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793A -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793A
KR20200080793A KR1020180170623A KR20180170623A KR20200080793A KR 20200080793 A KR20200080793 A KR 20200080793A KR 1020180170623 A KR1020180170623 A KR 1020180170623A KR 20180170623 A KR20180170623 A KR 20180170623A KR 20200080793 A KR20200080793 A KR 2020008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terminal
plate
coupling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8598B1 (en
Inventor
신희원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8017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9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with improved productivity. The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comprises: a first carrier having a reinforcement unit; a 2-1 carrier having a first terminal; and a 2-2 carrier having a second terminal.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Description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device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부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및 단자를 이동시키는 캐리어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보강부 및 단자를 한꺼번에 몰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carrier for moving a reinforcing part and a carrier for moving a terminal are mutually coupled, so that the carrier for a connector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reinforcing part and the terminal into a mold at a time. It's about structure.

최근 휴대폰,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는 그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기,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소형화, 박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휴대기기 내부의 다수부품 실장에 따른 공간 활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digital cameras are equipped with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PCB circuit boards, and the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se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very important for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board-to-board (BtoB) connector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of space utilization due to mounting of multiple parts inside a mobile device.

보드 대 보드 커넥터는 전원, 컴퓨터, 보조 하드웨어와 같은 부품들, 또는 다른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 내의 다른 전기 부품들 사이에서 전기 또는 전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리셉터클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커넥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리셉터클커넥터는 복수 개의 단자와, 단자가 지지되는 소켓하우징과, 소켓하우징의 양측을 보호하는 보강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커넥터에 적용되는 단자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낱개로 생산되기 보다는 프레스 공정, 굴곡 공정 및 컷팅 공정 등을 통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일정 넓이를 갖는 판상의 캐리어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일체로 배열된 상태로 하우징 성형을 위한 몰드에 제공된다.Board-to-board connectors provide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 signals between components such as power, computers, auxiliary hardware, or other electrical components in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t consists of. In addition, the receptacl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 socket housing on which the terminals are supported, and a reinforcing portion protecting both sides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terminal applied to the connector is very small in size, and is formed through a press process, a bending process and a cutting process, etc. rather than being produced individually, and is integr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by a plate-shaped carrier having a certain width. It is provided in a mold for molding the furnace housing.

한편, 소켓하우징의 양측의 자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는 별도의 프레스 공정 및 굴곡 공정 등을 통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별도의 캐리어에 의하여 하우징 성형을 위한 몰드에 제공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단자를 몰드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및 보강부를 몰드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를 각각 별도로 준비하고, 이들 캐리어를 각각 별도로 몰드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전체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self-strength of both sides of the socket housing is produced through a separate press process and a bending process, and is provided to a mold for housing molding by a separate carrier.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a carrier for moving the terminal to the mold and a carrier for moving the reinforcement to the mold are separately prepared, and these carriers are configured to separately move to the mold, thereby complicating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problem.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20976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0976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를 몰드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와 보강부를 몰드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가 결합되도록 하여 이들 캐리어가 한꺼번에 몰드로 이동되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enable the carrier for moving the terminal to the mold and the carrier for moving the reinforcing part to the mold so that these carriers can be moved to the mold at a time carrier of the connector device It is to provid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홀 내주연의 상호 마주보는 제 1 내측부와 제 2 내측부 사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부와, 각각의 상기 보강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보강연결부와, 각각의 상기 보강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보강연결부를 갖는 제 1 캐리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1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기 보강부 사이의 일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2-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1 캐리어;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측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2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기 보강부 사이의 타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2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 1-1 결합부와 제 1-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상기 제 1-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상기 제 1-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reinforcement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a first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 first inner portion and a second inner por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 first carrier having a portion, a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one side of each of the reinforcing portions and the first inner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reinforcing portions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A 2-1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 first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placed in parallel on one side between a pair of the reinforcing parts, and the 2-1 plate and the first terminal A 2-1 carrier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each other; And a 2-2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a second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placed in parallel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pair of reinforcing portions, and the 2-2 plate and the second plate. It includes a 2-2 carrier having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terminal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respectively, the second 2- Characterized in that the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1-1 coupling portion on the 1 plate, and the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1-2 coupling portion on the 2-2 plate. It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또한, 상기 제 2-1 결합부는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는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결합부는, 상기 제 2-1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1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관통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결합부는, 상기 제 2-2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2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관통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through the 2-1 plate, the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through the 2-2 plate, and the 1-1 coupling The part, a pair of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plate so as to face the 2-1 coupling portion, and the 2-1 coupl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s It includes a first through-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 pair of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so as to face the 2-2 coupling portion It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hrough-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2-2 engaging portion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또한,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측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nd of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through stone inserted into the 2-2 coupling portion The end portion of the portion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보강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타측에 상기 제 2 보강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제 1 보강연결부, 상기 제 2 보강연결부, 상기 제 1 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 2 단자연결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고, 상기 보강면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일측과 면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 reinforcing surface portion having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at one side of the inner end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at the other side of the inner end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fter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when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and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또한, 상기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양 측벽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 reinforcing surface portion having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includ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protruding upwardly, and after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When it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contact portion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so as to be exposed in a state facing both side wall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외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외측기립부와, 상기 외측기립부의 상단에서 상기 외측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보강상단부와, 상기 보강상단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연장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되면, 상기 외측기립부와 상기 보강상단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양 측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단벽부의 내측 및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벽부에 내장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an outer standing portion standing upwards of the outer end portion, a reinforcing upper portion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end portion from the top of the outer standing portion, and in a state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be parallel, the extension portion is extended to face the contact portion,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After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and a socket housing is formed, the outer standing portion and the reinforcing upper end portion are positioned to cover the inn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short wall portion located betwee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socket housing. The extension portion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to be embedded in the side wall portion.

또한, 상기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내측기립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기립부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상기 제 1 단자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앙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중앙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 reinforcing surface portion having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In order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inner standing portion standing above the inner end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in a state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tanding portion It includes a central shield formed extending along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while the reinforcing portio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Before, the central shield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t by a cutting process.

또한, 상기 제 1 캐리어에 상기 제 2-1 캐리어 및 상기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캐리어는,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1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1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측방연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2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2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측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 1 측방차폐부 및 상기 제 2 측방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the first carrier may have an upper portion of a plurality of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s so as to face a plurality of the first terminals. A first side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a first side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side shield port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 second side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side shielding the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shield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so as to face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 lateral connection, the first side shield and the second side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in the state that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The shield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t by a cutt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제 1 내측부를 갖는 제 1-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내측부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1 내측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보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보강연결부를 갖는 제 1-1 캐리어; 상기 제 1 내측부와 마주보는 제 2 내측부를 갖는 제 1-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 2 내측부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2 내측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보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보강연결부를 갖는 제 1-2 캐리어; 상기 제 1-1 플레이트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 사이의 일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2-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1 캐리어;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 사이의 타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2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플레이트에 각각 제 1-1 결합부와 제 1-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상기 제 1-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상기 제 1-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1 plate having a first inner portion, a first reinforcing portion positioned to face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ortion, and a first reinforcing portion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ortion an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1 carrier having one reinforcing connection; A 1-2 plate having a second inner portion facing the first inner portion,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positioned to face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portion not facing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A 1-2 carrier having a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one sid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 2-1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the 1-1 plate, a first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loca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2-1 plate And a 2-1 carrier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a 2-2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the second plate, a second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other terminals are loca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2-2 plate. It includes a 2-2 carrier having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for mutually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1-1 coupling portion and the 1-2 coupling to the 1-1 plate and the 1-2 plate, respectively. An additional portion is formed, and a 2-1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1-1 engaging portion on the 2-1 plate, and a second 2- is coupled to the second 1-2 engaging portion to the 2-2 plate. 2 It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for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제 2-1 결합부는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는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결합부는, 상기 제 2-1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1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1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관통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결합부는, 상기 제 2-2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2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2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관통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through the 2-1 plate, the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through the 2-2 plate, and the 1-1 coupling The part, a pair of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s formed through the 1-1 plate so as to face the 2-1 coupling portion, and the 2-1 coupl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s It includes a first through-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 pair of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so as to face the second-second coupling portion It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hrough-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2-2 engaging portion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또한,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1 플레이트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2 플레이트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Further, an end of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urface of the 1-1 plate, and the second through inserted into the 2-2 coupling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plate.

또한, 각각의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외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외측기립부와, 상기 외측기립부의 상단에서 상기 외측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보강상단부와, 상기 보강상단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상기 보강연결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컷팅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컷팅가이더, 상기 제 1 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 2 단자연결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고, 상기 보강면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일측과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외측기립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양 측벽부 사이의 단벽부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보강상단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단벽부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양 측벽부의 양측에 각각 내장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first side portions and second side portions on both sides, and an inn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Reinforcing surface portions each provided with an outer end, an outer standing portion standing above the outer end, a reinforcing upper portion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end from the top of the outer standing portion, and downwards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upper portion.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in a bent state, and a cutting guid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below the extension portion, include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fter the reinforcing part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when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cutting guider,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s cut by a cutting process,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is positioned to contac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outer standing portion is positioned to cover the inside of a short wall portion betwee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reinforcement The upper end portion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end wall portion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extension portion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so as to be embedded on both sides of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socket housing.

또한, 각각의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양 측벽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protruding upward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ositioned to face the extension portion, When the first reinforcing part, the second reinforcing part,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a mold, when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contact part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so as to face one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of the socket housing facing each other.

또한, 각각의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내측기립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기립부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상기 제 1 단자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앙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중앙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first side portions and second side portions on both sides, and an inn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Reinforcing surface portions each provided with an outer end portion, an inner standing portion standing above the inner end portion, and b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ide of the inner standing portion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central shield formed extending along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In the state that the terminal is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the central shield provide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t by a cutting process.

또한, 상기 제 1-1 캐리어에 상기 제 2-1 캐리어가 결합되고, 상기 제 1-2 캐리어에 상기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1 캐리어는,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1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1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측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2 캐리어는,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2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2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측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 1 측방차폐부 및 상기 제 2 측방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is coupled to the 1-1 carrier and the 2-2 carrier is coupled to the 1-2 carrier, the 1-1 carri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A first side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so as to face one terminal, and both ends of the first side shield port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are interconnected. Further comprising a first lateral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arriers ar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the second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ide shield, a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shield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wherein the first side shield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shielding portion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while the second terminal is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Provides

본 발명은 보강부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및 단자를 이동시키는 캐리어가 상호 결합되어 있어, 보강부 및 단자를 한꺼번에 몰드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전체 제조 과정이 간단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for moving the reinforcing part and the carrier for moving the terminal are mutually coupled, so that the reinforcing part and the terminal can be moved to the mold at once, thereby simplifying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ing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은 차폐부를 구비하므로, EMI를 차폐할 수 있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커넥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노이즈가 발생되는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hield, EMI can be shield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deteriorated or noise is not gen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보강부 및 차폐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와 제 2-2 캐리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와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관통돌부가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의하여 보강부와 단자가 인서트 성형된 소켓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보강부 및 차폐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1 캐리어 및 제 1-2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 보강부 및 제 2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가 결합되고 제 1-2 캐리어에 제 2-2 캐리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가 결합되고 제 1-2 캐리어에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관통돌부가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의하여 보강부와 단자가 인서트 성형된 소켓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shield part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folded.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provided in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provided in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protrusion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FIG. 6 is a view showing a socket housing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terminal are insert-molded by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shield part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folded.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1-1 carrier and a 1-2 carrier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reinforcement part and a second reinforcement part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tate in which a 2-1 carrier is coupled to a 1-1 carrier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2-2 carrier is coupled to a 1-2 carrier.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FIG. 11 is a state in which a 2-1 carrier is coupled to a 1-1 carrier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2-2 carrier is coupled to a 1-2 carrier.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protrusion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13 is a view showing a socket housing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terminal are insert-molded by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보강부 및 차폐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shield part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folded, and FIG. 2 is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rrier structure of the devi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는 예를 들면, 리셉터클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캐리어(100), 제 2-1 캐리어(200) 및 제 2-2 캐리어(25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커넥터는 소켓하우징(H: 도 6 도시), 제 1, 2 단자(220, 270) 및 보강부(120)를 포함한다. 소켓하우징(H)은 소켓하우징(H) 성형을 위한 몰드(Mold)(미도시)에 보강부(120)와 제 1, 2 단자(220, 270)가 인서트(Insert) 된 후 수지가 몰드로 공급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 1 캐리어(100)는 보강부(120)가 몰드에 인서트 되도록 이동시키고 제 2-1 캐리어(200) 및 제 2-2 캐리어(250)는 제 1 단자(220) 및 제 2 단자(270)가 몰드에 인서트 되도록 이동시킨다.1 and 2,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for manufacturing a receptacle connector, the first carrier 100, the 2-1 carrier ( 200) and the 2-2 carrier 250. The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a socket housing (H: shown in FIG. 6), first and second terminals 220 and 270, and a reinforcement part 120. The socket housing (H) is inserted into a mold (not shown) for molding the socket housing (H), and the resin is molded after the reinforcement par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20 and 270 are inserted. It is supplied and 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carrier 100 is moved so that the reinforc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mold, and the 2-1 carrier 200 and the 2-2 carrier 250 are the first terminal 220 and the second terminal ( 270) is moved to insert into the mold.

제 1 캐리어(10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릴(미도시)에 권선되는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1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관통된 복수의 관통홀(110a)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부(120)와, 보강부(120)를 제 1 플레이트(110)에 연결시키는 제 1, 2 보강연결부(130, 132)를 포함한다. 관통홀(110a)은 대략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110a)의 내주연에는 상호 마주보는 제 1 내측부(112a)와 제 2 내측부(11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플레이트(110)의 관통홀(110a)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 1-1 결합부(114)와 제 1-2 결합부(116)가 형성된다. 제 1-1 결합부(114)와 제 1-2 결합부(116)는 제 2-1 캐리어(200) 및 제 2-2 캐리어(25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carrier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first plate 110 wound on a reel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0a penetrat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110. And a pair of reinforcing parts 120 and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connecting parts 130 and 132 connecting the reinforcing parts 120 to the first plate 110, respectively. The through-hole 110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first inner portion 112a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112b facing each other ar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110a. And the 1-1 coupling portion 114 and the 1-2 coupling portion 116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through hole 110a of the first plate 110. The 1-1 coupling portion 114 and the 1-2 coupling portion 116 are for coupling with the 2-1 carrier 200 and the 2-2 carrier 250, which will be described in FIG. 3. .

그리고 제 1 내측부(112a)와 제 2 내측부(112b) 사이의 양측에 한 쌍의 보강부(120)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보강연결부(130)가 각각의 보강부(120)의 일측과 제 1 내측부(112a)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길게 형성되고, 제 2 보강연결부(132)가 각각의 보강부(120)의 타측과 제 2 내측부(112b)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길게 형성된다.And a pair of reinforcement parts 12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inner part 112a and the second inner part 112b.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 is formed to be long to interconnect one side of each reinforc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inner portion 112a, and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2 of each reinforcing portion 120 It is formed to be long so as to interconnect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112b.

각각의 보강부(120)는 도 1과 같이 평평한 상태로 제 1 보강연결부(130)와 제 2 보강연결부(1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플레이트(110)가 권출된 후 연속적으로 프레스 및 절곡 성형되어 도 2와 같은 입체 형상의 보강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120)는 리셉터클커넥터의 소켓하우징(H)의 양측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강도가 강한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reinforc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art 130 and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art 132 in a flat state as shown in FIG. 1, and is continuously pressed and bent after the first plate 110 is unwound. It is mold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120 as shown in FIG. The reinforcing portion 120 i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both sides of the socket housing (H) of the receptacle connector, may be formed of a strong strength metal or the like.

보강부(12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121a)와 제 2 측부(121b)가 각각 구비되고, 제 1 측부(121a)와 제 2 측부(121b)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121c)와 외측단부(121d)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121)와, 제 1 측부(121a)와 제 2 측부(121b)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접촉부(122)와, 내측단부(121c)의 일측에 제 1 보강연결부(130)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부(128)와, 내측단부(121c)의 타측에 제 2 보강연결부(132)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129)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접촉부(122)는 리셉터클커넥터에 플러그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될 때, 플러그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보강부(120)는 소켓하우징(H)의 강도 보강 역할은 물론 신호 전달 역할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제 1, 2 절곡부(128, 129)와 제 1, 2 보강연결부(130, 132) 간의 연결되는 부분은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H)이 형성될 때,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된다. 이는 도 6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Looking a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art 120, the first side part 121a and the second side part 121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shape, and between the first side part 121a and the second side part 121b is provided. A reinforcement surface portion 121 provided with an inner end portion 121c and an outer end portion 121d at both ends, and a pair of elastic contact portions protruding upwardly to the first side portion 121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21b. (122), a first bent portion 128 formed to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 on one side of the inner end portion 121c, and a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2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end portion 121c It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129 is bent to be connected to. The pair of contact parts 1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so that the reinforcement part 120 serves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socket housing H as well as signal transmission Roles also have a possible effec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128 and 129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s 130 and 132 is cured by a cutting process when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the socket housing H. It is cut.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in FIG. 6.

또한, 보강부(120)는, 외측단부(121d)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외측기립부(123)와, 외측기립부(123)의 상단에서 외측단부(121d)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보강상단부(124)와, 보강상단부(124)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제 1 측부(121a) 및 제 2 측부(121b)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125)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125)는 접촉부(122)와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접촉부(122)가 연장부(125) 방향으로 가하는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보강상단부(124)의 외측에는 보강외벽부(124a)가 하방으로 연장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120 is an outer standing part 123 standing upward of the outer end part 121d, and a reinforcing upper part bending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standing part 123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end part 121d ( 124), an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125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side portion 121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21b in a state of being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upper end portion 124. The extension portion 125 is extended to face the contact portion 122, and has the effect of firmly supporting the pressure exerted by the contact portion 122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25.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reinforcement portion 124, the outer reinforcement wall portion 124a extends downwar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와 제 2-2 캐리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와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provided in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provided in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1 캐리어(20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1 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보강부(120) 사이의 일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1 단자(220)와, 제 2-1 플레이트(210)와 제 1 단자(2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단자연결부(222)를 포함한다. 제 2-2 캐리어(25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타측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2 플레이트(260)와, 한 쌍의 보강부(120) 사이의 타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2 단자(270)와, 제 2-2 플레이트(260)와 제 2 단자(27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단자연결부(272)를 포함한다. 제 2-1 플레이트(210) 및 제 2-2 플레이트(260)는 제 1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릴에 권선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제 1 단자(220)와 제 2 단자(270)가 제 1 단자연결부(222)와 제 2 단자연결부(272)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2-1 carrier 200 is between the 2-1 plate 210 coupled to contact one side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pair of reinforcements 120. It includes a first terminal 220, a plurality of one side of which is located in parallel, and a first terminal connection unit 222 for interconnecting the 2-1 plate 210 and the first terminal 220. The 2-2 carrier 250 has a plurality of second-side plates 260 coupled to abut agains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110 and a plurality of parallel portions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pair of reinforcing parts 120. 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270,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272 for interconnecting the second plate 260 and the second terminal 270. The 2-1 plate 210 and the 2-2 plate 260 are wound on the reel like the first plate 110, and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20 and the second terminals 270 are first. The terminals are connected at equal intervals by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22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72.

그리고 제 1 캐리어(100)에 제 2-1 캐리어(200) 및 제 2-2 캐리어(25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몰드로 이동되며, 이를 위하여 제 2-1 플레이트(21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제 1-1 결합부(114)와 결합되도록 제 2-1 결합부(212)가 형성되고, 제 2-2 플레이트(26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제 1-2 결합부(116)와 결합되도록 제 2-2 결합부(262)가 형성되며, 이들은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2-1 carrier 200 and the 2-2 carrier 250 are coupled to the mold at a time in a state where the 2-1 carrier 200 and the 2-2 carrier 250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100, and for this purpose, the 2-1 plate 210 is the first plate The 2-1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1-1 coupling portion 114 of the 110, and the 2-2 plate 260 is the 1-2 coupling of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second coupling portion 262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ortion 116, which will be described in FIG.

한편, 각종 회로나 전기부품 또는 제 1, 2 단자(220, 27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 즉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차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차폐부(127) 및 제 1, 2 측방차폐부(140, 145)를 더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various circuits or electrical parts or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20 and 270, that i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ral shield 127 and first and second. The side shields 140 and 145 are further provided.

중앙차폐부(127)는 제 1 단자(220)와 제 2 단자(27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내측기립부(126)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제 1 단자(220)와 복수 개의 제 2 단자(27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내측단부(121c)의 상방으로 내측기립부(126)가 기립되고, 내측기립부(126)에 중앙차폐부(127)가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부(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므로, 내측기립부(126) 및 중앙차폐부(127) 또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중앙차폐부(127)는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The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 is a plurality of first in a state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tanding portion 126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20 and the second terminal 270 It extend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terminal 2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70. To this end, the inner standing portion 126 stands above the inner end portion 121c, and the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 is connected to the inner standing portion 126. Here, since the reinforcing portion 120 is composed of a pair, the inner standing portion 126 and the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 are also composed of a pair. And each central shield 127 is extended to face each other.

제 1 측방차폐부(140)는 제 1 캐리어(100)에 제 2-1 캐리어(200) 및 제 2-2 캐리어(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 1 단자(220)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제 1 단자연결부(222)의 상부에 제 1 단자연결부(22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방차폐부(140)의 양 단부와 제 1 내측부(112a)는 제 1 측방연결부(14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The first lateral shield 140 may face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20 in a state where the 2-1 carrier 200 and the 2-2 carrier 250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100.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portion 22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 connecting portions 22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portion 222. And both ends of the first lateral shield 140 and the first inner portion 112a are interconnected by the first lateral connection 142.

제 2 측방차폐부(145)는 복수의 제 2 단자(270)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제 2 단자연결부(272)의 상부에 제 2 단자연결부(27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방차폐부(145)의 양 단부와 제 2 내측부(112b)는 제 2 측방연결부(14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The second side shield 145 is formed to be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7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272 to face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70.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shielding portion 145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112b are interconnected by the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147.

이처럼 본 발명은 중앙차폐부(127), 제 1 측방차폐부(140) 및 제 2 측방차폐부(145)를 구비하므로, EMI를 차폐할 수 있어, 리셉터클커넥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노이즈가 발생되는 않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 the first side shield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side shielding portion 145, EMI can be shield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reduced or noise is generated. It does have an effec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관통돌부가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protrusion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2-1 플레이트(210)에 한 쌍의 제 1-1 결합부(114)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2-1 결합부(212)가 관통 형성되고, 제 2-2 플레이트(260)에 한 쌍의 제 1-2 결합부(116)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2-2 결합부(262)가 관통 형성된다. 제 1-1 결합부(114)는, 제 2-1 결합부(212)와 마주보도록 제 1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관통부(114a)와, 각각의 제 1 결합관통부(114a)의 양측에 제 2-1 결합부(21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관통돌부(114b)를 포함한다. 제 1-2 결합부(116)는, 제 2-2 결합부(262)와 마주보도록 제 1 플레이트(110)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관통부(116a)와, 각각의 제 2 결합관통부(116a)의 양측에 제 2-2 결합부(26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관통돌부(116b)를 포함한다. 3 to 5, a pair of 2-1 coupling portions 212 are formed through the 2-1 plate 210 so as to be coupled with a pair of 1-1 coupling portions 114, A pair of second-second coupling parts 262 are formed through the second-second plate 260 to be coupled with a pair of first-second coupling parts 116. The 1-1 coupling portion 114 is a pair of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s 114a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plate 110 so as to face the 2-1 coupling portion 212, respectively It includes a first through protrusion (114b)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2-1 engaging portion 212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114a).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6 are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116a that are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110 so as to face the 2-2 coupling portions 262, respectively. It includes a second through protrusion (116b)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2-2 engaging portion 262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116a).

그리고 제 2-1 결합부(212)에 삽입된 제 1 관통돌부(114b)의 단부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일측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 2-2 결합부(262)에 삽입된 제 2 관통돌부(116b)의 단부는 제 1 플레이트(110)의 타측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제 1 플레이트(110)에 제 2-1 플레이트(210)와 제 2-2 플레이트(260)가 포개어져서, 제 1 결합관통부(114a)와 제 2-1 결합부(212)가 포개어지고, 제 2 결합관통부(116a)와 제 2-1 결합부(212)가 포개어진다. 이때, 제 1 관통돌부(114b)가 제 2-1 결합부(212)에 삽입되고, 제 2 관통돌부(116b)가 제 2-2 결합부(262)에 삽입된다. 그 후 외부 가압에 의하여 제 1, 2 관통돌부(114b, 116b)가 제 1 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절곡되면, 제 2-1 플레이트(21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견고하게 결속되고, 제 2-2 플레이트(26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타측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이들 제 2-1 플레이트(210) 및 제 2-2 플레이트(260)는 제 1 플레이트(110)에서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nd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114b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212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2-2 coupling portion 262 The end of the inserted second through protrusion 116b is bent in a direction that approache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hat is, the 2-1 plate 210 and the 2-2 plate 260 are superimposed on the first plate 110, so that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114a and the 2-1 coupling portion 212 overlap.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116a and the 2-1 coupling portion 212 overlap. 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114b is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212, and the second through protrusion 116b is inserted into the 2-2 coupling portion 262. Then, wh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rotrusions 114b and 116b ar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110 by external pressure, the 2-1 plate 210 is firmly boun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110. The 2-2 plate 260 is firmly boun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se 2-1 plate 210 and 2-2 plate 260 are the first plate 110 It has the effect of not being separated from.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의하여 보강부와 단자가 인서트 성형된 소켓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ocket housing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terminal are insert-molded by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플레이트(110)에 제 2-1 플레이트(210) 및 제 2-2 플레이트(26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플레이트(110), 제 2-1 플레이트(210) 및 제 2-2 플레이트(260)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되어, 보강부(120)와 제 1 단자(220)와 제 2 단자(270)가 일체로 몰드로 인서트되는 효과가 있다.2 to 6, since the 2-1 plate 210 and the 2-2 plate 260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0,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 2- 1 plate 210 and the 2-2 plate 260 is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the reinforcement 120 and the first terminal 220 and the second terminal 270 is an effect of being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mold have.

그리고 보강부(120)와 제 1 단자(220)와 제 2 단자(270)가 일체로 몰드로 인서트된 이후, 중앙차폐부(127), 제 1 측방차폐부(140) 및 제 2 측방차폐부(145)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된다. 그 후,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며, 이어서 수지가 경화되면 소켓하우징(H)이 형성된다. 소켓하우징(H)은 양측에 한 쌍의 측벽부(H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측벽부(H2)의 양 단부에 단벽부(H3)가 구비되며, 한 쌍의 측벽부(H2) 사이의 중앙에 중앙부(H4)가 구비되고, 중앙부(H4)의 양 측과 한 쌍의 단벽부(H3) 사이에 저면부(H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면부(H1)에 보강부(120)가 인서트 성형되고, 측벽부(H2)와 중앙부(H4) 사이에 제 1, 2 단자(220, 270)가 인서트 성형된다. 이때, 보강부(120)의 보강면부(121)는 소켓하우징(H)의 저면부(H1)와 면 접촉되도록 위치되어 저면부(H1)의 강도를 보강하고, 접촉부(122)는 측벽부(H2)와 마주보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플러그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외측기립부(123)와 보강상단부(124)는 소켓하우징(H)의 단벽부(H3)의 내측 및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어 단벽부(H3)의 강도를 보강하고, 보강외벽부(124a)는 단벽부(H3)에 내장되도록 위치되어 단벽부(H3)의 강도를 보강한다. 연장부(125)는 측벽부(H2)에 내장되도록 위치되어 측벽부(H2)의 강도를 보강한다.And after the reinforcement 120 and the first terminal 220 and the second terminal 270 ar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mold, the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 the first side shield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side shielding portion 145 is cut by a cutting process. Thereafter,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and then, when the resin is cured, a socket housing H is formed. The socket housing H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H2 on both sides, a short wall portion H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H2, and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H2. In the center of the center portion (H4) is provided, the bottom portion (H1) is provided betwee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H4) and a pair of short wall portion (H3). And the reinforcement part 120 is insert-molded on the bottom surface part H1,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20 and 270 are insert-molded between the side wall part H2 and the center part H4.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121 of the reinforcing portion 120 is position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H1 of the socket housing H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ottom portion H1, and the contact portion 122 is a side wall portion ( H2) is located so as to be exposed in a state facing, it is configured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or. In addition, the outer standing portion 123 and the reinforcing upper end portion 124 are positioned to cover the inner and upper sides of the short wall portion H3 of the socket housing H, there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hort wall portion H3 and reinforcing the outer wall portion 124a. ) Is positioned to be embedded in the short wall portion H3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hort wall portion H3. The extension portion 125 is positioned to be embedded in the side wall portion H2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H2.

한편, 소켓하우징(H)이 형성되면, 각종 연결부 즉, 제 1 보강연결부(130), 제 2 보강연결부(132), 제 1 측방연결부(142), 제 2 측방연결부(147), 제 1 단자연결부(222) 및 제 2 단자연결부(272)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ocket housing (H) is formed, various connections, 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2, the first side connection portion 142, the second side connection portion 147, the first terminal The connecting portion 222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272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보강부 및 차폐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1 캐리어 및 제 1-2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 보강부 및 제 2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shield part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folded, and FIG. 8 is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1-1 carrier and a 1-2 carrier provided in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device, and FIG. 9 is a first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1 캐리어(1000), 제 1-2 캐리어(1500), 제 2-1 캐리어(2000) 및 제 2-2 캐리어(2500)를 포함한다. 제 1-1 캐리어(1000) 및 제 1-2 캐리어(1500)는 제 1, 2 보강부(1200, 1700)가 몰드(미도시)에 인서트 되도록 이동시키고 제 2-1 캐리어(2000) 및 제 2-2 캐리어(2500)는 제 1 단자(2200) 및 제 2 단자(2700)가 몰드에 인서트 되도록 이동시킨다.7 to 9,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nufacturing a receptacle connecto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1-1 carrier 1000, the first -2 carrier (1500), 2-1 carrier (2000) and 2-2 carrier (2500). The 1-1 carrier 1000 and the 1-2 carrier 1500 are mov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parts 1200 and 1700 are inserted into a mold (not shown), and the 2-1 carrier 2000 and the first carrier The 2-2 carrier 2500 moves the first terminal 2200 and the second terminal 2700 to be inserted into the mold.

제 1-1 캐리어(100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릴(미도시)에 권선되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 1-1 플레이트(1100)와, 제 1-1 플레이트(1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내측부(1110)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보강부(1200)와, 제 1 내측부(1110)의 일측과 제 1 보강부(1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보강연결부(1300)를 포함한다.The 1-1 carrier 10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1 plate 110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ound on a reel (not shown), and the first-1 plate 1100. It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portion 1200 positioned to face one side of the inner portion 1110, and a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0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ortion 1110 an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00. .

제 1-2 캐리어(150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릴(미도시)에 권선되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 1-2 플레이트(1600)와, 제 1-2 플레이트(16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내측부(1610)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2 보강부(1700)와, 제 2 내측부(1610)의 일측과 제 2 보강부(17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보강연결부(1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1 캐리어(1000)와 제 1-2 캐리어(1500)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평면에서 제 1-1 캐리어(1000)를 회전시키면 제 1-2 캐리어(1500)와 동일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carriers 150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second or second plates 160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ound on a reel (not shown) and the second or second plat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plates 1600. It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1800 that is positioned to face one side of the inner portion 1610, and a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800 that interconnects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portion 16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700. . Here, the 1-1 carrier 1000 and the 1-2 carrier 1500 are formed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1-1 carrier 1000 is rotated in a plane, it is the same as the 1-2 carrier 1500.

그리고 제 1-1 플레이트(1100)와 제 1-2 플레이트(1600)에 각각 제 1-1 결합부(1120)와 제 1-2 결합부(1620)가 형성된다. 제 1-1 결합부(1120)와 제 1-2 결합부(1620)는 제 2-1 캐리어(2000) 및 제 2-2 캐리어(250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도 1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1-1 coupling portion 1120 and a 1-2 coupling portion 1620 are formed on the 1-1 plate 1100 and the 1-2 plate 1600, respectively. The 1-1 coupling portion 1120 and the 1-2 coupling portion 1620 are intended to be coupled to the 2-1 carrier 2000 and the 2-2 carrier 250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0. .

그리고 제 1 내측부(1110)와 제 2 내측부(1610) 사이의 양측에 제 1, 2 보강부(1200, 1700)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보강연결부(1300)가 제 1 보강부(1200)의 일측과 제 1 내측부(1110)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길게 형성되고, 제 2 보강연결부(1800)가 각각의 제 2 보강부(1700)의 일측과 제 2 내측부(1610)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길게 형성된다.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parts 1200 and 170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inner part 1110 and the second inner part 1610.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0 is formed to be long to interconnect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00 and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ortion 11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800 is a respectiv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t is formed to be long so as to interconnect one side of the 17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portion 1610.

제 1, 2 보강부(1200, 1700)는 도 7과 같이 평평한 상태로 제 1 보강연결부(1300)와 제 2 보강연결부(18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1 플레이트(1100) 및 제 1-2 플레이트(1600)가 권출된 후 연속적으로 프레스 및 절곡 성형되어 도 8과 같은 입체 형상의 제 1, 2 보강부(1200, 17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2 보강부(1200, 1700)는 리셉터클커넥터의 소켓하우징(H: 도 13 도시)의 양측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강도가 강한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arts 1200 and 17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ng part 1300 and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ng part 1800 in a flat state as shown in FIG. 7, and the 1-1 plate 1100 and the first After the -2 plate 1600 is unwound, it is continuously pressed and bent to form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parts 1200 and 1700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s shown in FIG. 8.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arts 1200 and 1700 ar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both sides of the socket housing (H: FIG. 13)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may be formed of a strong metal or the like.

제 1 보강부(120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제 1 보강부(1200)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1 측부(1212)와 제 1-2 측부(1214)가 구비되고, 제 1-1 측부(1212)와 제 1-2 측부(1214) 사이의 양 단부에 제 1 내측단부(1216)와 제 1 외측단부(1218)가 각각 구비되는 제 1 보강면부(1210)와, 제 1 외측단부(1218)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제 1 외측기립부(1230)와, 제 1 외측기립부(1230)의 상단에서 제 1 외측단부(1218)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제 1 보강상단부(1240)와, 제 1 보강상단부(124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제 1-1 측부(1212) 및 제 1-2 측부(1214)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250)와, 제 1 연장부(1250)의 하측에 제 1 보강연결부(13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컷팅가이더(1252)와, 제 1-1 측부(1212)와 제 1-2 측부(1214)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접촉부(1220)를 포함한다. 제 1 접촉부(1220)는 제 1 연장부(125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제 1 보강상단부(1240)의 외측에는 제 1 보강외벽부(1242)가 하방으로 연장된다.Looking a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part 1200, the first reinforcing part 1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is provided with 1-1 side parts 1212 and 1-2 side parts 1214 on both sides. A first reinforcing surface portion 1210 and a first reinforcing surface portion 1210 each having a first inner end portion 1216 and a first outer end portion 1218 at both ends between the −1 side portion 1212 and the 1-2th side portion 1214. The first outer standing portion 1230 standing above the outer end portion 1218 and the first reinforcing upper portion 1240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end portion 1218 from the top of the first outer standing portion 1230 ),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1250 extending to be parallel to the 1-1 side portion 1212 and the 1-2 side portion 1214 in a state of being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reinforcement upper portion 1240, The first cutting guider 125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0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50, and upwards to the first side portion 1212 and the first side portion 1214. It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first contact portion 1220. The first contact portion 1220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50. A first reinforcing outer wall portion 1242 extends downwar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upper portion 1240.

제 2 보강부(170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제 2 보강부(1700)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2-1 측부(1712)와 제 2-2 측부(1714)가 구비되고, 제 2-1 측부(1712)와 제 2-2 측부(1714) 사이의 양 단부에 제 2 내측단부(1716)와 제 2 외측단부(1718)가 각각 구비되는 제 2 보강면부(1710)와, 제 2 외측단부(1718)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제 2 외측기립부(1730)와, 제 2 외측기립부(1730)의 상단에서 제 2 외측단부(1718)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제 2 보강상단부(1740)와, 제 2 보강상단부(174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제 2-1 측부(1712) 및 제 2-2 측부(1714)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750)와, 제 2 연장부(1750)의 하측에 제 2 보강연결부(18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컷팅가이더(1752)와, 제 2-1 측부(1712)와 제 2-2 측부(1714)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접촉부(1720)를 포함한다. 제 2 접촉부(1720)는 제 2 연장부(175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제 2 보강상단부(1740)의 외측에는 제 2 보강외벽부(1742)가 하방으로 연장된다.Looking a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700,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7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is provided with 2-1 side parts 1712 and 2-2 side parts 1714 on both sides. A second reinforcing surface portion 1710 and a second reinforcing surface portion 1710 each having a second inner end portion 1716 and a second outer end portion 1718 at both ends between the -1 side portion 1712 and the 2-2 side portion 1714, respectively. The second outer standing portion 1730 standing above the outer end portion 1718 and the second reinforcing upper portion 1740 that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end portion 1718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outer standing portion 1730 ),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1750 extending to be parallel to the 2-1 side portion 1712 and the 2-2 side portion 1714 in a state of being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reinforcement upper portion 1740, The second cutting guide 1175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800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750, and upwards to the 2-1 side portion 1712 and the 2-2 side portion 1714. It includes a pair of projecting second contact portion (1720). The second contact portion 1720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750. The second reinforcing outer wall portion 1742 extends downwar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upper portion 1740.

이러한 제 1, 2 접촉부(1220, 1720)는 리셉터클커넥터에 플러그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될 때, 플러그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제 1, 2 보강부(1200, 1700)는 소켓하우징(H)의 강도 보강 역할은 물론 신호 전달 역할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1220 and 17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when a plug connecto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ortions 1200 and 1700 are provided with a socket housing ( In addition to the role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H), a signal transmission role is also possible.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가 결합되고 제 1-2 캐리어에 제 2-2 캐리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제 1-1 캐리어에 제 2-1 캐리어가 결합되고 제 1-2 캐리어에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0 is a state in which a 2-1 carrier is coupled to a 1-1 carrier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2-2 carrier is coupled to a 1-2 carrier. 1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FIG. 11 and a 2-1 carrier coupled to a 1-1 carrier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2-2 carriers are coupled.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2-1 캐리어(2000)는 제 1-1 플레이트(1100)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1 플레이트(2100)와, 제 1 보강부(1200)와 제 2 보강부(1700) 사이의 일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1 단자(2200)와, 제 2-1 플레이트(2100)와 제 1 단자(2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단자연결부(2210)를 포함한다. 제 2-2 캐리어(2500)는 제 1-2 플레이트(1600)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2 플레이트(2600)와, 제 1 보강부(1200)와 제 2 보강부(1700) 사이의 타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2 단자(2700)와, 제 2-2 플레이트(2600)와 제 2 단자(27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단자연결부(2710)를 포함한다. 제 2-1 플레이트(2100) 및 제 2-2 플레이트(2600)는 제 1-1 플레이트(1100) 및 제 1-2 플레이트(1600)와 마찬가지로 릴에 권선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제 1 단자(2200)와 제 2 단자(2700)가 제 1 단자연결부(2210)와 제 2 단자연결부(2710)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다. 10 and 11, the 2-1 carrier 2000 includes a 2-1 plate 2100 coupled to abut against the 1-1 plate 1100, a first reinforcement part 1200, and 2 A first terminal 2200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positioned in parallel betwee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1700, and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210 that interconnects the 2-1 plate 2100 and the first terminal 2200. It includes. The 2-2 carrier 2500 is the other side between the 2-2 plate 2600 coupled to abut against the 1-2 plate 1600 and the first reinforcement 120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1700. 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2700)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2710 for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2700 and the second terminal 2700 and the second terminal 2700 is located in parallel. The 2-1 plate 2100 and the 2-2 plate 2600 are wound on a reel as in the 1-1 plate 1100 and the 1-2 plate 1600, and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200 ) And the second terminal 2700 are connected at equal intervals by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210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710.

그리고 제 1-1 캐리어(1000)와 제 2-1 캐리어(200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몰드로 이동되고, 제 1-2 캐리어(1500)와 제 2-2 캐리어(250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몰드로 이동되며, 이를 위하여 제 2-1 플레이트(2100)는 제 1-1 플레이트(1100)의 제 1-1 결합부(1120)와 결합되도록 제 2-1 결합부(2110)가 형성되고, 제 2-2 플레이트(2600)는 제 1-2 플레이트(1600)의 제 1-2 결합부(1620)와 결합되도록 제 2-2 결합부(2610)가 형성되며, 이들은 도 1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n, the 1-1 carrier 1000 and the 2-1 carrier 2000 are moved to the mold at a time, and the 1-2 carrier 1500 and the 2-2 carrier 2500 are combined. It is moved to the mold all at once, and for this purpose, the 2-1 engaging portion 2110 is formed so that the 2-1 plate 2100 is engaged with the 1-1 engaging portion 1120 of the 1-1 plate 1100. The 2-2 plate 2600 is formed with a 2-2 coupling portion 2610 to be coupled with the 1-2 coupling portion 1620 of the 1-2 plate 1600, which are described in FIG. 12. I will do it.

한편, 각종 회로나 전기부품 또는 제 1, 2 단자(2200, 2700) 사이에 발생되는 EMI를 차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2 중앙차폐부(1270, 1770) 및 제 1, 2 측방차폐부(1400, 1900)를 더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hield EMI generated between various circuits or electrical parts or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200 and 27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irst and second central shielding parts 1270 and 1770 and first and second side shielding. Parts 1400 and 1900 are further provided.

제 1 보강연결부(1300)는 제 1 단자(2200)와 제 2 단자(270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제 1 내측기립부(126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제 1 단자(2200)와 복수 개의 제 2 단자(2700) 사이의 일측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중앙차폐부(1270)는 제 1 보강부(1200)의 제 1 내측단부(1216)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제 1 내측기립부(1260)와 연결된다.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art 1300 is a plurality of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ner standing portion 1260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200 and the second terminal 2700 It is formed to extend along one side spa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22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700. The first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tanding portion 1260 standing above the first inner end portion 1216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00.

제 2 중앙차폐부(1770)는 제 1 중앙차폐부(1270)와 마찬가지로, EMI를 차폐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제 2 내측기립부(176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제 1 단자(2200)와 복수 개의 제 2 단자(2700) 사이의 타측 공간을 따라 제 1 중앙차폐부(1270)와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중앙차폐부(1770)는 제 2 보강부(1700)의 제 2 내측단부(1716)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제 2 내측기립부(1760)와 연결된다.The second central shielding portion 1770, like the first central shielding portion 1270, ha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b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ner standing portion 1760 described later to shield EMI) 2200)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700 are formed to extend to face the first central shield 1270 along the other side space. The second central shielding portion 1770 is connected to a second inner standing portion 1760 standing above the second inner end portion 1716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700.

제 1 측방차폐부(1400)는 제 1-1 캐리어(1000)와 제 2-1 캐리어(2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 1 단자(2200)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제 1 단자연결부(2210)의 상부에 제 1 단자연결부(22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방차폐부(1400)의 양 단부와 제 1 내측부(1110)는 제 1 측방연결부(14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The first lateral shielding part 14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connecting parts facing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200 in a state where the 1-1 carrier 1000 and the 2-1 carrier 2000 are combined. 221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210.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lateral shield 1400 and the first inner portion 1110 are interconnected by the first lateral connection 1410.

제 2 측방차폐부(1900)는 제 1-2 캐리어(1500)와 제 2-2 캐리어(2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 2 단자(2700)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제 2 단자연결부(2710)의 상부에 제 2 단자연결부(27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방차폐부(1900)의 양 단부와 제 2 내측부(1610)는 제 2 측방연결부(19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The second side shielding part 19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connecting parts facing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700 in a state where the 1-2 carrier 1500 and the 2-2 carrier 2500 are combined. 2710) is formed to be lo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710.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econd lateral shield 1900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1610 are interconnected by the second lateral connection 1910.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구비되는 관통돌부가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protrusion provided in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 2-1 플레이트(2100)에 한 쌍의 제 1-1 결합부(1120)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2-1 결합부(2110)가 관통 형성되고, 제 2-2 플레이트(2600)에 한 쌍의 제 1-2 결합부(1620)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2-2 결합부(2610)가 관통 형성된다. 제 1-1 결합부(1120)는, 제 2-1 결합부(2110)와 마주보도록 제 1-1 플레이트(1100)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관통부(1122)와, 각각의 제 1 결합관통부(1122)의 양측에 제 2-1 결합부(2110)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관통돌부(1124)를 포함한다. 제 1-2 결합부(1620)는, 제 2-2 결합부(2610)와 마주보도록 제 1-2 플레이트(1600)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관통부(1622)와, 각각의 제 2 결합관통부(1622)의 양측에 제 2-2 결합부(2610)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관통돌부(1624)를 포함한다.8 to 12, a pair of 2-1 coupling portions 2110 are formed through the 2-1 plate 2100 to be coupled with a pair of 1-1 coupling portions 1120, A pair of second-second coupling portions 2610 are formed through the second-second plate 2600 to be coupled with a pair of first-second coupling portions 1620. The 1-1 coupling portion 1120, the pair of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1122 formed through the 1-1 plate 1100 to face the 2-1 coupling portion 2110, each of It includes a first through protrusion (1124)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2110)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1122).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620, a pair of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1622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600 so as to face the 2-2 coupling portions 2610, respectively It includes a second through-protrusion (1624) protrudingly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2-2 coupling portion (2610)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1622).

그리고 제 2-1 결합부(2110)에 삽입된 제 1 관통돌부(1124)의 단부는 제 1-1 플레이트(1100)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 2-2 결합부(2610)에 삽입된 제 2 관통돌부(1624)의 단부는 제 1-2 플레이트(1600)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제 1-1 플레이트(1100)에 제 2-1 플레이트(2100)와 제 2-2 플레이트(2600)가 포개어져서, 제 1 결합관통부(1122)와 제 2-1 결합부(2110)가 포개어지고, 제 2 결합관통부(1622)와 제 2-1 결합부(2110)가 포개어진다. 이때, 제 1 관통돌부(1124)가 제 2-1 결합부(2110)에 삽입되고, 제 2 관통돌부(1624)가 제 2-2 결합부(2610)에 삽입된다. 그 후 외부 가압에 의하여 제 1 관통돌부(1124)가 제 1-1 플레이트(1100)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 2 관통돌부(1624)가 제 1-2 플레이트(1600) 방향으로 절곡되면, 제 2-1 플레이트(2100)는 제 1-1 플레이트(1100)에 견고하게 결속되고, 제 2-2 플레이트(2600)는 제 1-2 플레이트(1600)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이들 제 2-1 플레이트(2100) 및 제 2-2 플레이트(2600)는 제 1-1 플레이트(1100) 및 제 1-2 플레이트(1600)에서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nd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1124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2110 is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1-1 plate 1100, and the 2-2 coupling portion 2610 The end of the second through protrusion 1624 inserted in the bend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urface of the 1-2 plate 1600. That is, the 2-1 plate 2100 and the 2-2 plate 2600 are superimposed on the 1-1 plate 1100, so that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1122 and the 2-1 coupling portion 2110 are formed. Is superimposed,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1622 and the 2-1 coupling portion 2110 are superimposed. In this case,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1124 is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2110, and the second through protrusion 1624 is inserted into the 2-2 coupling portion 2610. Thereafter, when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1124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1-1 plate 1100 and the second through protrusion 1624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1-2 plate 1600 by external pressure, the second -1 plate 2100 is firmly bound to the 1-1 plate 1100, and the 2-2 plate 2600 is firmly bound to the 1-2 plate 1600, these 2-1 plates The 2100 and the 2-2 plate 2600 have an effect of not being separated from the 1-1 plate 1100 and the 1-2 plate 1600.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에 의하여 보강부와 단자가 인서트 성형된 소켓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ocket housing in which a reinforcement part and a terminal are insert-molded by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 1-1 플레이트(1100)에 제 2-1 플레이트(21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제 1-2 플레이트(1600)에 제 2-2 플레이트(260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1 플레이트(1100)와 제 2-1 플레이트(2100)가 일체로 몰드의 일측으로 이동되고, 제 1-2 플레이트(1600)와 제 2-2 플레이트(2600)가 일체로 몰드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 1 보강부(1200)와 제 1 단자(2200)가 일체로 몰드의 일측으로 인서트되고, 제 2 보강부(1700)와 제 2 단자(2700)가 일체로 몰드로 인서트되며, 이 상태에서 제 1, 2 중앙차폐부(1270, 1770), 제 1, 2 측방차폐부(1400, 1900)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된다. 그 후,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며, 이어서 수지가 경화되면 소켓하우징(H)이 형성된다. 소켓하우징(H)은 양측에 한 쌍의 측벽부(H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측벽부(H2)의 양 단부에 단벽부(H3)가 구비되며, 한 쌍의 측벽부(H2) 사이의 중앙에 중앙부(H4)가 구비되고, 중앙부(H4)의 양 측과 한 쌍의 단벽부(H3) 사이에 저면부(H1)가 구비된다. 그리고 양측 저면부(H1)에 제 1, 2 보강부(1200, 1700)가 인서트 성형되고, 측벽부(H2)와 중앙부(H4) 사이에 제 1, 2 단자(2200, 2700)가 인서트 성형된다. 이때, 제 1, 2 보강면부(1210, 1710)는 소켓하우징(H)의 저면부(H1)와 면 접촉되도록 위치되어 저면부(H1)의 강도를 보강하고, 제 1, 2 접촉부(1220, 1720)는 측벽부(H2)와 마주보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플러그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2 외측기립부(1230, 1730) 및 제 1, 2 보강상단부(1240, 1740)는 소켓하우징(H)의 단벽부(H3)의 내측 및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어 단벽부(H3)의 강도를 보강하고, 제 1, 2 보강외벽부(1242, 1742)는 단벽부(H3)에 내장되도록 위치되어 단벽부(H3)의 강도를 보강한다. 제 1, 2 연장부(125)는 측벽부(H2)에 내장되도록 위치되어 측벽부(H2)의 강도를 보강한다.Referring to FIGS. 7 to 13, the 2-1 plate 210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1-1 plate 1100, and the 2-2 plate 2600 is attached to the 1-2 plate 1600. Since it is integrally coupled, the 1-1 plate 1100 and the 2-1 plate 2100 are integrally moved to one side of the mold, and the 1-2 plate 1600 and the 2-2 plate 2600 are integrally moved. Is integrally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ld. Then, the first reinforcement part 1200 and the first terminal 2200 are integrally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old,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1700 and the second terminal 2700 ar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mold, and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shields 1270 and 1770 and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shields 1400 and 1900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Thereafter,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and when the resin is cured, the socket housing H is formed. The socket housing H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H2 on both sides, a short wall portion H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H2, and between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H2. In the center of the center portion (H4) is provided, the bottom portion (H1) is provided betwee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H4) and a pair of short wall portion (H3). Then,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arts 1200 and 1700 are insert-molded on both side bottom parts H1,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200 and 2700 are insert-molded between the side wall part H2 and the center part H4. .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surface portions 1210 and 1710 are position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H1 of the socket housing H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ottom portion H1,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1220, 1720) is positioned to be exposed while facing the side wall portion H2, and is configured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or.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outer standing portions 1230 and 1730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upper portions 1240 and 1740 are positioned to cover the inner and upper sides of the short wall portion H3 of the socket housing H, and the short wall portion H3 ),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outer wall portions 1242 and 1742 are positioned to be embedded in the short wall portion H3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hort wall portion H3.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125 are positioned to be embedded in the side wall portion H2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H2.

한편, 소켓하우징(H)이 형성되면, 각종 연결부 즉, 제 1 보강연결부(1300), 제 2 보강연결부(1800), 제 1 측방연결부(1410), 제 2 측방연결부(1910), 제 1 단자연결부(2210) 및 제 2 단자연결부(2710)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ocket housing (H) is formed, various connections, 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300,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1800, the first side connection portion 1410, the second side connection portion 1910, and the first terminal The connection portion 2210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710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 1 캐리어
110: 제 1 플레이트 110a: 관통홀
112a: 제 1 내측부 112b: 제 2 내측부
114: 제 1-1 결합부 114a: 제 1 결합관통부
114b: 제 1 관통돌부 116: 제 1-2 결합부
116a: 제 2 결합관통부 116b: 제 2 관통돌부
120: 보강부 121: 보강면부
121a: 제 1 측부 121b: 제 2 측부
121c: 내측단부 121d: 외측단부
122: 접촉부 123: 외측기립부
124: 보강상단부 124a: 보강외벽부
125: 연장부 126: 내측기립부
127: 중앙차폐부 128: 제 1 절곡부
129: 제 2 절곡부 130: 제 1 보강연결부
132: 제 2 보강연결부 140: 제 1 측방차폐부
142: 제 1 측방연결부 145: 제 2 측방차폐부
147: 제 2 측방연결부
200: 제 2-1 캐리어
210: 제 2-1 플레이트 212: 제 2-1 결합부
220: 제 1 단자 222: 제 1 단자연결부
250: 제 2-2 캐리어 260: 제 2-2 플레이트
262: 제 2-2 결합부 270: 제 2 단자
272: 제 2 단자연결부
1000: 제 1-1 캐리어
1100: 제 1-1 플레이트 1110: 제 1 내측부
1120: 제 1-1 결합부 1122: 제 1 결합관통부
1124: 제 1 관통돌부 1200: 제 1 보강부
1210: 제 1 보강면부 1212: 제 1-1 측부
1214: 제 1-2 측부 1216: 제 1 내측단부
1218: 제 1 외측단부 1220: 제 1 접촉부
1230: 제 1 외측기립부 1240: 제 1 보강상단부
1242: 제 1 보강외벽부 1250: 제 1 연장부
1252: 제 1 컷팅가이더 1260: 제 1 내측기립부
1270: 제 1 중앙차폐부 1300: 제 1 보강연결부
1400: 제 1 측방차폐부 1410: 제 1 측방연결부
1500: 제 1-2 캐리어
1600: 제 1-2 플레이트 1610: 제 2 내측부
1620: 제 1-2 결합부 1622: 제 2 결합관통부
1624: 제 2 관통돌부 1700: 제 2 보강부
1710: 제 2 보강면부 1712: 제 2-1 측부
1714: 제 2-2 측부 1716: 제 2 내측단부
1718: 제 2 외측단부 1720: 제 2 접촉부
1730: 제 2 외측기립부 1740: 제 2 보강상단부
1742: 제 2 보강외벽부 1750: 제 2 연장부
1752: 제 2 컷팅가이더 1760: 제 2 내측기립부
1770: 제 2 중앙차폐부 1800: 제 2 보강연결부
1900: 제 2 측방차폐부 1910: 제 2 측방연결부
2000: 제 2-1 캐리어
2100: 제 2-1 플레이트 2110: 제 2-1 결합부
2200: 제 1 단자 2210: 제 1 단자연결부
2500: 제 2-2 캐리어 2600: 제 2-2 플레이트
2610: 제 2-2 결합부 2700: 제 2 단자
2710: 제 2 단자연결부
H: 소켓하우징
H1: 저면부 H2: 측벽부
H3: 단벽부 H4: 중앙부
100: first carrier
110: first plate 110a: through hole
112a: first inner portion 112b: second inner portion
114: 1-1 engaging portion 114a: the first engaging through portion
114b: first through protrusion 116: first 1-2 coupling
116a: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116b: second through protrusion
120: reinforcement portion 121: reinforcement surface portion
121a: first side 121b: second side
121c: inner end 121d: outer end
122: contact portion 123: outer standing portion
124: upper reinforcement portion 124a: outer reinforcement wall portion
125: extension 126: inner standing
127: central shielding portion 128: first bent portion
129: 2nd bent part 130: 1st reinforcement connection part
132: second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140: first side shield
142: first lateral connection 145: second lateral shield
147: second side connection
200: 2-1 carrier
210: 2-1 plate 212: 2-1 engaging portion
220: first terminal 222: first terminal connection
250: 2-2 carrier 260: 2-2 plate
262: 2-2 coupling part 270: second terminal
272: second terminal connection
1000: 1-1 carrier
1100: 1-1 plate 1110: first inner portion
1120: 1-1 engaging portion 1122: the first engaging through portion
1124: first through protrusion 1200: first reinforcement
1210: 1st reinforcement surface part 1212: 1-1 side part
1214: first 1-2 side 1216: first inner end
1218: first outer end 1220: first contact
1230: first outer standing portion 1240: first reinforcement upper portion
1242: 1st reinforcement outer wall part 1250: 1st extension part
1252: first cutting guider 1260: first inner standing portion
1270: first central shield 1300: first reinforcement connection
1400: first lateral shield 1410: first lateral connection
1500: No. 1-2 carrier
1600: 1-2 plate 1610: second inner portion
1620: the first 1-2 engaging portion 1622: the second engaging through portion
1624: second through protrusion 1700: second reinforcement
1710: 2nd reinforcement surface part 1712: 2-1 side part
1714: 2-2 side 1716: 2nd inner end
1718: second outer end 1720: second contact
1730: second outer standing portion 1740: second reinforced upper portion
1742: 2nd reinforcement outer wall part 1750: 2nd extension part
1752: 2nd cutting guide 1760: 2nd inner standing part
1770: Second central shield 1800: Second reinforcement connection
1900: second lateral shield 1910: second lateral connection
2000: 2-1 carrier
2100: 2-1 plate 2110: 2-1 engaging portion
2200: first terminal 2210: first terminal connection
2500: 2-2 carrier 2600: 2-2 plate
2610: 2-2 coupling part 2700: second terminal
2710: second terminal connection
H: Socket housing
H1: Bottom part H2: Side wall part
H3: Single wall part H4: Central part

Claims (15)

일측과 타측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홀 내주연의 상호 마주보는 제 1 내측부와 제 2 내측부 사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부와, 각각의 상기 보강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보강연결부와, 각각의 상기 보강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보강연결부를 갖는 제 1 캐리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1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기 보강부 사이의 일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2-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1 캐리어;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측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2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기 보강부 사이의 타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2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 1-1 결합부와 제 1-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상기 제 1-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상기 제 1-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 first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pair of reinforc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inner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one side of each of the reinforcing portions And a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inner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reinforcing portions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A 2-1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 first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placed in parallel on one side between a pair of the reinforcing parts, and the 2-1 plate and the first terminal A 2-1 carrier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each other; And
A 2-2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a second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placed in parallel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pair of reinforcing parts, and the 2-2 plate and the second terminal It includes a 2-2 carrier having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to interconnect each other,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respectively,
A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2-1 plate to be coupled with the 1-1 coupling portion, and a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2-2 plate to be combined with the 1-2 coupling portion.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결합부는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는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결합부는, 상기 제 2-1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1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관통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결합부는, 상기 제 2-2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2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관통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of the 2-1 plate,
The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of the 2-2 plate,
The 1-1 coupling portion, a pair of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so as to face the 2-1 coupling portion, and each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2-1 includes a first throug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nclude a pair of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so as to face the 2-2 coupling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2-2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hrough-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측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second through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2-2 coupl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보강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타측에 상기 제 2 보강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제 1 보강연결부, 상기 제 2 보강연결부, 상기 제 1 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 2 단자연결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고, 상기 보강면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일측과 면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inner side. A first bent portion ben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at one side of an end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to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at the other side of the inner end portion,
When the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and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art, the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art,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s cut by a cutting process, and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i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et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양 측벽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 reinforcing surface portion having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It includ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projecting upwar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When the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a mold, and when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contact part is formed with both side wall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to be exposed facing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외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외측기립부와, 상기 외측기립부의 상단에서 상기 외측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보강상단부와, 상기 보강상단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연장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되면, 상기 외측기립부와 상기 보강상단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양 측벽부 사이에 위치되는 단벽부의 내측 및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벽부에 내장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reinforcing portion, the outer standing portion standing upstream of the outer end portion, the upper end portion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end portion from the top of the outer standing por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upper portion bent downward in both states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one side and the second side, the extension portion is extended to face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a mold, and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outer standing part and the reinforcing upper part of the socket housing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to cover the inn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a single wall portion located between both side wall portions,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positioned to be embedded in the side wal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내측기립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기립부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상기 제 1 단자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앙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중앙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inner side. In order to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inner standing portion standing upward at the end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tanding portion It includes a central shield formed extending along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In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the central shielding part is cut by a cutting process. resc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상기 제 2-1 캐리어 및 상기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캐리어는,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1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1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측방연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2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2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측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 1 측방차폐부 및 상기 제 2 측방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and the 2-2 carrier are coupled to the first carrier, the first carri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 connections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 first lateral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terminal connector, a first lateral connector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lateral shield and the first inner part, and facing a plurality of the second terminals A second lateral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or and a second lateral connecto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lateral shield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connectors. Further comprising,
In the state where the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the first side shielding part and the second side shielding part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내측부를 갖는 제 1-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내측부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1 내측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보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보강연결부를 갖는 제 1-1 캐리어;
상기 제 1 내측부와 마주보는 제 2 내측부를 갖는 제 1-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 2 내측부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2 내측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보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보강연결부를 갖는 제 1-2 캐리어;
상기 제 1-1 플레이트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 사이의 일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2-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1 캐리어;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맞닿도록 결합되는 제 2-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 사이의 타측에 복수 개가 병렬로 위치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단자연결부를 갖는 제 2-2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플레이트에 각각 제 1-1 결합부와 제 1-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상기 제 1-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상기 제 1-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캐리어 구조.
A first-1 plate having a first inner portion, a first reinforcing portion positioned to face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ortion, and a first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ortion an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 1-1 carrier;
A 1-2 plate having a second inner portion facing the first inner portion,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positioned to face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portion not facing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A 1-2 carrier having a second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one sid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 2-1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the 1-1 plate, a first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loca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2-1 plate And a 2-1 carrier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A 2-2 plate coupled to abut against the second plate, a second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located in parallel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2-2 plate and the It includes a 2-2 carrier having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A 1-1 engaging portion and a 1-2 engag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1-1 plate and the 1-2 plate, respectively.
A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2-1 plate to be coupled with the 1-1 coupling portion, and a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2-2 plate to be combined with the 1-2 coupling portion. Carrier structure for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결합부는 상기 제 2-1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는 상기 제 2-2 플레이트에 한 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결합부는, 상기 제 2-1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1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1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관통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결합부는, 상기 제 2-2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2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관통부와, 각각의 상기 제 2 결합관통부의 양측에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관통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The 2-1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of the 2-1 plate,
The 2-2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a pair of the 2-2 plate,
The 1-1 coupling portion, a pair of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formed through the first-1 plate so as to face the 2-1 coupling portion, and each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includes a first throug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nclude a pair of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so as to face the second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s. 2-2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hrough-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1 플레이트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2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관통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2 플레이트의 표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10,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2-1 coupl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urface of the 1-1 plate,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second through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2-2 engag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urface of the 1-2 plate.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외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외측기립부와, 상기 외측기립부의 상단에서 상기 외측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보강상단부와, 상기 보강상단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1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상기 보강연결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컷팅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컷팅가이더, 상기 제 1 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 2 단자연결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고, 상기 보강면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일측과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외측기립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양 측벽부 사이의 단벽부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보강상단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단벽부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양 측벽부의 양측에 각각 내장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ide portion and a second side portion on both sides, and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Each of the reinforcement surface portion is provided, the outer standing portion standing upwards of the outer end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standing portion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end por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upper portion is bent downward It includes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to be parallel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in a state, and a cutting guid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under the extension portion,
When the first reinforcing part, the second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and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cutting guider,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re cut by a cutting process,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is positioned to contac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outer standing portion is a short wall portion betwee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socket housing. The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to cover the inner side, and the reinforcing upper end portion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end wall portion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extension portion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socket housing. .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후, 상기 몰드로 공급된 수지가 경화되어 소켓하우징이 형성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 양 측벽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12,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protruding upward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ositioned to face the extension portion,
When the first reinforcing part, the second reinforcing part,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a mold, when the resin supplied to the mold is cured to form a socket housing, the contact part Is a carrier structure of a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so as to be exposed in a state facing one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보강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제 1 측부와 제 2 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양 단부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구비되는 보강면부와, 상기 내측단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는 내측기립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기립부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 개의 상기 제 1 단자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앙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중앙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with first side portions and second side portions on both sides, and an inner end portion and an outer end portion at both ends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Each of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provided, the inner standing portion standing above the inner end portion, and the state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tanding portion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central shield formed extending along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reinforcing part, the second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the central shielding part is cut by the cutting process.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캐리어에 상기 제 2-1 캐리어가 결합되고, 상기 제 1-2 캐리어에 상기 제 2-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1 캐리어는,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1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1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1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측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2 캐리어는,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와 마주보도록 복수의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제 2 단자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측방차폐부와, 상기 제 2 측방차폐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 2 내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측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강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일체로 몰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로 수지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 1 측방차폐부 및 상기 제 2 측방차폐부는 컷팅 공정에 의하여 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ate in which the 2-1 carrier is coupled to the 1-1 carrier, and the 2-2 carrier is coupled to the 1-2 carrier,
The 1-1 carrier, a first side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side Further comprising a first lateral connection for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shield and the first inner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arriers, a second side shield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the second sid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ateral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shield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reinforcing part, the second reinforcing par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moved to the mold, before the resin is supplied to the mold, the first side shielding part and the second The side shield portion is a carrier structure of th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ut by a cutting process.
KR1020180170623A 2018-12-27 2018-12-27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KR102208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23A KR102208598B1 (en) 2018-12-27 2018-12-27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23A KR102208598B1 (en) 2018-12-27 2018-12-27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793A true KR20200080793A (en) 2020-07-07
KR102208598B1 KR102208598B1 (en) 2021-01-28

Family

ID=716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623A KR102208598B1 (en) 2018-12-27 2018-12-27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59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132B2 (en) * 1995-05-25 2002-07-29 ケル株式会社 Connector with ground plate
KR20100028631A (en) * 2007-06-26 2010-03-12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Process for manufacturing connector
KR20140055991A (en) * 2012-10-31 2014-05-0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KR101520976B1 (en) 2008-06-30 2015-05-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contact carrier
KR101656514B1 (en) * 2015-04-13 2016-09-2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Apparatus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KR20180112359A (en) * 2017-04-03 2018-10-1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Socke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132B2 (en) * 1995-05-25 2002-07-29 ケル株式会社 Connector with ground plate
KR20100028631A (en) * 2007-06-26 2010-03-12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Process for manufacturing connector
KR101520976B1 (en) 2008-06-30 2015-05-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contact carrier
KR20140055991A (en) * 2012-10-31 2014-05-0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KR101656514B1 (en) * 2015-04-13 2016-09-2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Apparatus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KR20180112359A (en) * 2017-04-03 2018-10-1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Socke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598B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756466B2 (en) Connector
KR102226482B1 (en) Connector with shield plate for shielding
EP2876737B1 (en) Connector
CN2383224Y (en) Dense connector
US9648405B2 (en) Speak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ing same
US9263836B2 (en) Electrical connector reducing antenna interference
US2012011536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s
KR102208671B1 (en) Socket Connector with Shielding Function
US1002062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75198A (en) Waterproof type micro usb connector
CN201041907Y (en) Electric connector
CN102157816B (en) Socket, camera module and terminal equipment
KR20200080793A (en) Carrier Structure of Connector Apparatus
US20110159735A1 (en) eSATA CONNECTOR STRUCTURE
CN203071290U (en) Electric connector
CN203644998U (en) Card connector
CN216214210U (en) Electronic device
KR20000062859A (en) Transceiver unit
KR100350089B1 (en) Transceiver unit for a cellular phone
CN2770152Y (en) Electric connector
CN203326164U (en) Internet port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N200941521Y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02134714U (en) Audio frequency socket connector
CN103187654A (en) Rj45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