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633A - Fine dust measuring device - Google Patents
Fine dust meas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0633A KR20200080633A KR1020180170280A KR20180170280A KR20200080633A KR 20200080633 A KR20200080633 A KR 20200080633A KR 1020180170280 A KR1020180170280 A KR 1020180170280A KR 20180170280 A KR20180170280 A KR 20180170280A KR 20200080633 A KR20200080633 A KR 202000806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dust
- air
- particulate matter
- unit
- classif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66—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electrical classif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2015/0288—Sorting th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의 광학식 미세먼지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측정값을 담보하면서도 낮은 수준의 제조원가를 달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를 다단으로 분류함으로써 PM10 및 PM2.5를 동시측정이 가능한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and more specifically, it classifies the fine dust into multiple stages while achieving a low level of manufacturing cost while guaranteeing substantially the same level of measurement value as an expensive optical fine dus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PM10 and PM2.5.
최근 지속적인 산업개발과 중국발 스모그 유입 등의 이유로 공기 중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인체로 흡입될 경우에 호흡 및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악화시킨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Recent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suspended in the air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continuous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introduction of smog from China. When the fine dust is inhaled into the human body, it not only causes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but also exacerbates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s been spread.
한편,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측정장비를 구비한 대기오염 측정소가 시 또는 구 단위로 설치되어, 미세먼지의 특정 시간당 평균 농도를 알려주는 광역 예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런데 최근 도시에서는 고층 건물이 밀집되고 유동 인구 및 교통량의 변화가 많아 공기 흐름 및 미세먼지의 확산 양상이 매우 복잡함에 따라 서로 인접한 지역 간에도 미세먼지의 농도 편차가 크다. 그로 인해, 일반적인 광역 예보 시스템을 통한 미세먼지의 정확한 농도 분포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n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 equipped with fine dust measurement equipment is installed in units of hours or hours to provide a wide area forecast system that provides an average concentration per hour of fine dust. However, in recent years, as high-rise buildings are dense and there are many changes in the flow population and traffic volume, the diffusion patterns of air flow and fine dust are very complicated, s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also large between adjacent area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recis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fine dust through a general wide area forecast system.
이에 따라, 근래에는 실시간으로 좁은 지역의 미세먼지를 파악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을 요구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t is required to measure fine dust that can grasp fine dust in a small area in real time.
그러나 종래 미세먼지 측정장비를 구비한 대기오염 측정소가 좁은 지역 단위로 설치되지 않고 주로 시 또는 구 단위의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가장 주된 이유는 미세먼지 측정장비들이 매우 높은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However, it is known that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equipped with conventional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 are not installed in a narrow area, but are mainly installed in a wide area of a city or district, becaus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s are formed at very high prices. have.
또한, 고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저가의 미세먼지 측정장비들은 측정값의 정확도가 고가의 장비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 측정값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ow-priced fine dust measuring equipments, which are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the expensive on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xpensive equipments,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s is low.
아울러, 종래 미세먼지 측정장비들은 PM10을 위한 측정장비와 PM2.5를 위한 측정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ine dust measuring devices had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providing a measuring device for PM10 and a measuring device for PM2.5.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낮은 제조원가를 구현하면서도 미세먼지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fine dust measurement value while realizing a low manufacturing cost.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를 다단으로 분류하여 PM10과 PM2.5를 동시에 분류 및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and measuring PM10 and PM2.5 simultaneously by classifying fine dust into multiple stages.
또한,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하전부에서 입자 하전율을 향상시켜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 by improving the particle charge rate in the charged part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또한, 하전부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irtightness in the charged part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
또한,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컴팩트한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fine dust measuring device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또한, 포집부의 부분 구성을 낮은 가격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은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by construc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ng portion with a low-cost material.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세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채널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자를 전기적으로 하전시키는 하전부; 상기 하전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대적으로 큰 제1미세먼지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미세먼지로 공기 역학적으로 분류시키는 제1분류부; 상기 제1분류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제2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를 상대적으로 큰 제3미세먼지와 상대적으로 작은 제4미세먼지로 공기 역학적으로 분류시키는 제2분류부; 상기 제2분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3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포집되는 제1포집부; 상기 제2분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4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포집되는 제2포집부; 및, 상기 제1포집부 및 상기 제2포집부에서 포집된 미세먼지의 농도에 비례하는 유도전류 값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channel, a charging unit for electrically charging the particles of air flowing into the microchannel; A first classification unit locat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charged part and aerodynamically classify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flowing air into relatively large first fine dust and relatively small second fine dus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air including the relatively small second fine dust flows in, and aerodynamically classifies the introduced air into a relatively large third fine dust and a relatively small fourth fine dust.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A first collecting part in which air including the third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assification part is collected; A second collecting part in which air including the fourth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assification part is collected; And a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ith an induction current valu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llection parts. .
여기서, 상기 하전부의 미세채널은 공기의 유동방향의 좌우 측벽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microchannels of the charged portion may b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또한, 상기 하전부의 미세채널의 바닥면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channel of the charged portion may be formed to gradually ris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또한, 상기 포집부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포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n air inlet and a housing having an air outlet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and a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charged microparticles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have.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포집수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원통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filter made of a metal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llecting means.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수단의 권취된 형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포집수단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means 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means to support the wound form of the collecting means.
또한, 상기 포집수단은 금속메쉬 또는 금속천일 수 있다.Further, the collecting means may be a metal mesh or a metal cloth.
또한, 상기 제1분류부와 상기 제2분류부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분사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로부터 분기되어 어느 하나의 미세먼지와 다른 하나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저속유로와 고속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a nozzl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and injected; And a low-speed flow path and a high-speed flow path in which one fine dust and the other fine dust flow in from the nozzle.
또한, 상기 저속유로는 상기 노즐과 직선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속유로는 상기 노즐 및 상기 저속유로와 수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speed flow path may be formed to be located in a linear direction with the nozzle, and the high-speed flow path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nozzle and the low-speed flow path.
또한, 상기 하전부, 상기 제1분류부 및 상기 제2분류부는 멤스공정에 의해 일괄제조되는 분석 칩 형태로 기판 상에 결합되는 단일의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기판 사이에는 실링부가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ed por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portion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portion are formed on a single body coupled on a substrate in the form of an analysis chip that is collectively manufactured by a MEMS process, and a sealing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substrate. Can.
한편,상기 제1미세먼지는 입경 10.0㎛ 이상이고, 상기 제2미세먼지는 입경 10.0㎛ 미만이며, 상기 제3미세먼지는 입경 2.5㎛ 초과이고, 상기 제4미세먼지는 입경 2.5㎛ 이하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fine dust may have a particle size of 10.0 μm or more, the second fine dust may have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10.0 μm, the third fine dust may have a particle size of more than 2.5 μm, and the fourth fine dust may have a particle size of 2.5 μm or less. .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제조원가를 구현하면서도 미세먼지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fine dust measurement values while realizing a low manufacturing cost is provided.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를 다단으로 분류하여 PM10과 PM2.5를 동시에 분류 및 측정이 가능한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Specifically,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and measuring PM10 and PM2.5 simultaneously by classifying fine dust in multiple stages is provided.
또한, 하전부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측정값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 by improving the airtightness in the charged portion.
또한,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컴팩트한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compact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또한, 포집부의 부분 구성을 낮은 가격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은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is provided by construc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ng part with a low-cost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제1분류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1의 제1포집부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포집부의 제2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포집부의 제3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포집부의 제4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of FIG. 3,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classification of Figure 3,
7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of FIG. 1,
8 is a detail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second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typ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하전부(10), 분류부(20), 포집부(30) 및 측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이하의 미세먼지와 2.5㎛ 이하의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인 2가지 종류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more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10 μm or less and ultrafine dust of 2.5 μm or l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measuring concentrations of two types of fine dust having different sizes.
도 2는 도 1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는 멤스(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공정에 의해 일괄 제조되는 미세먼지 분석 칩(chip) 형태로 마련된다. 즉, 후술하는 하전부(10)와 제1분류부(20) 및 제2분류부(30)는 기판(2) 상에 결합되는 본체(1)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1)와 기판(2) 사이에는 실링부(3)가 개재된다. 본체(1), 기판(2) 및 실링부(3)는 볼트 등의 소정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chip for analyzing fine dust that is collectively manufactured by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process. Is prepared. That is, the
상기 하전부(10)는 고전압 변환회로가 형성된 기판(2), 미세채널(14)이 형성된 채널본체(10a), 고전압 인가부(11), 제1전극(15) 및 제2전극(16) 및 실링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기판(2)은 고전압 변환회로가 내장되며, 상기 채널본체(10a)의 일 측면과 맞닿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채널본체(10a)는 상기 본체(1)의 공기 유동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와 미세채널(14) 및 하전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hannel body (10a) is a portion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the inlet (12) and the fine channel (14) and charged air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fine dust flows is discharg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port (13).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세채널(14)의 적어도 일 측벽, 바람직하게는 좌우 측벽은 상향으로 갈수록 채널 폭이 좁아지도록(하향으로 갈수록 채널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3, 4 and 5,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이를 통해 제1전극(15)과 제2전극(16)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이 형성하는 영역과 채널 내부영역이 실질적으로 일치하여, 코로나 방전에 의한 미세먼지 등의 입자들의 하전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region formed by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아울러, 미세채널(14)의 바닥면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제1분류부(20)의 노즐(21)로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고전압 인가부(11)는 상기 고전압 변환회로로부터 인가된 일정한 고전압을 통해 제1전극(15)과 제2전극(16)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설치된다.The high
여기서, 제1전극(15)은 뾰족한 팁 형상으로 마련되며, 단부는 전도성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방전 전극으로서, 미세채널(14) 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또한, 제2전극(16)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전극으로서 제1전극(15)과 마주보는 기판면에 설치되어 접지전극(ground electorde)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실링부( 3)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마련되어 기판(2)과 채널본체(10a)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미세채널(14) 등 채널본체(10a)에 형성된 공간의 기밀성을 담보하며, 제2전극(16)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도 2 참조).The sealing
이러한 하전부(10)는 제1전극(15)과 제2전극(16) 사이에 직류 고전압(DC High Voltage)이 고전압 변환회로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면, 제1전극(15)에 형성된 말단 팁 근처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전자가 가속되어 공기의 분자와 충돌한다.When the DC high voltage is applied from the substrate through the high voltage conversion circuit between the
그로 인해, 공기 분자가 이온과 전자로 분리됨으로써 생성된 이온이 제1전극(15) 및 제2전극(16)의 사이를 통과하는 미세먼지의 입자에 부착되어 하전 입자를 형성한다.Therefore, the ions generated by the separation of air molecules into ions and electrons are attached to particles of fine dust passing between the
상기 제1전극(15)에서 생성된 양이온은 뾰족한 팁 형상의 제1전극(15)을 중심으로 제2전극(16)의 표면을 향해 반구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형성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형성시킨다. 이때, 미세채널(14)의 양 측벽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모든 내부 공간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함에 따라 하전율이 현저하게 상승하게 된다.The cations generated in the
다음으로, 제1분류부와 제2분류부는 형태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대표적으로 제1분류부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분류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since the first classification part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par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the first classification part is typically describ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classification part will be omitted.
상기 제1분류부(20)는 본체(1) 중 공기 유동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되며, 하전부(10)를 통과하여 하전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입자 크기별로 분류하도록 마련된다(도 2 및 도 3 참조).The
구체적으로, 제1분류본체(20a)는 채널본체(10a)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분류본체(20a)에는 하전부(1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어 분사되는 제1노즐(21)과, 상기 제1노즐(21)로부터 분기되는 제1저속유로(22)와 제2고속유로(23) 및 각 유로의 말단에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lassification body (20a)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hannel body (10a), the classification body (20a), the
상기 실링부(3)는 제1분류본체(20a)와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분류본체(20a)에 형성된 각 유로의 내부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담보한다.The sealing
상기 제1저속유로(22)는 상기 제1노즐(21)과 직선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고속유로(23)는 상기 제1노즐(21) 및 상기 제1저속유로(22)와 수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속유로(23)가 제1저속유로(22)의 좌우측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low-
도 6은 도 3의 제1분류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세먼지가 제1노즐(21)을 통해 분사되면, 미세먼지(F)의 관성력에 의해 제1미세먼지(F1)와 제2미세먼지(F2)로 분류된다. 즉, 직선으로 연장된 제1저속유로(22)에는 미세먼지(F) 중 크기가 큰 입자는 큰 관성으로 인해 직선운동을 유지하여 제1저속유로(22)로 이동되고, 크기가 작은 입자는 작은 관성으로 인해 미세먼지(F)의 유입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한 쌍으로 마련된 제1고속유로(23)로 이동된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of FIG. 3. Referring to FIG. 6, when fine dust is injected through the
여기서, 제1저속유로(22)로 유입되는 제1미세먼지(F1)는 10㎛ 이상인 입경을 가지며, 제1저속유로(22)와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제1고속유로(23)로 유입되는 제2미세먼지(F2)는 10㎛ 미만인 입경을 가진다.Here, the first fine dust (F1) flowing into the first low-speed flow path (22) has a particle diameter of 10㎛ or more, and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igh-speed flow path (23)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low-speed flow path (22) The second fine dust (F2) has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10㎛.
제1저속유로(22)를 통과한 제1미세먼지(F1)는 제1저속유로(22) 말단에 형성된 홀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1고속유로(23)를 통과한 제2미세먼지(F2)는 제1배출부(24)를 통해 후술하는 제2분류부(30)로 이동된다.The first fine dust (F1) passing through the first low-speed flow path (2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low-speed flow path (22), and the second fine passage through the first high-speed flow path (23) The dust F2 is moved to the
제2분류부(30)는 제1분류본체(20a)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분류본체(30a)와, 제2분류본체(30a)에 형성되는 제2노즐(31), 제2저속유로(32), 제2고속유로(33) 및 제2배출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2노즐(31)은 제1분류부(20)의 제1배출부(24)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어 분사되며, 상기 제2저속유로(32)는 제2노즐(31)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고속유로(33)는 제2저속유로(32)와 수직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2고속유로(33)가 형성된다.The
여기서, 제2저속유로(32)에는 제2미세먼지(F2)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입자가 큰 관성으로 인해 직선운동을 유지하여 이동되고, 제2고속유로(33)에는 제2미세먼지(F2)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가 이동된다. 즉, 제2저속유로(32)로 유입되는 제3미세먼지는 2.5㎛이상 ~ 10㎛미만의 입경을 가지며, 제2고속유로(23)로 유입되는 제4미세먼지는 2.5㎛ 이하의 입경을 가진다.Here, particles of relatively large size among the second fine dust (F2) are moved to maintain the linear motion due to the large inertia in the second low-speed flow path (32), and the second fine dust (33) to the second high-speed flow path (33). In F2), relatively small particles are moved. That is, the third fine dust flowing into the second low-
제2저속유로(32)를 통과한 2.5㎛이상 ~ 10㎛미만의 입경을 가지는 제3미세먼지는 후술하는 제1포집부(40)에서 포집되고, 제2고속유로(33)를 통과한 2.5㎛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제4미세먼지는 제2배출부(34)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하는 제2포집부(50)에서 포집될 수 있다.The third fine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µm or more and less than 10 µm passing through the second low-
본 실시예에서는 하전부(10)가 제1분류부(20) 및 제2분류부(30)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하전부(10)는 제1분류부(20) 및 제2분류부(30)의 후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charging
다음으로, 상기 포집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포집부와 상기 제2포집부는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제1포집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llec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lle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도 1의 제1포집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포집부(40)는 하우징(41)과 포집수단(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7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collection unit of FIG. 1.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collecting
상기 하우징(41)은 하방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소정의 기판(44) 등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분류부(20)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유입구(41a)와 공기배출구(41b)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유입구(41a)가 하우징(41)의 상단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41b)는 하우징(41)의 측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41)은 하방이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포집수단(42)은 소정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천 또는 금속메쉬로 마련되어, 하우징(41) 내부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며, 외부에서 소정의 전선 등과 같은 전류인가 수단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llecting means 42 is made of a metal cloth or a metal mesh containing a predetermined metal, is installed in a wound form inside the
즉, 하우징(41)의 공기유입구(41a)를 통해 하전된 제2미세먼지가 유입되면 포집수단(42)에서 포집되고, 공기배출구(41b)를 통해 제2미세먼지를 제외한 나머지 잔류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harged second fine dust flows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제1포집부(40)는 제2분류부(30)의 제2저속유로(32)의 말단과 연결되어 제2저속유로(32)를 통해 분류된 2.5㎛이상 ~ 10㎛미만의 입경의 제3미세먼지를 포집한다.The first collecting
또한, 제2포집부(50)는 제2분류부(30)의 제2고속유로(33)의 제2배출부(34)와 연결되어 제2고속유로(33)를 통해 분류된 2.5㎛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제4미세먼지를 포집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llecting
상기 측정부(60)는 기설치된 제어회로 등에 의해 제1포집부(40)와 제2포집부(50)에서 포집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이와 비례하는 유도전류 값을 토대로 하여 2.5㎛이상 ~ 10㎛미만 입경의 미세먼지와 2.5㎛ 이하 입경의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연속적으로 2개의 분류부를 구성하여 크기별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동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collect two fine particles and collect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for each size, thereby enabling simultaneous measurement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an.
또한, 미세먼지로부터 초미세먼지를 한번 더 분류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of the fine dust and the fine dust can be improved by classifying the fine dust from the fine dust once again.
아울러, 제1포집부(40) 및 제2포집부(50)에서는 포집수단(42)을 금속천 또는 금속메쉬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별도의 전극 등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미세먼지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포집율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llectin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포집부와 제2포집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대표적으로 제1포집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ll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representatively,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제1포집부의 제2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1포집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포집부(40)는 포집수단(42)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지지수단(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8 is a detail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llecting
상기 지지수단(45)의 일면에는 포집수단(42)의 권취되는 형태를 따라 지지홈(45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45a)에 포집수단(42)의 하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포집수단(42)은 지지될 수 있다.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45,
또한, 지지수단(45)이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수단(45)으로 전류인가수단(43)을 연결하여 포집수단(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means 4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urrent apply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1포집부의 제3실시예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포집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포집부(40)의 하우징(41)과 포집수단(42)의 사이에 금속재질의 원통필터(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9 is a detailed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ng part, a
상기 원통필터(46)는 포집수단(42)을 지지하도록 포집수단(42)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설치되며, 전류인가수단(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집수단(42)을 외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미세먼지와의 접촉면적을 더 확대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1포집부의 제4실시예에 대한 상세도로서, 제4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지지수단(45)과 제3실시예의 원통필터(46)가 모두 구성된 경우이다.FIG. 10 is a detailed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when both the supporting means 45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종래 고가의 광학식 측정장치의 측정값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substantially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substantially mak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conventional expensive optical measuring device substantially the same.
또한, 연속적으로 2개의 분류부를 구성하여 크기별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동시 측정이 가능하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개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측정값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easure both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by constructing two sorting sections to collect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by size, and by separately classifying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The reliability of the ultrafine dust measuremen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s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a wide range that can be modif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34 : 기판
3 : 실링부
10 : 하전부
10a : 채널본체
11 : 고전압 인가부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미세채널
15 : 제1전극
16 : 제2전극
20 : 제1분류부
20a : 제1분류본체
21 : 제1노즐
22 : 제1저속유로
23 : 제1고속유로
24 : 제1배출부
30 : 제2분류부
32 : 제2저속유로
33 : 제2고속유로
34 : 제2배출부
40 : 포집부
41 : 하우징
41a : 공기유입구
41b : 공기배출구
42 : 포집수단
43 : 전류인가수단
45 : 지지수단
46 : 원통필터
50 : 측정부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3: sealing part 10: charging part
10a: channel body 11: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2: inlet 13: outlet
14: fine channel 15: first electrode
16: second electrode
20: first classification
20a: first classification body 21: first nozzle
22: 1st low speed passage 23: 1st high speed passage
24: first discharge unit
30: second classification
32: second low-speed passage 33: second high-speed passage
34: second discharge unit
40: collecting part
41:
41b: air outlet 42: collecting means
43: current application means 45: support means
46: cylindrical filter 50: measuring unit
Claims (11)
상기 하전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대적으로 큰 제1미세먼지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미세먼지로 공기 역학적으로 분류시키는 제1분류부;
상기 제1분류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제2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를 상대적으로 큰 제3미세먼지와 상대적으로 작은 제4미세먼지로 공기 역학적으로 분류시키는 제2분류부;
상기 제2분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3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포집되는 제1포집부;
상기 제2분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4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포집되는 제2포집부; 및,
상기 제1포집부 및 상기 제2포집부에서 포집된 미세먼지의 농도에 비례하는 유도전류 값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A charging unit including a micro channel, and electrically charging particles of air flowing into the micro channel;
A first classification unit locat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charged part and aerodynamically classify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flowing air into relatively large first fine dust and relatively small second fine dus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air containing the relatively small second fine dust flows in, and aerodynamically classifies the introduced air into a relatively large third fine dust and a relatively small fourth fine dust.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A first collecting part in which air including the third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assification part is collected;
A second collecting part in which air including the fourth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assification part is collected; And,
And a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ith an induced current valu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on part and the second collection part.
상기 하전부의 미세채널은 공기의 유동방향의 좌우 측벽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channel of the charged portion is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side wall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r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상기 하전부의 미세채널의 바닥면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e channel of the charged portion is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formed to gradually ris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상기 포집부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ng part is a measurement of fine dust comprising an air inlet and a housing having an air outlet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and a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charged fine particles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Device.
상기 포집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포집수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원통필터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collecting unit fine dust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ylindrical filter of a metal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llecting means.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수단의 권취된 형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포집수단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ing means 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means to support the wound form of the collecting means.
상기 포집수단은 금속메쉬 또는 금속천인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collecting means is a metal mesh or metal cloth fine dust measuring device.
상기 제1분류부와 상기 제2분류부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분사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로부터 분기되어 어느 하나의 미세먼지와 다른 하나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저속유로와 고속유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A nozzl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and injected; And,
A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low-speed flow path and a high-speed flow path through which one fine dust and the other fine dust are branched from the nozzle.
상기 저속유로는 상기 노즐과 직선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속유로는 상기 노즐 및 상기 저속유로와 수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low-speed flow path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straight direction with the nozzle, and the high-speed flow path is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formed to be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nozzle and the low-speed flow path.
상기 하전부, 상기 제1분류부 및 상기 제2분류부는 멤스공정에 의해 일괄제조되는 분석 칩 형태로 기판 상에 결합되는 단일의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기판 사이에는 실링부가 개재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ed por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portion,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portion are formed on a single body coupled on a substrate in the form of an analysis chip that is collectively manufactured by a MEMS process, and fine dust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substrate. Measuring device.
상기 제1미세먼지는 입경 10.0㎛ 이상이고, 상기 제2미세먼지는 입경 10.0㎛ 미만이며, 상기 제3미세먼지는 입경 2.5㎛ 초과이고, 상기 제4미세먼지는 입경 2.5㎛ 이하인 미세먼지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ne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0.0 µm or more, the second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10.0 µm, the third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more than 2.5 µm, and the fourth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2.5 µm or less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280A KR102215223B1 (en) | 2018-12-27 | 2018-12-27 | Fine dust meas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280A KR102215223B1 (en) | 2018-12-27 | 2018-12-27 | Fine dust measur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0633A true KR20200080633A (en) | 2020-07-07 |
KR102215223B1 KR102215223B1 (en) | 2021-02-15 |
Family
ID=7160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0280A KR102215223B1 (en) | 2018-12-27 | 2018-12-27 | Fine dust measur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522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1441B1 (en) * | 2023-09-05 | 2024-11-1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Device for measuing dust concentration of wet exhaust ga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7634A (en) | 2021-08-19 | 2023-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dule for measurung fine dust and device for measurement fine dus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3637A (en) * | 2004-04-27 | 2005-11-01 | 권영현 | Electricity dust-gather way air filter of automatic clean washing |
KR20110111449A (en) * | 2008-12-31 | 2011-10-11 | 인터젠엑스 인크. | Mechanisms with Microfluidic Chips |
KR101490324B1 (en) * | 2014-09-16 | 2015-02-16 | 대한민국 | Particulate Matter Remotely Measuring System |
KR101683433B1 (en) | 2016-10-28 | 2016-12-07 |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 Apparatus For Detecting Total Suspended Particle |
KR20170117960A (en) | 2017-09-29 | 2017-10-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icrodust system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airborne particles |
KR20180123798A (en) * | 2017-05-10 | 2018-11-2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ine particle measurement system |
-
2018
- 2018-12-27 KR KR1020180170280A patent/KR1022152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3637A (en) * | 2004-04-27 | 2005-11-01 | 권영현 | Electricity dust-gather way air filter of automatic clean washing |
KR20110111449A (en) * | 2008-12-31 | 2011-10-11 | 인터젠엑스 인크. | Mechanisms with Microfluidic Chips |
KR101490324B1 (en) * | 2014-09-16 | 2015-02-16 | 대한민국 | Particulate Matter Remotely Measuring System |
KR101683433B1 (en) | 2016-10-28 | 2016-12-07 |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 Apparatus For Detecting Total Suspended Particle |
KR20180123798A (en) * | 2017-05-10 | 2018-11-2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ine particle measurement system |
KR20170117960A (en) | 2017-09-29 | 2017-10-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icrodust system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airborne particl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1441B1 (en) * | 2023-09-05 | 2024-11-1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Device for measuing dust concentration of wet exhaust ga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5223B1 (en) | 2021-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5516B1 (en) | Microdust system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airborne particles | |
US8044350B2 (en) | Miniaturized ultrafine particle sizer and monitor | |
US7437908B2 (en) | Particle counter | |
JP7389016B2 (en) | Particle detection device and suspended particle detection method | |
US10814335B2 (en) | Selective aerosol particle collecting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particle size | |
CN107921443B (en) | Aerosol particle collecting device with nano particle concentration and particle size measuring device | |
CA2317830C (en) | Particle concentrator | |
WO2017068355A1 (en) | Air cleaning device and apparatus | |
KR102215223B1 (en) | Fine dust measuring device | |
KR101953018B1 (en) | Fine particle measurement system | |
JP2004507757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particles | |
KR102641561B1 (en) | Mass concentration measuring system for fine partcles | |
Kim et al. | MEMS-based particle detection system for measuring airborne ultrafine particles | |
Lee et al. | Microfluidic ultrafine particle dosimeter using an electrical detection method with a machine-learning-aided algorithm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rticle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 | |
KR102134969B1 (en) | Fine dust measuring device | |
KR101179039B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particles and method for separating fibrous particles by using the same | |
Kim et al. | Integrated particle detection chip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
Lim et al. | MEMS based integrated particle detection chip for real time environmental monitoring | |
KR10132268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parating fibrous particles | |
JP2017131875A (en) | Electric dust collector | |
WO2006098397A1 (en) | Electrostatic concentration collector for ultrafine particle and submicron particle remover for use therein | |
KR100571705B1 (en) | Fine particle separator | |
KR101460311B1 (en) | Apparatus for classifying particle | |
KR100948715B1 (en) | Particle sorting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target fractional particle size, particle sorting unit for perform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article sorting apparatus | |
KR102263099B1 (en) | Particle matter ann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