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455A -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455A
KR20200081455A KR1020207015855A KR20207015855A KR20200081455A KR 20200081455 A KR20200081455 A KR 20200081455A KR 1020207015855 A KR1020207015855 A KR 1020207015855A KR 20207015855 A KR20207015855 A KR 20207015855A KR 20200081455 A KR20200081455 A KR 2020008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requency
terminal device
priority
frequenc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셀 선택과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는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가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의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면허 대역 지원 액세스(License-assisted Access, LAA) 기술이 도입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메인 셀(PCell)을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구성하고, 면허 주파수 대역의 보조에 의해,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보조 셀(SCell)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LAA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보조 셀을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만 구성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상주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작동은 여전히 면허 주파수 대역에 의존한다. 따라서,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어떻게 진행하는지는 연구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면허 주파수 대역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는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셀 선택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가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의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구성 정보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라고 지칭될 수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에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SIM 카드 이외의 부분을 가리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Equipment, ME)에 미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적 시그널링(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수동 입력의 방식에 의해 설정한 작동 모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 모드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확정되고,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특정된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모든 단말기 디바이스에 동일한 제 1 구성 정보를 통일적으로 구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보다 합리적인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구성 정보와 상기 제 2 구성 정보보다 높다.
즉,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의 우선 순위는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2 구성 정보와 상기 제 1 구성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 포함된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송 모드는 또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구성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메인 정보 블록(MIB) -상기 MIB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상기 SIB은 인접 셀과 현재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포함하는 셀 재 선택 조건을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상주하는 제 2 셀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가 상기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지 않도록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일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재선택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확정한 후,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셀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셀 선택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4 양태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여,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 5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6 양태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여,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 9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10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 TDD)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TS), 또는 글로벌 상호 연결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통신 시스템 및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 또는 LTE 시스템에섯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ase, EB 또는 eNodeB)일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이거나,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내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유닛, 차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의 LAA 메커니즘은 Scell을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만 구성할 수 있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상주할 수 없고, 5G의 엔알(New Radio, NR)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지원을 도입할 계획이고, 두 가지 시나리오의 구현을 고려하고, 하나의 시나리오는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PCell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SCell을 구현하고, 다른 하나의 시나리오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PCell과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SCell을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 시나리오에서, 비면허 리소스에 대응하는 셀은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즉, 단말기 디바이스는 비면허 리소스에 대응하는 셀에 상주할 수 있고, 또는 면허 리소스에 대응하는 셀에 상주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면허 리소스와 비면허 리소스에서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는 연구해야하는 문제이다.
상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면허 리소스와 비면허 리소스에서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구현할 수 있는 셀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200)이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가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고,
단계 S220에서,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의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라고 지칭될 수 있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에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SIM 카드 이외의 부분을 가리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Equipment, ME)에 미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적 시그널링(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수동 입력의 방식에 의해 설정한 작동 모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 모드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파워 온 상태 또는 아이들(IDLE) 상태에 있을 때, 해당 단말기는 미리 구성된 상기 제 1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을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면, 해당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셀 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연결 상태에 있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는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설정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우선 진행하고,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구성 정보 또는 상기 제 2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파워 온 상태 또는 아이들(IDLE) 상태에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연결 상태에 있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우선 진행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와 상기 제 2 구성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우선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의 위치는 균등할 수 있고, 즉, 우선 순위 배열이 없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는 우선 순위 순서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의 위치는 균등할 수 있고, 즉, 우선 순위 배열이 없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는 우선 순위 순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는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일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이한 능력 또는 구성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고. 즉,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는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등의 정보를 결합하여 확정하는 것이며,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주파수 배치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다음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하는 특정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구성 정보는 통일적으로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와 비교하여 보다 합리적이므로, 단말기 디바이스의 적절한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계 S210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 포함된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 1 구성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파워 온 상태 또는 아이들(IDLE) 상태에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연결 상태에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구성 정보 또는 제 2 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고, 즉, 사용자가 어느 주파수 대역의 우선 순위가 더 높은지를 지시하지 않는 경우,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는 동일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검색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포인트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파워 온 상태 또는 아이들(IDLE)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검색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송 모드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 등을 나타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내고, 이 경우, 단계 S210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는 단계,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구성 정보에서의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고, 즉,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고 확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선택하고,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한다.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고 확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선택하고,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성 정보에서의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이 경우, 단계 S210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는 단계,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즉,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고 확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선택하고,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한다.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고 확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선택하고,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구성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고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구성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우선 선택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 디바이스가 검색한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나리오 1 : 셀 선택 시나리오
해당 시나리오 1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메인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수신하고, 상기 MIB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확정된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 제 1 셀을 검색하면, 상기 제 1 셀로부터의 메인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보조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및 다른 하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SS block에 의거하여 하향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메인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MIB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해당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해당 제 1 셀이 독립 동작(standalone operation)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해당 지시 정보는 1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1 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인 것은 해당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1 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인 것은 해당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케이스 1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셀의 SS block에 기초하여 측정을 진행하고, 해당 제 1 셀의 신호 품질을 확정하고, 해당 제 1 셀의 신호 품질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셀에 상주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셀의 신호 품질이 상주 임계값에 도달하면, 제 1 셀에 상주하는 것을 확정하고,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이 상주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제 1 셀에 상주하지 않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고,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을 진행할 수도 있다.
케이스 2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셀에 대해 측정과 상주의 시도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고,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을 진행할 수도 있다.
시나리오 2 : 셀 재선택 시나리오
시나리오 2에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메인 정보 블록(MIB)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IB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확정된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의거하여 주파수 포인트 검색을 진행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 제 1 셀을 검색하면, 해당 제 1 셀로부터의 PSS, SSS 및 다른 하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 동기 신호 블록(SS block)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SS block에 의거하여 하향 동기화를 진행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메인 신호 블록(MIB)과 RMSI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MIB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해당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해당 제 1 셀이 독립 동작(standalone operation)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해당 지시 정보는 1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1 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인 것은 해당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1 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인 것은 해당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IB는 셀 재선택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셀 재선택 조건은 인접 셀과 현재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와 셀 재선택 조건에 의거하여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제 2 셀(즉 현재 셀)에 상주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 1 셀과 상기 제 2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가 상기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셀이 상기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의 SS block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고, 제 1 셀의 신호 품질을 확정하고, 다음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과 상기 제 2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와 상기 셀 재선택 조건에서의 신호 품질 임계값과의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에서 상기 제 2 셀의 신호 품질을 감산한 차이가 상기 신호 품질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한다고 확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셀에서 제 1 셀로 재선택하지 않는다고 확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한다고 확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계속해서 검색하고, 다른 주파수 포인트의 셀 상황에 의거하여,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셀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의 설명과 단말기 디바이스 측의 설명은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상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300)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해당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는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3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단계 S320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도 4는 디바이스들 간의 인터렉션의 관점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을 나타내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은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21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프레퍼런스 등의 정보를 보고하고,
단계 S22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정보에 의거하여,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다음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적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셀 선택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자신의 능력과 프레퍼런스 등의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특정된 제 2 구성 정보를 구성하므로, 모든 단말기 디바이스에 동일한 제 1 구성 정보를 통일적으로 구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보다 합리적인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하고, 또한,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5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500)는 검색 모듈(510)과 선택 모듈(520)을 포함하고,
검색 모듈(510)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가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선택 모듈(520)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의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확정되고,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구성 정보와 상기 제 2 구성 정보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거나, 또는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 포함된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내고, 상기 검색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검색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500)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통신 모듈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메인 정보 블록(MIB)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MIB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모듈(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모듈(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SIB는 셀 재선택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셀 재선택 조건은 인접 셀과 현재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상주하는 제 2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가 상기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지 않도록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모듈(520)은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셀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5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각각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확정 모듈(610)과 통신 모듈(620)을 포함하고,
확정 모듈(610)은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통신 모듈(62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상기 방법(300)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일 수 있음)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의 각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300) 또는 방법(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700)를 더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도 5의 단말기 디바이스(500)일 수 있고, 도 2의 방법(200) 또는 도 4에 나타낸 방법(20)에 대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730)는 상기 메모리(7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7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동작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7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라고 약칭함)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7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74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더 기억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73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수행으로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의 수행으로 완료하도록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74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40)의 정보를 독출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도 5의 단말기 디바이스(500)에 포함된 검색 모듈(510)과 선택 모듈(520)은 도 7의 프로세서(7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5의 단말기 디바이스(500)에 포함된 통신 모듈은 도 7의 입력 인터페이스(710)와 출력 인터페이스(7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를 더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일 수 있고, 도 3의 방법(300) 또는 도 4에 나타낸 방법(2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내용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메모리(840)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메모리(8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메모리(8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8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8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8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라고 약칭함)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8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84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830)에 명령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84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더 기억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83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수행으로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의 수행으로 완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84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830)는 메모리(840)의 정보를 독출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내용을 구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확정 모듈(610)은 도 8의 프로세서(8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에 포함된 통신 모듈(620)은 도 8의 입력 인터페이스(810)와 출력 인터페이스(8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면,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면, 컴퓨터에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26)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가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의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preferences)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확정되고,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구성 정보와 상기 제 2 구성 정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 포함된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메인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상기 MIB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상기 SIB는 인접 셀과 현재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포함하는 셀 재선택 조건을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상주하는 제 2 셀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가 상기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지 않도록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재선택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확정한 후,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셀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13.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 방법.
  14. 미리 구성된 제 1 구성 정보, 네트워크가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한 제 2 구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모듈과,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서의 셀의 상황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의 정보 및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확정되고,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의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구성 정보와 상기 제 2 구성 정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거나, 또는
    동작 모드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 포함된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의 순서를 나타내고, 상기 검색 모듈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고,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0.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면허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검색 모듈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거나, 또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포인트 세트에서 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타겟 주파수 포인트로 우선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메인 정보 블록(MIB)-상기 MIB는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에 상주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 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상기 SIB은 인접 셀과 현재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포함하는 셀 재선택 조건을 포함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의 신호 품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상주하는 제 2 셀의 신호 품질의 차이가 상기 신호 품질의 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셀이 메인 셀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1 셀로 재선택하지 않도록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듈은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우선 순위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포인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면허 주파수 대역의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 셀 또는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다른 셀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레퍼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 2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07015855A 2017-11-13 2017-11-13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00081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0696 WO2019090763A1 (zh) 2017-11-13 2017-11-13 选择小区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455A true KR20200081455A (ko) 2020-07-07

Family

ID=6643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55A KR20200081455A (ko) 2017-11-13 2017-11-13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34175B2 (ko)
EP (1) EP3706474B1 (ko)
JP (1) JP2021510017A (ko)
KR (1) KR20200081455A (ko)
CN (1) CN111316705B (ko)
AU (1) AU2017439088A1 (ko)
WO (1) WO2019090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2012B2 (en) * 2018-05-10 2022-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rioritizing access on unlicensed band based on UE pre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03421B1 (en) * 2019-02-28 2021-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c warning system on unlicensed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45164A (ko) * 2019-10-16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셀 선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67441A (ko) 2019-11-29 202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블록에 기반하여 노드 선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938902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选择方法和装置
CN112584354B (zh) * 2020-12-10 2022-07-01 浙大城市学院 基于无人机与无人驾驶车辆之间的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733B2 (en) * 2011-03-15 2015-09-15 At&T Mobility Ii Llc Dynamic control of cell reselection parameters
CN103037469B (zh) * 2011-10-08 2016-03-3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接入网选择方法、用户设备、系统和选网策略单元
CN102448143B (zh) 2012-01-12 2014-07-23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认知的接入网络选择方法
CN103546940A (zh) * 2012-07-17 2014-01-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感知系统中进行小区搜索的方法及装置
WO2014038193A1 (en) * 2012-09-05 2014-03-13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tribution server
CN104038984A (zh) * 2013-03-08 2014-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络接入方法及无限局域网络接入辅助装置
CN103428708B (zh) * 2013-08-08 2016-03-16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认知无线网络中的无线接入方法和系统
CN105007606A (zh) * 2014-04-24 2015-10-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小区选择重选参数确定方法、基站、终端及通信系统
US9742928B2 (en) * 2014-04-28 2017-08-22 Apple Inc. Charging information for WLAN network selection in 3GPP-WLAN data offloading
US10292142B2 (en) * 2014-09-08 2019-05-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use of both licensed and unlicensed wireless spectrum
US20160112907A1 (en) * 2014-10-16 2016-04-21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based pseudo-reselection
CN106160968A (zh) * 2015-03-31 2016-11-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非授权频段小区动态指示装置及方法、通信系统及方法
KR20180070550A (ko) 2015-10-23 2018-06-26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거주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430677A (zh) * 2015-11-10 2016-03-2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授权频谱辅助接入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WO2017126622A1 (ja) * 2016-01-21 2017-07-27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移動通信方法
CN106973391A (zh) * 2017-03-29 2017-07-21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共享信道的接入方法和接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6474A1 (en) 2020-09-09
US20200359286A1 (en) 2020-11-12
CN111316705B (zh) 2022-03-25
WO2019090763A1 (zh) 2019-05-16
JP2021510017A (ja) 2021-04-08
US11234175B2 (en) 2022-01-25
AU2017439088A1 (en) 2020-06-18
EP3706474B1 (en) 2022-05-04
CN111316705A (zh) 2020-06-19
EP3706474A4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179B1 (ko)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시스템
US9584995B2 (en) Emergency calling for multi-SIM devices
KR20200081455A (ko) 셀 선택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9743324B2 (en) Cell reselection for link budget limited devices
US20140066055A1 (en) Network re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457389B2 (en) Cell sele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200107996A (ko) 네트워크 자가 조직화의 방법 및 디바이스
US1120661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RU274305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409624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in sidelink,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US10075909B2 (en) Method to select a candidate cell during cell selection
US20170273020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Access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22017456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