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745A -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745A
KR20200081745A KR1020180171576A KR20180171576A KR20200081745A KR 20200081745 A KR20200081745 A KR 20200081745A KR 1020180171576 A KR1020180171576 A KR 1020180171576A KR 20180171576 A KR20180171576 A KR 20180171576A KR 20200081745 A KR20200081745 A KR 20200081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information
mother
ligh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685B9 (ko
KR102206685B1 (ko
Inventor
성민 마
권상림
Original Assignee
성민 마
권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 마, 권상림 filed Critical 성민 마
Priority to KR102018017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6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685B1/ko
Publication of KR10220668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68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환경 정보와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명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조명의 조도를 재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은,
(a) 센서부를 통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설치된 조명부의 조도를 제 1 조도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조도 정보를 산모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조도와 상이한 제 2 조도로 선택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상기 제 1 조도를 상기 제 2 조도로 변경시키며,
산모의 생체 정보인 체온, 심박수 및 움직임 정보인 상기 모션 정보의 변화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현재의 조도보다 더 낮은 제 3 조도로 변경시키고 후, 상기 생체 정보의 의 변화가 상기 기준치 이하에서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를 턴오프시키며,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의 상기 사운드 정보가 소정의 제 1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의 소정의 제 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조명부 조도를 제 4 조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조명부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2.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가 변하면 조명부의 조도가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3. 산모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부의 조도를 재변경할 수 있다.
4.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실내에 사람이 있다는 정보가 취득되면, 즉 사운드 또는 움직임 정보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도로 조명부를 턴온시킬 수 있다.
5.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도와 색상을 자동 조절하여 산모의 개별 수면과 활동시간의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산모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높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emotional light device based on IoT by considering biological rhythm and life patterns of human}
본 발명은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센서기술의 발달과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하나의 기기나 서비스에 대한 모든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고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 방송통신망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통신네트워크들이 하나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칩과 센서들을 내장한 다양한 종류의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생산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IoT(internet of things)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IoT 기술은 사람, 기기,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과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과 사물 사이에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기술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편, 근현대에 들어 조명기술은 빛(光)을 연출하여 공간을 비추는 목적뿐만 아니라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디자인적인 역할로써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조명에 의한 공간의 연출은 인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즉, 빛과 색을 응용한 조명의 적용과 활용은 결국 빛의 공간 안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정서와 행위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빛에 따라 공간의 느낌이 변하는 것처럼 조명에 의한 빛의 연출은 그 환경에 적응하는 인간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의 조명기술은 빛이 가진 색(color)이라는 속성을 통해 최근에는 컬러 테라피(color therapy) 등의 응용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LED(lighting emitted diode)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LED는 특정 상태를 나타내거나 표시하는 것과 같은 용도에서 주 광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조명과 달리 광원의 색채적인 속성을 제어하기 용이하고, 복수의 LED의 구성 및 형태적인 자유도가 높아 점광원으로써의 표현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조명기술은 IoT기술과 LED를 접목하여 과거 기능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빛을 연출하는 것에서 벗어나, 점차 변화와 독창성을 추구하게 되고 현재에 들어서는 모든 요소를 융합하여 사용자만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반영하고, 감성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감성조명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성조명기술은, 단순히 시간이나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수동적으로 조명의 밝기 또는 색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현재 느끼고 있는 감성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센싱정보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느끼고 있는 감성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식한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한 조명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한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4-0140275호(2014.12.09.)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감성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 단말기로부터 감성조명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요청신호에 포함된 모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모드정보에 대응하는 조도 및 색온도에 따라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원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장소, 상황, 연령, 학습 등의 모드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모드정보를 토대로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광장치의 조도 및 색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최적화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없고, 단순히 미리 설정한 모드정보에 따라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상태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감성을 인식하며,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하여 조명기구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색온도, 색상, 조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광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하며,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497521호(2015.02.24.)는 감성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표준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조명의 색온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현재위치정보와 표준 시간정보를 일정시간마다 갱신하여 현재위치가 변경되었으며, 변경된 현재위치에서의 표준 시간 변경 여부를 판단하여 표준 시간이 변경된 경우 위치 변경에 따른 시간차를 반영하여 조명의 색온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감성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특정 상황에 따라 조명을 조절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한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자동차, 버스, 항공기, 선박 등을 포함한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토대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 및 위치에 따라 조명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또는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복합적으로 학습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나, 현재 시각 등을 토대로 조명을 제어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과는 그 목적, 구성 및 효과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1. 특허공개번호 : 제10-2018-0110472호, 발명의 명칭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환경 정보와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명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조명의 조도와 색상을 재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은,
(a) 센서부를 통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설치된 조명부의 조도를 제 1 조도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조도 정보를 산모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조도와 상이한 제 2 조도로 선택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상기 제 1 조도를 상기 제 2 조도로 변경시키며,
산모의 생체 정보인 체온, 심박수 및 움직임 정보인 상기 모션 정보의 변화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현재의 조도보다 더 낮은 제 3 조도로 변경시키고 후, 상기 생체 정보의 의 변화가 상기 기준치 이하에서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를 턴오프시키며,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의 상기 사운드 정보가 소정의 제 1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의 소정의 제 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조명부 조도를 제 4 조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조명부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2.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가 변하면 조명부의 조도와 색상을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3. 산모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부의 조도와 색상을 재변경할 수 있다.
4.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실내에 사람이 있다는 정보가 취득되면, 즉 사운드 또는 움직임 정보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도와 색상으로 조명부를 턴온시킬 수 있다.
5.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도와 색상을 자동 조절하여 산모의 개별 수면과 활동시간의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산모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높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시스템은 센서부, 제어부, 조명부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제어부와 무선 연동되는 휴대 단말기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 제어부, 및 조명부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독립적인 구성 요소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는 산모 등이 거주하는 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센서로 구성되며,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실내의 온도, 습도, 및 소리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사운드 수집용 마이크와 산모의 신체에 착용되어 산모의 체온, 심박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포함할 수 있다.
산모의 체온, 심박수 및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장치로는 스마트 밴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글로벌 기업인 애플 섬성 등에서 시판중인 스마트 밴드에서 수집된 해당 정보들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별도의 스마트 밴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스마트 밴드에는 다양한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부설되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있어서, 산모의 움직인 정보는 산모의 신체에 착용되는 스마트 밴드의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실내에 설치되는 적외선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객체(산모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센서부에서 감지한 모든 정보는 본 발명의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모가 거주하는 실내에 설치된 조명부의 조도를 제 1 조도로 설정한다.
즉, 제어부는 실내의 온도, 습도,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에 기설정되어 있는 특정 조도인 제 1 조도로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에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조도가 선택되며, 상기 제 1 조도란 실내 환경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기초한 특정 조도를 의미한다.
이렇게 제어부에 의하여 조명부의 조도가 제 1 조도로 자동 설정된 후(색상 자동 조절도 가능), 산모는 휴대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되며, 산모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조명부의 조도와 색상을 상기 제 1 조도와 다른 조도 또는 다른 색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참고로,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소정의 앱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 설정되는 제 1 조도가 산모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즉, 제 1 조도 정보가 산모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후, 산모는 필요에 따라 다른 조도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제 1 조도와 상이한 제 2 조도를 선택할 수 있고, 이렇게 제 2 조도로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한 후 현재 조명부의 제 1 조도를 제 2 조도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의 산모가 취침을 하거나 활동 지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즉, 센서부에서 감지한 산모의 체온, 맥박, 및 움직임 정보인 상기 모션 정보의 변화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상기 제 1 조도보다 낮은 제 3 조도로 변경시킨다.
예컨대, 산모가 취침 상태인 경우 체온이 이전 상태보다 낮아지고, 맥박 또한 활동 상태보다 더 떨지질 것이며, 가속도 센서에서 수집되는 움직임 정보 또한 기준치 이하가 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산모가 더욱 아늑한 환경하에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모션 정보의 변화가 상기 소정 범위내에서 추가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상기 조명부를 턴오프시킨다.
이는 산모가 완전한 취침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만약 제어부의 이러한 조치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즉, 산모가 독서나 명상 또는 단순 휴식을 통하여 누워 있는 상태라면, 산모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부를 특정 조도로 재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하여 수집되는 상기 실내의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임의의 제 1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예컨대 체온, 맥박 , 모션 정보)의 변화가 임의의 제 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실내에서 소정의 활동성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한다.
참고로, 사운드 정보는 실내의 산모가 활동중임을 감지하는 한 요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맥박)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조명부를 제 4 조도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산모를 대상으로 한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산모 이외에도 일상에서 생활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자동 감성 조명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가정이나 사무실, 기타의 업무 공간 등에도 동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단, 설치 환경이 달라지는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조절되는 조명부의 조도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 단말기 이외에 조명부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통하여도 조명부의 조도 등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조명부의 조도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조명부에 부설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실내 벽체에 별도의 조작부를 설치한 후 제어부 및 조명부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조작부는 시판중인 터치 방식의 조작부 또는 버튼식 조작부 또는 다이얼 방식의 조작부 등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조명부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2.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가 변하면 조명부의 조도가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3. 산모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부의 조도를 재변경할 수 있다.
4.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실내에 사람이 있다는 정보가 취득되면, 즉 사운드 또는 움직임 정보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실내 환경 및 산모의 신체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도로 조명부를 턴온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에서,
    (a) 센서부를 통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설치된 조명부의 조도를 제 1 조도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조도 정보를 산모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조도와 상이한 제 2 조도로 선택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상기 제 1 조도를 상기 제 2 조도로 변경시키며,
    산모의 생체 정보인 체온, 심박수 및 움직임 정보인 상기 모션 정보의 변화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현재의 조도보다 더 낮은 제 3 조도로 변경시키고 후, 상기 생체 정보의 의 변화가 상기 기준치 이하에서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를 턴오프시키며,
    상기 조명부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의 상기 사운드 정보가 소정의 제 1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의 소정의 제 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실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운드 정보와 산모의 체온, 심박수 정보 및 산모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조명부 조도를 제 4 조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KR1020180171576A 2018-12-28 2018-12-28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KR10220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76A KR102206685B1 (ko) 2018-12-28 2018-12-28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76A KR102206685B1 (ko) 2018-12-28 2018-12-28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45A true KR20200081745A (ko) 2020-07-08
KR102206685B1 KR102206685B1 (ko) 2021-01-25
KR102206685B9 KR102206685B9 (ko) 2022-04-11

Family

ID=7160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576A KR102206685B1 (ko) 2018-12-28 2018-12-28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6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007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이지라인 순간 색상조명 감성공학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45552A (ko) * 2013-10-18 2015-04-29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 감성 조명 시스템
KR101638580B1 (ko) * 2016-04-08 2016-07-11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실내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1095A (ko) *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큐앤웍스 동작인식·음성인식을 통한 터치리스 패널 스마트조명시스템
KR101891328B1 (ko) * 2017-02-27 2018-08-24 (주)에코메이텍 생체리듬 및 환경변화에 따른 친환경 스마트 조명제어장치
KR20180110472A (ko) 2017-03-29 2018-10-10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007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이지라인 순간 색상조명 감성공학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45552A (ko) * 2013-10-18 2015-04-29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 감성 조명 시스템
KR20160111095A (ko) *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큐앤웍스 동작인식·음성인식을 통한 터치리스 패널 스마트조명시스템
KR101638580B1 (ko) * 2016-04-08 2016-07-11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실내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91328B1 (ko) * 2017-02-27 2018-08-24 (주)에코메이텍 생체리듬 및 환경변화에 따른 친환경 스마트 조명제어장치
KR20180110472A (ko) 2017-03-29 2018-10-10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685B9 (ko) 2022-04-11
KR102206685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8693B2 (en) Home device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7535036B (zh) 用于改善照明控制的方法和系统
CN107439056B (zh) 照明控制装置
TWI575995B (zh) 智慧聯網系統
KR101353195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N110891352B (zh) 一种用于智能灯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20150319826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10472A (ko)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7697B1 (ko) 알람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JP2018507522A (ja) 調光を介した存在リクエスト
KR20200132198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장치를 이용한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63911B1 (ko) 스마트 감정조명장치
KR102218348B1 (ko) 스마트 조명제어 시스템
KR101712878B1 (ko) 뇌파모니터링을 통한 숙면 유도 시스템
KR20130072840A (ko) 패턴기반 감성조명 시스템
CN110471534B (zh) 基于情绪识别的信息处理方法及远程医疗管理系统
KR20200081745A (ko) 산모의 생체리듬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방법
US10357630B2 (en) Lighting apparatus, luminaire, and electronic apparatus
Cunha et al. AmbLEDs collaborative healthcare for AAL systems
JP2012043626A (ja) 照明システム
KR102236727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3398B1 (ko) 조명 기구
CN114051420B (zh) 睡眠控制装置
CN208861451U (zh) 基于穿戴设备的信息提醒系统
JP7446532B2 (ja) エリア内の照明ユニットを制御するためのコントローラ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