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548A -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 Google Patents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548A
KR20200082548A KR1020180173240A KR20180173240A KR20200082548A KR 20200082548 A KR20200082548 A KR 20200082548A KR 1020180173240 A KR1020180173240 A KR 1020180173240A KR 20180173240 A KR20180173240 A KR 20180173240A KR 20200082548 A KR20200082548 A KR 2020008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iration
inspiration
student
instrume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이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혁 filed Critical 이동혁
Priority to KR102018017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548A/ko
Publication of KR2020008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작품 요약>
1. 들숨과 날숨을 한 기구에서 할 수 있으며 바람조절기를 끼워 들숨과 날숨이 커지게 운동하고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2. 파란쪽은 들숨 방향으로 입을 대고 숨을 들이쉬면 파란 화살표를 따라 공기가 들어가서 가운데 원기둥 속에 있는 아크릴 구를 끌어올린다.
3. 빨간쪽은 날숨 방향으로 숨을 내쉬면 빨간 화살표를 따라 공기가 들어가 가운데 원기둥 속에 있는 아크릴 구를 밑에서 밀어 올린다.
4. 바람조절기(4단)를 끼워 훈련을 단계적으로 할 수 있다.
5. 매력적인 모양으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고 날숨 훈련을 강화하고 들숨과 날숨 훈련을 한 기구에서 할 수 있어 굉장히 유용하며 혼자 힘으로 시작하고 마칠 수 있어 장애학생들 및 호흡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호흡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Description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Breathing exercise instrument for brain lesions}
의료 및 학습교구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아크릴 기둥안에 있는 아크릴 공이 들숨과 날숨의 양에 의해 올라감.
뇌병변 1급인 친구가 있는데 태어날 때부터 뇌에 문제가 있어서 한쪽은 완전히 굳어 있고 왼손, 왼발만 겨우 움직이며 휠체어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다. 이런 이유로 근육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어서인지 온 몸의 근육이 항상 긴장상태에 있고 숨쉬기와 말하기에도 많은 문제를 보인다.
Figure pat00001
왜 들숨, 날숨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인가? 말은 숨을 들이킨 후, 다음에 다시 마실 때까지 몇 마디 말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뇌병변장애학생은 긴장을 하면 갑자기 숨쉬기와 말하기의 균형이 깨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호기(들숨)와 흡기(날숨)의 문제때문에 고통을 겪지 않고 숨쉬는 것이 편해져 말의 힘이 생기고 더 나아가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호흡훈련을 하려고 한다.
들숨과 날숨 두 가지를 한 기구에서 연습할 수 있어야 한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뇌병변 장애학생이나 호흡기 질환에 문제가 있는 사람의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 - 자신의 숨 쉬는 양을 정확히 알고 훈련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 구멍의 크기 조절)
제작비가 적게 들고 제작이 쉬우며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어 널리 활용할 수 있다.
호기심을 가지고 게임처럼 즐겁게 훈련할 수 있다.
컴퓨터처럼 켜고 끄는 것이 아니고 전기 등을 연결할 필요도 없어 편하고 안전하며 혼자 힘으로 훈련을 시작하고 마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숨쉬기가 편해져 말이 힘이 있고 커지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날숨을 길게 연습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들숨훈련을 빼놓을 수는 없다. 원기둥을 중심으로 파란 띠로 표시된 곳이 들숨훈련을 하는 곳이고 빨간 띠로 표시된 곳이 날숨훈련을 하는 곳이다. 그리고 방향을 뒤집으면 들숨과 날숨의 방향이 바뀐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들숨의 방향> <날숨의 방향>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바람조절기 끼우기> <아크릴 공이 올라가는 모습>
Figure pat00009

<크기에 따른 바람 크기 구멍 조절 - 바람조절기>
훈련방법: 원기둥 옆에 달려 있는 옆으로 뻗어 나온 파란 띠, 빨간 띠 입구에 입에 대고 숨을 내 쉬거나 빨아들임
들숨은 파란 띠
들숨은 숨을 들이마셔서 파란띠가 있는 관 윗쪽을 올라가 뚫려있는 천정을 지나 가운데 원기둥에 있는 아크릴 구를 공중으로 끌어 올림
날숨은 빨간 띠
날숨은 숨을 내쉬어 빨간 띠가 있는 관 아래쪽으로 내려가 뚫려 있는 아래 받침을 지나 가운데 원기둥에 있는 아크릴 구를 바닥에서 밀어 올림
기능: 들숨과 날숨 훈련
들숨이나 날숨을 연습할 때 반대편에 바람조절기(4단까지 구성)를 꽂으면 숨의 양이 조절되어 훈련의 강도 조절
바람의 크기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받는지 결과를 알아보았다. 1단은 바람구멍을 가장 적게 열 때 이며 4단은 바람조절기를 끼지 않고 했을 때를 말한다. 기록한 숫자는 아크릴 구가 얼마만큼 올라갔는지 모두 10번씩 실시하고 평균을 적었다.
바람의 크기에 따라 아크릴 구가 올라간 1차 실험 결과
바람의 크기
숨의 유형
1단 2단 3단 4단
날숨 1.5 2.6 2.9 5.9
들숨 1.2 2.4 2.6 4.9
작품을 제작하고 난 후 약 20일 정도 꾸준히 연습했더니 1차 실험 2018. 9.29일에 비해 2차 2018.10.20일에는 들숨과 날숨양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양이 커지고 나니 들숨과 날숨을 조절하는 힘도 조금씩 늘어갔다. 숫자 5까지 올라가기로 마음 먹으면 5까지 아크릴 구를 보내고 같은 양의 힘을 계속 줄 수 있게 되었다.바람의 크기에 따라 아크릴 구가 올라간 2차 실험 결과
바람의 크기
숨의 유형
1단 2단 3단 4단
날숨 2.1 3.3 4.7 7.2
들숨 2 2.8 4.5 6.8
훈련하는 도중 침이 고였을 경우 등 위생을 고려하여 아래쪽 바닥에 있는 아크릴 나사못을 돌려 들숨, 날숨 부는 관에 물을 넣어 씻어내도록 제작하였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물빠짐을 위해 나사못 돌려 분리하기> <물로 세척하는 모습>
1. 사용하기 쉽고 편하며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다.
2. 도면대로 누구나 업체에 맡겨서 제작 가능하며 가격이 비싸지 않다.
3. 시중에 나온다면 가정이나 특수학급, 특수학교 그리고 치료실 등에서 활용되어질 것이다.

Claims (1)

  1. 아크릴 기둥 속에 있는 공이 들숨과 날숨에 의해 올라가고 내려가는데 바람조절기(4단)를 통해 들숨과 날숨의 훈련 강도 조절이 가능하고 숨의 크기만큼 숫자에 의해 공이 얼마만큼 올라갔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호기심을 자극하여 치료 및 교육적 효과 극대화.
KR1020180173240A 2018-12-30 2018-12-30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KR20200082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40A KR20200082548A (ko) 2018-12-30 2018-12-30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40A KR20200082548A (ko) 2018-12-30 2018-12-30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48A true KR20200082548A (ko) 2020-07-08

Family

ID=7160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240A KR20200082548A (ko) 2018-12-30 2018-12-30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5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zlett-Stevens et al. Breathing retraining and diaphragmatic breathing techniques
Edwards A psychology of breathing methods
Parkes The limits of breath holding
McKeown The breathing cure: Develop new habits for a healthier, happier, and longer life
Maind et al. Comparison between effect of pursed lip breathing and mouth taping on dyspnoea: A cross sectional study
Chinevere et al. Nasal splinting effects on breathing patterns and cardiorespiratory responses
KR20200082548A (ko) 커져라 들숨 날숨 뇌병변장애학생의 호흡훈련기
RU2336907C2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дых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ьянцева-величковского
RU2514320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дыхательной гимнастики для похудания
Osichenko et al. The use of breathing techniques with the treatment-and-prophylactic purpose
Nam et al. Specially programme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for singers by using respiratory muscle training device (Ultrabreathe®)
EP1485157B1 (en) Apparatus for hypoxic training and therapy
RU2582762C1 (ru) Способ немедикаментозн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детей с бронхиальной астмой
RU215426U1 (ru) Тренажёр дыхательный
CN216725686U (zh) 一种康复科用呼吸训练器
RU2766398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дыхательной гимнастики
Sharma Effects of seven weeks Kapalbhati pranayama training on vital capacity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Bepko Mastering the Breath: A Guide to the Invisible Key to Athletic Success
RU2188042C1 (ru) Лечебный корректор дыхания
KR20230035064A (ko) 환기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용도
Sharma Pranayama can be practiced safely
Mashura et al. PULMONARY REHABILITATION
Gałuszka Physiotherapy for respiratory diseases
Konowaluk-Nikitin et al. AN INNOVATIVE METHOD OF HARDENING IN PRO-HEALTH EDUC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Osychenko et al. USE OF RESPIRATORY METHODS WITH A THERAPEUTIC AND PREVENTIVE PURP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