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20A - 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 - Google Patents

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120A
KR20200080120A KR1020190118779A KR20190118779A KR20200080120A KR 20200080120 A KR20200080120 A KR 20200080120A KR 1020190118779 A KR1020190118779 A KR 1020190118779A KR 20190118779 A KR20190118779 A KR 20190118779A KR 20200080120 A KR20200080120 A KR 2020008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vided
unit
data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이치 다케우치
슈 무라야마
아키히데 도쿠다
테루노리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교토 덴시 케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토 덴시 케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토 덴시 케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6Segmentation of patterns in the image field; Cutting or merging of image elements to establish the pattern region, e.g. clustering-based techniques; Detection of occl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processing or recognition method
    • G06K2209/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 table registering device, which is to promote enhancement of security when information written in a record table is digitized and registered. The record table regist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ord table image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record table image data obtained by separately imaging a plurality of record tables; an image dividing unit for crea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divided image data by dividing each of the record table image data for each preset writing area of the record tables; a divided image shuffle unit for shuffling the writing area of the divided image data in different writing areas to be in a random order; a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huffled divided image data to a character recognition means; a divided tex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ivided text data which is a result of recognizing a character of each divided image data; and a text integration unit for integrating the divided text data based on the common record table image data.

Description

장표 등록 장치 및 장표 등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Book registration device and media recording program for book registration {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

본 발명은, 장표(帳票)에 기입된 정보를 텍스트화해서 등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표 등록 장치 및 이 장치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gistering a book used to register information written in a book by text, and a medium recording a program used for the device.

예를 들어, 이전 신고서나 진찰표 등의 장표에 기입된 정보를 전자화해서 등록해 두는 시스템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기입 완료 장표를 이미지화해서, 그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수단에 의해 문자 인식시키고, 이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등록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For example, as a system for electronically registering and registering information written in chapters such as previous declarations and medical examination tables,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mages of completed entries are imaged, and the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characters. Some are configured to recognize characters and register the text data obtained thereby.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텍스트 데이터를 등록하는 측이, 문자 인식을 외부에 위탁하는 경우, 그 외부에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개인 정보의 유출로 이어진다.In such a system, when the text data registration side entrusts the character recognition to the outside, sending the image data of the target to the outside leads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이름이나 전화번호 등의 항목마다 분할하고, 그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 중 항목이 공통되는 것을 순서부동(順不同)으로 셔플(shuffle)하고 나서, 문자 인식 수단에 송신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보호를 도모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system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each of the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chapters is divided for each item such as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and the items common among the divided image data are shuffled in a sequential order. T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protected by transmitting it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그러나 이와 같이 항목이 공통되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셔플했다고 해도, 보내져 온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어느 항목의 것인지는 비교적 용이하게 추측되어 버리기 때문에, 개인 정보에 대한 시큐리티는 결코 높다고는 할 수 없다.However, even if the divided image data in which the items are common in this way is shuffled, it can be said that the security for personal information is never high because it is relatively easy to guess which item is the transmitted divided image data.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4431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2443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장표에 기입된 정보를 전자화해서 등록함에 있어서, 그 시큐리티의 강화를 도모하는 것을 그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main task is to enhance the security in electronically registering and registering information written in a book.

즉, 본 발명에 관한 장표 등록 장치는, 복수매의 기입 완료 장표를 이미지화한 복수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격납하는 장표 이미지 격납부와, 상기 장표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장표의 미리 설정된 기입 영역마다 분할해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다른 기입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기입 영역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하는 분할 이미지 셔플부와, 셔플된 복수의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수단에 송신하는 분할 이미지 송신부와,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문자 인식한 결과인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접수하는 분할 텍스트 접수부와,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복수의 상기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해서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작성하는 텍스트 통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at is,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rge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data imaged with a plurality of write-in targets, and each of the target image data is divided for each preset writing area of the target. An image dividing unit for creating divided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shuffling units for shuffling at least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including divided image data of different writing areas, and a plurality of shuffled images A divided image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divided image data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a divided tex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ivided text data as a result of character recognition of each of the divided image data, and a plurality of the divided portions based on common target image data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text integration unit for integrating text data to create text integration data.

이와 같이 구성된 장표 등록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성(姓)」과「이름(名)」을 다른 기입 영역으로서 설정하면, 여러 사람의 성명을 성과 이름으로 분할한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셔플되므로, 그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특정 인물의 성명을 추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configured in this way, for example, if "last name" and "first name" are set as different entry areas, the divided image data obtained by dividing the names of several people into first and last names is shuffl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guess, for example, the name of a specific person from their divided image data.

또한, 예를 들어 전화번호나 우편번호를 실제 자릿수보다도 적은 문자로 단락짓고, 그들을 다른 기입 영역으로 설정하면, 그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 단순한 숫자를 표시하는데 불과할 뿐, 어느 항목의 숫자였는지조차 추측할 수 없게 된다.Also, for example, if a phone number or a postal code is delimited with characters less than the actual number of digits, and they are set to different entry areas, the divided image data is only a simple number already displayed, and even guesses the number of the item. It cannot be don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장표 등록 장치에 의하면, 다른 기입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기입 영역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해서 문자 인식 수단에 송신하므로, 시큐리티를 종래보다도 훨씬 더 강화할 수가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target regis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including divided image data of different writing areas are shuffled so that at least the writing areas become out of order, and are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Much more can be strengthened.

상기 이미지 분할부가,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file name)을, 상기 기입 영역 각각에 대해 생성된 유니크 키(unique key)를 적어도 포함하는 문자열로 하고, 상기 분할 이미지 셔플부가, 상기 분할 이미지 송신부에 의한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송신 순서를, 상기 파일명에 관해서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image division unit, the file nam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a character string including at least a unique key (unique key) generated for each of the writing area, the divided image shuffle unit,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divided imag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regarding the file name.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에 고유의 유니크 키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파일명의 알파벳순이나 숫자순으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결정하면,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간단하게 셔플할 수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unique name is included in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for example, if it is decided to transmit the divided image data in alphabetical or numeric order of the file name, it is possible to simply shuffle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have.

시큐리티의 강화와 데이터의 처리 시간은 트레이드 오프(trade off)의 관계에 있으며, 예를 들어 셔플하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많을수록, 시큐리티는 강화되지만, 그 반면에 데이터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길어진다.Security enhancement and data processing time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For example, the more split image data that is shuffled, the security is enhanced, while the time required for data processing is longer.

따라서 상기 분할 이미지 셔플부에 의해 셔플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바탕으로 되는 장표의 매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설정 매수가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sheets to be used as a basis for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shuffled by the divided image shuffle section is set in advance, and that the set number of sheets can be changed.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사용자는, 원하는 시큐리티나 원하는 데이터 처리 시간을 감안해서, 설정 매수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있어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것으로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change the number of settings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security and the desired data processing time, which makes the user more convenient to use.

사용자에 따라서는, 장표에 기입된 항목 중, 일부 항목이 외부에 송신해서는 안되는 것으로서 약정(取定)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Depending on the user, some of the items listed in the chart may be contracted as some items should not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이러한 경우에도 본 장치를 이용가능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장표에 설정된 기입 영역 중, 상기 분할 이미지 송신부의 송신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기입 영역을 접수해서, 그 기입 영역을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비송신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ke the apparatus usable even in such a case, a non-transmission area setting unit that receives an address area exclu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of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among the address areas set in the book, and sets the address area as a non-transmission are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외부에 송신할 수 없는 항목을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함으로써, 나머지의 송신가능한 항목에 대해서 본 발명에 관한 장치를 이용할 수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by setting an item that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s a non-transmission area,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remaining transmittable items.

상기 텍스트 통합부에 의해 작성된 복수의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출력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접수해서, 그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비출력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데이터 발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ata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text integration data creat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and a data extraction unit that receives text integration data excluded from the output target of the data output unit and sets the text integration data as non-output dat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텍스트 통합 데이터 중, 예를 들어 기입 내용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는 바와 같은 것을, 그대로 출력되어 버리지 않도록 발취해 둘 수 있고, 나중에 재확인 등 할 수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mong the text integrated data,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take out items that need to be re-confirmed, so as not to be output as they are, and re-confirm later.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장표 등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는 복수매의 기입 완료 장표를 이미지화한 복수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격납하는 장표 이미지 격납부와, 상기 장표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장표의 미리 설정된 기입 영역마다 분할해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다른 기입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기입 영역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하는 분할 이미지 셔플부와, 셔플된 복수의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수단에 송신하는 분할 이미지 송신부와,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문자 인식한 결과인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접수하는 분할 텍스트 접수부와,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복수의 상기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해서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작성하는 텍스트 통합부로서의 기능을 컴퓨터에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gistering a targ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rge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data imaged with a plurality of write-in targets, and each of the target image data for each preset writing area of the target. An image dividing unit for dividing and creating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a divided image shuffling unit for shuffling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including divided image data in different writing areas, such that at least the writing area is in order, and shuffled A divided image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a plurality of the divided image data to a character recognition means, a divided tex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ivided text data as a result of character recognition of each of the divided image data, and a plurality of pieces based on common target image data It is characterized by exerting a function as a text integration unit to create text integration data by integrating the divided text data of the above.

이와 같이 구성된 장표 등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의해서도, 상술한 장표 등록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target registration device can be obtained also by a medium on which the program for registering the target registr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ecord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표에 기입된 정보를 전자화해서 등록할 때의 시큐리티를 종래에 비해 훨씬 더 강화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security when electronically registering and registering information written in the sheet,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장표 등록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같은(同)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표의 모식도.
도 3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표 등록 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템플릿 파일(template file)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참조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미지 분할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할 이미지 셔플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표 등록 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book reg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eet in the same embodiment.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in the same embodiment.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in the same embodiment.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template file in the same embodiment.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reference table in the sam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image division unit in the same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divided image shuffle unit in the same embodiment.
Fig. 9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장표 등록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A book regis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형태의 장표 등록 장치(1)는, 장표(P)에 기입된 정보를 전자화해서 등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캐너 등의 촬상 수단(2)이나 OCR 등의 문자 인식 수단(3)과 함께 장표 등록 시스템(X)을 구축하는 것이다.The book registration device 1 of this embodiment is used for electronically registering information written in the book P, and as shown in FIG. 1, such as imaging means 2 such as a scanner or OCR. The book registration system (X) is construct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먼저, 장표(P)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First, the sheet P is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장표(P)는, 복수의 기입 항목 각각에 대한 기입란(P1)이 마련된 기입 용지이다. 기입 항목은, 「성명」,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성별」 등이다. 기입란(P1)은, 여기에서는 테두리선으로 둘러싸여 있고, 예를 들어 「성별」이라는 기입 항목에 대한 기입란(P1)과 같이, 하나의 기입 영역(P2)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있으면, 예를 들어 「성명」이라고 하는 기입 항목에 대한 「성」의 기입 영역(P2), 및 「이름」의 기입 영역(P2)과 같이, 복수의 기입 영역(P2)으로 세분화되어 있는 것도 있다. 다시 말해, 기입란(P1)에는, 미리 1 또는 복수의 기입 영역(P2)이 설정되어 있다.The sheet P is an entry sheet provided with an entry column P1 for each of a plurality of entry items. Items to be filled in include "name", "date of birth", "address", "phone number", and "gender". The entry field P1 is surrounded by a border line here, and if there is also one entry area P2 provided, for example, the entry field P1 for the entry item "sex", for example, "the name There are some subdivided into a plurality of writing areas P2, such as the writing area P2 of "last name" and the writing area P2 of "first name" for the writing item called "." In other words, one or a plurality of writing areas P2 are set in advance in the writing field P1.

다음에, 장표 등록 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sheet registra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이 장표 등록 장치(1)는, CPU,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전용 내지는 범용 컴퓨터이며, 상기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장표 등록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나 그 밖의 주변 기기를 협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템플릿 격납부(11), 장표 이미지 격납부(12), 파일명 변경부(13), 참조 테이블 작성부(15), 이미지 분할부(16), 분할 이미지 셔플부(18), 분할 이미지 송신부(20), 분할 텍스트 접수부(21), 및 텍스트 통합부(23) 등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1 is a dedicated or general purpose computer equipped with a CPU, memory, input/output interface, and the like, by cooperating with a CPU or other peripher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registr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s shown in Fig. 3, the template storage section 11, the target image storage section 12, the file name changing section 13,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section 15, the image division section 16, and the divided image shuffle section ( 18), configured to exert functions as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20, the divided text reception unit 21,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and the like.

이하, 각 부에 설명을 겸해서, 도 3의 기능 블록도, 및 도 4의 흐름를 참조하면서, 장표 등록 장치(1)를 이용한 본 장표 등록 시스템(X)에 의한 정보의 등록까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여러 가지 이미지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더라도 좋고, 화상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한 데이터이더라도 좋다.Hereinafter, the operation up to registration of information by the target registration system X using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 3 and the flow of FIG. do. In addition, various image data described below may be image data, or may be data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data into character strings.

먼저, 사용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표(P)에 마련되어 있는 기입 영역(P2)의 위치, 및 그 기입 영역(P2)에 대한 항목명을 적어도 결부시킨 복수의 템플릿 정보로 이루어지는 템플릿 파일을 작성한다(S1).First, as shown in FIG. 5, the user is a template fi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mplate inform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riting area P2 provided in the book mark P and the item name for the writing area P2 are associated at least. Write (S1).

구체적으로는, 마우스나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장표(P)에 설정되어 있는 기입 영역(P2)을 선택하고, 그 기입 영역(P2)에 대한 항목명을 입력한다. 이에 의해, 그 기입 영역(P2)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및 항목명이 템플릿 정보로서 결부되고, 그 템플릿 정보가 본 장치(1)의 하드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템플릿 격납부(11)에 격납된다. 또한, 템플릿 정보로서는, 기입 영역(P2)의 좌표나 항목명에 더하여, 예를 들어 기입 영역(P2)에 기입되는 문자종류(예를 들어 숫자, 알파벳 등)나, 기입 영역(P2)의 행수(行數) 등, 기입 영역(P2)에 관한 부가 정보를 결부시켜도 좋다. 또한, 템플릿 격납부(11)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Specifically, using the input means such as a mouse, keyboard, or touch panel, the writing area P2 set in the book mark P is selected, and an item name for the writing area P2 is input. Thereby, coordinates and item nam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riting area P2 are associated as template information, and the templa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1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of the apparatus 1. In addition, as templat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coordinates and item names of the writing area P2, for example, the type of characters (for example, numbers, alphabets, etc.) written in the writing area P2 or the number of rows in the writing area P2 ( You may associate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the writing area P2, such as a row. Further, the template storage unit 11 may be set a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SD.

한편, 복수매의 기입 완료 장표(P)는, 스캐너 등의 촬상 수단(2)을 이용하여 이미지화한다(S2). 그리고 이미지화한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본 장치(1)에 입력하고, 복수매분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가 본 장치(1)의 하드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장표 이미지 격납부(12)에 격납된다. 또한, 장표 이미지 격납부(12)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write-in target sheets P are imaged using imaging means 2 such as a scanner (S2). Then, the imaged target image data is input to the apparatus 1, and a plurality of target image data is stored in the target image storage section 12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of the apparatus 1. In addition, the target image storage unit 12 may be set a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SD.

다음에, 파일명 변경부(13)가, 장표 이미지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장표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파일명을, 서로 다른 고유의 파일명으로 유니크화한다(S3).Next, the file name changing unit 13 uniqueizes each file name of the target image data stored in the target image storage unit 12 to a unique file name (S3).

구체적으로 파일명 변경부(13)는, 장표 이미지 격납부(12)로부터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 취득하고, 각각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복수의 문자열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제1 유니크 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의 파일명 바로 앞에, 생성한 제1 유니크 키를 부가한 것을, 유니크화 후의 파일명으로 한다. 예를 들어, 취득한 장표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이 abc이고, 이 장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생성한 제1 유니크 키가 3f2504E0이면, 유니크화 후의 파일명은, 3f2504E0.abc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파일명이 유니크화된 장표 이미지 데이터는, 본 장치(1)의 하드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유니크 파일 격납부(14)에 보존된다. 또한, 유니크 파일 격납부(14)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Specifically, the file name changing unit 13 sequentially obtains the target image data from the target image storage unit 12, and for each target image data, consists of a plurality of character strings and generates different first unique keys. . The first unique key generated is added immediately before the file name when the target image data is acquired. For example, if the file name of the acquired target image data is abc, and the first unique key generated for this target image data is 3f2504E0, the file name after being unique is 3f2504E0.abc. Then, the target image data whose file name is unique is stored in the unique file storage unit 14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of the apparatus 1. Further, the unique file storage unit 14 may be set a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SD.

또한, 파일명의 유니크화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의 파일명을, 생성한 제1 유니크 키로 치환한 것을 유니크화 후의 파일명으로 하는 등,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The method of uniqueizing the file nam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by replacing the file name when obtaining target image data with the generated first unique key as the file name after being unique. none.

계속해서, 참조 테이블 작성부(15)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니크화 후의 파일명, 템플릿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명, 및 각 항목명에 대해서 생성된 제2 유니크 키를 결부시킨 참조 테이블을 작성한다(S4). 또한, 참조 테이블 작성부(15)는, 온메모리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이다. 단, 참조 테이블 작성부(15)로서의 기능을, 온메모리 데이터베이스나 가상 드라이브 등의 기술에 의해 발휘시켜도 좋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creates a reference table that associates the file name after uniqueization, the item name included in the template information, and the second unique key generated for each item name. (S4).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is a function exerted by on-memory. However, the function as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may be exerted by techniques such as an on-memory database or a virtual drive.

구체적으로 참조 테이블 작성부(15)는, 템플릿 격납부(11)에 템플릿 정보로서 격납되어 있는 복수의 항목명을 참조하고, 그들 항목명 각각에 대해, 복수의 문자열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제2 유니크 키를 생성한다.Specifically,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refers to a plurality of item names stored as template information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1, and each of these item name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 strings an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unique key. Produces

그리고 하나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의 유니크화 후의 파일명, 즉 제1 유니크 키를 포함하는 파일명에 대해서, 복수의 항목명과, 각 항목명에 대해서 생성된 제2 유니크 키를 결부시킨다. 또한, 참조 테이블로서는, 템플릿 정보에 포함되는 부가 정보가 추가로 결부되어 있어도 좋다.A plurality of item names and a second unique key generated for each item name are associated with the file name after the uniqueization of one target image data, that is, the file name including the first unique key. Further, as the reference tabl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emplate information may be further associated.

참조 테이블 작성부(15)는, 상술한 동작을 미리 설정된 설정 매수분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순차 행한다. 이에 의해, 참조 테이블 작성부(15)는, 단일의 참조 테이블의 작성에 있어서, 상술한 설정 매수에, 템플릿 격납부(11)에 격납되어 있는 항목명의 수(항목수)를 곱한 수만큼, 제2 유니크 키를 생성하게 된다.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sequentially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n the target image data for the preset number of sheets. Thereby, in the creation of a single reference table,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is produced by the number of the above-described number of settings multiplied by the number (item number) of the item names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1. 2 Unique key is generated.

또한, 설정 매수는 변경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설정 매수를 입력하면, 그 입력값을 설정 매수 변경부(미도시)가 접수해서 설정 매수가 변경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ettings can be changed. Specifically, when the user inputs the number of settings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the setting number change unit (not shown) receives the input value and the number of settings is changed.

그 후, 이미지 분할부(16)가, 유니크 파일 격납부(14)로부터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기입 영역(P2)마다 분할해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한다(S5). 또한, 이미지 분할부(16)는, 온메모리에 의해 발휘시키는 기능이다. 단, 이미지 분할부(16)로서의 기능을, 온메모리 데이터베이스나 가상 드라이브 등의 기술에 의해 발휘시켜도 좋다.Thereafter, the image division unit 16 acquires the target image data from the unique file storage unit 14, and as shown in FIG. 7, the target image data is divided for each writing area P2 to divide the image data. Write (S5). In addition, the image division unit 16 is a function exerted by on-memory. However, the function as the image division unit 16 may be exerted by techniques such as an on-memory database or a virtual drive.

구체적으로 이미지 분할부(16)는, 템플릿 격납부(11)를 참조해서, 항목명 각각에 대응하는 기입 영역(P2)의 좌표를 취득하고, 그들 좌표로 표시되는 기입 영역(P2)마다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분할한다.Specifically, the image division unit 16 refers to the template storage unit 11 to obtain coordinates of the writing area P2 corresponding to each item name, and target image data for each writing area P2 indicated by these coordinates Divide.

그리고 이미지 분할부(16)는, 참조 테이블을 참조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항목명 각각에 결부시켜져 있는 제2 유니크 키를, 각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으로 한다. 또한, 분할 데이터의 파일명은, 반드시 제2 유니크 키만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적어도 제2 유니크 키를 포함하는 것이면, 그 제2 유니크 키의 뒤에 다른 문자열이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Then, the image dividing unit 16 refers to the reference table, and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unique key associated with each item name is used as the file name of each divided image data. In addition,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data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consist only of the second unique key, and for example, if it includes at least the second unique key, another character string may be added after the second unique key.

이미지 분할부(16)는, 이러한 장표 이미지 데이터의 분할을 설정 매수분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행한다. 이에 의해, 분할 이미지 데이터는, 상술한 설정 매수에, 템플릿 격납부(11)에 격납되어 있는 항목명의 수(항목수)를 곱한 수만큼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 파일명에는, 서로 다른 제2 유니크 키가 포함되어 있고, 모두 다른 고유의 파일명으로 된다.The image division unit 16 divides the target image data for target image data for a set number of copies. Thereby, the divided image data is generated by the number of the above-described number of settings multiplied by the number of item names (number of items)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1. In addition, these file names contain different second unique keys, all of which have different unique file names.

그리고 이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 중에는, 서로 다른 기입 영역(P2)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복수 포함되게 된다.And among these divided image data,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of different writing areas P2 are includ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상술한 템플릿 파일의 작성 시에 있어서, 장표(P)의 「성」및 「이름」을 서로 다른 기입 영역(P2)으로서 설정하면, 이미지 분할부(16)에 의해 작성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 중에는, 설정 매수분의 장표(P)에 기입된 「성」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와, 설정 매수분의 장표(P)에 기입된 「이름」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혼재한다.In more detail, for example, in the creation of the above-described template file, if the "last name" and "first name" of the sheet P are set as different writing areas P2, the image dividing section 16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created, the divided image data of "last name" written in the sheet P for the set number of copies and the divided image data of "name" written in the sheet P of the set number of sheets are mixed. .

또한, 도 7과는 다른 양태이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우편번호의 각 자릿수(桁)나 전화번호의 각 자릿수를 서로 다른 기입 영역(P2)으로서 설정하면, 이미지 분할부(16)에 의해 작성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 중에는, 설정 매수분의 장표(P)에 기입된 우편번호의 각 자릿수 및 전화번호의 각 자릿수 각각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혼재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FIG. 7, if, for example, each digit of a postal code or each digit of a telephone number is set as a different writing area P2, the plural created by the image dividing section 16 Among the divided image data of, the divided image data of each digit of the zip code and each digit of the phone number written in the sheet P of the set number of copies are mixed.

단, 기입 영역(P2)의 설정 방법은, 상술한 양태에 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However, the setting method of the writing area P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by the user.

그리고 이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는, 본 장치(1)의 하드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분할 이미지 격납부(17)에 보존된다. 또한, 분할 이미지 격납부(17)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Then, these divided image data are stored in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of the apparatus 1. Further,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may be set a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SD.

다음에, 분할 이미지 셔플부(18)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이미지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기입 영역(P2)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한다(S6).Next, as shown in Fig. 8, the divided image shuffle section 18 shuffles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stored in the divided image storage section 17 so that at least the writing area P2 is in floating order. (S6).

구체적으로 분할 이미지 셔플부(18)는, 후술하는 분할 이미지 송신부(20)에 의한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송신 순서를,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에 관해서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결정함으로써, 송신되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기입 영역(P2)을 불규칙하게 한다.Specifically, the divided image shuffling unit 18 determines 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divided image data by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determining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he writing area P2 is made irregular.

미리 정한 규칙이란, 예를 들어 알파벳순, 숫자순, 또는 이들을 조합한 순서 등을 들 수 있고, 분할 이미지 셔플부(18)는, 이 미리 정해진 순서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분할 이미지 격납부(17)로부터 순차 취득해서 배열한다.The predetermined rule includes, for example, an alphabetical order, a numerical order, or a combination of these, and the divided image shuffling section 18 divides the divided image data into the divided image storage section 17 in this predetermined order. It is sequentially acquired from and arranged.

또한, 여기서의 분할 이미지 셔플부(18)는, 상술한 참조 테이블을 참조해서, 분할 이미지 격납부(17)로부터 취득한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에 이용되고 있는 제2 유니크 키에 결부된 부가 정보를, 그 분할 이미지 데이터에 부대(附帶)시킨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문자 인식 수단(3)은, 이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 인식을 행할 수가 있다.Further, the divided image shuffle section 18 here refers to the reference table described above, and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unique key used for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divided image storage section 17, It is attached to the divided image data. Thereby,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described later can perform character recognition using this additional information.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분할 이미지 송신부(20)에 의해 한 번에 송신되는 데이터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분할 이미지 셔플부(18)는, 분할 이미지 격납부(17)로부터 연속해서 취득한 소정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송신용 데이터군으로서 정리한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uppress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at one time by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20 described later, the divided image shuffle unit 18 is a predetermined number continuously acquired from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The divided image data of are organized as one transmission data group.

그 후, 분할 이미지 격납부(17)에 격납된 모든 분할 이미지 데이터, 즉 상술한 설정 매수에 항목수를 곱한 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모두, 분할 이미지 셔플부(18)에 의해 취득되어 셔플되었는지가 판단된다(S7).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ll the divided image data stored in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that is, the divided image data of the number of the above-described set number multiplied by the number of items, are acquired and shuffled by the divided image shuffling unit 18. It is judged (S7).

분할 이미지 격납부(17)에 격납된 모든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셔플되어 있지 않으면, 분할 이미지 셔플부(18)에 의한 동작이 반복된다.If all of the divided image data stored in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are not shuffled, the operation by the divided image shuffle unit 18 is repeated.

한편, 분할 이미지 격납부(17)에 격납된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모두 셔플되면, 상술한 참조 테이블 작성부(15)에 의해 작성된 참조 테이블이, 온메모리로부터 삭제되고, 본 장치(1)의 하드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참조 테이블 축적부(19)에 축적된다(S8). 또한, 참조 테이블 축적부(19)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when all of the divided image data stored in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are shuffled, the reference table created by the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5 described above is deleted from the on-memory, and the hard disk of the device 1 It is accumulated in the reference table accumulation unit 19 set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S8). Note that the reference table storage unit 19 may be set a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SD.

참조 테이블이 온메모리로부터 삭제되면, 다음에, 장표 이미지 격납부(12)에 격납된 장표 이미지 데이터가 남아 있는지가 판단된다(S9).When the reference table is deleted from the on-memory, it is then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image data stored in the target image storage unit 12 remains (S9).

장표 이미지 격납부(12)에 장표 이미지 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는, S3∼S9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When the target image data remains in the target image storage 12, the operations from S3 to S9 are repeated.

한편, 장표 이미지 격납부(12)에 격납된 장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분할 이미지 송신부(20)가, 셔플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여기에서는 송신용 데이터군마다 문자 인식 수단(3)에 송신한다(S10). 또한, 문자 인식 수단(3)은, 본 장치(1)의 외부에 있으며, 본 장치(1)의 사용자와는 다른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므로, 분할 이미지 송신부(20)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본 장치(1)의 외부에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image data stored in the target image storage unit 12 does not exist,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20 sends the shuffled divided image data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for each data group for transmission. Transmit (S10). In addition, since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is external to the apparatus 1 and is operated by a different person from the user of the apparatus 1, the divided image transmitter 20 sees the divided image data. It is output to the outside of (1).

문자 인식 수단(3)은, 분할 이미지 송신부(20)에 의해 송신된 분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문자 인식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결과인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작성한다(S11). 여기서, 문자 인식 수단(3)은,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 즉 제2 유니크 키를, 분할 텍스트 데이터의 파일명으로서 계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작성된 분할 텍스트 데이터는, 문자 인식 수단(3)으로부터 본 장치(1)에 입력된다.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character-recognizes each of the divided image data transmitted by the divided image transmitter 20, and creates divided text data that is the result obtained thereby (S11). Here,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is configured to inherit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that is, the second unique key, as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text data, and the divided text data created in this way is from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It is input to the device 1.

입력된 분할 텍스트 데이터는, 본 장치(1)의 분할 텍스트 접수부(21)에 의해 접수되고, 본 장치(1)의 하드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분할 텍스트 격납부(22)에 격납된다(S12). 또한, 분할 텍스트 격납부(22)는, SSD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The input divided text data is received by the divided text receiving unit 21 of the apparatus 1 and stored in the divided text storage unit 22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ard disk of the apparatus 1 (S12). . Further, the divided text storage unit 22 may be set a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SD.

그 후, 텍스트 통합부(23)가, 복수의 분할 텍스트 데이터 중,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복수의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해서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작성한다(S13).Thereafter,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combines a plurality of divided text data based on common target image dat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text data to create text integrated data (S13).

구체적으로 텍스트 통합부(23)는, 상술한 참조 테이블 축적부(19)에 축적된 참조 테이블을 참조해서, 분할 텍스트 데이터의 파일명에 이용되고 있는 제2 유니크 키에 결부된 장표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제1 유니크 키)을 특정하고, 이 파일명(제1 유니크 키)이 공통되어 있는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서 특정한다.Specificall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refers to the reference table accumulated in the reference table storage unit 19 described above, and the file name of the target image data associated with the second unique key used for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text data ( The first unique key) is specified, and the divided text data in which this file name (first unique key) is common is specified as based on common target image data.

그리고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모두 특정한 후, 다시 참조 테이블을 참조해서, 각 분할 텍스트 데이터의 파일명에 이용되고 있는 제2 유니크 키에 결부된 항목명을 특정하고, 각 분할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문자열을, 그 특정한 항목명으로서 기입된 문자열로서 인정한다.Then, after specifying all the divided text data based on the common target image data, referring to the reference table again, the item name associated with the second unique key used in the file name of each divided text data is specified, and each divided text The character string represented by the data is recognized as the character string written as the specific item name.

여기서, 텍스트 통합부(23)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작성한 후, 그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분할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문자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Here,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after creating the text integration data, displays on the display a character string represented by each divided text data constituting the text integration data.

구체적으로 텍스트 통합부(23)는, 분할 텍스트 데이터의 바탕으로 되는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유니크 파일 격납부(14)로부터 취득하고, 그 바탕으로 되는 장표의 화상과 분할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문자열을 비교 가능하게 표시한다.Specificall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acquires the target image data, which is the basis of the divided text data, from the unique file storage unit 14, and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the image of the target chapter and the character string indicated by the divided text data. Display.

또한,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유니크 파일 격납부(14)로부터 취득하는 대신에, 또는 장표 이미지 데이터의 취득에 더하여, 분할 이미지 격납부(17)로부터 분할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문자열 및 분할 화상을 비교 가능하게 표시해도 좋다.Further, instead of acquiring the target image data from the unique file storage unit 14 or in addition to acquiring the target image data, the divid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text data is obtained from the divided image storage unit 17, and The character string and the divided image may be displayed for comparison.

여기서, 본 장치(1)는, 분할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문자열을 수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Here, the apparatus 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dify the character string indicated by the divided text data.

예를 들어 텍스트 통합부(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표시된 문자열 중에, 문자 인식 수단(3)의 오인식에 의해 작성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마우스나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그 문자열을 수정할 수 있고, 그 수정 후의 문자열이 분할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문자열로서 갱신된다.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string displayed by the misrecognition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is included in the character string display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for example,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keyboard, or touch panel is used. The character string can be modified, and the character string after the modification is updated as the character string indicated by the divided text data.

상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 통합부(23)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 통합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부(24)에 의해서 출력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ext integration data creat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can be output by the data output unit 24.

데이터 출력부(24)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소정의 출력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장표 복수매분의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일괄해서, 예를 들어 분할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문자열과, 그 분할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항목명을 식별가능하게 예를 들어 표 형식 등으로 출력한다(S14).The data output unit 24 outputs the text integrated data in a predetermined output format. Here, the text integrated data for a plurality of sheets is collectively used, for example, in a character string represented by the divided text data and the divided text data. The corresponding item name is identifiably output, for example, in a table format (S14).

본 장치(1)는, 텍스트 통합부(23)에 의해 작성된 복수의 텍스트 통합 데이터 중, 데이터 출력부(24)의 출력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접수해서, 그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비출력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데이터 발취부(25)로서의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The apparatus 1 receives the text integration data excluded from the output target of the data output unit 24 among the plurality of text integration data creat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and the text integration data is non-output data. A function as the data retrieval unit 25 set as is further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텍스트 통합부(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표시되고 있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 중, 예를 들어 기입된 수기 문자 그 자체를 읽을 수 없거나, 성별이 남녀 모두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등, 재확인이 필요한 텍스트 통합 데이터에 대해서, 그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예를 들어 마우스나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mong the text integration data displayed and display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for example, the written handwritten character itself cannot be read, or the gender is selected for both men and women, etc. , For text-integrated data that requires reconfirmation, the text-integrated data can be selected by, for example, a mouse or a touch panel.

이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 통합 데이터가 데이터 발취부(25)에 의해 접수되어, 비출력 데이터로서 설정되며, 데이터 출력부(24)에 의한 일괄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설정된 비출력 데이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재확인의 이유 등 여러 가지 코멘트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Thereby, the selected text integration data is received by the data retrieval unit 25, is set as non-output data, and is excluded from the object of batch output by the data output unit 24. Moreover, various comments, such as the reason for re-confirmation, can also be written about the set non-output data.

이와 같이 구성된 장표 등록 장치(1)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의 이름을 성과 이름으로 분할한 분할 이미지 데이터가 셔플되므로, 그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특정 인물의 이름을 추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1 configured in this way, for example, since divided image data obtained by dividing several people's names into first and last names is shuffl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guess, for example, the names of specific persons from the divided image data. Do.

또한, 예를 들어 전화번호나 우편번호를 실제 자릿수보다도 적은 자릿수로 분할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셔플하면, 그들 분할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 단순한 숫자를 나타내는데 불과할 뿐, 어느 항목의 숫자였는지조차 추측하는 것이 어렵다.In addition, if, for example, shuffling the divided image data obtained by dividing a phone number or a postal code into digits less than the actual number of digits, it is difficult to guess which number of items was merely a mere number of numbers.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장표 등록 장치(1)에 의하면, 다른 기입 영역(P2)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복수를, 기입 영역(P2)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해서 문자 인식 수단(3)에 송신하므로, 시큐리티를 종래보다도 훨씬 더 강화할 수가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of different writing areas P2 are shuffled so that the writing areas P2 become out of order and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Therefore, the security can be strengthened much more than before.

또한,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에 제2 유니크 키가 이용되므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예를 들어 파일명이 알파벳순이나 숫자순으로 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간단하게 셔플할 수가 있다.Further, since the second unique key is used for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can be easily shuffl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such that the file names are in alphabetical order or numeric order.

이에 더하여, 셔플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바탕으로 되는 장표(P)의 설정 매수가 변경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시큐리티의 높이와 데이터 처리 시간을 감안하여, 설정 매수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있어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것으로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t number of sheets P based on a plurality of shuffled divided image data can be changed, the user can change the number of settings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height of the security and data processing time. It becomes more convenient to use.

게다가, 텍스트 데이터 발취부(25)가, 데이터 출력부(24)의 출력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 비출력 데이터로서 설정하므로, 텍스트 통합 데이터 중, 예를 들어 기입 내용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는 바와 같은 것을, 그대로 출력되어 버리지 않도록 발취해 둘 수 있고, 나중에 재확인할 수가 있다.Furthermore, since the text data retrieval unit 25 is set as text integrated data non-output data to be excluded from the output target of the data output unit 24, among text integrated data,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the written content. The same thing can be taken out so that it is not output as it is, and can be reconfirmed later.

[0063][006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서는, 장표(P)에 기입된 항목 중, 일부 항목을 외부에 송신해서는 안되는 것으로서 약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user, some of the items written in the sheet P may be contracted as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따라서 장표 등록 장치(1)로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표(P)에 설정된 기입 영역(P2) 중, 분할 이미지 송신부(20)의 송신 대상에서 제외하는 기입 영역(P2)을 접수해서, 그 기입 영역(P2)을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비송신 영역 설정부(26)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refore, as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1, as shown in Fig. 9, among the writing areas P2 set in the target table P, the writing area P2 exclu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of the divided image transmitting unit 20 is received. , A non-transmission area setting unit 26 that sets the write area P2 as a non-transmission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템플릿 파일의 작성 시에 있어서, 항목명을 소정의 양태로 입력하면, 비송신 영역 설정부(26)가, 그 양태로 입력된 항목명에 결부시켜진 기입 영역(P2)을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소정의 양태란, 예를 들어 항목명 전, 후, 또는 전후에 소정 문자를 부가해서 입력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creation of the template file, if the item name is input in a predetermined mode, the non-transmission area setting unit 26 sets the writing area P2 associated with the item name input in the mode. Set as a non-transmission area. Moreover, as a predetermined aspect, the method of adding a predetermined letter, and inputting it before, after, or before and after an item name is mentioned, for example.

그리고 1 또는 복수의 기입 영역(P2)이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된 템플릿 파일은, 템플릿 격납부(11)로부터 텍스트 통합부(23)에 출력되어도 좋다.Further, the template file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writing areas P2 are set as the non-transmitting areas may be output from the template storage section 11 to the text integration section 23.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텍스트 통합부(23)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 통합 데이터에 대해서, 비송신 영역의 문자열을 오퍼레이터가 입력해서 추가할 수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text string of the non-transmission area can be input and added by the operator to the text integration data creat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23.

이에 의해, 비송신 영역 이외에 기입된 문자열은, 자동적으로 텍스트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고, 비송신 영역에 기입된 문자열은, 외부에 출력되는 일 없이, 수동으로 텍스트 통합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가 있다.Thereby, the character string written in the non-transmission area is automatically included in the text integration data, and the character string written in the non-transmission area can be manually included in the text integration data without being output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외부에 송신할 수 없는 항목을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함으로써, 약정에 따르면서, 나머지의 송신가능한 항목에 대해서 본 발명에 관한 장표 등록 장치(1)를 이용할 수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item registr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remaining transmittable items according to the agreement by setting items that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s a non-transmission area.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이미지 분할부(16)로서는, 비송신 영역 설정부(26)에 의해 설정된 비송신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해도 좋고, 작성하지 않아도 좋다. 비송신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는, 분할 데이터 셔플부가, 비송신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분할 이미지 격납부(17)로부터 취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the image division unit 16, the divided image data of the non-transmission area set by the non-transmission area setting unit 26 may or may not be created. When creating the divided image data in the non-transmitted area, it is sufficient that the divided data shuffle section is configured not to acquire the divided image data in the non-transmitted area from the divided image storage section 17.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분할 이미지 송신부(20)는, 분할 이미지 셔플부(18)에 의해 생성된 송신용 데이터군 단위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수단(3)에 송신하고 있었지만,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씩 송신해도 좋고, 모두를 일괄해서 송신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ransmits the divided image data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3 in units of transmission data groups generated by the divided image shuffle unit 18, the divided image data is transmitted. You may send them one by one, or you may send them all at once.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형태의 변형이나 조합을 행해도 상관없다.In addition,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of various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ry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X: 장표 등록 시스템
2: 촬상 수단
3: 문자 인식 수단
1: 장표 등록 장치
P: 장표
P1: 기입란
P2: 기입 영역
11: 템플릿 격납부
12: 장표 이미지 격납부
13: 파일명 변경부
14:유니크 파일 격납부
15: 참조 테이블 작성부
16: 이미지 분할부
17: 분할 이미지 격납부
18: 분할 이미지 셔플부
19: 참조 테이블 축적부
20: 분할 이미지 송신부
21: 분할 텍스트 접수부
22: 분할 텍스트 격납부
23: 텍스트 통합부
24: 데이터 출력부
25: 데이터 발취부
26: 비송신 영역 설정부
X: Ticket registration system
2: imaging means
3: Character recognition means
1: Ticket registration device
P: Ticket
P1: column
P2: writing area
11: Template storage
12: Bookstore image storage
13: File name change unit
14: Unique file storage
15: Reference table creation unit
16: Image division
17: divided image storage
18: Split image shuffle section
19: reference table accumulation unit
20: split image transmitter
21: division text reception unit
22: Split text storage
23: Text integration
24: data output
25: data extraction unit
26: non-transmission area setting unit

Claims (6)

복수매의 기입 완료 장표(帳票)를 이미지화한 복수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격납하는 장표 이미지 격납부와,
상기 장표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장표의 미리 설정된 기입 영역마다 분할해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다른 기입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기입 영역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하는 분할 이미지 셔플부와,
셔플된 복수의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수단에 송신하는 분할 이미지 송신부와,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문자 인식한 결과인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접수하는 분할 텍스트 접수부와,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복수의 상기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해서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작성하는 텍스트 통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등록 장치.
A targe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data imaged of a plurality of written completion targets;
An image dividing unit for dividing each of the target image data for each preset writing area of the target, thereby creating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A divided image shuffling unit that shuffles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including divided image data of another writing area, such that at least the writing area is in a floating order;
A divided image transmitting unit which transmits a plurality of shuffled divided image data to character recognition means,
A divided tex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ivided text data which is a result of character recognition of each of the divided image data;
And a text integrator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the divided text data based on common target image data to create text-integrated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할부가,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명을, 상기 기입 영역 각각에 대해 생성된 유니크 키를 적어도 포함하는 문자열로 하고,
상기 분할 이미지 셔플부가, 상기 분할 이미지 송신부에 의한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송신 순서를, 상기 파일명에 관해서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등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dividing unit uses the file name of the divided image data as a character string including at least a unique key generated for each of the writing areas,
And the division image shuffling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division image data by the division image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regarding the file n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이미지 셔플부에 의해 셔플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의 바탕으로 되는 장표의 매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설정 매수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등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ok number regist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sheets to be based on a plurality of pieces of divided image data shuffled by the divided image shuffle section is set in advance, and the number of sheets to be set is changeable.
제 1 항에 있어서,
장표에 설정된 기입 영역 중, 상기 분할 이미지 송신부의 송신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기입 영역을 접수해서, 그 기입 영역을 비송신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비송신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등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registr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non-transmission area setting unit that receives an address area exclu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of the divided image transmission unit and sets the address area as a non-transmission area among the address areas set in the target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통합부에 의해 작성된 복수의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소정의 출력 형식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출력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접수해서, 그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비출력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데이터 발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등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ata output unit which outputs a plurality of text integration data created by the text integration unit in a predetermined output format;
And a data retrieval unit that receives text integrated data excluded from the output target of the data output unit and sets the text integrated data as non-output data.
복수매의 기입 완료 장표를 이미지화한 복수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격납하는 장표 이미지 격납부와,
상기 장표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장표의 미리 설정된 기입 영역마다 분할해서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다른 기입 영역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기입 영역이 순서부동으로 되도록 셔플하는 분할 이미지 셔플부와,
셔플된 복수의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수단에 송신하는 분할 이미지 송신부와,
상기 분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문자 인식한 결과인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접수하는 분할 텍스트 접수부와,
공통의 장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복수의 상기 분할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해서 텍스트 통합 데이터를 작성하는 텍스트 통합부로서의 기능을 컴퓨터에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등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A bookshelf image storage section for storing a plurality of bookshelf image data imaged of a plurality of write-once books;
An image dividing unit for dividing each of the target image data for each preset writing area of the target, thereby creating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A divided image shuffling unit that shuffles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data including divided image data of another writing area, such that at least the writing area is in a floating order;
A divided image transmitting unit which transmits a plurality of shuffled divided image data to character recognition means,
A divided tex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ivided text data which is a result of character recognition of each of the divided image data;
A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gistering a target registration is recorded, characterized in that a computer functions as a text integration unit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the divided text data based on common target image data to create text integrated data.
KR1020190118779A 2018-12-26 2019-09-26 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 KR202000801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2512 2018-12-26
JP2018242512 2018-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20A true KR20200080120A (en) 2020-07-06

Family

ID=7145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79A KR20200080120A (en) 2018-12-26 2019-09-26 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107330A (en)
KR (1) KR2020008012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3220B2 (en) 2020-09-18 2024-01-15 株式会社東芝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315A (en) 2005-03-04 2006-09-14 Aidekku:Kk Data entr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315A (en) 2005-03-04 2006-09-14 Aidekku:Kk Data ent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07330A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le Religious suicide in Islamic Asia: anticolonial terrorism in India,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US20200296230A1 (en) Method to create a secure distributed data validation system using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86667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 record processing
US8832546B2 (en) System for automatically filling in paper forms with electronic data
US102903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6190923B1 (en) Member information registration support system
KR20200080120A (en) Business form registration devic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business form registration
US201502545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0889406A (en) Exercise data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exercise data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exercise data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terminal
JP2006203283A5 (en)
US202303348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aware information extraction from electronic source documents
US20120053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multi-function device
EP4163923A1 (en) Vaccination data presentation method, vaccination data presentation system and vaccination data authentication server
JP2003091696A (en) Business undertaking system and business undertaking program
JP201819792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65574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08005238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80413A (en) Automatic input device of financial statement
JP7132590B2 (en) Reading history record system
CN110678887A (en) Name car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name car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20080177555A1 (en) Automated Voting District Generation Using Preexisting Geopolitical Boundaries
JP42785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22177771A (en) Novel corona vaccine pre-screening form storage system
JP200810285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gram
US20080263066A1 (en) Data management system, data registration device, data retrieval devi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