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778A -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778A
KR20200079778A KR1020180169317A KR20180169317A KR20200079778A KR 20200079778 A KR20200079778 A KR 20200079778A KR 1020180169317 A KR1020180169317 A KR 1020180169317A KR 20180169317 A KR20180169317 A KR 20180169317A KR 20200079778 A KR20200079778 A KR 20200079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backrest
angle
driving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대
Original Assignee
(주)메디칼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칼드림 filed Critical (주)메디칼드림
Priority to KR102018016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778A/ko
Publication of KR2020007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에 안마기능을 부여하고 실린더의 작동으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다리의 상부에 좌판이 연결되되 좌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좌판 받침대와, 상기 좌판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등받이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한 등받이 받침대와, 상기 좌판 받침대와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어 등받이 받침대를 회전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등받이의 정면에 구비되어 안마가 이루어지는 안마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CHAIR FOR ANGLE ADJUSTING AND MASSAGE OF SEAT BACK}
본 발명은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에 안마기능을 부여하고 실린더의 작동으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리와, 상기 좌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와, 상기 좌판과 등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장치에는 높이조절레버와 각도조절레버 및 로킹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높이조절레버를 조작하여 좌판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한편 각도조절레버를 조작하면 로킹부재가 로킹되거나 또는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등판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각도는 조절 범위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대개의 것은 단지 스프링에 의해 일정 범위로만 조절되는 것인데, 이것도 사용자의 체중을 등받이에 실어 뒤로 밂으로써 가능하였던 것이며, 일어서게 되면 원상으로 복귀하는 형식의 것이었다. 즉, 원하는 각도로 등받이를 기울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편히 쉬기에는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 있는 기능만 주어지게 됨으로써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31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안마기능과 함께 등받이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하고 부드럽게 작동됨으로써 기능의 다양화로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는 다리의 상부에 좌판이 연결되되 좌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좌판 받침대와, 상기 좌판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받침대와, 상기 좌판 받침대와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어 등받이 받침대를 회전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등받이의 정면에 구비되어 안마가 이루어지는 안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좌판의 하부와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바와, 상기 등받이 받침대와 좌판에 연결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등받이 받침대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볼트 및 너트로 연결대와 연결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등받이 받침대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되도록 도넛 형태의 회전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판 받침대의 측부에 구비되어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는 팔걸이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좌판 받침대의 측면에 구비되며 좌우로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팔걸이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고 가이드홈에 끼워져 등받이 받침대의 각도 조절에 따라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바를 받쳐줄 수 있도록 '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마기는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개구부가 형성되고 외형을 이루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에 수납되고 제1 및 제2개구부 각각을 통해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안마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안마하는 제1안마모듈과, 상기 커버 프레임에 제1안마모듈 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납되고 제1 및 제2개구부 각각을 통해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안마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등 부위를 안마하는 제2안마모듈과, 상기 커버 프레임 내부에 수납되며 제1 및 제2개구부와 평행하게 연결되어 제1 및 제2안마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마모듈은 커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의 정면 양쪽에 구비되되 제1회전판의 정중앙이 아닌 한쪽으로 제1안마볼이 치우쳐서 구비되어 안마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복수개의 제1안마부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1안마부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제1안마부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의 구동력을 제1안마부에 전달하는 제1구동전달부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1안마모듈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력을 가이드레일에 전달하는 제2구동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마모듈은 커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정면 양쪽에 한 쌍씩 구비된 복수개의 제2안마부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2안마부를 구동하는 제3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와 제2안마부에 연결되어 제2구동부의 구동력을 제2안마부에 전달하는 제2구동전단부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2안마모듈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4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의 구동력을 가이드레일에 전달하는 제4구동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마부는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되 상단면이 경사지게 구비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경사면에 밀착되며 제2안마볼이 연결되어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는 제2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에 의하면, 좌판의 좌판 받침대 하부에 등받이 받침대와 연결되어 등받이의 각도를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하고, 등받이에 사용자의 목 부위와 등 부위를 안마할 수 있는 안마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 및 제품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저면도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안마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안마기의 커버 프레임을 제거한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제1안마모듈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제2안마모듈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제2안마모듈의 제2안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저면도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의 안마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안마기의 커버 프레임을 제거한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따른 제1안마모듈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따른 제2안마모듈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제2안마모듈의 제2안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는 좌판 받침대(100)와, 등받이 받침대(200)와, 각도조절부(300)와, 가이드부(400)와, 안마기(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좌판 받침대(100)는 다리(30)의 상부에 연결되는 좌판(10)을 연결하기 위해 좌판(10)의 하부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등받이 받침대(200)는 등받이(20)를 지지하며, 상기 좌판 받침대(10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받침대(200)는 좌판 받침대(100)와 힌지(h)로 연결되며, 하단부가 각도조절부(300)와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좌판 받침대(100)와 등받이 받침대(200)에 연결되어 힌지(h)를 축으로 등받이 받침대(200)를 회전시켜 등받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실린더(310)와, 조절바(320)와, 스토퍼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310)는 좌판(10)의 하부와 등받이 받침대(200)에 연결되어 등받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310)는 한쪽이 좌판(10)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편(340)에 연결되며, 다른 쪽이 등받이 받침대(200)의 끝단에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조절바(320)는 연결편(340)에 실린더(310)와 연결되어 실린더(31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330)는 등받이 받침대(200)와 좌판(10)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등받이(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330)는 연결대(331)와, 스토퍼(332)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연결대(331)는 좌판(1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332)는 연결대(331)와 등받이 받침대(200)에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32)는 연결대(331)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되는 끼움홈(331a)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 받침대(200)에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도넛 형태의 회전편(331b)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31a)은 연결대(331)에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되면서 등받이(2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타원형태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좌판(10)과 등받이 받침대(200)에 스토퍼부(330)를 연결하고 상기 스토퍼(332)가 연결대(331)에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되는 끼움홈(331a)이 타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받침대(200)에 연결되는 회전편(331b)이 도넛 형태로 이루어져 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등받이(20)의 각도가 조절될 때 등받이(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좌판 받침대(100)와 팔걸이(40)에 구비되어 등받이(20)가 회전될 때 팔걸이(4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양쪽의 좌판 받침대(100)와 팔걸이(40)에 각각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0)는 가이드부재(410)와, 팔걸이(40)에 구비된 가이드바(4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좌판 받침대(10)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10)에는 좌,우로 길게 가이드홈(4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가이드홈(411)에 끼워지는 가이드바(420)를 받쳐주어 가이드바(42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ㄴ'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좌판 받침대(100)에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피스로 체결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420)는 팔걸이(40)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411)에 끼워져 등받이 받침대(200)의 각도 조절에 따라 가이드홈(411)을 따라 가이드되어지게 된다.
상기 안마기(500)는 등받이(20)의 정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와 등 부위를 안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마기(500)는 신체의 등 부위의 형상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9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안마기(500)는 커버 프레임(510)과,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과, 가이드레일(550)과 제어부(56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510)은 등받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안마기(500)의 외형을 이루며, 외부에 완충제, 가죽 등을 씌워서 등받이(2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510)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제1 및 제2개구부(511,51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511,512)는 신체의 등 부위에서 척추 라인을 따라 양 옆으로 배열된 근육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511,512)의 좌우 방향은 커버 프레임(510)에 의해 차단되지만, 상하 방향은 오픈(open)되도록 연장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5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는 후술할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 및 가이드레일(550)이 수납되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 프레임(510)의 내부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고정 프레임(5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 및 가이드레일(550)은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는 상부에 제1감쇠부(521)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3감쇠부(5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3감쇠부(521,522)는 후술할 제1안마모듈(530)의 제1센서부(537) 및 제2안마모듈(540)의 제3센서부(548)와 각각 접촉하며, 접촉시 접촉 충격을 완화하고 접촉시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의 움직임을 중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안마모듈(530) 및 제2안마모듈(540)은 상기 커버 프레임(510)의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상기 제1안마모듈(530)이 상기 제2안마모듈(540) 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안마모듈(530)이 제2안마모듈(540)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목 부위를 안마하게 되며, 상기 제2안마모듈(540)이 제1안마모듈(530) 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등 분위를 안마하게 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안마모듈(530)은 제1베이스 프레임(531)과, 제1안마부(532)와, 제1구동부(533)와, 제2구동부(534)와, 제1구동전달부(535)와, 제2구동전달부(536)와, 제1센서부(537)와, 제2감쇠부(538)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531)은 커버 프레임(510)의 내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안마모듈(530)의 기본 몸체를 구성하며, 후술할 제1구동부(533), 제2구동부(534), 제1안마부(532), 제1구동전달부(535) 및 제2구동전달부(536)가 조립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5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안마부(532)도 동시에 이동하여 필요한 위치에서 안마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안마부(532)는 제1베이스 프레임(531)의 정면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회전판(532a)과, 상기 각각의 제1회전판(532a)에 제1 및 제2개구부(511,512)를 각각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제1안마볼(532b)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마볼(532b)은 제1회전판(532a)에 구비되되 안마 부위를 넓힐 수 있도록 제1회전판(532a)의 정중앙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안마볼(532b)이 제1회전판(532a)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회전판(532a)의 회전에 따라 제1안마볼(532b)이 회전될 때 일정 위치에서 회전되지 않고 원을 그리면서 회전되어 사용자 목 부위의 넓은 면적을 안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구동부(533)는 제1베이스 프레임(53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1안마부(532)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구동전달부(535)는 제1베이스 프레임(53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1구동부(53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제1안마부(532)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533)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동전달부(535)는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구동부(533)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제1안마부(532)에 동일하게 전달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제1안마부(532)는 동일한 구동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면서 신체를 안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구동부(534)는 제1베이스 프레임(53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1안마모듈(5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전달부(536)는 제1베이스 프레임(53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2구동부(534)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가이드레일(55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안마모듈(530)은 상기 가이드레일(55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한 안마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534)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구동전달부(536)는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구동부(534)가 제1안마모듈(530)의 이동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 즉 상기 이동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2구동부(534)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550)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어 상기 제2구동전달부(535)에 사용되는 기어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제2구동부(534)에서 상기 제2구동전달부(535)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1센서부(537)는 제1감쇠부(521)의 위치와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531)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마모듈(530)이 상부 방향으로 지나치게 많이 움직이지 않도록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센서부(537)가 제1감쇠부(521)와 접촉하면, 상기 제1감쇠부(521)는 접촉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상기 제1안마모듈(530)의 위치를 센싱하므로 상기 제1안마모듈(530)이 상부 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접촉 센싱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부(537)의 전류가 제1감쇠부(521)를 통해 별도의 제어 판단부(도시하지 않음)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감쇠부(538)는 제1베이스 프레임(531)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다 서로 접촉하는 경우, 접촉의 충격을 방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감쇠부(538)는 제2안마모듈(540)의 상면에 제2감쇠부(538)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센서부(547)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이 서로 접촉된 것을 센싱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촉의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감쇠부(538)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감쇠부(538)와 제2센서부(547)가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이 서로 접촉된 것으로 센싱되면 상기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 각각은 상,하 방향의 이동 동작이 중단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제어된댜.
도 9 내지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제2안마모듈(540)은 제2베이스 프레임(541)과, 제2안마부(542)와, 제3구동부(543)와, 제4구동부(544)와, 제3구동전달부(545)와, 제4구동전달부(546)와, 제2센서부(547)와, 제3센서부(548)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541)은 커버 프레임(510)의 내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안마모듈(540)의 기본 몸체를 구성하며, 후술할 제3구동부(543), 제4구동부(544), 제2안마부(542), 제3구동전달부(545), 제4구동전달부(546)가 조립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5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안마부(542)도 동시에 이동하여 필요한 위치에서 안마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안마부(542)는 제2베이스 프레임(541)의 정면 양쪽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511,512)를 각각 관통하여 돌출되어 제1 및 제2개구부(511,5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제2안마부(542)는 제2베이스 프레임(541)의 정면에 구비되는 연결구(542a)와, 상기 연결구(542a)에 연결되는 제2회전판(542b)과, 상기 제2회전판(542b)의 정면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제2안마볼(542c)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542a)는 상단면이 기울어서 경사(S)지게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2회전판(542b)은 연결구(542a)의 경사(S)면에 밀착되어 제2베이스 프레임(541)의 상단면과 평행되지 않고 기울어서 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제2회전판(542b)이 연결구(542a)의 경사(S)면에 밀착되면서 제2베이스 프레임(541)과 각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제3구동부(543)의 구동에 따라 제2회전판(542b)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2안마볼(542c)은 제2회전판(542b)의 상부 양쪽에 복수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판(542b)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등 부위를 안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쪽의 제2안마볼(542c)이 제2회전판(542b)의 회전으로 회전될 때 돌출 범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신체에 전달되는 힘이 지속적으로 변하여 안마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구동부(543)는 제2베이스 프레임(54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2안마부(542)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3구동전달부(545)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54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3구동부(54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제2안마부(542)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구동부(543)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3구동전달부(545)는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3구동부(543)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상기 제2안마부(542)에 동일하게 전달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제2안마부(542)는 동일한 구동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면서 신체를 안마하게 된다.
상기 제4구동부(544)는 제2베이스 프레임(54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2안마모듈(54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4구동전달부(546)는 제2베이스 프레임(541) 상에 배치 및 조립되며, 상기 제4구동부(544)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가이드레일(55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2안마모듈(540)은 상기 가이드레일(55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한 안마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4구동부(544)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구동전달부(546)는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구동부(544)가 제2안마모듈(540)의 이동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 즉 상기 이동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4구동부(544)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550)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어 상기 제4구동전달부(546)에 사용되는 기어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제4구동부(544)에서 상기 제4구동전달부(546)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2센서부(547)는 제2감쇠부(538)의 위치와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541)의 상면에 구비되며, 기능 및 구조에 대하여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3센서부(548)는 상기 제3감쇠부(522)와 접촉하도록 제2베이스프레임(541)의 하면에 구비되며, 기능 및 구조에 대하여는 상기 제1감쇠부(521) 및 제1센서부(537)의 설명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3센서부(548) 및 제3감쇠부(522)가 접촉되면, 상기 제2안마모듈(540)은 하부 방향으로 동작이 중단되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50)은 커버 프레임(510)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511,51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550)에는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이 연결되며, 상기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은 가이드레일(55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50)이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의 한쪽 측면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레일(550)은 다른 측면,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511,512) 사이의 중앙, 또는 양쪽 측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60)는 외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안마모듈(530,540) 각각의 위치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좌판(10)을 받치는 좌판 받침대(100)와 등받이(20)를 받치는 등받이 받침대(200)에 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등받이(20)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0)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바(320)의 조작으로 실린더(310)를 작동시켜 등받이(20)의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판(10)과 등받이 받침대(200)에 스토퍼부(330)를 연결하게 됨으로써 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좌판(10)으로부터 뒤로 젖혀지게 되는 등받이(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등받이(20)의 위치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 받침대(100) 측부에 가이드부재(41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가이드홈(411)에 가이드바(420)가 끼워져 등받이(2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가이드바(420)가 가이드홈(411)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어 상기 가이드부(400)에 의해 등받이(20)의 좌,우로 흔들리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젖혀지거나 당겨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판(10)과 등받이(20)에 실린더(310)와 스토퍼부(330) 및 가이드부(400)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310)와 스토퍼부(330) 및 가이드부(400)에 의해 상기 등받이(20)의 각도 조절 동작이 느리게 이루어져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등받이(20)의 상부와 하부에 사용자의 목 부위와 등 부위를 안마할 수 있는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안마모듈(530)과 제2안마모듈(540)이 가이드레일(55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 부위 및 등 부위의 넓은 범위를 임의의 위치에서 안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 해소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안마부(532)의 제1안마볼(532b)이 제1회전판(532a)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판(532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1안마볼(532b)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되어 목 부위를 넓게 안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마모듈(540)의 제2안마부(542)를 제2베이스 프레임(541)의 정면에서 경사(S)지게 구비함으로써 제2회전판(542b)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제2안마볼(542c)이 서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되어 돌출 간격을 서로 달라 상기 제2안마모듈(540)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안마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좌판 20 : 등받이
30 : 다리 40 : 팔걸이
100 : 좌판 받침대 200 : 등받이 받침대
300 : 각도조절부 310 : 실린더
320 : 조절바 330 : 스토퍼부
331 : 연결대 331a : 끼움홈
331b : 회전편 332 : 스토퍼
340 : 연결편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부재 411 : 가이드홈
420 : 가이드바 500 : 안마기
510 : 커버 프레임 511 : 제1개구부
512 : 제2개구부 520 : 고정 프레임
521 : 제1감쇠부 522 : 제3감쇠부
530 : 제1안마모듈 531 : 제1베이스 프레임
532 : 제1안마부 532a : 제1회전판
532b : 제1안마볼 533 : 제1구동부
534 : 제2구동부 535 : 제1구동전달부
536 : 제2구동전달부 537 : 제1센서부
538 : 제2감쇠부 540 : 제2안마모듈
541 : 제2베이스 프레임 542 : 제2안마부
542a : 연결구 542b : 제2회전판
542c : 제2안마볼 543 : 제3구동부
544 : 제4구동부 545 : 제3구동전달부
546 : 제4구동전달부 547 : 제2센서부
548 : 제3센서부 550 : 가이드레일
560 : 제어부 h : 힌지
B : 볼트 N : 너트

Claims (11)

  1. 다리의 상부에 좌판이 연결되되 좌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좌판 받침대;
    상기 좌판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받침대;
    상기 좌판 받침대와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어 등받이 받침대를 회전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의 정면에 구비되어 안마가 이루어지는 안마기;를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좌판의 하부와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바; 및
    상기 등받이 받침대와 좌판에 연결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와 등받이 받침대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볼트 및 너트로 연결대와 연결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등받이 받침대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되도록 도넛 형태의 회전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받침대의 측부에 구비되어 등받이 받침대에 연결되는 팔걸이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좌판 받침대의 측면에 구비되며 좌우로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팔걸이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고 가이드홈에 끼워져 등받이 받침대의 각도 조절에 따라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바를 받쳐줄 수 있도록 '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기는,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개구부가 형성되고 외형을 이루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에 수납되고 제1 및 제2개구부 각각을 통해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안마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안마하는 제1안마모듈;
    상기 커버 프레임에 제1안마모듈 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납되고 제1 및 제2개구부 각각을 통해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안마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등 부위를 안마하는 제2안마모듈; 및
    상기 커버 프레임 내부에 수납되며 제1 및 제2개구부와 평행하게 연결되어 제1 및 제2안마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마모듈은,
    상기 커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의 정면 양쪽에 구비되되 제1회전판의 정중앙이 아닌 한쪽으로 제1안마볼이 치우쳐서 구비되어 안마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복수개의 제1안마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1안마부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와 제1안마부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의 구동력을 제1안마부에 전달하는 제1구동전달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1안마모듈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력을 가이드레일에 전달하는 제2구동전달부;를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마모듈은,
    상기 커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정면 양쪽에 한 쌍씩 구비된 복수개의 제2안마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2안마부를 구동하는 제3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 제2안마부에 연결되어 제2구동부의 구동력을 제2안마부에 전달하는 제2구동전단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제2안마모듈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4구동부; 및
    상기 제4구동부의 구동력을 가이드레일에 전달하는 제4구동전달부;를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마부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되 상단면이 경사지게 구비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경사면에 밀착되며 제2안마볼이 연결되어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는 제2회전판;을 포함하는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KR1020180169317A 2018-12-26 2018-12-26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KR20200079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17A KR20200079778A (ko) 2018-12-26 2018-12-26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17A KR20200079778A (ko) 2018-12-26 2018-12-26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778A true KR20200079778A (ko) 2020-07-06

Family

ID=7157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317A KR20200079778A (ko) 2018-12-26 2018-12-26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7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768A (zh) * 2020-12-28 2021-04-30 吴雅琼 一种具有可调节功能的按摩椅
CN112842856A (zh) * 2021-02-20 2021-05-28 彭大勇 一种可调节角度的脊柱恢复椅
KR102485939B1 (ko) * 2022-03-30 2023-01-11 주식회사 솔로몬 듀얼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사무용 안마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313Y1 (ko) 2005-02-01 2005-04-18 이원우 의자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313Y1 (ko) 2005-02-01 2005-04-18 이원우 의자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768A (zh) * 2020-12-28 2021-04-30 吴雅琼 一种具有可调节功能的按摩椅
CN112842856A (zh) * 2021-02-20 2021-05-28 彭大勇 一种可调节角度的脊柱恢复椅
KR102485939B1 (ko) * 2022-03-30 2023-01-11 주식회사 솔로몬 듀얼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사무용 안마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628B2 (en) Office, work and leisure chair and retrofit kit for a chair or a seat surface for causing subliminal movements of the person sitting thereon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20200079778A (ko) 등받이 안마 및 각도조절 가능한 의자
US20070035164A1 (en) Adjustable chair station and method of use
US10973723B2 (en) Dental treatment machine with a retractable backrest for children
KR101150304B1 (ko) 안마의자
WO2004110218A1 (en) Seat apparatus having variable gap
KR20190000364U (ko) 조절 가능한 머리부 받침판을 구비한 전동침대
KR20120009488A (ko) 슬라이딩 복부 운동 기구
JP201223587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1374570B1 (ko) 기능성 의자
JP6833170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494753Y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CN112057291B (zh) 一种用于脊柱前凸的支撑装置
KR101203255B1 (ko) 좌식 3차원 척추 운동 장치
CN111616849A (zh) 一种人体用防脊柱曲度变形装置
KR20200079779A (ko) 안마기능이 부여된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구조
RU22901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поля земли на организм человека
WO2019159811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11690778B2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and massage machine
KR102657728B1 (ko) 안마장치
CN213075093U (zh) 一种椅子
JP2019141571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1589156B1 (ko)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JP2020195713A (ja) マッサージ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