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819A -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819A
KR20200079819A KR1020180169406A KR20180169406A KR20200079819A KR 20200079819 A KR20200079819 A KR 20200079819A KR 1020180169406 A KR1020180169406 A KR 1020180169406A KR 20180169406 A KR20180169406 A KR 20180169406A KR 20200079819 A KR20200079819 A KR 2020007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power failure
state
reading inform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531B1 (ko
Inventor
엄태웅
김기홍
신수한
이영익
어경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6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5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검침 정보 획득부, 및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되,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정전 상태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ANALYZING STATE OF POWER OUT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및 복전을 분석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2.9kV의 특고압 전력을 수전받아 전력을 사용하는 특고압 고객은 안전하고 양질의 저압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전 설비로서, 자동고장구간개폐기(AISS), 계기용변성기(MOF), 파워퓨즈(PF), 진공차단기(VCB), 변압기, 기중차단기(ACB), 분기용 차단기(MCCB), 기타 보호계전기(OCR, OCGR, UVR, OVR), 비상발전기 연동 및 자동절체반(ATS), 정류기반과 같은 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전 설비 중 부족 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는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전압이 약 70% ~ 80% 이하로 떨어진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수용가의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상용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상용 전원의 정전으로 인해 부족 전압 계전기가 동작하여 VCB(Vacuum Circuit Breaker)와 같은 보호 계전기가 트립(trip)되는 경우 수용가는 정전(구내 정전)을 경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2626호(2013.04.09.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수용가에 발생하는 정전 상태를 수용가 또는 상용 전원의 관리자에게 그 유형별로 통지하여 정전 상태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복구 조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전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는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검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되,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정전 상태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수전 설비는 부족 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전 상태는, 상기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정전에 의해 상기 부족 전압 계전기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로부터 상기 검침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정전 상태 또는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 주기에 따라 설정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검침 정보에 대한 재검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침 정보는, 상기 검침 설비에 의해 계측되는 순시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용가에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상기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침 정보는, 상기 검침 설비에 의해 계측되는 순시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 대비 미리 설정된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된 경우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전류 이상으로 회복된 경우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수용가의 정전 상태를 상기 수용가의 관리자 및 상기 상용 전원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분석 결과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방법은 검침 정보 획득부가,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정전 상태 분석부가,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되,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관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정전에 대한 신속한 복구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정전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검침 설비를 기반으로 그 정전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정전 감시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인력 및 장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에서 제1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에서 제2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에서 제1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에서 제2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장치(1)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 정전 상태 분석부(200) 및 분석 결과 통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침 정보 획득부(100)는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METER)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용가는 수전 설비를 통해 22.9kV의 특고압 전력을 수전받아 전력을 사용하는 특고압 고객(예: 아파트,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고객)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로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수전 설비를 통해 공급받아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고객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가에 설치되는 수전 설비는 자동고장구간개폐기(AISS), 계기용변성기(MOF), 파워퓨즈(PF), 진공차단기(VCB), 변압기, 기중차단기(ACB), 분기용 차단기(MCCB), 기타 보호계전기(OCR, OCGR, UVR, OVR), 비상발전기 연동 및 자동절체반(ATS), 정류기반 등의 설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검침 설비(METER)는 순시전류 및 순시전압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계측하는 전력량계와, 전력량계에 의해 계측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뎀 및 통신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정보 획득부(100)는 검침 설비(METER)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정전 상태 분석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수용가에 발생할 수 있는 정전은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정전과,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동작으로 인해 야기되는 구내 정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내 정전은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될 수도 있고,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될 수도 있다. 구내 정전에 대한 적합한 후속 조치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구내 정전의 유형 파악이 선결되어야 하며, 이에 본 실시예에서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수용가에 발생한 구내 정전을 그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전 상태 분석부(200)가 제1 및 제2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정전 상태 분석부(200)가 제1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는 부족 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족 전압 계전기의 동작에 따라 트립코일(Trip Coil)에 트립 신호가 전송되어 VCB(Vacuum Circuit Breaker)가 차단됨으로써 의해 구내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정전 상태는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정전에 의해 부족 전압 계전기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정전 상태로 정의된다.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에 제1 정전 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수용가에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전류는 전술한 검침 설비(METER)(전력량계 및 통신모뎀)의 기동전류와 무부하 손실 전류의 합산값으로 정전 상태 분석부(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 0.005[A]).
즉, 상용 전원의 정전에 의해 부족 전압 계전기가 동작하여 제1 정전 상태가 발생한 후, 상용 전원이 복전된 상태에서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제1 기준전류 이하이면 부족 전압 계전기를 포함하는 수전 설비가 복구되지 않아 순시전류가 낮은 값으로 검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검침 설비(METER)를 통해 순시전류가 검침되지 않을 경우, 또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와 정전 상태 분석부(200)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1 정전 상태의 유지 가능성을 1차적으로 의심하여 설정 주기(예: 5분)에 따라 설정 시간(예: 30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하고, 재검침 결과 순시전류가 획득되면 해당 순시전류를 제1 기준전류와 비교하여 제1 정전 상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작업자의 수전 설비의 복구를 통해 제1 정전 상태가 복구되면,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정전 상태의 해소 여부를 검증할 수 있으며, 즉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면 제1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설정 주기(예: 5분)에 따라 설정 시간(예: 30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각 고객에 대하여 제1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의 예시를 보이고 있다. 고객 ①은 부족 전압 계전기의 동작에 의해 제1 정전 상태가 발생한 상태에서,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0.005[A](즉, 제1 기준전류)이하인 것으로 판단되어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 해당한다. 고객 ①-1은 삼상 순시전류 중 특정 상에 대한 결상이 발생한 상태에 해당한다. 고객 ② 및 ②-1은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아(30분 이상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또는 30분 이상 순시전류 검침에 실패한 경우) 제1 정전 상태가 의심되는 상태에 해당한다. 고객 ④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여 제1 정전 상태가 해소된 상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정전 상태 분석부(200)가 제2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2 정전 상태는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정전 상태로 정의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가의 각 부하(일반 부하, 동력 부하, 및 소화설비/비상조명 등)에 대응되는 각 VCB의 이상으로 인해 야기되는 정전 상태와, 검침 설비(METER)의 하단의 Main VCB의 이상으로 인해 야기되는 정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은 수전 설비의 자연적인 열화, 제작상의 결함, 침수 또는 화재 등으로 인해 수전 설비에 가해지는 이상을 의미한다.
먼저,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검침 설비(METER)를 통해 순시전류가 검침되지 않을 경우, 또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와 정전 상태 분석부(200)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2 정전 상태의 유지 가능성을 1차적으로 의심하여 설정 주기(예: 5분)에 따라 설정 시간(예: 30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하고, 재검침 결과 순시전류가 획득되면 해당 순시전류를 하기의 기준 감소율을 이용하여 제2 정전 상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즉, 직전 획득된 순시전류) 대비 미리 설정된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되지 않은 경우 제2 정전 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 대비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한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감소율은 제2 정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설계자의 의도 및 검침 설비(METER)의 사양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순시전류 대비 20% 이상 감소한 경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순시전류 대비 20% 이상 감소한 경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순시전류 대비 80% 이상 감소한 경우에는 제2 정전 상태가 Main VCB의 이상으로 인해 야기되는 수용가 전체 정전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고,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순시전류 대비 80% 이상 감소하지 않은 경우(즉,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순시전류 대비 20% 이상 80%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제2 정전 상태가 각 부하에 대응되는 VCB 중 일부의 이상으로 야기되는 수용가 일부 정전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작업자의 수전 설비의 복구를 통해 제2 정전 상태가 복구되면,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전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정전 상태의 해소 여부를 검증할 수 있으며, 즉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제2 기준전류를 초과하면 제2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기준전류는 제2 정전 상태의 해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동월 최대 순시전류의 50%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전 상태 분석부(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설정 주기(예: 5분)에 따라 설정 시간(예: 30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가 분석되면, 분석 결과 통지부(300)는 정전 상태 분석부(200)에 의해 분석된 수용가의 정전 상태를 수용가의 관리자(예: 수용가의 수전 설비 관리자) 및 상용 전원의 관리자(예: 국내의 경우 한국전력공사)에게 통지할 수 있다. 즉, 분석 결과 통지부(300)는 수용가에 발생한 제1 정전 상태 또는 제2 정전 상태를 그 복전 및 해소 여부와 함께 각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의 통지 방법으로는 수용가의 관리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TERMINAL1) 및 상용 전원의 관리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TERMINAL2)(각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단말 및 PC 등 사용자가 분석 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로 SMS 및 Pop-up 알람을 전송하는 방식, 또는 각 사용자 단말(TERMINAL1, TERMINAL2)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관리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검침 정보 획득부(100), 정전 상태 분석부(200) 및 분석 결과 통지부(300)를 포함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1)는 전술한 검침 설비(METER)로부터 그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는 원격 검침 서버에 그 기능이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 정전 상태 분석부(200) 및 분석 결과 통지부(300)로 분리된 구성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구성(100, 200, 300)이 하나의 서버로 통합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검침 정보 획득부(100)는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METER)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한다(S100).
이어서,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S100 단계에서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며, 구체적으로는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수용가에 제1 정전 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수용가에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제1 정전 상태의 유지 가능성을 1차적으로 의심하여 설정 주기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하고, 재검침 결과 순시전류가 획득되면 해당 순시전류를 제1 기준전류와 비교하여 제1 정전 상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설정 주기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S200 단계에서,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제2 정전 상태의 유지 가능성을 1차적으로 의심하여 설정 주기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하고, 재검침 결과 순시전류가 획득되면 기준 감소율을 이용하여 제2 정전 상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 대비 미리 설정된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되지 않은 경우 제2 정전 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 대비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한 경우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정전 상태 분석부(200)는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전류 이상으로 회복된 경우 제2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침 정보 획득부(100)에 의해 순시전류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설정 주기(예: 5분)에 따라 설정 시간(예: 30분) 동안 순시전류에 대한 반복적인 재검침을 수행할 수도 있다.
S200 단계 이후, 분석 결과 통지부(300)는 S200 단계를 통해 분석된 수용가의 정전 상태를 수용가의 관리자 및 상용 전원의 관리자에게 통지한다(S3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관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정전에 대한 신속한 복구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정전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검침 설비를 기반으로 그 정전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정전 감시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인력 및 장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METER: 검침 설비
1: 정전 상태 분석 장치
100: 검침 정보 획득부
200: 정전 상태 분석부
300: 분석 결과 통지부
TERMINAL1, TERMINAL2: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검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되,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정전 상태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설비는 부족 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전 상태는, 상기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정전에 의해 상기 부족 전압 계전기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로부터 상기 검침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정전 상태 또는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 주기에 따라 설정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검침 정보에 대한 재검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정보는, 상기 검침 설비에 의해 계측되는 순시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용가에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상기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정보는, 상기 검침 설비에 의해 계측되는 순시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 대비 미리 설정된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된 경우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전류 이상으로 회복된 경우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수용가의 정전 상태를 상기 수용가의 관리자 및 상기 상용 전원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분석 결과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장치.
  9. 검침 정보 획득부가, 전력 검침을 위해 수용가에 구비되는 검침 설비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정전 상태 분석부가,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되,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이상에 의해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제1 정전 상태, 및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수전 설비의 자체 이상으로부터 야기되는 제2 정전 상태로 분리하여 상기 수용가에 발생한 정전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설비는 부족 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전 상태는, 상기 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정전에 의해 상기 부족 전압 계전기가 동작함으로써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로부터 상기 검침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정전 상태 또는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 주기에 따라 설정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검침 정보에 대한 재검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정보는, 상기 검침 설비에 의해 계측되는 순시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상용 전원이 복전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전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용가에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상기 제1 기준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정보는, 상기 검침 설비에 의해 계측되는 순시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현재 획득된 현재 순시전류가 이전 획득된 이전 순시전류 대비 미리 설정된 기준 감소율 이상 감소된 경우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검침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순시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전류 이상으로 회복된 경우 상기 제2 정전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분석 결과 통지부가, 상기 정전 상태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수용가의 정전 상태를 상기 수용가의 관리자 및 상기 상용 전원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상태 분석 방법.
KR1020180169406A 2018-12-26 2018-12-26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27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06A KR102276531B1 (ko) 2018-12-26 2018-12-26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06A KR102276531B1 (ko) 2018-12-26 2018-12-26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819A true KR20200079819A (ko) 2020-07-06
KR102276531B1 KR102276531B1 (ko) 2021-07-13

Family

ID=7157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406A KR102276531B1 (ko) 2018-12-26 2018-12-26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5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88A (ko) * 2015-09-11 2017-03-21 한국전력공사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용 전자식 전력량계 및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 방법
KR101826134B1 (ko) * 2017-07-07 2018-02-06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88A (ko) * 2015-09-11 2017-03-21 한국전력공사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용 전자식 전력량계 및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 방법
KR101826134B1 (ko) * 2017-07-07 2018-02-06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531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5522B2 (en) Low fault current isolator system
RU26224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101003814B1 (ko)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AU9746401A (en) Loop restoration scheme for distribution feeders
CN107918096A (zh) 一种变电站常规配出线保护装置试验方法
Key et al. On good behavior: Inverter-grid protections for integrating distributed photovoltaics
JP2017123705A (ja) 分電盤監視システム、分電盤およびそれらに設置可能な分電盤監視装置
KR101826134B1 (ko)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US11342739B2 (en) Monitoring and protection device of power distribution transformers on the low voltage side
KR101151559B1 (ko)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162179A (zh) 一种配电网线路故障定位方法及其系统
KR102276531B1 (ko)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CN115980438A (zh) 变电站双母线电能计量电压获取方法及系统
KR102579941B1 (ko) 스마트 파력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결상위치 검출 및 차단이 용이한 전력설비 보호용 수배전반
KR20210042598A (ko) 전력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elfanti et al. Coordination of interface protection systems for DG applications in MV distribution networks
Pickett et al. Reducing outages through improved protection, monitoring, diagnostics, and autorestoration in transmission substations—(69 kV and above)
Russell et al. Reliability improvement of distribution feeders through real-time, intelligent monitoring
Ahmed et al. Customized fault management system for low voltage (LV)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20200091977A (ko) 수용가 구내 정전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113181B1 (ko)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ostolov et al. Maintenance testing of multifunctional distance protection ieds
JP2021100355A (ja) 漏電量検知システム、自動保守点検システム及び漏電量検知方法
KR20180023661A (ko) 정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532925B1 (ko) 배전자동화기반의 비접지계 지락고장구간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