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322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322A
KR20200082322A KR1020180172799A KR20180172799A KR20200082322A KR 20200082322 A KR20200082322 A KR 20200082322A KR 1020180172799 A KR1020180172799 A KR 1020180172799A KR 20180172799 A KR20180172799 A KR 20180172799A KR 20200082322 A KR20200082322 A KR 20200082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posed
light emitting
light guid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270B1 (ko
Inventor
이경하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2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251/536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기판, 기판의 상측에 구비된 제1 보조전극, 제1 보조전극을 덮도록 구비된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구비된 제2 전극,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봉지층,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배리어 필름, 및 유기발광층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입사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도광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유기발광층이 발광하는 광 중 일부를 중앙부 쪽으로 반사시켜서 전체적으로 광의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출원은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로는 주로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사용한다. 이중에서, 백열등은 색재현을 표시하는 지수인 연색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좋으나 에너지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고, 형광등은 효율은 좋으나 연색지수가 낮고 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 문제가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유리기판 위에 ITO로 이루어진 애노드(anode) 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발광층과 캐소드(cathode) 전극이 형성되고, 그 위에 보호층과 봉지수단으로 라미네이션 필름이 부착되어 제조된다.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높은 광효율(광추출 효율)과 소자 수명이 요구되나, 대면적 조명장치 제작 시 조명장치의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캐소드(cathode) 전극의 저항 한계로 인해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캐소드(cathode) 전극뿐만 아니라, 애노드(anode) 전극까지 투명해야 하는 투명 조명장치일 경우 더 심화된다.
본 출원은 유기발광소자가 발광하는 광의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기판, 기판의 상측에 구비된 제1 보조전극, 제1 보조전극을 덮도록 구비된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구비된 제2 전극,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봉지층,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배리어 필름, 및 유기발광층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입사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도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조명장치는 유기발광층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도광부를 배치함으로써, 유기발광층이 발광하는 광 중 일부를 중앙부 쪽으로 반사시켜서 전체적으로 광의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락방지 패턴을 도 3에 적용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조명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투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2), 제1 보조전극(3), 제1 전극(4), 절연층(5), 유기발광층(6), 제2 보조전극(7), 제2 전극(8), 봉지층(9), 도광부(10), 및 제1 배리어층(11)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절연층(5)이 제1 전극(4)과 유기발광층(6)을 절연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적층 순서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절연층(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발광영역(NA)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2)은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 유리 기판(glass substrate), 또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2)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2) 상에는 제1 전극(4), 유기발광층(6), 제2 전극(8), 봉지층(9), 도광부(10), 및 제1 배리어 필름(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판(2) 상에는 상기 제1 전극(4)과 상기 제2 전극(8)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1 전극(4)과 상기 제2 전극(8) 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층(5), 상기 제1 전극(4)에 컨택되는 제1 보조전극(3), 및 상기 제2 전극(8)에 컨택되는 제2 보조전극(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상기 제1 전극(4)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상기 제2 전극(8)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제1 전극(4)의 전압을 보강할 수 있고,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제2 전극(8)의 전압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전극(3)과 제2 보조전극(7)은 각각 제1 전극(4)과 제2 전극(8)의 전압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대면적 조명장치뿐만 아니라 투명 조명장치의 휘도 불균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상기 제1 전극(4)의 전압을 보강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Al, Au, Cu, Ti, W, Mo,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불투명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투명 조명장치이기 때문에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기 위해 광이 발광되지 않는 비발광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발광영역(NA)은 유기발광층(6)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발광영역(EA)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영역(EA)은 유기발광층(6)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기발광층(6)은 본 조명장치(1)의 전면에 증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영역(EA)은 제1 전극(4)과 제2 전극(8)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고, 비발광영역(NA)은 제1 전극(4)과 제2 전극(8)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상기 기판(2) 상에 형성되되, 매시(Mesh)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시 형태의 제1 보조전극(3)은 발광영역(EA)을 감싸도록 상기 비발광영역(N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매시 형태뿐만 아니라, 육각형이나 팔각형 형상 또는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보조전극(3)은 상기 제1 전극(4)에 균일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조명장치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은 상기 제1 보조전극(3)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은 애노드(anode)일 수 있다. 본 조명장치(1)는 투명 조명장치이기 때문에 일 예에 따른 제1 전극(4)은 투명한 재질인 ITO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4)은 유기발광층(6)이 발광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전극(4)의 투명한 ITO는 큰 저항으로 인해 대면적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전류의 분포가 고르지 않아서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제1 보조전극(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영역(EA) 외측의 제1 컨택부(CA1)로 연장되어 제1 전압공급부(P1)에 컨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은 절연층(5)에 의해 덮힘으로써, 상기 절연층(5) 상에 배치된 제2 전극(8)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전극(4)은 제2 컨택부(CA2)에서 절연층(5)에 의해 제2 전극(8)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발광영역(NA)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기 제1 전극(4)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5)은 발광영역(E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8)은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8)은 상기 제2 컨택부(CA2)에서 제2 전압공급부(P2)에 컨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공급부(P1)는 제1 전극(4)에 애노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전압공급부(P2)는 제2 전극(8)에 캐소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전압공급부(P1)와 상기 제2 전압공급부(P2)는 상기 유기발광층(6)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제1 전극(4)과 제2 전극(8)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전극(4)과 상기 제2 전극(8)에 서로 다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택부(CA1)과 상기 제2 컨택부(CA2)는 비발광영역(NA)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컨택부(CA1)과 상기 제2 컨택부(CA2)는 본 조명장치(1)의 외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5)은 제1 전극(4)과 제2 전극(8)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 전극(4)과 상기 제2 전극(8)을 전기적으로 단절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5)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발광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5)은 발광영역(E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층(5)은 SiOx나 SiNx 등의 무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절연층(5)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물질 및 유기물질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층(5)은 컨택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홀(51)은 비발광영역(NA)에 배치된 제1 컨택부(CA1)에서 상기 제1 전극(4)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홀(51)은 상기 제1 컨택부(CA1)에 배치된 절연층(5)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공급부(P1)는 상기 컨택홀(51)을 통해 상기 제1 전극(4)에 컨택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4)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컨택부(CA2)에서는 절연층(5)이 제2 전극(8)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전극(8)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컨택홀이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상기 유기발광층(6)은 백색 유기발광층으로서, 청색(B) 발광층과 황녹색(YG) 발광층을 포함하는 2스택 구조, 또는 적색(R) 발광층과, 녹색(G) 발광층, 및 청색(B) 발광층을 포함하는 3스택 구조인 탠덤(tandem)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6)은 발광층에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 및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8)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상기 절연층(5)과 상기 제2 전극(8)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 전극(8)에 컨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상기 제2 전극(8)의 전압을 보강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Al, Au, Cu, Ti, W, Mo,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불투명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투명 조명장치이기 때문에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기 위해 광이 발광되지 않는 비발광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상기 기판(2) 상에 형성되되, 전술한 제1 보조전극(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제1 보조전극(3)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보조전극(3)과 유사하게 매시(Mesh)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시 형태의 제2 보조전극(7)은 발광영역(EA)을 감싸도록 상기 비발광영역(NA)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제1 컨택부(CA1)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매시 형태뿐만 아니라, 육각형이나 팔각형 형상 또는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보조전극(7)은 상기 제2 전극(8)에 균일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조명장치뿐만 아니라 투명 조명장치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8)은 유기발광층(6)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8)은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본 조명장치(1)는 투명 조명장치이기 때문에 일 예에 따른 제2 전극(8)은 투명 재질인 IZO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극(8)은 유기발광층(6)이 발광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투명한 IZO는 큰 저항으로 인해 대면적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전류의 분포가 고르지 않아서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제2 보조전극(7)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극(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영역(EA) 외측의 제2 컨택부(CA2)로 연장되어 제2 전압공급부(P2)에 컨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8)과 상기 제1 전극(4) 사이에는 절연층(5)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전극(8)과 상기 제1 전극(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4)에 애노드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전극(8)에 캐소드 전압이 공급되어도 서로 컨택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쇼트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8)은 상기 제2 컨택부(CA2)를 통해 상기 제2 전압공급부(P2)에 컨택됨으로써, 상기 제2 전압공급부(P2)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과 제2 전극(8)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 전극(8)으로부터 전자가 유기발광층(6)으로 주입되고 제1 전극(4)으로부터 정공이 유기발광층(6)으로 주입된다. 이후, 유기발광층(6)내에는 여기자(exciton)가 생성되며, 상기 여기자가 소멸(decay)함에 따라 발광층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와 HOMO(Highest OccupiedMolecular Orbital)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투명 조명장치이기 때문에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이 상측 및 하측으로 방출되는 소위 양면 발광 방식일 수도 있다. 도 1은 양면 발광 방식에서 유기발광층(6)의 상측에 도광부(10)가 배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후술할 도 7a 내지 도 7c는 양면 발광 방식에서 유기발광층(6)의 상측 및 하측에 도광부(10)가 배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 전극(8) 상에는 봉지층(9)이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9)은 유기발광층(6), 및 제2 전극(8)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9)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9)은 제1 무기막, 유기막, 및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무기막은 제2 전극(8)을 덮도록 형성된다. 유기막은 제1 무기막을 덮도록 형성된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제1 무기막을 뚫고 유기발광층(6), 및 제2 전극(8)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무기막은 유기막을 덮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광부(10)는 유기발광층(6)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광부(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층(9)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부(10)는 별도로 제작되어서 전면봉지형 수분차단성 접착필름(FSA) 등을 통해 상기 봉지층(9)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광부(10)는 상기 유기발광층(6)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일부는 출사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도광부(10)는 상기 유기발광층(6)으로부터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입사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상기 도광부(10)로 입사되는 광의 방향(이하, '입사방향'이라 함)을 수직방향이라 하면, 상기 상이한 방향(이하, '반사방향'이라 함)은 수평방향일 수 있다.
상기 입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며, 도 4의 Y축방향일 수 있다. 상기 입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90˚를 이룰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부(10)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상기 도광부(10)의 상면에서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 다른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반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며, 도 4의 X축방향일 수 있다. 상기 반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0˚를 이룰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부(10)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상기 도광부(10) 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 다른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반사방향은 도광부(10)의 끝단부(B)에서 도광부(10)의 중앙부(C)를 향하는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도광부(10)의 끝단부(B)는 본 조명장치(1)의 가장자리 또는 외곽을 의미하고, 상기 중앙부(C)는 본 조명장치(1)의 발광영역(EA)에서 중앙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영역(EA)은 복수개의 픽셀을 모두 합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10)는 도 1과 같이 유기발광층(6)의 상측에 배치된 제1 도광부(101), 및 후술할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유기발광층(6)의 하측에 배치된 제2 도광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광부(101)는 상기 유기발광층(6)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상측으로 발광하는 광을 출사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제1 도광부(101)의 상면과 하면에 반사되어서 끝단부(B)에서부터 중앙부(C)로 광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광부(102)는 상기 유기발광층(6)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하측으로 발광하는 광을 출사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도광부(102)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상면과 하면에 반사되어서 끝단부(B)에서부터 중앙부(C)로 광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도광부(101)는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는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하여 제1 도광부(101)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도광부(101)의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도광부(101)의 외부는 도 4에서 상기 제1 도광부(101)의 상면 또는 하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광부(101)의 하면은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광부(101)의 상면은 상기 광 입사면의 반대면으로써, 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면일 수 있다. 상기 광 출사면을 통해 상기 제1 도광부(101) 내의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는 상기 제1 도광부(10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로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도광부(101)의 하면으로부터 봉지층(9) 쪽으로 돌출된 렌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반사시킬 수 있으면 원뿔, 삼각뿔,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는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 중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가 이격된 사이를 통해서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 중 일부는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가 이격된 사이에 배치된 제1 도광부(101)의 하면을 통해서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고,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 중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 각각의 하면을 통해서 상기 제1 도광부(101)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는 전술한 중앙부(C)로 갈수록 밀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B)에 배치된 제1 패턴부(101a)들 사이의 피치(P)에 비해 중앙부(C)에 배치된 제1 패턴부(101a)들 사이의 피치(P)가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치(P)는 제1 패턴부(101a) 각각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가 중앙부(C)로 갈수록 밀집되게 배치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C)에서 출사되는 광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대면적으로 구비된다 하더라도 도광부(10)의 끝단부(B)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도광부(10)의 중앙부(C)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끝단부(B)와 중앙부(C) 간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봉지층(9) 상에는 제1 배리어 필름(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도광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PET 등과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점착제(Ad, 도 7a에 도시됨) 등을 통해 상기 도광부(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하측에 배치된 도광부(10), 유기발광층(6) 등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전술한 봉지층(9)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은 제1 컨택부(CA1) 및 제2 컨택부(CA2)를 제외한 기판(2)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유기발광층(6)의 상측에 제1 도광부(101)를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층(6)의 상측에서 끝단부(B)와 중앙부(C) 간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단락방지 패턴을 도 3에 적용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단락방지 패턴(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방지 패턴(12)은 도 2의 복수개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이물질 등으로 인한 쇼트가 발생할 경우, 전체 픽셀이 상기 쇼트로 인해 발광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락방지 패턴(12)은 복수개의 픽셀 각각을 둘러싸도록 제1 전극(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방지 패턴(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픽셀 각각을 둘러싸는 제1 전극(4)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4)의 폭을 줄여서 복수개의 픽셀 각각을 둘러싸는 제1 전극(4)의 저항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단락방지 패턴(12)은 복수개의 픽셀 각각을 둘러싸는 제1 전극(4)의 전류 패스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을 관통하여 형성된 단락방지 패턴(12)에는 절연층(5)이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락방지 패턴(12)은 복수개의 픽셀 각각의 발광영역(EA)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발광 영역(EA)의 제2 전극(8)과 제1 전극(4) 사이에 이물질 등에 의해 단락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각 픽셀에 전달되는 전류패스의 저항값을 높여서 단락 발생 영역으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락방지 패턴(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픽셀을 밀폐시키지 않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복수개의 픽셀 각각을 둘러싸도록 제1 전극(4)에 단락방지 패턴(12)을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이물질 등으로 인한 쇼트가 발생할 경우 쇼트가 발생한 픽셀만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서 전체 픽셀이 상기 쇼트로 인해 발광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조명장치에서는 봉지층(9)이 1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봉지층(9)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봉지층(9)은 제1 보호층(91), 파티클 커버층(92), 제2 보호층(93), 및 접착층(9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91)은 제2 전극(8) 상에 배치되며,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무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티클 커버층(92)은 상기 제1 보호층(91)의 상면에 배치되며, 에폭시 계열의 수지성 도포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티클 커버층(92)은 유기막으로써, 제2 보호층(92) 또는 접착층(94)에 있는 이물질과 제2 전극(8)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보호층(93)은 상기 파티클 커버층(82)의 상면에 배치되며,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무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94)은 접착물질로써, 도광판(10) 또는 제1 배리어 필름(11)을 상기 제2 보호층(92)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보호층(91), 상기 파티클 커버층(92), 상기 제2 보호층(93)은 각각 무기막, 유기막, 무기막이 적층된 구조로써, 외부에서 유기발광층(6)으로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94) 역시 상기 제2 보호층(9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층(6)으로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내부 배리어(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배리어(13)는 상기 기판(2)과 상기 제1 보조전극(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배리어(13)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배리어(13)는 상기 기판(2)의 상면에 증착됨으로서, 상기 기판(2)과 상기 제1 보조전극(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배리어(13)는 상기 기판(2)에서 유기발광층(6)으로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배리어(13)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명장치(1)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유기발광층(6)이 발광하는 광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제1 배리어 필름(1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제2 도광부(102), 및 제2 배리어 필름(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광부(102)는 상기 유기발광층(6)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하측으로 발광하는 광을 출사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도광부(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입사방향으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반사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입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며, 도 4의 Y축방향일 수 있다. 상기 입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90˚를 이룰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반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며, 도 4의 X축방향일 수 있다. 상기 반사방향은 상기 기판(2)의 상면에 대해 0˚를 이룰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반사방향은 본 조명장치(1)의 가장자리인 도광부(10)의 끝단부(B)에서 본 조명장치(1)의 발광영역(EA)의 중앙부분인 도광부(10)의 중앙부(C)를 향하는 방향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도광부(102)는 복수개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하여 제2 도광부(102)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도 4에 도시된 복수개의 제1 패턴부(101a)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제2 도광부(10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외부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상면 또는 하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상면은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으로써, 상기 제1 도광부(101)의 하면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광부(102)의 하면은 상기 광 입사면의 반대면으로써, 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면일 수 있다. 상기 광 출사면을 통해 상기 제2 도광부(102) 내의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도광부(102)의 내부로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도광부(102)의 상면으로부터 기판(2) 쪽으로 돌출된 렌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도 4의 제1 패턴부(101a)와 동일한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도광부(102)의 내부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반사시킬 수 있으면 원뿔, 삼각뿔,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제2 도광부(102)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 중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가 이격된 사이를 통해서 상기 제2 도광부(102)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 중 일부는 복수개의 제2 패턴부가 이격된 사이에 배치된 제2 도광부(102)의 상면을 통해서 상기 제2 도광부(102)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고,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 중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 각각의 상면을 통해서 상기 제2 도광부(102)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는 중앙부(C)로 갈수록 밀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제1 패턴부(101a)들과 같이 끝단부(B)에 배치된 제2 패턴부들 사이의 피치(P)에 비해 중앙부(C)에 배치된 제2 패턴부들 사이의 피치(P)가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패턴부가 중앙부(C)로 갈수록 밀집되게 배치됨으로써, 중앙부(C)에서 출사되는 광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대면적으로 구비된다 하더라도 도광부(10)의 끝단부(B)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도광부(10)의 중앙부(C)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끝단부(B)와 중앙부(C) 간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상기 제2 도광부(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점착제(Ad) 등을 통해 상기 제2 도광부(102)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상측에 배치된 제2 도광부(102), 유기발광층(6) 등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전술한 봉지층(9)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한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PET 등과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제1 컨택부(CA1) 및 제2 컨택부(CA2)를 제외한 기판(2)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제1 배리어 필름(11)이 상기 제1 컨택부(CA1) 및 상기 제2 컨택부(CA2)를 가리지 않을 경우, 상기 기판(2)의 하측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유기발광층(6)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발광층(6)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도광부(101)와 제2 도광부(102)를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층(6)의 상측과 하측 모두에서 끝단부(B)와 중앙부(C) 간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제1 도광부(101)와 제2 도광부(102)가 각각 봉지층(9)의 상면, 및 제2 배리어 필름(14)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광부(101)가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광부(102)가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도광부(101)가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광부(102)가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의 하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제1 도광부(101)와 상기 제2 도광부(102)는 각각 점착제(Ad)로 상기 제1 배리어 필름(11)의 상면, 및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배리어 필름(14)은 상기 점착제(Ad)로 상기 기판(2)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리어 필름(11)과 제2 배리어 필름(14)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도광부(101)는 접착층(94)을 통해 제2 보호층(93)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도광부(102)는 점착제(Ad)를 통해 기판(2)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광부(101)와 제2 도광부(102)가 본 조명장치(1)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1 도광부(101)와 제2 도광부(102) 각각은 전술한 도 7a 및 도 7b의 제1 배리어 필름(11)과 제2 배리어 필름(14)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명장치
2 : 기판 3 : 제1 보조전극
4 : 제1 전극 5 : 절연층
6 : 유기발광층 7 : 제2 보조전극
8 : 제2 전극 9 : 봉지층
10 : 도광부 11 : 제1 배리어 필름
12 : 단락 방지 패턴 13 : 내부 배리어
14 : 제2 배리어 필름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의 상측에 구비된 제1 보조전극;
    상기 제1 보조전극을 덮도록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구비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입사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도광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중앙부로 반사시키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제1 배리어 필름 사이에 배치된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의 전압을 보강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이 발광하는 발광영역; 및
    상기 발광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전극, 상기 제2 보조전극, 및 상기 절연층은 상기 비발광영역에 배치된 조명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상기 제2 전극의 전압을 보강하는 조명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압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압공급부와 상기 제1 전극을 컨택시키기 위한 제1 컨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부는 상기 비발광영역에 배치된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컨택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압공급부; 및
    상기 제2 전압공급부와 상기 제2 전극을 컨택시키기 위한 제2 컨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택부는 상기 비발광영역에 배치된 조명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반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부는 상기 도광부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된 조명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부는 중앙부로 갈수록 밀집된 조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보조전극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배리어는 상기 제1 배리어 필름보다 얇은 두께로 구비된 조명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제1 전극에 형성되는 단락방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단락방지 패턴에 삽입된 조명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 필름과 이격되도록 상기 기판의 하측에 구비된 제2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는 상기 봉지층의 상측에 구비된 제1 도광부, 및 상기 제2 배리어 필름의 상측에 구비된 제2 도광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180172799A 2018-12-28 2018-12-28 조명장치 KR102661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99A KR102661270B1 (ko) 2018-12-28 2018-12-28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99A KR102661270B1 (ko) 2018-12-28 2018-12-28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22A true KR20200082322A (ko) 2020-07-08
KR102661270B1 KR102661270B1 (ko) 2024-04-25

Family

ID=7160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799A KR102661270B1 (ko) 2018-12-28 2018-12-28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2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9164A (ja) * 2009-06-24 2011-02-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光源、装置
KR20120031266A (ko) * 2009-06-11 2012-04-02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면광원 장치, 조명 기구 및 백라이트 장치
KR20180065362A (ko) * 2016-12-07 2018-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266A (ko) * 2009-06-11 2012-04-02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면광원 장치, 조명 기구 및 백라이트 장치
JP2011029164A (ja) * 2009-06-24 2011-02-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光源、装置
JP2018125304A (ja) * 2009-06-24 2018-08-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光源
KR20180065362A (ko) * 2016-12-07 2018-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270B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77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527211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135541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19393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64211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JP2012227122A (ja) 有機el装置
CN108172598B (zh) 使用有机发光二极管的照明设备
US9097414B2 (en) Light source device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light source arrange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devices
US10804484B2 (en) Lighting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10714451B2 (en) Tiling structure type light apparatu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05158372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KR102661550B1 (ko)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497891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US20200212025A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nd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237717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9818982B2 (en) Optoelectronic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toelectronic assembly
US1010098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or lighting
KR102422061B1 (ko) Oled 조명 장치
KR2017007621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적층구조물
KR102661270B1 (ko) 조명장치
KR20160084282A (ko) 탠덤형 유기발광소자
US20130270542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optoelectronic component and optoelectronic component
TWI702588B (zh) 有機發光二極體發光裝置
US10847749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9373810B2 (en) Organic EL element and light-emi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