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896A -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896A
KR20200081896A KR1020180171879A KR20180171879A KR20200081896A KR 20200081896 A KR20200081896 A KR 20200081896A KR 1020180171879 A KR1020180171879 A KR 1020180171879A KR 20180171879 A KR20180171879 A KR 20180171879A KR 20200081896 A KR20200081896 A KR 20200081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block
cryptocurrency
blc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141B1 (ko
Inventor
박석준
김남도
황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디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디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디지트
Priority to KR102018017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은, 블록 라이프 사이클 (Block Life Cycle)에 따라 프리 BLC (블록 라이프 사이클)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암호화폐 거래가 요청되면,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여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여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폐의 매도, 매수, 입금, 출금과 같은 거래 이력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SERVICE FOR TRANSACTION OF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앙 서버를 벗어난 P2P (Peer to Peer) 시스템을 활용하여 암호화 및 분산원장 기법과 같은 블록체인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 졌으며, 이러한 블록 체인 기술을 통해, 암호화폐, 가상화폐 또는 디지털 전자화폐 (이하, '암호화폐'로 명한다)와 같은 거래 가능한 새로운 유형의 화폐가 계속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개발된 암호화폐에는 1세대 비트코인을 포함하여, 2세대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 등이 있으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암호화폐가 개발되고 있다.
관련하여,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에 의하면, 고객의 암호화폐를 타 암호화폐로 변환하거나, 현금(cash)으로 환전함에 있어, 입금 및 출금 거래 이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호화폐 매도 주문 및 매수 주문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주문에 따른 거래 체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이력을 추적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비하거나, 별도의 기장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을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종래 수동적 관리로 인한 오입금 또는 오출금과 같은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호화폐 거래 이력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모든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블록체인으로 관리된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를 고객 자산 관리 방안으로 활용하는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은, 블록 라이프 사이클 (Block Life Cycle)에 따라 프리 BLC (블록 라이프 사이클)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암호화폐 거래가 요청되면,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여,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여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는 BLC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 설정은, 프리 BLC 블록의 생성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 설정은, 프리 BLC 블록의 해쉬 규칙(hash rule)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내에는,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승인 전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내에는,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승인 후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LC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연결하여 구성하되, 암호화폐 거래가 없는 구간에 대해서는 시스템 블록을 추가 생성하여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수명이 종료된 BLC 블록은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BLC 블록내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 이력이 거래 속성별 그룹핑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는, 외부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통신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암호화폐 관리 및 실행을 위한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는,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BLC 관리 모듈, 고객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 요청을 접수하는 서비스 입력 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가상계좌 관리모듈, 상기 가상계좌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는 BLC 블록을 생성하는 BLC 블록 생성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는,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수명이 종료된 BLC 블록을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은 상기 BLC 블록내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를 거래 속성별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LC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을 결정함에 있어, 상기 프리 BLC 블록의 생성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LC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을 결정함에 있어, 상기 프리 BLC 블록의 해쉬 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은,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승인 전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고,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확인 후,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LC 블록 생성모듈은,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연결하여 구성하되, 암호화폐 거래가 없는 구간에 대해서는 시스템 블록을 추가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서비스 모듈을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실행하는 고객 단말기로 구성되되, 상기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는 외부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통신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암호화폐 관리 및 실행을 위한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는,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BLC 관리 모듈, 고객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 요청을 접수하는 서비스 입력 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가상계좌 관리모듈, 상기 가상계좌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는 BLC 블록을 생성하는 BLC 블록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폐의 매도, 매수, 입금, 출금과 같은 거래 이력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금 계좌, 출금 계좌가 가상계좌를 통하여 연계되기에 오입금 또는 오출금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시 블록체인 기법을 적용하여 상대방 계좌를 B2B로 교차 검증하여 발생 가능한 위변조 및 오입금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의 세부 흐름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 라이프 사이클(BLC) 블록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트랜젝션 블록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시 적용되는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서비스 모듈을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30)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30)과 통신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단말기(10, 20, 이하 '고객' 이라고도 한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객(10, 20)은 개인 뿐만 아니라 금융 기관(예, 은행, 증권회사)이 될 수도 있고, 거래 편의를 위해 상기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30)이 생성한 가상 고객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고객(10, 20)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관련하여, 상기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30)은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30)은 암호화폐 거래소(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310)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310)는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폐 이체 거래시 입금 계좌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기관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는, 글로벌 P2P (Peer to Peer)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로벌 P2P 서비스 제공업체는,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소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임대해주는 P2P 서비스를 제공하는 암호화폐 관련 포털 서비스(portal service) 기관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고객1 (10)은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를 통해 상기 고객2 (20)에게 암호화폐 이체 거래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요청을 접수한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는, 상기 고객1 (10) 및 고객2 (20) 계좌에 대응하는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거래 요청이 유효한 지를 확인한 후, 유효한 거래 요청에 대해서만 상기 가상계좌를 활용한 이체 거래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체 거래상의 모든 거래 이력은 블록체인 기법으로 보관 관리하게 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고객(10, 20)은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를 통해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310)를 통한 암호화폐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폐 주문 요청을 접수한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는, 상기 고객(10, 20) 계좌 및 암호화폐 거래소내 고객계좌에 대응하는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주문 요청이 유효한 지를 확인한 후, 유효한 주문 요청에 대해서만 상기 가상계좌를 활용한 매수 또는 매도 거래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문 거래상의 모든 거래 이력은 블록체인 기법으로 보관 관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는, 외부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통신수단(301),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03), 및 전술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서비스 및 실행을 위한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3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302)는, 서비스 입력 모듈(311), 블록 라이프 사이클 (Block Life Cycle, 이하 'BLC' 라고도 한다) 관리 모듈(312), 이체 모듈(313), 트랜젝션(transaction) 블록 셍성 모듈(314), 가상계좌 관리모듈(315) 및 BLC 블록 생성모듈(3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폐 거래관리 서버(300)는 상기 가상계좌 관리모듈(315)에 연동되어 가상계좌 거래 이체 이력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304)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303)내 일부 할당된 영역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304)내의 가상계좌는 고객(10, 20) 및 거래소(310)의 실제 등록 계좌와 일대일 매칭되는 가상 계좌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304)은 상기 BLC 블록 생성모듈(316)을 통해 생성된 BLC 블록내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를 속성별 그룹핑하여 고객별 자산 관리 방안 수립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입력 모듈(311)은, 고객(10, 20) 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 주문을 접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입력 모듈(311)은 고객 단말기(10, 20)내 화면과 연동되어 고객이 직접 본인의 단말기를 통해 거래 주문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LC 관리 모듈(312)은,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블록 라이프 사이클 이라 함은, 블록체인에 의해 생성될 블록들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이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블록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블록체인 기법에 활용되는 해쉬 규칙(hash rule)을 설정하는 의미한다. 즉, 상기 BLC 관리 모듈(312)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블록체인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종래 일반적인 블록체인 기법 보다는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를 위한 특화된 새로운 방식을 제공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라이프 사이클 설정 및 이를 통해 생성된 BLC 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BLC 관리 모듈(312)은,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할 블록의 미래 생성될 블록의 생성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설정한다. 이를 전술한 '블록 라이프 사이클'이라 명명한다. 즉,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 설정에 따라,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복수의 프리(free) BLC 블록 (BLC#1, BLC#2, BLC#3, BLC#4,…)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 BLC 블록 이란,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 블록 생성 시점 및 종료 시점만이 설정되고, 아직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블록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프리 BLC 블록 (BLC#1, BLC#2, BLC#3, BLC#4,…)은, 블록 생성 시점 및 종료 시점이 모두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프리 BLC 블록의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각의 프리 BLC 블록 (BLC#1, BLC#2, BLC#3, BLC#4,…,)은 다수의 거래에 활용되나, 정해진 수명 (즉, 라이프 사이클)을 가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프리 BLC 블록 (BLC#1, BLC#2, BLC#3, BLC#4,…)은 고유의 해쉬 규칙(hash rule)을 가지고 있으며, 블록체인은 상기 해쉬 규칙에 따라 생성된 해쉬 링크(hash link)를 통해 각 블록들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해쉬 링크(hash link)는 예를 들어 단방향 256 바이트 이상의 암호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프리 BLC 블록 (BLC#1, BLC#2, BLC#3, BLC#4,…)은 해당 사이클 내에서만 유효한 고유의 해쉬 규칙에 따라 블록을 생성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각 프리 BLC블록의 해킹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해쉬 링크(hash link)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 시점에서의 이전 해쉬 링크 (SP: Start of Previous Hash Link), 이전 해쉬 링크 (P: Previous Hash Link), 다음 해쉬 링크 (N: Next Hash Link) 및 종료시점의 최종 해쉬 링크 (NF: Next at Final Hash Link)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련하여, 블록의 시작 해쉬와 종료 해쉬 값은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서 설정한 해쉬 규칙 외에도, 별도의 시작 해쉬 규칙(예, SP 규칙) 및 종료 해쉬 규칙(예, NF 규칙)이 적용되어 해쉬 값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해쉬 값들 (SP, P, N, NF)은 관련 계좌 (또는 후술할 거래 이력 엔트리)에 종속적이지 않고, 상기 프리 BLC 블록 생성시 설정되는 해쉬 규칙(Hash Rule)에 의해 결정된다. 단,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 해쉬 규칙 정의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해쉬 규칙에 의한 해쉬 링크를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계좌 관리모듈(315)은, 상기 서비스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의 유지, 변경, 폐기 등과 같은 가상계좌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체 모듈(313)은 상기 생성된 가상계좌를 통해 암호화폐 이체 거래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수단(301)을 이용하여 암호화폐 이체 거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314)은, 상기 가상계좌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고, 이후,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BLC 블록 생성모듈(316)은,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BLC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해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의 세부 흐름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은, 블록 라이프 사이클(BLC)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601), 암호화폐 거래가 요청되면,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거래 이력 정보를 생성한 후, 거래 허용된 승인 거래에 대해서만 거래를 실행하는 단계(603), 상기 상기 가상계좌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605),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607)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은,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수명이 종료된 BLC 블록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BLC 블록내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6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a는 상기 601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BLC)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601)는, BLC관리 모듈(312)에 의해 프리 BLC 블록 (BLC# n, n=1,2,…,N) 마다 라이프 사이클로서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6011)과, 상기 프리 BLC 블록 (BLC# n, n=1,2,…,N) 마다 고유의 해쉬 규칙을 결정하는 과정(6012)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을 통해 생성된 각 프리 BLC 블록은 고유의 암호화 값을 가지게 되고,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시 보안성을 더욱 높이는 방안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4b는 상기 603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암호화폐 거래 이력 생성 및 거래 실행 단계(603)는, 상기 서비스 입력 모듈(311)에 의해, 고객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 요청을 접수하는 과정(6031), 상기 가상계좌 관리모듈(315)을 통해, 고객별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거래 이력을 생성하는 과정(6032) 및 상기 이체 모듈(313)을 통해 해당 거래 요청이 필터 룰 또는 필터 규칙(filter rule)을 만족하는 거래 허용된 요청인 경우 요청된 거래를 실행하는 과정(6033)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승인을 위한 필터 룰(filter rule)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또한, 도 4c는 상기 605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랜젝션 블록 생성 단계(605)는, 제1 트랜젝션 블록 생성 과정 (6051~6054) 및 제2 트랜젝션 블록 생성 과정 (6055~6058)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트랜젝션 블록은 상기 거래 승인을 위한 필터 룰(filter rule)이 적용되기 전의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의미하고, 제2 트랜젝션 블록은 상기 거래 승인을 위한 필터 룰(filter rule)이 적용된 후 승인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생성 과정(6051~6054)은, 트랜젝션 블록 생성 모듈(314)에 의해, 상기 필터 룰 적용 전,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entry)를 생성하는 과정(6051), 상기 각 엔트리별 거래정보를 생성 하는 과정(6052), 해쉬 규칙에 따라 이전 해쉬 링크 (P: Previous Hash Link) 및 다음 해쉬 링크 (N: Next Hash Link)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6053) 및 상기 생성된 정보들로부터 최종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6054)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6052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 엔트리별 거래정보는 해당 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참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메모, 업체 정보, 거레소 정보, P2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 생성 과정(6055~6058)은, 트랜젝션 블록 생성 모듈(314)에 의해, 상기 필터 룰 적용 후, 승인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entry)를 생성하는 과정(6055), 상기 각 승인된 엔트리별 거래정보를 생성 하는 과정(6056), 해쉬 규칙에 따라 이전 해쉬 링크 (P: Previous Hash Link) 및 다음 해쉬 링크 (N: Next Hash Link)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6057) 및 상기 생성된 정보들로부터 최종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6058)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6056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 승인된 엔트리별 거래정보는 해당 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참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6057 과정을 통해 생성된 거래 정보는, 전술한 제1 트랜젝션 블록 생성 과정시 생성된 거래정보(6052)와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6056 과정에서 생성되는 거래정보는 거래 거절된 요청에 대한 거절 사유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d는 상기 607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BLC 블록 생성 단계(607)는, BLC블록 생성 모듈(316)을 통해, 특정 구간의 블록내 거래 이력 엔트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6071)과, 상기 특정 구간 블록에서 거래 이력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시스템 정보를 추가하여 시스템 블록 생성하는 과정(6072) 및 상기 제1, 제2 트랜젝션 블록과 시스템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한 BLC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6073)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블록이란, 거래 이력 엔트리가 없는 경우에도 블록체인 구성을 위해 시스템이 임의로 생성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전체 블록체인의 에러 방지 및 전술한 해쉬 규칙에 따른 해쉬 링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5의 BLC 블록(510)내에 도트(검은 점) 표시를 거래 이력 엔트리가 존재하는 구간(예, 521, 522)으로 가정하면, 상기 구간(521, 522)에는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 (예, 521a, 522a)이 생성하고, 반면 상기 도트(검은 점) 표시가 없는 구간 (예, 531, 532)에서는 전술한 시스템 블록(531a, 532a)을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최종 생성된 BLC 블록 (700)은 제1 트랜젝션 블록(예, 701), 제2 트랜젝션 블록(예, 702) 및 시스템 블록(예, 703)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
또한, 도 4e는 상기 609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명 종료된 BLC블록 저장 및 관리 단계(609)는,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304)을 통해, 수명(즉, 라이프 사이클)이 종료된 BLC 블록을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과정(6091), 상기 저장된 종료 BLC 블록을 거래 이력 속성별 그룹핑(grouping)하여 구분하는 과정(6092) 및 상기 그룹핑된 거래 이력 정보를 고객 자산 관리에 활용하는 과정(6093)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304)은 상기 수명이 종료된 BLC 블록을 저장함에 있어, 별도의 저장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전술한 데이테베이스(303)내의 일 영역을 할당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래 이력 속성별 그룹핑(grouping)은, 고객의 이체 속성에 따라 예를 들어, '투자자금 유치', '월세 납부', '아파트 관리비 납부, '동창회비 납부' 등과 같이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그룹핑된 고객별 거래 이력 속성 정보를 활용하여 각 고객에게 특화된 고객별 자산 관리 방안을 제공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300)를 통해 생성되는 제1, 제2 트랜젝션 블록 및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BLC 블록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 라이프 사이클(BLC) 블록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는 프리 BLC 블록(500)을 미리 생성한다. 프리 BLC 블록은 생성 시점, 종료 시점 및 해쉬 규칙이 설정되어 있을 뿐, 아직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는 포함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상기 각 프리 BLC 블록은, 기 설정된 프리 BLC블록별 시작 시점에 활성화되어, 전술한 또는 후술할 트랜젝션 블록 및 시스템 블록을 조합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한 후, 기 설정된 종료 시점에 최종 BLC 블록(510)으로 생성되어 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트랜젝션 블록(400)의 구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랜젝션 블록(400)은, 이전 해쉬 링크 필드(401, Previous Hash Link), 복수개의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402), 상기 각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403)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404, Next Hash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402)는, 식별정보 필드(4021), 출금 고객 가상계좌 필드(4022), 입금 고객 가상계좌 필드(4024) 및 상기 가상계좌 필드들(4022, 4024)간의 계좌 링크 정보 필드(40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를 통해 BLC 블록(700)을 구성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701) 및 제1 트랜젝션 블록(702)의 상세 구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701)은 거래 승인되기 전 거래 요청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의미하고,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702)은 상기 거래 요청된 정보 중, 거래 요청이 허용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701)내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7011)내에 기록된 N개의 거래 엔트리는 아직 필터 규칙(filter rule)이 적용되기 전, 모든 거래 요청 엔트리를 포함한다. 또한, 거래정보 필드(7012)내에는 상기 거래 요청과 관련된 참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702)내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7021)내에 기록된 M개의 거래 엔트리는 필터 규칙(filter rule)이 적용되어 최종 거래 승인된 거래 요청 엔트리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M <= N 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거래정보 필드(7022)내에는 상기 승인된 거래 요청과 관련된 참고 정보뿐만 아니라 승인 거절된 거래 요청의 거절 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규칙(filter rule)은 거래 승인을 위한 규칙을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 규칙(filter rule)은 거부 규칙, 지연 규칙 및 허가 규칙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거부 규칙은, 블랙리스트로 등재된 입금계좌, 거부 계좌로 지정된 계좌, 정책상 입금 거부되는 외국 계좌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지연 규칙은, 보이스 피싱 차단 정책으로 출금 이체시 3일 출금 금지 규칙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허가 규칙은, 출금 허가로 등록된 계좌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필터 규칙으로부터 최종적으로 거래가 허용되어 승인된 거래 엔트리만을 제2 트랜젝션 블록(702)내에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최종 생성된 BLC 블록 (700)은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들(예, 701,…), 제2 트랜젝션 블록들(예, 702,…) 및 전술한 시스템 블록들(예, 703,…)의 조합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BLC 블록 (700)을 생성시, 제2 트랜젝션 블록(702) 뿐만 아니라 제1 트랜젝션 블록(701)도 함께 포함함에 따라, 거래 요청 이력, 거래 숭인 이력 및 거래 거절 이력과 같은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된 모든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301 : 통신수단
302 :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
303 : 데이터 베이스

Claims (14)

  1. 블록 라이프 사이클 (Block Life Cycle)에 따라 프리 BLC (블록 라이프 사이클)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암호화폐 거래가 요청되면,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여,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여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는 BLC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 설정은, 프리 BLC 블록의 생성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 설정은, 프리 BLC 블록의 해쉬 규칙(hash rule)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내에는,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승인 전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내에는,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승인 후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LC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연결하여 구성하되, 암호화폐 거래가 없는 구간에 대해서는 시스템 블록을 추가 생성하여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수명이 종료된 BLC 블록은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BLC 블록내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 이력이 거래 속성별 그룹핑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8. 외부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통신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암호화폐 관리 및 실행을 위한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는,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BLC 관리 모듈,
    고객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 요청을 접수하는 서비스 입력 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가상계좌 관리모듈,
    상기 가상계좌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는 BLC 블록을 생성하는 BLC 블록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수명이 종료된 BLC 블록을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상계좌 이체 이력 모듈은 상기 BLC 블록내 암호화폐 거래 이력 정보를 거래 속성별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LC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을 결정함에 있어, 상기 프리 BLC 블록의 생성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LC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 라이프 사이클을 결정함에 있어, 상기 프리 BLC 블록의 해쉬 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은,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승인 전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고,
    이전 해쉬 링크 필드, 거래 허용 확인 후,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 필드, 상기 승인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에 관련된 거래 정보 필드 및 다음 해쉬 링크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LC 블록 생성모듈은,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연결하여 구성하되, 암호화폐 거래가 없는 구간에 대해서는 시스템 블록을 추가 생성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14.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서비스 모듈을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실행하는 고객 단말기로 구성된,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거래 관리 서버는 외부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통신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암호화폐 관리 및 실행을 위한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화폐 관리 프로세서는,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프리 BLC 블록을 설정하는 BLC 관리 모듈, 고객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 요청을 접수하는 서비스 입력 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 고객별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상기 가상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가상계좌 관리모듈, 상기 가상계좌가 포함된 거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별 거래 허용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허용된 암호화폐 거래 엔트리를 포함하는 제2 트랜젝션 블록을 생성하는 트랜젝션 블록 생성모듈, 및 상기 설정된 블록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상기 프리 BLC 블록내에 상기 제1 트랜젝션 블록 및 제2 트랜젝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는 BLC 블록을 생성하는 BLC 블록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KR1020180171879A 2018-12-28 2018-12-28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KR10234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79A KR102346141B1 (ko) 2018-12-28 2018-12-28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79A KR102346141B1 (ko) 2018-12-28 2018-12-28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896A true KR20200081896A (ko) 2020-07-08
KR102346141B1 KR102346141B1 (ko) 2022-01-03

Family

ID=7160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879A KR102346141B1 (ko) 2018-12-28 2018-12-28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2576A (zh) * 2020-11-05 2021-06-29 北京跨联元焕网络科技有限公司 跨链交换的托管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335A (ko)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101922565B1 (ko) 2018-05-23 2018-11-27 (주)에스씨씨 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335A (ko)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101922565B1 (ko) 2018-05-23 2018-11-27 (주)에스씨씨 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골빈해커님의 g-coin 분석 1부’, Github(2018.01.21. 게재)* *
‘블록체인 기본 용어’ OKCOIN(2018.11.19. 게재)*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2576A (zh) * 2020-11-05 2021-06-29 北京跨联元焕网络科技有限公司 跨链交换的托管方法和系统
CN113052576B (zh) * 2020-11-05 2024-02-27 北京跨联元焕网络科技有限公司 跨链交换的托管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41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1245B (zh) 用于将基于区块链的资产关联到法定货币账户的方法和系统
CN107851281B (zh) 用于基于区块链的交易的欺诈控制的系统和方法
CN107851246B (zh) 用于在现有支付网络上处理基于区块链的交易的系统和方法
CA2927052C (en) Network token system
JP5430701B2 (ja) 金融手段を確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330159A1 (en)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fer in a distributed network
AU20182035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network messages
JP2017520838A (ja) 情報認証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0017550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alue transfer
US11887113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transaction dispute management using blockchain
US202003894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istic digitized consumer identity and data
RU2577472C2 (ru) Расширение структуры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для верификации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20200250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ent Risk
US116257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electronic transactions and tokenizations with distributed settlement platform
US20230083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ent title insurance with centralized and distributed data architectures
KR20200081896A (ko) 암호화폐 거래 이력 관리 방법 및 거래 이력 관리 시스템
US20230098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ent title insurance with centralized and distributed data architectures
US20230013949A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transaction attributes and dispute information using blockchain
US20220084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ent title insurance with centralized and distributed data architectures
KR102475662B1 (ko) 분산원장 기반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13947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atent Risk
Obaid et al. The Future of Mobile Payments: Blockchain-Based Solutions
US20220353257A1 (en) Multi-tier tokenization with long term token
CA290255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identity attributes and authentication factors in an epayment address registry
CN116433397A (zh) 基于区块链网络的账单清算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