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765A -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765A
KR20200080765A KR1020180170559A KR20180170559A KR20200080765A KR 20200080765 A KR20200080765 A KR 20200080765A KR 1020180170559 A KR1020180170559 A KR 1020180170559A KR 20180170559 A KR20180170559 A KR 20180170559A KR 20200080765 A KR20200080765 A KR 2020008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station
unit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4465B1 (en
Inventor
황명환
박증후
한인식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65B1/en
Publication of KR2020008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based unboarding not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he device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bus fare payment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of a bus in the event of tagging with an in-vehicle terminal of the bus; and a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transmitting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rive unit provided with a user recognition module such that a preset process is processed; a communication unit interworking in real time with the in-vehic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 output unit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an input unit receiving unboarding st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 notification unit causing the user to prepare to unboard when the bus passes the station ahead of the unboarding statio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each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agging with the in-vehicle terminal of the bus is performed, bus fare payment is performed and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t the same time. After the unboarding station is set,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near the unboarding station. Accordingly, unboarding at an accurate station is possible even in the event of sleeping or distraction during movement.

Description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How to operate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informs you of getting off and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informs you of getting off{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카드의 기능을 하되, 사용자가 하차역을 설정하여 하차역이 다가오면 진동 알림을 받을 수 있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a drop-off and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a drop-off, and more specifically, functions as a traffic card, but when a user sets a drop-off station and approaches the drop-off station, the vibration notification is issu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and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일반적으로,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은 탑승자에게 하차역에 대한 정보를, '이번 정류장은 ㅇㅇㅇ입니다. 다음 정류장은 ㅁㅁㅁ입니다.'라고 음성으로 방송해주거나 알림판에 글자를 띄워 알려준다.In general,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informs passengers about the drop-off station, and this stop is ㅇㅇㅇ. The next stop is ㅁㅁㅁ.'

특히, 기술의 발달로 버스정보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이나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 Bus Management System)에 의해 더 정교화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ore sophistica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a bus information system (BIS) or a bus management system (BMS).

버스정보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버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승객에게 노선 버스의 도착 예정시간, 배차정보를 안내하며 인터넷으로도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주된 목적은 승객에게 버스의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bus inform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uses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bus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transceiver, guides passengers on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route bus, and dispatch information, and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Howeve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passeng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bus.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은, 버스정보시스템의 하위 개념으로, 버스의 위치나 사고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승객, 운수회사, 버스기사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운수회사에서 각종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정부나 지자체에서 버스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가 되기도 한다.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s a sub-concept of the bus information system, and is a system that manages the operation of a vehicle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a bus or an accident. It provides information to passengers, transport companies, and bus drivers, helps transport companies to understand various situations, and can also be the basis for establishing bus policies by governments or local governments.

이러한 정보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하차 지점을 설정하면 하차 지점 인근에서 알람을 주는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이 어렵거나 외국인 또는 단기 관광객이 이용하기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Using thi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f you install an application on a smartphone and set a drop-off point, a service that provides an alarm near the drop-off point is being used, which is difficult for smartphone applications to access or difficult for foreigners or short-term tourists to use. There was a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36166호 (공개일: 2018.12.2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8-0136166 (Publication date: 2018.12.24)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카드의 기능을 하되, 사용자가 하차역을 설정하여 하차역이 다가오면 진동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스마트폰의 어플 접근이 어렵거나 외국인 또는 관광객이 보다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ction as a transportation card, but the user can set a drop-off station and receive a vibration notification when the drop-off station approaches, making it difficult to access apps on the smartphone or more convenient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foreigners or tourists. It is to provide an operation method of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available drop-off and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drop-off.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to.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과 태그하면, 버스요금이 결제되고 동시에 상기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차내단말에 상기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버스정보시스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사용자인식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차내단말과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동시켜주는 통신부; 수신받은 상기 노선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하차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하차역 전역을 통과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하차를 준비하라고 알려주는 알림부; 및 상기 휴대단말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ag with an in-vehicle terminal provided on a bus, a bus fare is paid, and at the same time, a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And a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that transmits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to the in-vehicle terminal,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river identification module (USIM) to process a predetermined process. ; A communication unit that interlocks with the in-vehicle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the received rout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f alighting station from a user;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user to prepare for getting off when passing through the entire getting off 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알림부는, 소리, 빛, 진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y one or more of sound, light, and vibration.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시간/태그한 시간 정보 및 총액/차감되는 요금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및 유선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current time/tagged time information, and total/subtracted fare information are automatically stored;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wired cable or wireless.

상기 휴대단말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원통형, 카드형, 또는 팔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ard shape, or a bracelet shape to facilitate portability.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으로, 휴대단말에 사용자인식모듈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을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에 태그하는 단계; 요금 결제와 함께 노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하차역의 전역을 통과하면 알림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하차 태그를 하면 알림이 멈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A method of operating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a drop-off, mounting a user recognition module on a mobile terminal; Tagging the mobile terminal on the in-vehicle terminal provided on the bus; Acquiring route information along with fare payment; A user inputting disembarkation st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n alert when passing through the entire inputting station; And stopping the notific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or tags the drop-off, and is achieved b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drop-off.

상기 사용자가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전에, 출력 언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lecting an output language before the step of inputting the drop-off station information.

상기 요금 결제와 함께 노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는, 하차역에 도착할 때까지 출력부를 통해 매 정거장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fter the step of obtaining rout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ayment of the fare,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guiding each stop through the output unit until it arrives at the disembarkation st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과 태그하면, 버스요금이 결제되고 동시에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받고, 하차역을 설정하면 하차역 인근에 도달했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이동 중 잠이 들거나 다른 곳에 집중해도 내리고자 했던 하차역에서 정확하게 내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gging the in-vehicle terminal provided on the bus, the bus fare is paid, and at the same time,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is received, and when the stop station is set, a notification can be received when the vicinity of the stop station is reached. Even if you fall asleep or concentrate elsewhere, you can get off exactly at the station where you wanted to get off.

또한, 버스에 사람이 많을 경우, 키가 큰 사람의 머리 등에 의해 현재 정거장과 다음 정거장을 알리는 알림판이나 노선표를 보기 어렵고, 소음에 의해 안내방송을 들을 수 없을 때, 휴대단말의 출력부에 매 정거장과 다음 정거장이 디스플레이돼 쉽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many people on the bus, it is difficult to see the information board or route table indicating the current stop and the next stop by the head of a tall person, etc.,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e announcement due to noise. And the next stop are displayed, making it easy to know the user's current location.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단순하게 작동되는 휴대단말로 인해 교통카드 기능을 가진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informs the getting off with a traffic card function can be provided due to a mobile terminal that is simply operated.

또한, 출력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어 외국인도 용이한 승하차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nguage to be output can be selected so that foreigners can get on and off easily.

또한, 사용자인식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충전된 요금, 사용된 요금, 남은 요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user recogni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on charged charges, used charges, and remaining charges.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휴대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다양한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도,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terminal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FIG. 1;
3 is a view showing various external forms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FIG. 1, and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은, 교통카드의 기능을 하되, 사용자가 하차역을 설정하여 하차역이 다가오면 진동 알림을 받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and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traffic card, but the user sets the getting off station to receive a vibration notification when the getting off station approaches It is an invented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휴대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다양한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informing aligh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terminal of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informing alighting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vibration for informing alighting according to FIG. 1 It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xternal forms of the notification device. In addition,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FIG. 1.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us, it is stated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1)는, 사용자가 하차역을 입력하여 하차역이 다가오면 알림을 받기 위한 것으로, 버스에 기 설치된 차내단말(300),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100), 및 차내단말(300)에 태그하면 휴대단말(100)로 각종 정보를 송신하는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1 for notifying a drop-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ceiving a notification when a user enters the drop-off station and approaches the drop-off station,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bus , When the user tag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that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여기서 버스정보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 서버(2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각 노선 버스에 탑재된 차내단말(300)과 연동하여 통신망을 통해 각 노선 버스의 현재위치와 각 정류장별 도착 예정시간 및 배차 정보 등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bus information system (BIS,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bus terminal 300 mounted on each route bus through a wireless transceiver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each route bu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calculates the current locati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each stop, and dispatch information, etc. Since it is a known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내단말(300)은, 버스에 기 설치된 것으로, 이 차내단말(300)을 통해 약 30초마다 각각의 버스 GPS 위치정보를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로 무선 송신하여 버스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in-vehicle terminal 300 is pre-installed on the bus. Through this in-vehicle terminal 300, each bus GPS location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every 30 seconds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location of the bus. It becomes possible.

또한, 차내단말(300)은, 후술할 휴대단말(100)을 인식하고, 승하차처리 및 휴대단말(100)과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이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in-vehicle terminal 300 recognizes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nects the getting on and off processing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which is also a well-known func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와 차내단말(300)이 서로 연동된 상태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휴대단말(100)을 차내단말(300)에 태그함으로써 휴대단말(100)이 차내단말(300)과 통신하여 버스 요금을 결제하고,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에서 차내단말(300)로, 차내단말(300)에서 휴대단말(100)로 받는다. That is, when exchanging information while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mobile terminal 100 tags the in-vehicle terminal () by tagging the in-vehicle terminal 300 with the in-vehicle terminal 300. 300) to communicate with and pay the bus fare, and receives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to the in-vehicle terminal 300 and from the in-vehicle terminal 3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휴대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사용자인식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유심'이라 지칭하기로 한다.)을 구비하는 구동부(120), 차내단말(300)과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동시켜주는 통신부(130), 수신받은 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출력부(150), 사용자로부터 하차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40), 하차역 전(前)역을 통과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하차를 준비하라고 알려주는 알림부(160), 및 전술한 휴대단말(1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2, includes a user recognition module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Ussim') to process a predetermined process. , In-vehicle terminal 300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that interlocks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 output unit 150 that displays the received bus information, an input unit 140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getting off the station from the user, before getting off the sta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previous) st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otification unit 160 informing the user to prepare for alighting, and a control unit 110 controlling each unit of the aforementioned portable terminal 100.

구동부(120)는, 유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core.

이 유심은 시중에 유통되는 것으로,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프로세스'란, 휴대단말(100)에 형성된 슬롯에 유심을 삽입하면 구동부(120)가 활성화되고, 승차 태그를 하여 버스 요금을 결제하고 하차역에 대해 알림을 받고 하차 태그까지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1)의 작동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일컫는다.This SIM is distributed on the market, and can handle a predetermined process. Here, the'pre-set process' means that, when a SIM is inserted into a slot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riving unit 120 is activated, and a bus tag is paid by using a ride tag, a notification is given to a drop-off station, and a drop-out tag is also provided.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1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130)는, 차내단말(300)과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동시켜주는 것으로, 차내단말(300)이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받고, 차내단말(300)이 수신한 정보를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to interwork with the in-vehicle terminal 300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is received. On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여기서 무선인터페이스는, WiFi(Wireless Fidelity), 3G(3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interface is among WiFi (Wireless Fidelity), 3G (3 Generation),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Zigbee, Radio Frequency (RF), and Beacon. It can be made by any one communication method.

이렇게 이루어짐으로써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와 휴대단말(100) 사이에 불필요한 통신망이 필요 없게 된다. As such, unnecessary communication networks are unnecessary between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하차역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의 일측에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40 receives input information of alighting station from a user. As shown in FIG. 3, the input unit 140 may be provided as a button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출력부(150)는, 송수신된 정보를 가시화하는 것으로, 흑백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컬러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output unit 150 visualizes the transmitted/received information, and may be a black and white screen or a color screen.

또한, 출력부(150)에서는, 사용자가 탑승한 버스의 노선, 현재 위치, 다음 정차할 정류장, 현재 시간, 환승 가능한 시간, 현재 잔액 표시, 현재 배터리 잔량 등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a route of the bus on which the user boarded, a current location, a stop to stop next, a current time, a transferable time, a current balance display, and a current battery level.

알림부(160)는, 사용자가 설정한 하차역의 전역을 통과하면,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와 차내단말(300)의 상호 연동에 의해 휴대단말(100)에도 전역을 통과하고 있다고 신호가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하차를 준비하라고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소리, 빛, 진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notification unit 160 passes through the entire set-off station set by the user, a signal is transmitted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also passes through the entire area by interworking with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and the in-board terminal 300. It is transmitted and sends a signal to the user to prepare for alighting, and may be formed to generate any one or more of sound, light, and vibration.

외부 요인에 의해 소리나 빛의 경우는 상쇄될 염려가 있으므로. 진동을 기본 알림 수단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소리나 빛을 이용한 알림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sound or light may be canceled due to external factors. It is preferable to use vibration as a basic notification means and additionally generate a notification using sound or light.

한편, 휴대단말(100)은,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시간/태그한 시간 정보 및 총액/차감되는 요금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저장부(170), 및 유선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bus rout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time / tag time information and the total / subtracted charg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tored storage unit 170, and power through a wired cable or wireless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80 for receiving.

저장부(170)는, 운용 기록(log)이 저장되는 것으로, 구동부(120), 입력부(140), 통신부(130), 및 알림부(160)에 관한 변경 정보가 자동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In the storage unit 170, the operation log is stored, and change information regarding the driver 120, the input unit 140,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notification unit 160 may be automatically recorded.

전원부(180)는, 제어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

전원부(180)와 일체로 마련된 유선케이블에 의해 스마트폰 등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선케이블은 휴대단말(100)의 외부 형태에 벗어나지 않도록 수납되었다가 사용 시에만 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power supply 180 may be connected to a smartphone or the like by a wired cabl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180 to receive power.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wired cable is stor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external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s formed to function only when used.

제어부(110)는, 휴대단말(100)의 각 부, 즉, 구동부(120), 통신부(130), 입력부(140), 출력부(150), 알림부(160), 저장부(170), 및 전원부(18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일련의 연산 및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each par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driving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input unit 140, the output unit 150, the notification unit 160, the storage unit 170, And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80, a series of calculation and data processing algorithms, can be easily made in a variety of ways and forms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휴대단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가 용이하도록 원통형, 카드형, 또는 팔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ard shape, or a bracelet shape to facilitate portability.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익숙한 기존 교통카드의 형태나 진동벨의 형태를 유지하고자 함이다.As shown in (a) of Figure 3, it may be formed in a credit card-sized card form. This is to keep the shape of the existing transportation card or the vibration bell.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파지의 용이함을 위해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b), it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This is for ease of gripping.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파지하고 있지 않아도 돼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c),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racelet.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gripping and prevents loss.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고를 위한 캐릭터 형태로 성형될 수 있고, 광고를 위한 문자 및/또는 그림이 휴대단말(100)의 표면에 인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molded into a character form for advertisement, and a text and/or picture for advertisement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1)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1 informing the getting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휴대단말(100)에 사용자인식모듈을 장착하는 단계(S10)는, 시중에 유통되고 금액이 정해진 유심을 구입하여 휴대단말(100)에 삽입한다. 이때, 출력부(150)에는 현재 버스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금과 현재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In the step S10 of mounting the user recognition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100, a commercially distributed and fixed-value SIM is purchased and inserted into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50 may display the fare and the current time that can be used as the current bus fare.

휴대단말(100)을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300)에 태그하는 단계(S20)는,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와 차내단말(300)이 서로 연동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정보를 휴대단말(100)로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승차 태그를 함으로써 휴대단말(100)의 각 부가 활성화된다. In the step (S20) of tagg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in-vehicle terminal 300 provided on the bus,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each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ctivated by using the riding tag.

요금 결제와 함께 노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는, 유심으로 구현되는 구동부(120)에서 버스 요금이 결제되고, 차내단말(300)이 버스정보시스템 서버(200)에서 받은 버스의 노선 정보와 현재 위치를 휴대단말(100)로 송신한다. 다시 말하면, 운행하는 버스의 전체 노선도와 버스 내에 기 설치된 알림판에 나타나는 '이번 정거장' 및 '다음 정거장'에 대한 정보를 휴대단말(100)에서도 볼 수 있게 서로 연동되는 것이다. In the step S30 of acquiring rout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ayment of the fare, the bus fare is paid by the driving unit 120 implemented with simplicity,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receives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received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200. The current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other words, the entire route map of the bus in oper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this stop' and'the next stop' appearing on the information board installed in the bu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can also view the information.

사용자가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40)는,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하차역을 입력, 즉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entering a user's disembarkation station information (S40 ), the user may enter the disembarkation st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40, that is, set it.

입력된 하차역의 전역을 통과하면 알림을 발생하는 단계(S50, S60)는, GPS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버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버스시스템정보 서버(200)와 차내단말(300)이 서로 연동하여 생성된 정보(현재 위치 등)는 휴대단말(100)에도 연동된다. 이에 따라, 버스가 하차역의 전역을 통과하면, 제어부(110)는 알림부(160)가 활성화되도록 명령하게 된다. 이때, 진동을 포함하여 소리나 빛을 더 추가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Steps (S50, S60)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embarkation station, the bus system information server 200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that grasp the location of the bus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transceiver using GPS The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etc.) generated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s also interlock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ly, when the bus passe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embarkation station, the control unit 110 commands the notification unit 160 to be activated. At this time, sound or light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including vibration.

소리는 소음에 의해 안 들릴 수 있으며, 빛은 휴대단말(100)을 주머니에 넣으면(빛을 차단하면) 볼 수 없으므로 알림 수단으로 진동은 꼭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nd may not be heard due to noise, and the light cannot be see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put in the pocket (blocking the light), so vibration is preferably included as a notification means.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하차 태그를 하면 알림이 멈추는 단계(S70, S80)는, 사용자가 알림을 인지하면 입력부(140)를 통해 알림을 멈출 수 있으나, 사용자가 알림을 인지하지 못하면 하차 태그를 할 때까지 진동 및 알림은 계속 발생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잠에 들거나 다른 곳에 집중하고 있어도 하차역을 잘 인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step (S70, S80),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or tags the drop-off, the notification stops through the input unit 140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notification, but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notification, the drop-off tag It is a component that keeps vibrating and alerting until it is don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getting off station well even when the user falls asleep or concentrates elsewhere.

한편, 상기 사용자가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전에, 출력 언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before the user inputs the disembarkation stat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n output language.

이런 단계를 거침으로써, 외국에서 온 관광객들도 용이하게 하차역에서 하차할 수 있게 된다. By going through these steps, tourists from abroad can easily get off at the station.

또한, 요금 결제와 함께 노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 이후에는, 하차역에 도착할 때까지 출력부(150)를 통해 매 정거장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S30 of acquiring rout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ayment of the far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ep of guiding each stop through the output unit 150 until it arrives at the getting-off station.

이런 단계를 거침으로써, 버스에 사람이 많을 경우, 키가 큰 사람의 머리 등에 의해 현재 정거장과 다음 정거장을 알리는 알림판이나 노선표를 보기 어렵고, 소음에 의해 안내방송을 들을 수 없을 때, 휴대단말(100)의 출력부(150)에 매 정거장과 다음 정거장이 디스플레이돼 쉽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By going through these steps, when there are many people on the bus, it is difficult to see the bulletin board or route table indicating the current stop and the next stop by the head of a tall person, etc. ), each stop and the next stop ar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50 so that the user's current location can be easily know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1)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1)의 작동방법은,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300)과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100)을 태그하면, 버스요금이 결제되고 동시에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받고, 하차역을 설정하면 하차역 인근에 도착했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이동 중 잠이 들거나 다른 곳에 집중해도 내리고자 했던 하차역에서 정확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1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and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1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the in-vehicle terminal 300 provided on the bus and the mobile terminal 100 carried by the user If you tag ), the bus fare is paid, and at the same time,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is received, and when you set off the stop, you can receive a notification when you arrive near the drop off station, so you can fall asleep on the move or concentrate on other places You will be able to get off at the disembarkation station.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단순하게 작동되는 휴대단말(100)로 인해 교통카드 기능을 가진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1)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1 informing the getting off with a traffic card function du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simply operated without knowledge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또한, 출력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어 외국인도 용이한 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language to be output, so that even foreigners can get on and off easily.

또한, 사용자인식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충전된 요금, 사용된 요금, 남은 요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using the user recogni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on charged charges, used charges, and remaining charges.

또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기반으로 지하철, 기차 등의 대중교통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of course also applicable to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and trains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LBS).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100 : 휴대단말
110 : 제어부
120 : 구동부
130 : 통신부
140 : 입력부
150 : 출력부
160 : 알림부
170 : 저장부
180 : 전원부
200 : 버스정보시스템 서버
300 : 차내단말
1: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to inform you of getting off
100: mobile terminal
110: control unit
120: driving unit
130: communication unit
140: input unit
150: output unit
160: notification unit
170: storage unit
180: power supply
200: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300: in-car terminal

Claims (7)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과 태그하면, 버스요금이 결제되고 동시에 상기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차내단말에 상기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버스정보시스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사용자인식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차내단말과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동시켜주는 통신부;
수신받은 상기 노선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하차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하차역 전역을 통과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하차를 준비하라고 알려주는 알림부; 및
상기 휴대단말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When tagging the in-vehicle terminal provided on the bus, a bus fee is paid, and at the same time, a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And
And a bus information system server that transmits the rout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to the in-vehic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A driving unit having a user recognition module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to process the predetermined process;
A communication unit that interlocks with the in-vehicle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the received rout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f alighting station from a user;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user to prepare for getting off when passing through the entire getting off st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소리, 빛, 진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otification unit,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a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generate any one or more of sound, light, vib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버스의 노선과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시간/태그한 시간 정보 및 총액/차감되는 요금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및
유선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 storage unit for automatically storing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time/tagged time information, and total/subtracted fare information; And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receiving power through a wired cable or wire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원통형, 카드형, 또는 팔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a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card-shaped, or bracelet form for easy portabilit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으로,
휴대단말에 사용자인식모듈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을 버스에 마련된 차내단말에 태그하는 단계;
요금 결제와 함께 노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하차역의 전역을 통과하면 알림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하차 태그를 하면 알림이 멈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drop-off,
Mounting a user recognition module on the mobile terminal;
Tagging the mobile terminal on the in-vehicle terminal provided on the bus;
Acquiring route information along with fare payment;
A user inputting disembarkation st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n alert when passing through the entire inputting station;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or when the drop off tag,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drop off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notif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하차역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전에, 출력 언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the output language before the step of the user inputting the getting-off sta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결제와 함께 노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는, 하차역에 도착할 때까지 출력부를 통해 매 정거장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tep of acquiring the rout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ayment of the far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e getting off,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uiding every stop through the output unit until it arrives at the getting off station.
KR1020180170559A 2018-12-27 2018-12-27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144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59A KR102144465B1 (en) 2018-12-27 2018-12-27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59A KR102144465B1 (en) 2018-12-27 2018-12-27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765A true KR20200080765A (en) 2020-07-07
KR102144465B1 KR102144465B1 (en) 2020-08-13

Family

ID=7160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559A KR102144465B1 (en) 2018-12-27 2018-12-27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574A (en) * 2014-02-06 2015-08-18 김현민 Customized service method for guiding traffic information
KR20180064699A (en) * 2016-12-06 2018-06-15 김응석 Advanced Traffic Card System, Get off Terminal and the Method f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KR20180076485A (en) * 2016-12-28 2018-07-06 (주)티에이치엔 Bus get off assisting method
KR20180136166A (en) 2017-06-14 2018-12-24 장민규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using mobile phone get of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574A (en) * 2014-02-06 2015-08-18 김현민 Customized service method for guiding traffic information
KR20180064699A (en) * 2016-12-06 2018-06-15 김응석 Advanced Traffic Card System, Get off Terminal and the Method f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KR20180076485A (en) * 2016-12-28 2018-07-06 (주)티에이치엔 Bus get off assisting method
KR20180136166A (en) 2017-06-14 2018-12-24 장민규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using mobile phone get 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65B1 (en)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6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getting-off to passengers using the real time bus information
KR201200904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afety taxi service
KR20130082834A (en) Call taxi service system
CN107967793A (en) arrival reminding method, system and device
KR102238580B1 (en) Bus route information guiding system
CN103489127A (en) Route station statistical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995480B1 (en) Vehicle running reservation trad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157162A (en) Voice bus guiding system for blindmen
KR101427717B1 (en) Taxi call service system using display communicating with smart mobile device and method using these
KR2013008279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home-coming service
JP2019003273A (en) Taxi meter system, taxi meter, and portable radio terminal
KR20190018091A (en) Bus getting off informing system and method
KR101936076B1 (en) Getting off processing system of bus driver terminal
JP2020161137A (e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KR102282909B1 (en) Bus buzzer remote system
KR20140085617A (en) Apparatus for managing to ride and to get off shuttle-bus
KR20180091429A (en)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KR101834826B1 (en) School bus notification using beacon signal
JP2021144320A (en) Fare collection system and program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2144465B1 (en) Vibr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TWI628632B (en) Station prompting method, system, and device
KR101423504B1 (en) Safety services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phone
JP2012142776A (en) Portable terminal and erroneous boarding determination system
KR20150093574A (en) Customized service method for guiding traffic information
KR20090055541A (en) Intelligent taxi platfo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