 선거용지(1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선거군에 대한 선거정보를 상기 인쇄영역(A1, A2, A3)별로 각각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uses the election paper 10 in which areas having different back colors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display elec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lection groups in the printing areas A1 and A2. , A3).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된 상기 선거용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선거군 별로 분할하여 각각의 투표함에 투입한다. In addition, the election paper 10 on which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each electoral group and is put into each ballot box as illustrated.

여기서, 각각의 상기 선거용지(10)는 상기 마커(14)를 통해 구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선거용지(10) 내에서 인쇄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배면의 색상을 통해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복수 개의 선거를 인쇄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election papers 10 may be divided through the markers 14, and the division of the printing area within one election paper 10 is divided through a color on the back side to independently select a plurality of elections. Can print.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에 인쇄된 상기 선거군별 선거정보는 배면의 색상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상기 투표함에는 동일한 색상의 용지만 투입함으로써 투표가 완료된 후 투표함의 개표 시 배면의 색상을 통해 무효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ion information for each election group printed on the election paper 10 is divided based on the color of the back side, only the same color paper is put into each ballot box, and when the ballot is counted, the back of the ballot box is counted. It has the advantage of easily distinguishing invalid tickets through the color o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통해 상기 리어 인쇄모드의 동작 및 복수 개의 색상이 순차 배열된 형태의 선거용지(10)를 통해 복수 개의 선거군을 동시에 선거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형태에 대해 살펴본다.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rear printing mode and the configur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electing a plurality of electoral groups through the election paper 10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s are sequentially arranged were examined. In this regar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0)상에서 상기 지지유닛(140)이 아닌 별도의 수납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ain body 100,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orage unit 150 rather than the support unit 140.

상기 수납유닛(150)은 상기 선거용지(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본체(100)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2출입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출입구(120)와 연통되어 상기 선거유닛을 수납한다.The storage unit 15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ion paper 10 a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120, and one side of the second entrance 120 It communicates with the election unit.

여기서, 상기 선거용지(10)는 상술한 바와 달리 롤탑입의 용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선거용지(10)가 분할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인쇄되는 상기 선거정보에 따라 인쇄길이가 설정된다.Here, unlike the above, the election paper 10 may be composed of a roll-mounted paper, and the election paper 10 is not divided separately, and the printing length is according to the election information printed by the control module. Is set.

상기 수납유닛(150) 내부에는 상기 선거용지(10)가 수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투입된다. The election unit 1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150 and one end is input through the second entrance 120.

이와 같이 상기 수납유닛(150)에서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2출입구(120)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제2인식센서(320)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에서 연속인쇄모드를 동작한다.As such,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from the storage unit 150 to the second entrance 120,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detects the election paper 10, and through this control The module operates continuous print mode.

상기 연속인쇄모드는 상기 제2인식센서(320)에서 상기 제2방향(W2)으로 상기 선거용지(10)가 투입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이송하여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3인식센서(330)에서 감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인식센서(330)는 상기 인쇄모듈(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차 범위 내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input from the second recognition sensor 320 to the second direction W2, the election paper 10 is additionally transferred to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To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is preferably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printing module 400, and may be spaced apart within an error range.

상기 제3인식센서(330)에서 상기 선거용지(10)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송모듈(500)은 일시적으로 동작응 멈추고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인쇄모듈(400)과 인접한 상기 인쇄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When the election paper 10 is sensed by the third recognition sensor 330, the transfer module 500 temporarily stops working and the election paper 10 is located at the printing position adjacent to the printing module 400. To be placed.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의 인쇄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부(410)는 상부로 승강하여 상기 선거용지(10)와 접촉해 인쇄를 수행하며, 이와 함께 상기 이송모듈(500)이 동작하여 상기 제2방향(W2)으로 상기 선거용지(10)가 이송된다.In addition, when a print command of the 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the printing unit 410 moves upward and contacts the election paper 10 to perform printing, and the transfer module 500 operates together. By doing so, the election paper 10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W2.

이후, 상기 선거용지(10)는 연속한 롤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커팅을 위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인쇄모듈(400)과 상기 제1출입구(110) 사이의 이격거리인 제2거리(L2)만큼 상기 선거용지(10)를 상기 제2방향(W2)으로 추가 이송시킨다.Thereafter, since the election paper 10 is formed in a continuous roll form, for cutting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module is a second distance that i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module 400 and the first entrance 110. The election paper 10 is further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W2 by (L2).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에서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된 부분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팅함으로써 상기 선거용지(10)를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part where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election paper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cut the election paper 10 by cutting.

이후, 상기 선거용지(10)를 통해 상기 선거정보를 추가 인쇄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10)가 상기 제2거리(L2)만큼 상기 제1방향(W1)으로 이송되어 상기 인쇄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인쇄모듈(400)에 의해 상기 선거정보가 추가 인쇄된다.Thereafter, when the elec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inted through the election paper 10, the election paper 1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W1 by the second distance L2 and disposed at the printing position. Then, the elec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400.

이와 같이 상기 선거용지(10)가 롤 타입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선거정보의 인쇄 시 선거정보에 따라 선거용지(1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에서는 인쇄완료 후 제2거리(L2)만큼 상기 선거용지(10)를 추가이송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선거용지(10)를 분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lection paper 10 is formed in a long roll type so that the length of the election paper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lection information when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ly, in the control module, the second distance after printing is completed. By additionally transferring the election paper 10 as much as (L2), the user can stably separate the election paper 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거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상기 선거용지의 종류 및 투입위치에 따라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 리어 인쇄모드 또는 연속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동작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선거용지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any one of the front printing mode, the rear printing mode, or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is selec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input position of the election pap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arious types of election papers can be properly u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본체
200: 디스플레이모듈
300: 감지모듈
400: 인쇄모듈
500: 이송모듈
100: main body
200: display module
300: detection module
400: printing module
500: transfer module

Claims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거용지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제1출입구 및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제1출입구와 연통하며 상기 선거용지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상에 구비되어 선거에 관련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가 선거에 대한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출입구 또는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선거용지를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제1출입구에서 제2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이송경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선거용지에 입력정보를 포함한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모듈;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제1출입구에서 제2출입구로 이동하는 제1방향 또는 이와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모듈; 및
투입된 상기 선거용지의 종류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프론트 인쇄모드, 리어 인쇄모드 또는 연속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도록 선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내부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가 단일 용지로 구성되어 제1출입구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다시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되며,
상기 리어 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가 복수 개로 연속하며 연결되어 상기 제2출입구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되고,
상기 연속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용지가 롤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출입구로 투입되고, 상기 인쇄모듈에서 인쇄영역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정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a first entranc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entran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entrance along a transport path, and the election land is input or discharged along a transport path;
A display module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an election or a user to input input information about an election;
A detection module configured at least one on the transport path to detect the election paper inputt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entranc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 printing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trance by a second distance, provided on the transport path, and printing 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put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A transfer module for moving the election paper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entrance to the second entrance on the transfer path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hereto; And
In response to the type or position of the electoral ballot input, the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o drive one of the front print mode, the rear print mode or the continuous print mode and th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re recorded therein.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recording unit; And
In the front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 is composed of a single sheet and is put into the first entrance, and after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it is discharged back to the first entrance,
In the rear printing mode, the election paper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ntrance, and the election information is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and then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ion paper is formed in a long form in a roll and is input to the second entrance, and the length of the printing area is adjusted in the printing module to print the stop information and then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multiple types of election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제1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상기 제2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인쇄모듈과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인쇄모듈과 상기 제1감지센서 사이에서 상기 인쇄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선거용지가 기 설정된 대기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3감지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어 인쇄모드 또는 연속인쇄모드를 수행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module,
A first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and detecting the election paper inputted through the first entrance;
A second sensing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and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module by a first distance, and detecting the election paper input through the second entrance;
A third sensing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ing module between the printing module and the first sensing sensor on the transport path to detect whether the election paper is present, and to allow the election paper to be seated at a predetermined waiting position; It includes,
When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the front printing mode is performed, and when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the rear printing mode or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is performed on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선거용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기록된 고유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센서를 더 포함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etection module,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variety of election paper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cation sensor for identifying the unique information recorded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on the election paper on the transport pa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인쇄모드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대기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1거리만큼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추가 이송하여 후방을 상기 인쇄모듈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인쇄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선거용지를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모듈에서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여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ront print mode,
The first sensing sensor detects the election paper, transfers it to the first direction, and places it in the waiting position,
The election paper is additionally transferred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distance from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rear is disposed at the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is located.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multiple types of election paper discharged to the first exit by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printing module while transferring the election paper from the printing position to the second direction by the transfer module Eggplant ele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용지는,
복수 개가 연속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각각에 독립적인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ion site,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 formed by a plurality of continuous and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including the independent identification c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용지는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인쇄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마커를 감지하는 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마커를 기준으로 상기 선거용지를 구분하여 전면에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되도록 제어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ction sit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marker on the back,
The detection modul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rint module on the transport path and further includes a recogn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arker,
The control module is 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variety of election papers to control the election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the front by dividing the election papers based on the mark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인쇄모드는,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여 제2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선거용지의 상기 마커가 상기 인식센서에서 감지되면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인쇄모듈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선거용지에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인쇄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ar print mode,
The election sensor detects the election paper and transfers it to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marker of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the election paper is placed at the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is located,
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printed on the election paper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printing position by the transfer module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by the transfer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용지는,
배면에 복수 개의 색상이 순차 배열되어 색상을 기준으로 전면에 상기 인쇄영역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인쇄영역에 독립적으로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ction site,
An elec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the printing area on the front surface based on the color, and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on which the election information is independently printed on each printing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출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복수 개의 상기 선거용지가 수납된 상태로 안착되는 별도의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body,
Election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arranged adjacent to the second entrance, and has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variety of election papers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support unit sea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election papers are stored on the upper surfac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용지는,
롤 형태로 길게 연속하여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로 구획되어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ion site,
Election device which is arranged continuously in a long form in a roll shape and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has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multiple types of election paper for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인쇄모드는,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를 감지하여 제2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에서 상기 선거용지가 감지되면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인쇄모듈이 위치한 인쇄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선거용지에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한 후 상기 이동모듈에 의해 상기 선거용지를 상기 제2거리만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출입구로 배출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The election sensor detects the election paper and transfers it to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election paper is detected by the third detection sensor, the election paper is placed at a printing position where the printing module is located,
After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on the election paper, the mobile module transfers the election paper by the second dis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to discharge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discharged to the first entrance. Eggplant election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인쇄모드는
상기 선거정보를 추가 인쇄하는 경우, 상기 선거용지가 상기 제2거리만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인쇄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인쇄모듈에 의해 상기 선거정보가 인쇄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inuous printing mode
In the case of additionally printing the election information, the election paper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second distance and disposed at the printing position, so that the election information is independently printed by the printing module. Election device having a print m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쇄용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제2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출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선거용지를 수납하는 수납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 body,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which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xit,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the election pap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exit. Eggplant ele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선거정보를 상기 식별센서가 인식 가능한 형태의 결과코드 및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형태의 텍스트로 각각 인쇄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inting module,
An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ion papers, each of which prints the election information in a form in which the identification sensor can recognize the result code and a text in a form visually recognizable by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각각의 상기 선거용지에 대해 생성시간, 고유번호, 생성장소 및 해당 선거일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identification code,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variety of election papers,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creation time, unique number, location, and corresponding election date for each of the election pap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듈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구비되어 상기 선거용지의 일면에 접촉해 상기 선거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 및
상기 선거용지를 중심으로 상기 인쇄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거용지를 가압하며 상기 인쇄부와 상기 선거용지가 접촉하도록 하는 플래튼 롤러;
를 포함하는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inting module
A print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port path to print the election informa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election paper; And
A platen roller arranged to face the printing unit centered on the election paper and pressing the election paper to make the printing unit contact the election paper;
Ele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printing mode for a variety of election paper, including.
KR1020180171482A 2018-12-28 2018-12-28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KR102132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82A KR102132448B1 (en) 2018-12-28 2018-12-28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82A KR102132448B1 (en) 2018-12-28 2018-12-28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694A true KR20200083694A (en) 2020-07-09
KR102132448B1 KR102132448B1 (en) 2020-07-10

Family

ID=7160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482A KR102132448B1 (en) 2018-12-28 2018-12-28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44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140A (en) * 2008-06-12 2009-12-16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paper
KR100994079B1 (en) 2010-04-12 2010-11-1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Electro-vote apparatus
KR101653220B1 (en) * 2015-04-30 2016-09-01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Apparatus for Scanning Ballot Paper
KR20170033682A (en) * 2015-09-17 2017-03-27 (주) 유니콤티디 Apparatus restricting for printing of common paper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65337A (en)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Voting and counting devices using various NFC built-in cards and identification code scan fun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140A (en) * 2008-06-12 2009-12-16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paper
KR100994079B1 (en) 2010-04-12 2010-11-1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Electro-vote apparatus
KR101653220B1 (en) * 2015-04-30 2016-09-01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Apparatus for Scanning Ballot Paper
KR20170033682A (en) * 2015-09-17 2017-03-27 (주) 유니콤티디 Apparatus restricting for printing of common paper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65337A (en)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Voting and counting devices using various NFC built-in cards and identification code sca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448B1 (en)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471B2 (en) Ballot marking device having attached ballot box
US8191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curity features on paper ballots
US20080093449A1 (en)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multiple key switch voter interface
US7100828B2 (en) Voting system utilizing hand and machine markable ballots
CN102622622A (en) Multifunctional certificate car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KR100994079B1 (en) Electro-vote apparatus
US200901664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Auditing a Paper Record of Votes Cast on a Voting Machine
CN211000509U (en) Certificate production system
US7163147B2 (en)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dual print heads
KR102132448B1 (en) An ele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print mode for multiple election papers
US7222787B2 (en)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single print head
KR20100082649A (en) Device for scanning sheet for vote
KR101660222B1 (en) Vote Paper Scan Apparatus Having Paper Arranger
KR102122420B1 (en) Voting and counting devices using independent election paper with independent identification code
KR100438153B1 (en) An apparatus for electronic voting
KR101972922B1 (en) Voting and counting devices using various NFC built-in cards and identification code scan function
JP7049960B2 (en) Ballot issuing device
KR102068497B1 (en) Voting and counting devices capable of selective contro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election paper
KR102315082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KR101460750B1 (en) Electro-Vote Apparatus Wiht Each Classification Chamber Having Conting Unit
KR20100068140A (en) Sheet for vote and device for scanning the same
KR20030097054A (en)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70384A (en) Touch type election device
KR101584969B1 (en) Electro-Vote Apparatus Having Discharge Function by Detecting Double Paper Fee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3351009B2 (en) Printing plate automatic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