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242A - 제설용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제설용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242A
KR20200082242A KR1020180172640A KR20180172640A KR20200082242A KR 20200082242 A KR20200082242 A KR 20200082242A KR 1020180172640 A KR1020180172640 A KR 1020180172640A KR 20180172640 A KR20180172640 A KR 20180172640A KR 20200082242 A KR20200082242 A KR 2020008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snow
heat dissipation
hea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834B1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8017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8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for preventing ice formation or for loosening ice, e.g. special additives to the paving material, resilient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 설치되어 눈이 많이 내리거나 또는 기온 강하로 노면이 결빙되는 기간이 지속되는 계절에 제설 또는 결빙 제거용으로 사용하고, 빗물이 얼지 않는 온도가 유지되는 계절에는 보행자의 안전과 도시 미관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제설용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보도에 설치되는 보도패널과, 보도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발산하는 제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설부재는 눈을 제설할 수 있도록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어 열이 발산되는 제설용 보도블록을 제공하며,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 설치되어 눈이 많이 내리거나 또는 기온 강하로 노면이 결빙되는 계절에는 제설 또는 결빙 제거용으로 사용하고, 온화한 날씨가 유지되는 계절에는 보행자의 안전과 도시미관을 도모하면서 보행자가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설용 보도블록{Press block for snow removal}
본 발명은 제설용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 설치되어 눈이 많이 내리거나 또는 기온 강하로 노면이 결빙되는 기간이 지속되는 계절에 제설 또는 결빙 제거용으로 사용하고, 빗물이 얼지 않을 정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계절에는 보행자의 안전과 도시 미관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제설용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도블록은 도시 미관과 사람들의 보행 편의성을 고려하여 도로 옆의 인도나 보도 혹은 공원 등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체 형상은 직육면체 등의 다면체 형태를 가지고, 그 다면체의 몸체 상면에 각종 색상이나 형태를 가지는 무늬 또는 장식을 형성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각각의 보도블록을 서로 연이어 설치하여 보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보도블록에 형성된 무늬와 장식이 조합되어 하나의 전체적인 그림 또는 도형을 형성하게 되어 단순히 도로나 보행통로를 덮는 블록개념에서 탈피하여 도시와 건물의 미관 향상에도 매우 큰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보도에 항상 물이 잘 빠지며 관절에 무리가 없도록 한 고무 보도블록이나 시각 장애인에게 유도용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점자 보도블록 등의 개발이 지역 주민들의 친환경 보도블록에 대한 요구 등에 부응하여 점차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보도 위에 눈이 쌓이거나 쌓인 눈이 어는 경우에 빙판길이 형성되어 보도를 보행하는 이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171호(2018.01.17. 공개)의 "인도 융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은 인도 융설 구조물에 있어서, 원지반층 상에 제공되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쇄석층; 상기 쇄석층상에 제공되는 하중 완충역할을 위한 모래층; 상기 모래층 상에 제공되는 보도블록; 및 상기 보도블록과 상기 모래층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보도블록의 적설을 제거하는 융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융설 부재는 케이블 형태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단선 방지를 위해 상기 발열체가 삽입되며, 상기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 파이프; 및 상기 히팅 파이프로부터 방출되는 열에너지가 지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히팅 파이프 아래에 설치되는 열차단 보온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은 보도블록에 쌓인 눈의 융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는 융설 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이 보도블록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눈의 융설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은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계절에 발열체는 열 손실이 크기 때문에 발열체 주변에만 열이 전달되어 보도블록에 쌓인 눈의 융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171호(2018.01.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 설치되어 눈이 많이 내리거나 또는 기온 강하로 노면이 결빙되는 계절에는 제설 또는 결빙 제거용으로 사용하고, 빗물이 얼지 않을 정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계절에는 보행자의 안전과 도시 미관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보도에 설치되는 블록부재와, 블록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발산하는 제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부재는 눈을 제설할 수 있도록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어 열이 발산되는 제설용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보도에 설치되는 보도패널과; 보도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설할 수 있도록 열을 발산하는 제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설부재는 눈을 제설할 수 있도록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전원에의해 열이 발산되는 제설용 보도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설부재는, 보도를 통행하는 사람들 또는 이동장치의 무게를 지탱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며 보도의 지면에 설치되는 방열부재와; 습기로부터 전원공급부재에 설치되는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열부재의 내측에 도포되는 방수액과; 방열부재를 통해 열이 발산될 수 있도록 방열부재에 설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재와; 발열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빼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발산부재를 방열부재 내측에 고정하는 발포폼과; 방수액, 발열부재 및 발포폼이 설치된 상태의 방열부재에 고정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도패널은, 시멘트, 벽돌을 포함하는 석재로 이루어지는 블록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장애인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열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끝단이 절곡된 절곡부와 방열바디 상부와 측면에 걸쳐서 각각 형성되는 통공을 가지며 블록부재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방열바디와; 보도패널의 상부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외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줄이는 발포폼이 내부에만 위치되게 덮개와 함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열바디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재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부재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성되어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PCB보드와; 전원공급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PCB보드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전원에 의해 저항 발열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전원공급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B보드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눈이 내리거나 또는 비가 왔을 때 발열부재와 방열바디에 의해 보도블록 전체로 고르게 열이 퍼져 결빙을 방지하므로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발열선 등에 비해 전력소모량 적고, 발열 상태는 우수하기 때문에 보도블록에 쌓인 눈의 제설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녹은 눈이 다시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설치하여 눈이 녹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보도용 스마트 제설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보도에 설치되는 보도패널(100)과; 보도패널(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설할 수 있도록 열을 발산하는 제설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설부재(200)는 눈을 제설할 수 있도록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전원에 의해 열이 발산되는 제설용 보도블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설치하여 눈이 녹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은 보도패널(100)과 제설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보도패널(100)은 시멘트, 석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블록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장애인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블록은 석재로 이루어지는 것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보도패널(100)에는 복수의 홈을 형상하여 제설부재(200)의 밀림방지돌기와 결합해 보도패널(100)과 제설부재(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설부재(200)는 방열부재(210)와, 방수액(220)과, 전원공급부재(230)와, 발포폼(240)과 덮개(250)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재(210)는 보도를 통행하는 사람들, 짐을 실어 나르는 이동장치 또는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는 지지프레임(212)을 가지며 보도패널(100)과 결합하여 보도의 지면에 설치되어 열에 의해 제설하는 것은 물론 다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열부재(21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끝단이 절곡된 절곡부(211-1)와 방열바디(211) 상부와 측면에 걸쳐서 각각 형성되는 통공(211-2)을 가지며 보도패널(10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방열바디(211)와, 보도패널(100)의 상부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재(23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외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줄이는 발포폼(240)이 내부에만 위치되게 덮개(25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열바디(211)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1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무게를 견디는 것은 물론 분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 또한 형상도 가능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212)을 허니컴 구조로 구성하여 무게 지탱 및 분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2)과 방열바디(211) 사이 즉, 지지프레임(212)의 외면으로 다수의 날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대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대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로에서 보도를 넘어 주차장으로 출입하는 차량이 많은 위치에 설치하여 보도블럭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무게의 지탱 및 분산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열부재(210)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에 밀림방지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보도패널(100)에 형성된 복수의 홈에 결합해 보도패널(100)과 제설부재(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210)와 제설부재(200)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210)와 보도패널(100)의 고정은 상기한 방식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접착물질을 방열부재(210)에 도포하여 보도패널(100)과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열부재(210)의 밀림방지돌기가 보도패널(100)의 홈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방수액(220)은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부재(233)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전원공급부재(230)가 방열바디(211)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습기에 의해 오작동 및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열바디(21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고르게 도포된다.
또한, 상기 방수액(220)은 지지프레임(212)에만 도포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바디(211)의 전체에 도포하여 습기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수액(220)은 스프레이에 의해 도포되거나 또는 붓과 같은 도포부재를 통해 도포된다.
상기 전원공급부재(230)는 방열부재(210)를 통해 열이 발산되어 보도패널(100)의 상부에 쌓이는 눈을 녹이는 것은 물론 녹은 눈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열부재(210)에 설치되는 발열부재(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재(230)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부재(233)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성되어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설치되는 PCB보드(231)와, 전원공급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PCB보드(231)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32)와, 전원에 의해 저항 발열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전원공급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B보드(231)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발열부재(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232)는 제설부재(200)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12)의 인출공(212-1)과 방열바디(211)의 통공(211-2)으로 인출시켜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설부재(2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232)는 인접되는 제설부재(200)의 커넥터(232)와 연결되어 방열바디(211)에 형성된 통공(211-2)을 통해 방열바디(211)의 내측에 위치시켜 보도블록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보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32)는 방수형으로 이루어져 습기에 의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발포폼(240)은 발열부재(233)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빼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열부재(210)의 내측에 고정한다.
상기 발포폼(240)은 방열부재(210)의 방열바디(211)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건조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전원공급부재(230)의 발열부재(233)가 방열바디(211)의 내측 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 후 이를 고정하면서 발열부재(233)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뺏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포폼(240)을 도포한다. 상기 발포폼(240)이 완전히 굳기 전에 덮개(250)를 방열바디(211)에 설치하여 지지프레임(2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발포폼(240) 및 덮개(250)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25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로 이루어져 방열바디(211)에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덮개(250)가 평평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은 보도에 설치될 시에 수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덮개(250)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측에 돌출편을 형성하고, 지면에 돌출편이 인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무게 등에 의해 밀려 인접되는 보도블록과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용 보도블록을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평평한 패널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통공(21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절곡하여 도면에 도시된 방열바디(211)를 형성한 후 직사각형의 패널을 프레스를 통해 인출공(212-1)을 형성한 상태에서 절곡하여 도면에 도시된 지지프레임(212)을 형성한다.
상기 방열바디(211)의 내측에 지지프레임(212)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해 보도에 설치하였을 때 상부에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방열바디(211)를 구성한 상태에서 내측에 방수액(220)을 도포하여 전원공급부재(230)가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습기에 의해 오작동 또는 부식이 발생하여 단선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수액(220)은 방열바디(211)의 전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원공급부재(230)가 설치되는 부분에만 도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방수액(220)을 도포한 후 방열바디(211)를 보도패널(100)에 두가지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첫번째는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고, 두번째는 방열바디(211)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보도패널(100)과 접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의 방식 중에서 어떠한 것이든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가급적 보도패널(100)과 방열바디(21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한다.
상기 방수액(220)을 도포한 후 자연건조 또는 열풍에 의한 건조가 완료되면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전원공급부재(230)를 설치하는데, 이때 전원공급부재(230)에 설치된 커넥터(232)가 인출공(212-1)과 통공(211-2)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전원공급부재(230)에 설치된 발열부재(233)는 방열바디(211)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발열부재(233)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바디(211)를 통해 보도패널(100)로 전달되어 눈을 녹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녹은 눈이 다시 결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재(230)의 고정은 방열바디(211)에 내부 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포폼(240)을 전원공급부재(230)가 위치된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도포함과 동시에 덮개(250)를 덮어 발포폼(240)이 도포된 지지프레임(212)과 덮개(2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있도록 한다.
상기 발포폼(240)을 도포한 후 바로 덮개(250)를 덥는 것은 발포폼(240)이 굳기 전에 덮개(250)를 덥어 지지프레임(212)과 덮개(2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된 상태로 구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12)과 덮개(2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발포폼(24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재(230)를 습기로부터 차단하여 오작동, 단선 또는 부식에 의한 단선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폼(240)이 굳기 전에 덮개(250)를 방열바디(211)에 고정하는 것은 지지프레임(212)의 내부 공간을 발포폼(240)이 채워지도록 하여 전원공급부재(23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점과 발열부재(233)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뺏기는 것을 방지하여 열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본 발명의 제설용 보도블록의 전원공급부재(230)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원에 의해 발열부재(233)에서 열이 발생되고, 상기 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보도블록과의 온도가 약 2배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온도가 영하로 떨어진 겨울철에 눈이 내려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의 제설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눈이 내리거나 또는 비가 와서 보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부재(211)와 발열부재(233)를 통해 보도블록 전체로 열이 고르게 퍼져 눈 또는 결빙에 의해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발열선 등에 비해 전력소모량 적고, 발열 상태는 우수하기 때문에 보도블록에 쌓인 눈의 제설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녹은 눈이 다시 얼어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보도패널 200: 제설부재
210: 방열부재 211: 방열바디
211-1: 절곡부 211-2: 통공
212: 지지프레임 212-1: 인출공
220: 방수액 230: 전원공급부재
231: PCB보드 232: 커넥터
233: 발열부재 240: 발포폼
250: 덮개

Claims (4)

  1.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보도에 설치되는 보도패널(100)과; 보도패널(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설할 수 있도록 열을 발산하는 제설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설부재(200)는,
    보도를 통행하는 사람들,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는 지지프레임(212)을 가지며 보도의 지면에 설치되는 방열부재(210)와;
    습기로부터 전원공급부재(230)에 설치되는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열부재(210)의 내측에 도포되는 방수액(220)과;
    방열부재(210)를 통해 열이 발산될 수 있도록 방열부재(210)에 설치되는 발열부재(233)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재(230)와;
    발열부재(233)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빼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원공급부재(230)를 방열부재(210) 내측에 고정하는 발포폼(240)과;
    방수액(220), 발열부재(233) 및 발포폼(240)이 설치된 상태의 방열부재(210)에 고정되는 덮개(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패널(100)은,
    시멘트, 벽돌을 포함하는 석재로 이루어지는 블록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장애인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보도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21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끝단이 절곡된 절곡부(211-1)와 방열바디(211) 상부와 측면에 걸쳐서 각각 형성되는 통공(211-2)을 가지며 블록부재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방열바디(211)와;
    보도패널(100) 상부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하므로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재(230)의 파손을 방지하며 외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줄이는 발포폼(240)이 내부에만 위치되게 덮개(25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열바디(211)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보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재(230)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부재(233)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회로가 구성되어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 설치되는 PCB보드(231)와;
    전원공급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PCB보드(231)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32)와;
    전원에 의해 저항 발열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전원공급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B보드(231)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발열부재(2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보도블록.
KR1020180172640A 2018-12-28 2018-12-28 제설용 보도블록 KR10220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640A KR102207834B1 (ko) 2018-12-28 2018-12-28 제설용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640A KR102207834B1 (ko) 2018-12-28 2018-12-28 제설용 보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42A true KR20200082242A (ko) 2020-07-08
KR102207834B1 KR102207834B1 (ko) 2021-01-26

Family

ID=716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640A KR102207834B1 (ko) 2018-12-28 2018-12-28 제설용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8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08B1 (ko) * 2010-05-26 2013-02-21 양근석 광섬유가 설치된 장식용 블록
KR20160001010A (ko) * 2014-06-26 2016-01-06 비씨아이앤씨 주식회사 자동융설블록
KR101681103B1 (ko) *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06171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128271A (ko) * 2017-05-23 2018-12-03 김동수 해동 조명 보도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08B1 (ko) * 2010-05-26 2013-02-21 양근석 광섬유가 설치된 장식용 블록
KR20160001010A (ko) * 2014-06-26 2016-01-06 비씨아이앤씨 주식회사 자동융설블록
KR20170006171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681103B1 (ko) *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28271A (ko) * 2017-05-23 2018-12-03 김동수 해동 조명 보도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834B1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559B2 (en) Heatable pathway system for traffic
CA2163067C (en) Heated ice-melting blocks for steps
KR20110029387A (ko) 발열부재층이 구비된 탄성 포장재 시공구조
KR102106058B1 (ko) 도로 결빙방지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KR20180082861A (ko) 도로 결빙방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결빙방지공법
JP3654842B2 (ja) ヒータ付き点字ブロック
KR102207834B1 (ko) 제설용 보도블록
US6127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driveways and walkways free of ice and snow
JP2008291607A (ja) 融雪路盤構造物および融雪路盤の施工方法
KR101447585B1 (ko) 결빙 방지용 열판
KR102246832B1 (ko) 제설용 보도블록
KR20150109902A (ko) 태양광 및 전기전도 발열 콘크리트를 이용한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 방법
KR200383499Y1 (ko) 도로결빙방지장치 구조
KR102022018B1 (ko) 보도용 스마트 제설시스템
CN211923280U (zh) 一种融雪台阶
KR20120006773U (ko) 미끄럼 방지 플레이트
KR20120082716A (ko) 태양광을 이용한 발열층을 갖는 탄성 포장재
KR101649601B1 (ko) 열선 케이블 가설이 용이한 금속 탄성바닥재
JP2010024693A (ja) 間口融雪ユニット
KR100671060B1 (ko) 공동주택 주출입구 경사로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블럭조립체.
JP3093583U (ja) トルマリン混入接着剤を利用した路面融雪装置
JP2015135027A (ja) 融雪・保温用発熱ブロック
JP3002945B2 (ja) 建造物における融雪装置
JP3038466U (ja) 面状発熱体シートによる融雪装置
CN108570902B (zh) 主动融雪共振碎石化复合基层沥青路面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