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871A -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 Google Patents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871A
KR20200081871A KR1020180171837A KR20180171837A KR20200081871A KR 20200081871 A KR20200081871 A KR 20200081871A KR 1020180171837 A KR1020180171837 A KR 1020180171837A KR 20180171837 A KR20180171837 A KR 20180171837A KR 20200081871 A KR20200081871 A KR 2020008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racks
magnetic layer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18017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871A/ko
Publication of KR2020008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01F27/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3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applying conductive, insulating or magnetic material on a magnetic film, specially adapted for a thin magnetic fil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2Magnetic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형상의 크랙을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며 다른 크랙과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이다.

Description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Magnetic Sheet and Jig Therefore}
본 발명은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휴대용 장치에 무선 충전(WPC) 기능, 근거리 통신(NFC) 기능, 전자 결제(MST) 기능 등이 채용되고 있다. 무선 충전(WPC), 근거리 통신(NFC), 전자 결제(MST) 기술은 동작 주파수, 데이터 전송률, 전송하는 전력량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전자기파를 차단과 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성체 시트가 채용되며, 예컨대, 무선 충전 장치에서는 수신부 코일과 배터리 사이에 자성체 시트를 배치한다. 자성체 시트는 수신부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차폐 및 집속하여 배터리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한편,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로 인해 무선 충전(WPC) 기능, 근거리 통신(NFC) 기능, 전자 결제(MST) 기능을 수행 시 공간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WPC), 근거리 통신(NFC), 전자 결제(MST) 기술은 각각 동작 주파수가 다르고, 요구되는 차폐부의 투자율이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환경 하에서 높은 효율을 갖는 전자파 차폐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투자율 조절을 위해 크랙을 형성하는 경우 구조적 안정성과 투자율 특성이 향상된 자성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자성체 시트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일 예를 통하여 자성체 시트의 신규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형상의 크랙을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며 다른 크랙과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30˚보다 크거나 갖고 60˚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인 크랙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복수의 크랙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미세 크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Fe계 합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인접한 것끼리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에 모서리에 배치된 크랙들 간의 간격이 상기 자성층의 중앙에 배치된 크랙들 간의 간격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자성층 중 최하부에 배치된 것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및 상기 복수의 자성층의 측면과 상기 복수의 자성층 중 최상부에 배치된 것의 상면을 커버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전 가능한 바디 및 상기 바디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칼날은 상기 바디의 중심축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인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우, 투자율 조절을 위해 크랙을 형성하는 경우 구조적 안정성과 투자율 특성이 향상된 자성체 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성체 시트에서 채용될 수 있는 크랙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3의 자성체 시트에서 채용될 수 있는 크랙을 구현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자성체 시트에 크랙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롤투롤 공정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자성체 시트에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 형상의 크랙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변형된 형태에 따른 자성체 시트를 나타낸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자장치무선전력 전송장치(1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전력 수신장치(20)는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3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의 내부를 보면, 기판(12) 상에 송신부 코일(11)이 형성되어 있어 무선전력 전송장치(10)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내장된 수신부 코일(21)에는 송신부 코일(11)로부터 유도된 기전력에 의하여 배터리(22)가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2)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니켈수소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터리(22)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배터리(2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부 코일(11)과 수신부 코일(21)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구리 등의 금속 와이어를 권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권회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나 권회 횟수 등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하여 설정할 수 있다.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는 자성체 시트(100)이 배치되며, 자성체 시트(100)은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 위치하여 자속을 집속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신부 코일(21) 측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자성체 시트(100)은 자속 중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2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자성체 시트(100)은 코일부와 결합되어 상술한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 외에도 상기 코일부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100)는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가 아닌 송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는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송신부와 수신부 코일을 모두 코일부로 칭하기로 한다. 이하, 자성체 시트(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성체 시트에서 채용될 수 있는 크랙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자성체 시트에서 채용될 수 있는 크랙을 구현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자성체 시트에 크랙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롤투롤 공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자성체 시트(100)는 복수의 자성층(110)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자성층(110)을 포함하는 예를 기준으로 한다. 복수의 자성층(110)은 그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120)에 의하여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120)은 양면 테이프, 접착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자성층(110) 개수는 원하는 차폐 성능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자성층(110)만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자성층(110)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하며 이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10)은 라인 형상의 크랙(140)을 복수 개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크랙(140)은 자성층(110)의 길이(L) 또는 폭(W)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θ)로 기울어지며 다른 크랙(140)과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자성층(110)은 투자율이 적절히 조절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과 투자율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자성층(110)은 비정질 합금이나 나노 결정립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 리본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질 합금으로는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합금은 Si를 포함하는 물질, 예를 들어, Fe-Si-B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Fe를 비롯한 금속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포화 자속 밀도가 높아지지만, Fe 원소의 함유량이 과다할 경우 비정질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Fe의 함량은 70-90atomic%일 수 있으며, 비정질 형성 가능성 측면에서는 Si 및 B의 합이 10-30atomic%의 범위인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기본 조성에 부식을 방지시키기 위해 Cr, Co 등 내부식성 원소를 20atomic% 이내로 첨가할 수도 있고, 다른 특성을 부여하도록 필요에 따라 다른 금속 원소를 소량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노 결정립 합금을 이용하여 자성층(110)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Fe계 나노 결정립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나노 결정립 합금은 Fe-Si-B-Cu-Nb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성층(110)은 폐라이트계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Mn-Zn계, Mn-Ni계, Ba, Sr계 페라이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들 물질을 나노 결정 분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등의 베이스에 자성 입자가 충진된 형태의 폴리머 복합체를 이용하여 자성층(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포함된 구성 요소 중 접착층(121)은 복수의 자성층(110) 중 최하부에 배치된 것의 하부에 배치되며, 보호층(130)은 복수의 자성층(110)의 측면과 복수의 자성층(110) 중 최상부에 배치된 자성층(110)의 상면을 커버한다.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위하여 보호층(130)과 접착층(121)은 서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접착층(121)은 자성체 시트(100)를 다른 부품, 예컨대, 무선통신용 코일 등에 부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자성층(110)을 보호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접착층(121)은 단면 혹은 양면 테이프, 접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층(130)은 자성층(110)의 표면을 커버하여 외부의 영향 등으로부터 자성층(110)을 보호하며, 절연성 수지나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층(130)은 블랙 PET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접착층(121)과 보호층(130)은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 시트(100)에서 제외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보호층(130)이 자성층(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표현되어 있지만 보호층(130)은 자성층(110)의 측면에 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층(110)의 경우, 라인 형상의 크랙(140)을 복수 개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크랙(140)은 자성층(110)의 길이(L) 또는 폭(W)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θ)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다시 말해, 수직이나 수평 방향으로 라인 형상의 크랙(도 8 및 도 9 참조)을 배치하지 않고 사선 방향으로 크랙(140)을 기울여서 배치하였다. 이 경우,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10)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층(110)의 길이(L) 방향에 대하여 크랙(140)의 기울기(θ)를 정의하였으며, 다만, 폭(W)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자성층(140)은 길이(L) 또는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인 크랙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자성층(140)에 배치된 크랙(140) 중 라인 형상의 크랙은 사선 방향으로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크랙(140)은 다른 크랙(140)과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이다. 즉, 복수의 크랙(140)은 다른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다른 크랙(140)과 만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복수의 크랙(140)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크랙(140)은 자성층(110)의 길이(L) 또는 폭(W)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크랙(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일정한 각도(θ)를 갖도록 배치될 경우, 복수의 크랙(140)이 다른 크랙(140)과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 투자율을 요구하는 무선통신 방식, 예컨대, 전자결제(MST) 방식의 경우, 복수의 크랙(140)은 다른 크랙(140)과 접점을 형성 시 원하는 투자율을 얻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접점 영역을 만들지 않고 높은 투자율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10)은 라인 형상의 크랙(140) 외에 이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미세 크랙(14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 크랙(141)은 자성층(110)을 파쇄하여 크랙(14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Fe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자성층(110)은 투자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 시 손실율이 높다. 자성층(110)에 크랙(140)을 형성하여 이를 부분적으로 파쇄함으로써 의도한 수준의 투자율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자성층(110)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라인 형상의 크랙(140)을 형성하는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성층(110)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칼날(201)을 갖는 지그(200)를 적용하여 칼날(201)에 대응하는 형상의 크랙(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그(200)는 회전 가능한 바디와 그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칼날(201)을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칼날(201)은 바디의 중심축(X)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칼날(201)은 바디의 표면을 한 바퀴 돌아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그(200)가 회전하면서 칼날(201)은 자성층(110)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파쇄하게 되며 이에 의해 라인 형상의 크랙(140)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시트(100)는 이에 포함된 자성층(110) 중 적어도 하나가 사선 방향을 배치된 라인 형상의 크랙(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랙(140)을 채용함으로써 자성층(110)에 크랙(140)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자성층(110)의 크랙 형성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주름이나 미세 크랙이 저감됨으로써 자성체 시트(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은 자성층의 파쇄를 위한 롤루롤(Roll-To-Roll) 공정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자성층에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라인 형상의 크랙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며, 화살표는 롤투롤 공정에서 자성층의 진행 방향이다. 제1 롤러(301)에 감겨 있던 리본 형태의 자성층(111)이 풀리면서 제2 롤러(302)에 다시 감기게 되고 자성층(111)의 이동 과정에서 그 표면에는 지그(201)에 의해 크랙이 형성된다. 이후 리본 형태의 자성층(111)을 각각의 시트 단위로 절단한다. 크랙을 라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그 형상이나 밀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자성층(111)의 투자율 역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11)의 길이 방향(도 8에서 화살표 방향)에 수평으로 크랙(150)을 형성하는 경우 크랙(150)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는 지그(210)의 회전 시 회전축 방향(도 8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도 8과 같이 곧게 뻗은 형상의 크랙(150)을 얻기 어렵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11)의 길이 방향(도 9에서 화살표 방향)에 수직으로 크랙(160)을 형성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크랙(160)과 크랙(160) 사이, 크랙(160) 주변 영역 등에 주름이나 미세 크랙이 생길 수 있다. 롤투롤 공정 중 제2 롤러(302)에 권취되는 경우 자성층(111)에는 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장력에 의하여 크랙(160) 사이의 간격이 미세하게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성층(111)에 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성층(111) 표면에는 의도하지 않은 주름이나 미세 크랙 등이 생길 수 있으며 크랙(160) 자체가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성층(111)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투자율이 저감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라인 형상의 크랙(140)을 수평과 수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2 롤러(302)에 권취된 자성층에 작용하는 장력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랙(140)과 그 주변에서 생길 수 있는 장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자성층(1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높은 수준의 투자율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크랙(140)이 자성층(110)의 길이(L) 또는 폭(W)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θ)의 경우,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 제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크랙(140)은 30˚보다 크거나 갖고 60˚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 예컨대, 약 45˚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각도(θ)가 30˚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직 방향 크랙(도 9)의 단점이, 60˚보다 큰 경우에는 수평 방향 크랙(도 8)의 단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각도(θ)를 30˚보다 크거나 갖고 60˚보다 작거나 같게 할 경우, 롤투롤 공정 시 크랙(140)에 미치는 충격이 충분히 저감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지그의 회전축 방향 진동에 의한 크랙(140) 위치의 변화도 최소화될 수 있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변형된 예에 따른 자성층(110)을 설명한다. 본 변형 예의 경우, 자성층(110)에 형성된 복수의 크랙(140)은 인접한 것끼리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크랙(140)은 자성층(110)에 모서리에 배치된 크랙들 간의 간격이 자성층(110)의 중앙에 배치된 크랙들 간의 간격보다 더 좁은 형태이다. 여기서 자성층(110)의 중앙부는 WPC나 MST 등을 위한 코일에 대응하고, 모서리는 NFC 등을 위한 코일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층(110)에 라인 형상의 크랙(140)을 형성하여 자성층(110)의 투자율을 조절하는 한편, 중앙부와 모서리의 크랙 밀도를 달리함으로써 각 영역별로 대응하는 코일의 기능에 맞는 수준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였다. 도 10의 형태와 같이, 자성층(110)의 중앙부는 크랙(140)의 간격이 넓어 크랙(140)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충분한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WPC, MST 등의 무선 통신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자성층(110)의 모서리는 크랙(140)의 밀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투자율이 낮기 때문에 NFC 기능에 적합하며, NFC 공진주파수(13.56MHz)에서 높은 품질 계수(Quality Factor)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송신부 코일
20: 무선전력 수신장치
21: 수신부 코일(코일부)
22, 130: 배터리
30: 전자기기
100: 자성체 시트
110, 111: 자성층
120, 121: 접착층
130: 보호층
140, 150, 160: 크랙
141: 미세 크랙
200, 210: 지그
201: 칼날
301, 302: 롤러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형상의 크랙을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며 다른 크랙과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인 자성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인 자성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30˚보다 크거나 갖고 60˚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인 자성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인 크랙을 포함하지 않는 자성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서로 동일한 자성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복수의 크랙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미세 크랙을 더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Fe계 합금인 자성체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인접한 것끼리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자성체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랙은 상기 자성층에 모서리에 배치된 크랙들 간의 간격이 상기 자성층의 중앙에 배치된 크랙들 간의 간격보다 더 좁은 자성체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자성층 중 최하부에 배치된 것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및
    상기 복수의 자성층의 측면과 상기 복수의 자성층 중 최상부에 배치된 것의 상면을 커버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
  11. 회전 가능한 바디; 및
    상기 바디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칼날은 상기 바디의 중심축에 대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인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KR1020180171837A 2018-12-28 2018-12-28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KR2020008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37A KR20200081871A (ko) 2018-12-28 2018-12-28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37A KR20200081871A (ko) 2018-12-28 2018-12-28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871A true KR20200081871A (ko) 2020-07-08

Family

ID=7160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837A KR20200081871A (ko) 2018-12-28 2018-12-28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8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3114B2 (en)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CN208190354U (zh) 磁性片和包括磁性片的无线充电设备
KR101534542B1 (ko)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동시 구현용 하이브리드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자부품 모듈
US10028420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101892799B1 (ko) 자기장 차폐 구조물 및 전자기기
KR101813341B1 (ko) 자성체 시트 제조방법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롤러
KR101843267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20180096391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101843258B1 (ko) 자성체 시트 및 무선충전 모듈
KR20180005967A (ko)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방법
US20160345472A1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20140108946A (ko) 연자성 시트
KR20200055237A (ko) 자성체 시트
KR20200081871A (ko)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용 지그
KR102158635B1 (ko) 자기장 차폐 구조물
KR20180054259A (ko) 무선충전용 전자기파 차폐시트
KR20180000490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101963291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US20190305609A1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102505439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CN106856358B (zh) 磁场屏蔽用结构物及电子设备
KR102555569B1 (ko) 자성체 시트
KR20200009977A (ko) 자성체 시트
KR20180057011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101892807B1 (ko) 자성체 시트 및 자성체 시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