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779A -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779A
KR20200081779A KR1020180171634A KR20180171634A KR20200081779A KR 20200081779 A KR20200081779 A KR 20200081779A KR 1020180171634 A KR1020180171634 A KR 1020180171634A KR 20180171634 A KR20180171634 A KR 20180171634A KR 20200081779 A KR20200081779 A KR 2020008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hotographing
rear case
front cas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호
윤성복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8017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779A/en
Publication of KR2020008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a flexible connection unit which has excellent portability and is easily mounted and carried in various forms to photograph a subject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es: 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module embedded in a housing to photograph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grip unit having a battery embedded in a casing, a butt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 flexible connection unit allowing both ends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core being flexible and maintaining a deformed stat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an outer cov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and a first waterproof case to protect the photographing unit in a watertight manner.

Description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flexible connection part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graph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flexible connection unit that is easily carried and carried in various forms so as to be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photograph a subject from various angles. will be.

최근 인터넷의 대중화 및 휴대 전자 기기의 높은 보급률에 따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사진 공유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Recently,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high penetration rat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hoto sharing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come very popular.

특히 트위터,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SNS(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면서 다양하고 멋있는 사진 촬영 및 공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In particular, while sharing their daily lives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Instagram, the interest in taking and sharing various stylish photos is increasing.

이를 반영하듯, 2013년에는 옥스퍼드가 선정한 올해의 단어로 자기 스스로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을 일컫는 '셀피(selfie)'가 선정되기도 했다.As reflected in this, in 2013,'selfie', which refers to taking a picture of herself with the word of the year, selected by Oxford, was selected.

즉,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장치는 단순한 촬영 및 저장 매체에서 공유를 위한 매개체로 변화하고 있다.That i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is changing from a simple photographing and storage medium to a medium for sharing.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당 업계에 존재하고 있다. 동시에, 촬영한 영상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당 업계에 존재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a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from various angles. 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a photographing device that can easily share a photographed image.

이와 더불어 이미지 센서 및 광학 기술이 발달하며 카메라는 고화질화, 소형화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mage sensors and optical technologies, cameras are becoming higher in quality and smaller in size.

등록특허 제1557608호에는 촬영모듈이 구비된 플렉서블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는 촬영 모듈에 플렉서블 몸체가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소지하면서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Patent No. 1557608 discloses a flexible device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module. The patent is a device capable of photographing still images and videos while being mounted and carried in various forms by being provided with a flexible body in a shooting module.

그러나 종래의 플렉서블 장치는 촬영모듈과 손잡이부에 플렉서블 몸체를 결합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사용자가 촬영모듈의 작동상태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lexible device, it is difficult to couple the flexible body to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the handl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kn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photographing modu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한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a flexible connection portion that is easy to mount and carry in various forms so as to be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to photograph a subject from various angles. In the off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촬영이 가능한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a flexible connection capable of underwater photograph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 연결부의 양 끝단을 촬영부와 그립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flexible connecting portion that can easily couple both ends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to the photographing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카메라모듈의 동작상태나 전원의 온/오프 및 충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가요성 연결부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flexible connection unit capable of displaying to allow a user to recognize an operation state of a camera module or an on/off and charging state of a power supply.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촬영부; 케이싱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양단이 각각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며,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표면에 외피가 형성되는 가요성 연결부; 및 상기 촬영부를 수밀하게 보호하는 제1방수케이스;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in which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till image or video is built in a housing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battery having a built-in battery in the casing, a button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and a grip unit in which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 core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ng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ng groove, flexible and maintaining a deformed stat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a flexible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outer shel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And a first waterproof case for tightly protecting the photographing unit.

또한 상기 제1방수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감싸는 리어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감싸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윈도우;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결합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waterproof case, the rear cas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housing; A front case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urface; A window coupled to the opening;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And a locking member coupl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inge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은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타단은 후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hinged to the rear case or front case,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hook.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후크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rear case or front case to form a locking jaw.

또한 상기 그립부를 수밀하게 보호하는 제2방수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proof case for tightly protecting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제2방수케이스는, 상기 케이싱의 후면을 감싸는 리어케이스; 상기 케이싱의 전면을 감싸는 프론트케이스;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결합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waterproof case, the rear cas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casing; A front case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And a locking member coupl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inge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은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타단은 후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hinged to the rear case or front case,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hook.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후크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rear case or front case to form a locking jaw.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연결부의 양 끝단을 촬영부와 그립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삽입 폭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width can be easily determined when both ends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maging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특히, 촬영부와 그립부를 수밀하게 보호함으로써 수중 촬영도 가능하다. In particular, underwater photography is possible by tightly protecting the imaging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또한, 카메라모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전원의 온/오프 및 충전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줄 수 있다. In addition, it display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amera module, and can also inform the user to recognize the on/off and charging status of the pow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내부 구조 및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the appearanc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10 show the internal structure and main par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3 to 10 show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show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show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촬영부(10)와 그립부(30)와, 상기 촬영부(10) 및 그립부(30)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20)를 포함한다. 1 to 3, an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0 and a grip unit 30, and a flexible connecting unit 20 connecting the photographing unit 10 and the grip unit 30 ).

상기 가요성 연결부(20)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코어(21)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는 공지의 수단이다.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includes a core 21 capable of maintaining a deformed state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while being flexible in that the shap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core is a known means.

즉, 상기 코어(21)는 굽힘(bending)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twisting)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코어(21)에 힘을 가하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일정한 곡률로 굽혀질 수 있다. 역시 힘을 가하여 원상태로 복원도 가능하다. That is, the core 21 is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or twisting. Therefor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ore 21, it can be bent at a constant curvature convex or concave. It is also possible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by applying force.

따라서 도 2와 같이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손목이나 가구 또는 기구물 등에 감아서 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while mounted on the floor without a separate cradle. Or it can be mounted on a wrist, furniture, or equipment.

상기 상기 코어(21)의 표면에는 외피(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22)는 실리콘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An outer skin 2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21. The outer cover 22 may be formed of silicone or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촬영부(10)는 하우징(H)의 일측에 메모리수단이 장착되는 슬롯(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촬영부(10)의 하우징(H)에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이 피사체를 촬영할 때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모듈(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플래시모듈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 is formed with a slot 15 on which a memory means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H. Also, although not shown, a speaker and a microphone are built in the housing H of the photographing unit 10. Further, when the camera module 11 photographs a subject,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flash module (not shown)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subject is provided. The flash module may include an LED.

상기 그립부(30)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포트(31)와, 카메라모듈(11)을 제어하는 동작버튼(32)이 형성되어 있다. A battery is built in the grip part 30, and a charging port 31 to which a charging cable is connected, and an operation button 32 for controlling the camera module 11 are form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촬영부(10)를 설명한다. 상기 촬영부(10)는 하우징(H)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1)과 렌즈(12)를 포함한다. The imag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The photographing unit 10 includes a camera module 11 and a lens 12 for photographing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inside the housing H.

상기 카메라모듈(11)에서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은 슬롯(15)에 삽입된 메모리수단(미도시)에 파일형태로 저장된다. The still image or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 is stored in a file format in a memory means (not shown) inserted in the slot 15.

전술한 메모리수단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memory means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disk, optical disk.

또한 상기 촬영부(10)에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이 촬영한 영상은 외부디바이스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10. Therefor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erefor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 may be stored or displayed on an external device.

상기 카메라모듈(11)은 정지영상모드, 동영상모드, 타임랩스모드, 슬로우모션모드, 파노라마모드, 서라운드모드, 근접모드 등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The camera module 11 can be photographed in a still image mode, a video mode, a time-lapse mode, a slow motion mode, a panorama mode, a surround mode, a proximity mode, and the like.

파노라마모드는 360°방향의 모든 경치를 사진 한 장에 담을 수는 없기에 몇 장으로 나누어 촬영을 한 뒤 옆으로 길게 이어 붙여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든다. Panorama mode cannot capture all the scenery in the direction of 360° in a single picture, so it is divided into several photos, and then it is connected to a long side to make it visible at a glance.

서라운드모드는 사진을 단방향이 아닌 4방향(상하좌우)으로 움직이면서 촬영한다. In surround mode, the picture is taken while moving in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rather than in one direction.

또는, 미리설정된 계정으로 카메라모듈(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업로드될 수 있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을 연동하여, 카메라모듈(11)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통신 모듈을 통해 바로 미리설정된 계정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Alternativel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 may be uploaded to a preset account. For example, by linking an account of a social network service, one or more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module 11 can be directly uploaded to a preset accoun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카메라모듈(11)은 줌 기능(zooming module)을 포함하여, 멀리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1 may include a zooming module to photograph a distant subject.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에 이웃하여 인디케이터(13)가 구비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광원으로서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3)의 전면에는 표시창(1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창(14)은 전체적으로 비투과면이고, 중앙에만 스팟(spot)형태로 투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색 또는 점멸 여부나 점멸 속도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동작상태,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중 또는 충전 중임을 표시한다. In addition, an indicator 13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amera module 11. As the light source, the blue LED 13a, the white LED 13b, and the red LED 13c are sequentially arranged as light sources. A display window 1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icator 13.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window 14 is a non-transmissive surface as a whole, and a transmissive portion is formed only in the center. Accordingly, it indicates that the camera module is operating, for example, during video recording or charging,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transmissive part, whether it is flashing, or the flashing speed.

상기 하우징(H)의 전면에는 각각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12)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표시창(14)이 구비되는데, 이들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둘다 원형의 글래스로서 외관상으로는 매우 흡사하다(도 2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 있는 렌즈(12)를 응시하면서 촬영하고, 이 때 렌즈(12)에 바로 이웃하여 구비되는 인디케이터의 표시창(14)을 통해 촬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ront of the housing H is provided with a lens 12 of the camera module and a display window 14 of the indicator, respectively,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both of which are circular glass and are very similar in appearance (Fig. 2). Therefore, the user can take a picture while staring at the lens 12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and at this time, the shooting state can be check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14 of the indicator provid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lens 12.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과 인디케이터(13)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16)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PCB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1 and the indicator 13 is provided.

상기 하우징(H)의 하부에는 가요성 연결부(20)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1삽입홈(17)이 형성된다. A first insertion groove 17 into which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

특히, 상기 가요성 연결부(20)는 표면에 외피(22)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코어(21)의 일단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외피(22)가 코어(21)의 끝단까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끝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Particularly,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has one end of the core 21 exposed, even though the outer cover 22 is provided on the surface. This is because the outer cover 22 is not formed to the end of the core 21 but is formed to expose a part of the end.

상기 제1삽입홈(17)에는 상기 외피(22)의 단부와 맞닿는 걸림턱(17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7a)은 상기 제1삽입홈(17)의 내측벽에 세로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A locking jaw 17a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to be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shell 22. The locking jaws (17a) are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따라서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의 일단을 상기 제1삽입홈(17)에 삽입할 때 상기 외피(22)의 단부가 상기 걸림턱(17a)들에 걸려 삽입 폭(길이)이 용이하게 결정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the end of the outer cover 22 is caught by the locking jaws 17a so that the insertion width (length) is easily determined. will be.

즉, 가요성 연결부(20)의 일단을 촬영부의 하우징(H)에 형성된 제1삽입홈(17)에 삽입할 때 상기 외피(22)가 상기 걸림턱(17a)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formed in the housing H of the photographing portion, the outer cover 22 is pushed until it engages the locking jaw 17a.

이 상태에서 외피(22)가 없어 노출된 코어(21)의 끝단과 제1삽입홈(17)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외피(22)의 단부와 제1삽입홈(17) 사이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함으로써 가요성 연결부(20)와 촬영부(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17)에 삽입되는 외피(22)의 폭(길이)은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state, there is no outer cover 22 and an adhesive is applied and fixed between the end of the exposed core 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In addition,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photographing portion 10 can be firmly fixed by applying and fixing an adhesive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cover 22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The width (length) of the sheath 22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 is preferably 1 to 2 mm.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의 케이싱(C)에도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의 타단이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홈(35)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a second insertion groove 35 is formed in the casing C of the grip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on portion 20 is inserted and coupled.

또한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의 타단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외피(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홈(35)의 내측벽에는 상기 상기 가요성 연결부(20)에 형성된 외피(22)의 단부가 맞닿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연결부(20)의 타단을 그립부(30)의 케이싱(C)에 형성된 제2삽입홈(35)에 삽입할 때 상기 외피(22)가 상기 걸림턱(33)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는다. In addition, the outer end 22 is formed with a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exposed. Therefore, a locking jaw 33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5 to contact an end of the outer cover 22 formed on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When inserting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on portion 20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5 formed in the casing C of the grip portion 30, the outer cover 22 is pushed until it engages the locking jaw 33.

한편, 가요성 연결부의 코어(21)는 통상 금속재로 형성되는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절단할 때 상기 코어(21)의 절단면이 매끄럽지 않고 버(burr, 31a)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re 21 of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is usual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s used by cutting to a required length. However, when cutting, the cutting surface of the core 21 may not be smooth and burrs 31a may be formed.

이와 같이 코어(21)의 단부에 버(21a)가 형성되면, 상기 제2삽입홈(또는 제1삽입홈)에 평행하게 연결되지 않게 된다. Thus, when the burr 21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re 21, it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or the first insertion groove) in parallel.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상기 제2삽입홈(35)에 상기 버(21a)가 도피되는 도피홈(34)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코어의 절단면에 버(21a)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버(21a)는 상기 도피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가요성 연결부(20)와 케이싱(C)의 연결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scape groove 34 in which the burr 21a is escaped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5. Even if the burr 21a is formed on the cut surface of the core, the burr 21a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casing C because the burr 21a is inserted into the escape groov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삽입홈에도 상기 버가 도피되는 도피홈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with an escape groove in which the burr is escaped.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촬영부(10)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도 4의 '13'참조)와 표시창(14) 사이에는 광전달부(18)가 구비된다.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maging unit 10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light transmission unit 18 is provided between the indicator (see '13' in FIG. 4) and the display window 14.

인디케이터의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는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순차적으로 수평하게 배열된다(도 4 참조). 상기 복수의 광원이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배열하는 것은 촬영부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blue LED 13a, the white LED 13b, and the red LED 13c of the indicator are sequentially horizontally arranged to be emitted upward (see FIG. 4). Arrang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be emitted upward is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photographing unit slim.

상기 인디케이터의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는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출사된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전면에 구비된 표시창(14)으로 전달하는 광전달부(18)가 구비되는 것이다. Since the blue LED 13a, the white LED 13b, and the red LED 13c of the indicator are arranged to emit upward, light transmission that refracts or reflects the emitted light to the display window 14 provided on the front side. The part 18 is provid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청색 LED(13a), 백색 LED(13b) 및 적색 LED(13c)에서 상방으로 출사된 광은 광전달부(18)에 의해 굴절(또는 반사)되어 출사부(18a)를 통해 표시창(14)으로 출사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14)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카메라모듈(11) 등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9 and 10, the light emitted upward from the blue LED 13a, the white LED 13b, and the red LED 13c is refracted (or reflected) by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8, and then exits. It exits to the display window 14 through (18a).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11 or the like by visually checking through the display window 14.

또한 상기 광전달부(18)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광원(13a~13c)들의 상부에서 광을 집광하는 집광부(18b)에 일체형성된다. 상기 집광부(18b)는 상기 광원(13a~13c)들로부터 조사된 광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고 광전달부(18)로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집광부(18b)는 상기 광원(13a~13c)들을 상부에서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8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ight collecting unit 18b that collects light from the top of the light sources 13a to 13c of the indicator. The light converging portion 18b is such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s 13a to 13c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8. Therefore,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18b is formed with side walls surrounding the light sources 13a to 13c from above.

상기 광전달부(18)의 일단에는 하측으로 지그(19)가 일체형성된다. 상기 지그(19)는 상기 광전달부(18)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The jig 19 is integrally formed downward at one end of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8. The jig 19 is for st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by supporting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8.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11 shows an operation method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0)에 형성된 동작버튼(32)을 3초이상 길게 누르면(터치 포함) 전원이 켜진다. 이 때 백색 LED(13b)가 켜지고, 사용자는 표시창을 통해 백색광을 확인함으로써 전원이 켜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when the operation button 32 formed on the grip portion 30 is pressed for 3 seconds or longer (including touch), the power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white LED 13b is turned on,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power is on by checking the white light through the display window.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1회 누르면 정지영상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사진을 촬영한다. 사진 촬영시 적색 LED(13c)가 작동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깜박이는 것으로 사진이 촬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32 is briefly pressed once while the power is on, the camera module 11 takes a picture as a still image mode. When the picture is taken, the red LED 13c is activated,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picture was taken by flashing the red light through the display window 14.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2회 누르면 동영상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비디오를 촬영한다. 동영상모드에서는 적색 LED(13c)가 빠르게 점멸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빠르게 점멸되는 것으로 동영상이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32 is briefly pressed twice while the power is on, the camera module 11 as a video mode takes a video. In the video mode, the red LED 13c blinks quickly,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video is being photographed by flashing the red light rapidly through the display window 14.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3회 누르면 타임랩스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타임랩스를 촬영한다. 타임랩스모드에서는 적색 LED(13c)가 보통으로 점멸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보통으로 점멸되는 것으로 타임랩스가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32 is pressed three times briefly while the power is on, the camera module 11 photographs the time-lapse as a time-lapse mode. In the time-lapse mode, the red LED 13c blinks normally,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time-lapse is being captured by the red light blinking normally through the display window 14.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짧게 4회 누르면 슬로우모션모드로서 카메라모듈(11)이 슬로우모션을 촬영한다. 이 때 적색 LED(13c)가 느리게 점멸동작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을 통해 적색광이 느리게 점멸되는 것으로 슬로우모션이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32 is pressed 4 times briefly while the power is on, the camera module 11 shoots slow motion as a slow motion mode. At this time, the red LED 13c blinks slowly,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slow motion is being photographed by blinking the red light slowly through the display window 14.

또한 전원이 켜진 상태, 즉, 표시창(14)에 백색광이 보이는 상태에서 동작버튼(32)을 3초이상 길게 누르면(터치 포함) 전원이 꺼진다. 이 때 백색 LED(13b)가 꺼지게 되며, 사용자는 표시창(14)에 아무런 광을 볼 수 없는 것을 통해 전원이 꺼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at is, while the white light is visible on the display window 14, pressing and holding the operation button 32 for 3 seconds or longer (including touch) turns off the power. At this time, the white LED 13b is turned off, and the user can know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by not seeing any light on the display window 14.

또한 충전포트(31)에 충전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어 충전할 때에는 청색LED(13a)가 점멸을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청색LED(13a)가 점멸없이 켜진상태로 표시된다.In addition, a charging cab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31, and when charging, the blue LED 13a flashes, and when charging is completed, the blue LED 13a is displayed without flashing.

도 12 내지 도 14는 촬영부(10)를 수밀하게 보호하는 제1방수케이스(40)가 포함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12 to 14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waterproof case 40 for tightly protecting the photographing unit 10 is includ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수케이스(40)는 리어케이스(41)와, 프론트케이스(42)와 실링부재(47)와 록킹부재(44)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the first waterproof case 40 includes a rear case 41, a front case 42, a sealing member 47, and a locking member 44.

상기 리어케이스(41)는 상기 하우징(H)의 후면을 감싸고, 상기 프론트케이스(42)는 상기 하우징(H)의 전면을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The rear case 41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H, and the front case 42 is a component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H.

특히, 상기 프론트케이스(42)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43)가 결합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case 42 has a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 43 is coupled to the opening.

상기 실링부재(47)는 상기 리어케이스(41)와 프론트케이스(42) 사이에 구비되어 촬영부(10)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47)는 고무로 형성된 오링(O-ring)이나 가스켓 등으로 구성된다. The sealing member 47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case 41 and the front case 42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photographing unit 10. The sealing member 47 is composed of an O-ring or gasket formed of rubber.

특히, 상기 프론트케이스(42)와 리어케이스(41)는 상부에 구비된 힌지핀(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case 42 and the rear case 41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pin 45 provided at the top.

상기 프론트케이스(42)와 리어케이스(41)에는 상기 힌지핀(45)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첩부(41a,42a)가 형성된다. The front case 42 and the rear case 41 are formed with hinge portions 41a and 42a through which the hinge pins 45 are coupled.

또한 상기 록킹부재(44)는 상기 리어케이스(41)와 프론트케이스(42)를 결합하는 구성요소인데, 상기 록킹부재(44)의 일단은 상기 리어케이스(41)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록킹부재(44)의 타단은 후크(44a)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케이스(41)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44)에 형성된 후크(44a)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턱(41c)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44 is a component that combines the rear case 41 and the front case 42,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44 is hinged to the rear case 41, the locking member The other end of 44 is formed with a hook 44a. In response to this, one side of the rear case 41 is formed with a hooking jaw 41c to which the hook 44a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44 is fastened.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상기 제1방수케이스(40)의 장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힌지결합된 상기 리어케이스(41)와 프론트 케이스(42)의 타단을 벌려서 촬영부의 하우징(H)에 장착한다. The mounting method of the first waterproof case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ther ends of the hinged-coupled rear case 41 and front case 42 are opened and mounted on the housing H of the photographing unit.

다음으로 상기 리어케이스(41)와 프론트 케이스(42)를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록킹부재(44)의 후크(44a)를 걸림턱(41c)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후크(44a)를 걸림턱(41c)에 체결하면 상기 실링부재(47)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리어케이스(41)와 프론트 케이스(42)가 밀착되면서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Next, the rear case 41 and the front case 4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in this state, the hook 44a of the locking member 44 is fastened to the locking jaw 41c. Thus, when the hook 44a is fastened to the locking jaw 41c, the shape of the sealing member 47 is deformed, and the rear case 41 and the front case 42 are tightly coupled while being tightly coupled.

도 15 및 도 16은 그립부(30)를 수밀하게 보호하는 제2방수케이스(50)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15 and 16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waterproof case 50 for tightly protecting the grip portion 30 is provid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방수케이스(50)는 리어케이스(51)와, 프론트케이스(52)와 실링부재(54)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second waterproof case 50 includes a rear case 51, a front case 52 and a sealing member 54.

상기 리어케이스(51)는 상기 케이싱(C)의 후면을 감싸고,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케이싱(C)의 전면을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The rear case 51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C, and the front case is a component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C.

특히, 상기 프론트케이스(52)는 제1방수케이스(40)와 달리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윈도우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first waterproof case 40, the front case 52 has no openings, and thus no windows.

대신, 그립부(30)에 구비된 동작버튼에 대응하여 버튼커버(53)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버튼커버(53)와 프론트케이스(52) 사이에도 오링 등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Instead, it can be seen that the button cover 53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30. It is natural that a sea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n O-ring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cover 53 and the front case 52.

상기 실링부재(55)는 상기 리어케이스(51)와 프론트케이스(52) 사이에 구비되어 그립부(30)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55)는 고무로 형성된 오링(O-ring)이나 가스켓 등으로 구성된다. The sealing member 55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case 51 and the front case 52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grip portion 30. The sealing member 55 is composed of an O-ring or gasket formed of rubber.

특히, 상기 프론트케이스(52)와 리어케이스(51)는 일측에 구비된 힌지핀(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case 52 and the rear case 51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pin 54 provided on one side.

상기 프론트케이스(52)와 리어케이스(51)에는 상기 힌지핀(54)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첩부(52a,51a)가 형성된다. The hinge parts 52a and 51a through which the hinge pins 54 are coupled are formed in the front case 52 and the rear case 51.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리어케이스(51)와 프론트케이스(52)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록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not shown, it is natural that a locking member (not shown) for coupling the other side of the rear case 51 and the front case 52 is provided.

일 예로, 상기 프론트케이스(52)의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케이스(51)의 타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For example, a hoo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case 52, and a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case 51 correspondingly.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상기 제2방수케이스(50)의 장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힌지결합된 상기 리어케이스(51)와 프론트 케이스(52)의 일측을 벌려서 그립부의 케이싱(C)에 장착한다. A method of mounting the second waterproof case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ne side of the hinged coupled rear case 51 and the front case 52 is opened and attached to the casing C of the grip portion.

다음으로 상기 리어케이스(51)와 프론트 케이스(52)를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프론트케이스(52)의 후크를 리어케이스(51)에 형성된 걸림턱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후크를 걸림턱에 체결하면 상기 실링부재(55)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리어케이스(51)와 프론트 케이스(52)가 밀착되면서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Next, the rear case 51 and the front case 5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in this state, the hook of the front case 52 is fastened to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rear case 51. In this way, when the hook is fastened to the locking jaw, the shape of the sealing member 55 is deformed, and the rear case 51 and the front case 52 are tightly coupled while being tightly coupled.

1: 실시예
10: 촬영부
11: 카메라모듈
12: 렌즈
13: 인디케이터
20: 가요성 연결부
21: 코어
22: 외피
30: 그립부
40: 제1방수케이스
41: 리어케이스
42: 프론트케이스
47: 실링부재
50: 제2방수케이스
51: 리어케이스
52: 프론트케이스
55: 실링부재
1: Example
10: filming unit
11: Camera module
12: Lens
13: Indicator
20: flexible connection
21: Core
22: integument
30: grip
40: first waterproof case
41: rear case
42: front case
47: sealing member
50: second waterproof case
51: rear case
52: front case
55: sealing member

Claims (10)

하우징의 내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촬영부;
케이싱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양단이 각각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며, 가요성이면서 외력이 제거되어도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표면에 외피가 형성되는 가요성 연결부; 및
상기 촬영부를 수밀하게 보호하는 제1방수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A photographing unit in which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till image or a video is built in a housing,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battery having a built-in battery in the casing,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and a grip unit in which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 core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ng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ng groove, flexible and maintaining a deformed stat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a flexible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outer shel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And
And a first waterproof case for tightly protecting the photograp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감싸는 리어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감싸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윈도우;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결합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terproof case,
A rear case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 front case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urface;
A window coupled to the opening;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And
And a locking member coupl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hotograp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은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타단은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According to claim 2,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hinged to the rear case or front case,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a shoo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후크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hotograp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rear case or front case to form a locking ja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를 수밀하게 보호하는 제2방수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waterproof case for tightly protecting the grip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케이스는,
상기 케이싱의 후면을 감싸는 리어케이스;
상기 케이싱의 전면을 감싸는 프론트케이스;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결합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waterproof case,
A rear case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A front case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And
And a locking member coupl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hotograp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ear case and the front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은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타단은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hinged to the rear case or front case,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a shoo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is form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 또는 프론트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후크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hotograp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rear case or front case to form a locking jaw.
KR1020180171634A 2018-12-28 2018-12-28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KR202000817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34A KR20200081779A (en) 2018-12-28 2018-12-28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34A KR20200081779A (en) 2018-12-28 2018-12-28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79A true KR20200081779A (en) 2020-07-08

Family

ID=7160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34A KR20200081779A (en) 2018-12-28 2018-12-28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7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220B1 (en)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mobile device case
JP4828221B2 (en) Digital camera
CN105049691B (en) Filming apparatus and terminal
JP4315213B2 (en) Viewfinder and imaging device
KR101855790B1 (en) Control watch for ominidirectional camera
KR20200081779A (en)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JP2006323298A (en) Cradle with waterproof function
CN109462725B (en) Thermal printing camera with screen
KR20200081777A (en)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JP2007174040A (en) Optical device and camera unit
KR20200081778A (en)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onnector
JP2006251225A (en) Photographing device and lens unit
JP2003219229A (en) Digital camera for portable telephone
JP6657805B2 (en) Optical equipment
JP2009130526A (en) Imaging apparatus
JP4315773B2 (en) Cameras and accessories
KR20160149556A (en) The portable terminal of recordable pictures
O'Connor Tested: Huawei p30 pro
KR20040061723A (en) camera apparatus of mobile-terminal
CN216848415U (en) 45-degree viewfinder with water depth temperature display function
JP5891825B2 (en) Display device
JP2011071673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05110162A (en) Camera
CN211018948U (en) Photographing device
KR101683859B1 (en) A shield case fo smart device or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