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404A -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404A
KR20200079404A KR1020180168844A KR20180168844A KR20200079404A KR 20200079404 A KR20200079404 A KR 20200079404A KR 1020180168844 A KR1020180168844 A KR 1020180168844A KR 20180168844 A KR20180168844 A KR 20180168844A KR 20200079404 A KR20200079404 A KR 20200079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program
exercise program
user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학래
Original Assignee
(주)맵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맵핏 filed Critical (주)맵핏
Priority to KR102018016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404A/ko
Publication of KR2020007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별 신체 특성 및 운동 목적을 이용하여 이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상황에 따라 실행 가능한 운동 프로그램을 대체 제시하며, 운동방법에 대해 안내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신장, 병력, 1RM, 체형, 평균 수면시간의 신체 특성 정보와, 기구의 사용 여부, 유산소/무산소 운동 중 선호하는 운동, 집중 운동부위의 선호 운동 정보와, 체중 조절, 체형 보정, 체력 단련, 재활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운동 목적 정보와, 운동 가능 빈도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사항을 분석하여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운동 프로
그램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서 음성 또는 3D 영상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운동 부위, 운동 방법,수행시간, 주의사항을 안내하는 트레이닝단계를 포함한다.
대표도- 도5a

Description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Personal Health Training Method}
본 발명은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별 [0001] 신체 특성 및 운동 목적을 이용하여 이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상황에 따라 실행 가능한 운동 프로그램을 대체 제시하며, 운동방법에 대해 안내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은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에서 체력을 단련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에서는 개인별 특성에 따른 과학적인 맞춤운동을 제공하지 못하고 단지 트레이너의 개인적 경험에 따라서 대략적인 운동 방법이나 운동 기계 사용법만을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며,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헬스 지도
인하여, 운동자가 운동을 지루하게 느끼게 하고, 운동 효율과 의욕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처방을 위하여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에서 1:1 헬스 트레이닝 프로그램을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1:1 헬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의 개인 트레이너에 의해 이루어지며, 운동자의 체력, 신체 특성이나 운동 기호를 고려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운동에 도움이 된다.
[0004]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헬스 트레이닝은 전문 헬스 트레이너를 통해 제공되므로, 고비용의 부담이 있다.
또한, 시간의 제약으로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에 직접 방문하지 못하고, 운동 기구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헬스 트레이닝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활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개인별 신체 특성 및 선호 운동, 운동 목적 등을 고려하여 개인별로 가장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계획된 운동을 수행하도록 보조하는데 목적이있다.
이밖에도,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운동방법 및 기구 사용법을 안내하여, 효율적인 운동을 수행하도록보조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신장, 병력, 1RM, 체형, 평균 수면시간의 신체 특성 정보와, 기구의 사용 여부, 유산소/무산소 운동 중 선호하는 운동, 집중 운동부위의 선호 운동 정보와, 체중 조절, 체형 보정, 체력 단련, 재활 중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운동 목적 정보와, 운동 가능 빈도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사항을분석하여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운동프로그램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게 운동 부위, 운동 방법, 수행시간, 주의사항을안내하는 트레이닝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입력단계에서는 기본 운동기구 또는 기본 운동방법으로 측정한 1RM만을 입력하고,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는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제공되는각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 권장 중량은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기본 운동기구 또는 기본 운동방법의 1RM에 각 운동기구 또는 각 운동방법별 가중치를 곱하여 1RM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을 기초로, 운동 목적이 체중감량인 경우,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50%를 권장중량
으로 하며, 운동 목적이 근력강화인 경우,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60~70%를 권장중량으로 하고, 운동 목적이체력강화인 경우,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50%을 권장중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계(S100)에서는 집중 운동부위의 신체치수 정보와 목표 신체치수 정보의 입력을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또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은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 또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에서, 이전 회의 운동 프로그램과 연속성 있는 다른 운동 프로그램을다음 회에 제공하도록, 이전에 제공되었던 운동 프로그램 또는 제공되었던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선택한 운동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 컨디션, 운동 가능 시간, 운동공간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목표한 운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는 추가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닝단계에서,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는 음성안내, 3D 이미지 안내, 3D 동영상안내, 문자 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각 운동의 시작 시부터 완료 시까지 실제 운동 시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는 해당회차의 운동에 대한 안내와, 운동부위별, 운동기구별 안내가 카테고리화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입력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신장, 병력, 1RM, 체형, 평균 수면시간의신체 특성 정보와, 기구의 사용 여부, 유산소/무산소 운동 중 선호하는 운동, 집중 운동부위의 선호 운동 정보와, 체중 조절, 체형 보정, 체력 단련, 재활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운동 목적 정보와, 운동 가능 빈도가 입력되고,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사항을 분석하여 서버에 구비된 운동 프로그램 제공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단말기로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것을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 PDA, IP TV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신체 특성 정보, 선호 운동 정보, 운동 목적 정보, 운동 가능 빈도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로부터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 단말기이거나 별개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입력단계(S100),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 트레이닝단계(S300)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통해제공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을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따르면, 각 개인별 신체특성 과 선호 운동, 운동 목적에 따라 체력단련이나 다이어트를 위한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의욕이 고취되고, 지루하지 않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서는 저비용으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목표한 운동이 가능하므로, 시간을 내어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노력과 그에 따른 운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한편,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운동방법 및 기구 사용법을 안내하므로, 올바른 방법으로 운동을 지도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사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산정된 1RM과 기구별 권장중량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일차별로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나타낸 개략적인 예시표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나타낸
개략적인 예시표이다.
]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부위별 기본 운동 프로그램이 이에 대응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
을 나타낸 개략적인 예시표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운동 안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0026]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은 입력단계(S100),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 트레이닝단계(S300)를 포함한다. 개인의 신체정보, 선호 운동 및 운동 목적을 입력하는 입력단계(S100)에서는도 2와 같이, 개인의체력수준, 기초적인 건강상태, 연령, 운동의 목적 등을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바와 같이, 성별, 연령, 체중, 신장, 운동 목적, 운동 가능 빈도, 병력, 1RM뿐 아니라, 체형, 평균 수면시간,선호 운동, 집중 운동부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사항은 후술할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에서각 개인별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상기 입력사항 중, 1RM은 근육의 1회 최대 수축을 통해 생성되는 힘으로, 개인이 최대한 들 수 있는 무게를 말한다. 여기서 RM(Repetition Maximun)은부하강도이다. 이러한 RM은 근육 운동 시에 각 기계별로 어떤 무게로운동할 것인지의 기준이 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첫째는, 반복측정에 의한 직접 측정법이다. 먼저, ① 20분 동안 기본적인 스트레칭을 한다. ② 개인의 최대무게를 찾을 때까지 반복적인 측정방법으로 중량부하를 증가시킨다. ③ 매 1회 측정 후 5분 동안 휴식을 취한뒤 다시 실시한다. ④ 선택한 무게를 1회만 들어올린다. ⑤ 1회를 성공적으로 들 수 있는 중량을 1RM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반복측정 방법을 이용하면 간단히 1RM을 측정할 수 있으며, 최대능력으로 측정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매 측정 시 실시자가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반복 측정 간에 휴식시간을 잘 설정하여 측정을실시해야 하며, 과부하에 의한 상해 발생에 주의하여야 한다.
둘째로, 간접방법에 의한 측정법이 있다. 이 방법은 중량과 반복횟수를 이용하여 중량부하(운동부하)를 7~8회반복하여 들 수 있는 경우에, 운동부하(Weight : W)와 반복횟수(Repetition : R)를 아래 공식에 대입함으로써1RM을 산출한다.
] W1 = W × 0025 × R
1RM = W + W1
] 예를 들어, 70kg의 무게로 기구를 8번 들었을 경우에는 W1은 70 × 0025 × 8 = 14이고, 1RM는 70 + 14 = 84이다. 즉, 이 경우에 운동자가 1회 최대 들 수 있는 무게는 84kg이 된다.
1RM 값은 각 기구별, 운동별로 운동 부위에 따라 그 값이 상이하므로, 이상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각기구별, 운동별 1RM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구별, 운동별 1RM을 각각 측정하기 어려울 때는지정된 기본 운동기구 및 기본 운동방법에서 1RM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운동기구 및 운동방법별 1RM을
산정한 후, 자신에게 맞는 운동목적 및 운동량에 해당되는 프로그램 권장중량을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스트 프레스 머신이 기준 운동기구로 지정된 경우, 체스트 프레스 머신으로 측정한 1RM을 기준으로 각 운동기구나 운동방법별 가중치를 곱하여, 1RM(기준중량)을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가중치는 부위별 근육량, 운동방법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운동목적에 따라서, 운동기구별, 운동방법별로 직접 측정되거나 산정된 1RM을 기초로 운동할 수 있는 권장중량 및 횟수 등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중감량이 목적인 경우 해당 운동기구에서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50% 중량으로, 20 ~ 25회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근력강화가 목적인 경우 1RM의 60 ~ 70% 중량으로 10회 내외, 체력강화가 목적인 경우, 1RM의 50% 중량으로 12 ~ 15회 (1RM × 50%) 운동하는 프로그램이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RM 측정 시에 70kg의 무게로 체스트 프레스 머신을 8번 들었을 경우에는 1RM는84kg이고, 비만 운동자가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운동한다면 체스트 프레스 머신 운동 시에 1RM의 50% 중량인42kg으로 20회 ~ 25회 씩 3세트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36] 도 3a 및 도 3b에는 체스트 프레스 머신을 기준 운동으로하여 측정된 1RM을 바탕으로 다른 기구들의 1RM(기준중량) 및 프로그램 권장중량을 산정한 예시표가 나타나 있다. 먼저, 도 3a에는 운동자가 남자인 경우, 체스트프레스 머신을 기준 운동으로하여 40kg을 10회 운동했을 때의 다른 기구들의 프로그램 권장중량이 예시적으로나타나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서는 체스트 프레스 머신에서 40kg으로 10회 운동했으므로, 측정한 1RM이
50kg이 된다. 이때, 체스트 프레스 머신의 1RM인 50kg에 기구별 가중치 20%를 반영한 기준중량 10kg이 얼터네이트 덤벨 컬의 1RM(기준중량)으로 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다른 입력사항 즉, 성별, 운동횟수, 체중, 운동 목적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권장중량을 계산할 수 있는데, 보통은 기준중량이 프로그램 권장중량이되며, 체중이 늘거나, 운동반복 횟수가 줄거나 근력 강화 목적인 경우라면 프로그램 권장중량이 증가할 수있다. 도 3b는 운동자가 여자인 경우 각 기구별 프로그램 권장중량과 기준중량을 나타낸다. 체스트 프레스 머신에서 20kg으로 20회 운동했을 때의 1RM이 30kg이며, 도 3a에서와 마찬가지로 기구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산정된 기구별 1RM(기준중량)과 운동목적, 컨디션 등에 의해 계산된 기구별 프로그램 권장중량이 표시되어 있다.운동기구 및 운동방법별 프로그램 권장중량 산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목적을 [0037] 고려할 수도 있지만, 각 운동기기 및 운동법에 대한 남, 녀의 차이, 운동 숙련도에 따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1RM 대비 프로그램 권장중량비율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가입력단계(S210)에서 입력되는 운동자의 운동 당시의 컨디션 등을 고려하도록 할 수도 있다.[0038] 이와 같은, 1RM 등의 사용자 입력사항은 운동 프로그램 제공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에서 결과물로 출력된다. 즉, 개인별 입력사항에 따라 개인의 신체 특성 및 목표에 따른 운동량, 운동종류 등이 분석되고, 이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이 도 4와 같이 제공된다. 도 4는 1~3일 차의 운동 프로그램을 리스트로 제공한 일례이다. 도 4의 (a), (b), (c)에서 보듯이 각 일차별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의 종류와 해당 운동별 세트수(Set) 및 각 세트당 동작 반복횟수(Reps), 권장중량(kg)을 제공한다. 도 4에는 각 일차별로 하나씩의 운동 프로그램만이 제공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같은 운동 효과를갖는 여러 개의 운동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도 있다.
[0039] 또한, 사용자는 운동 기구가 갖추어진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에서 운동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운동프로그램을 따르면 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으로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할 여건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대체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체 운동 프로그램의 예시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나 있다. 먼저, 도 5a는 사용자로부터 “남, 18~30세, 72kg, 체중감량 목적, 주 1~2회 운동”을 입력받은 경우, 이에 따른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나타낸 표이다. 표에서 보듯이, 기구 없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준비 운동, 스트레칭 등의 운동은 별도의 대체 운동이 없을 수도 있으며, 헬스클럽이나 스포츠 센터에만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다른 장소에서는 하기 어려운 운동의 경우 기구 없이도 같은 효과를낼 수 있는 대체 운동이 제시되어 있다. 즉, 표의 좌측에 기재된 기본 운동 프로그램 중, 체스트 프레스 머신운동은 표 우측에 기재된 대체 운동 프로그램 중 푸쉬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5b는 “여, 18~30세, 52kg,체중감량 목적, 주 1~2회 운동”의 입력사항에 따른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대체 운동 프로그램의 예시이다.
이상에서는, 장소나 기구 사용의 제약으로 운동 종류를 대체하는 것만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운동자의 컨디션이나 운동 선호도 등에 따라 다양한 대체 운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대체 운동이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5a의 경우에 체스트 프레스 머신으로 측정한 1RM이 50kg인 경우, 각 운동기구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운동기구별 1RM을 정하고, 체중감량 목적이므로 각 운동기구별 1RM에 50%의 중량으로 운동하도록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a의 경우에는 준비운동 5분, 스트레칭, 체스트 프레스 머신 25kg, 와이드그립 랫 풀다운 25kg, 숄더 프레스 머신 15kg, 레그 프레스 45kg, 레그 익스텐션 20kg, 레그 컬 15kg, 라잉 트라이셉 익스텐션 10kg, 스탠딩 바벨 컬 10kg, 에어로빅 운동으로 달리기나 사이클 30분간 6~7 km/h로 운동하도록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각 운동의 반복 횟수(세트수)와 각 세트당 운동횟수 및 운동 시간 등이 제공될 수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이전 날 또는 이전 회에 제공한 운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어, 다음 회의 운동 프로그램 제공에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날짜로 복수의 대체 프로그램 중, 제2 대체 프로그램선택하여 안내받은 경우에, 다음 회의 운동 프로그램 제공 시에는, 이전 회에 선택된 운동 프로그램과 연속성
있는 다른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날짜에 상체 운동이 집중된 운동 프로그램이 선택된 경우에는, 다음 회차에는 사용자 입력 사항에 따라 강도 높은 상체 운동을 연속하여 근력을 강화할수도 있고, 고른 근육 발달을 위하여 상체보다는 하체 근력을 강화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분석하여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따라서, 상기 연속성 있는 다른 운동 프로그램은, 이전 회에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단련한 신체의 부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선택적 의지에 따라 차후에 단련하고자 하는 신체의 부위를 강화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0042] 또한, 도 1b에서 보듯이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운동 시의 컨디션, 체력 정도를 입력받는 추가 입력단계(S210)를 포함하여, 강도 높은 운동 종류를 쉬운 운동으로 대체하고, 세트 수나 각 세트당 반복횟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조정 사항도 각각 저장되어, 다음 회차의 운동 프로그램제공 시에 반영될 수 있다.
이처럼, 개인별 입력사항에 기초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되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내용에 따라서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때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단말기와 입력사항을 제공하는 단말기는모두 사용자 단말기이나 서로 같은 단말기가 아니라도 무관하다. 즉, 상기 서버에서는 입력사항을 제공한 단말기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사항을 제공하거나,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는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 PC, PDA, IP TV 등이 될 수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은 서버를 통해 웹 상에서 제공되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패키지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인터넷 연결을 통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상기 서버에는 입력 사항을 기초로 필요한 운동량을 분석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는솔루션이 구비되어 있는데, 기본적인 운동 프로그램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 동시에 제공되는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입력사항에 따라서, 다양한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사용자의 운동 목적이 상체 체형 보정에 있는 경우에는, 하체 운동보다는 상체 운동의 비율이 높은 운동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컨디션에 따라 다양한 모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컨디션에 따라서 계획된 운동량에는 못 미치지만 다른 날짜의 운동 프로그램과 운동의 연속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대체 운동량 및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 회차
에 선택 또는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의 내용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력단련의 정도에 따라, 초급자, 중급자, 상급자 코스 등으로 나누어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신체 각 부위별 운동, 유산소/무산소 운동을 나누어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단위 기간별로 제공될 수 있는데, 개인 선택에 따라 일주일 단위, 한 달 단위 등 다양한 기간 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이 분할되어 제공될 수있으며, 예를 들어 이틀 단위로 상체와 하체 운동을 나누어 제공하거나(2분할), 상체, 하체, 전신 운동(3분할)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밖에, 운동을 원하는 신체 각 부위별, 기구별 운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운동 프로그램이 카테고리화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가슴 부위와 등 부위의 운동을 카테고리화하여 제시한 표인데, 표의우측열에는 각 기본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있어, 운동자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운동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솔루션이 구비된 서버를 포함하는 형태의 운동 프로그램 제공방법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은 별도의 서버를 구비하지 않고,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솔게임기를 이용하여 운동할 경우에, 게임 소프트웨어를 통해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 또는 추가 입력에 따라서, 권장 운동 프로그램과 운동 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별로 신체 조건과 체력단련 정도, 운동 목적에 따른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나 전자 콘솔을 통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트레이닝단계(S300)) 이 때, 상기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에는 운동의 종류와 반복 횟수 뿐만 아니라, 운동방법에대한 안내가 포함되어 있다. 즉, 도 7a에서 보듯이, 제시된 운동에 대한 운동방법을 안내하는데, 운동부위와운동방법, 수행시간, 요령(Tip), 주의사항, 반복 중간의 쉬는 시간, 운동 효과 등에 대한 영상, 음성 안내를 제공하여 개별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도 바른 자세로 운동을 수행하도록 보조한다. 도 7a는 상기 운동방법 등의음성 안내를 위한 텍스트이다. 이러한 안내 사항은 사용자 단말기 상에 문자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7a의 비고란에서 보듯이, 운동 근육부위, 스틸 이미지, 이미지 컷, 운동자세 컷, 3D 고정 뷰, 3D 운동 영상 등을 제공하여 운동방법을 쉽게 이해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7b에는 운동방법 안내에 제공되는 (a) 스틸 이미
지, (b) 운동자세 컷, (c) 3D 고정 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3D 이미지, 영상 제공은 사용자에게운동 방법을 쉽게 이해시키고, 바른 운동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효율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운동방법 안내는 해당 회차의 운동에 대하여 순서대로 안내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나, 3D 운동영상 및컨텐츠가 카테고리화되어 원하는 신체 각 부위별, 기구별 운동방법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해당
회차의 운동 순서와 무관하게 운동자가 별도로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방법 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청구항 1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신장, 병력, 1RM, 체형, 평균 수면시간의 신체 특성 정보와, 기구의 사용 여부, 유산소/무산소 운동 중 선호하는 운동, 집중 운동부위의 선호 운동 정보와, 체중 조절, 체형 보정, 체력 단련, 재활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운동 목적 정보와, 운동 가능 빈도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00);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사항을 분석하여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게 운동 부위, 운동 방법, 수행시간, 주의사항을 안내하는 트레이닝단계(S300);를 포함하되,상기 트레이닝단계(S300)에서,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는 음성안내, 3D 이미지 안내, 3D 동영상안내, 문자 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는 해당 회차의 운동에대한 안내와, 운동부위별, 운동기구별 안내가 카테고리화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단계(S100)에서는 기본 운동기구 또는 기본 운동방법으로 측정한 1RM만을 입력하고,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는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제공되는 각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 권장 중량은 입력단계(100)에서 입력된 기본 운동기구 또
    는 기본 운동방법의 1RM에 각 운동기구 또는 각 운동방법별 가중치를 곱하여 1RM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3
    제2항에 있어서,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을 기초로,운동 목적이 체중감량인 경우,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50%를 권장중량으로 하며,운동 목적이 근력강화인 경우,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60~70%를 권장중량으로 하고,운동 목적이 체력강화인 경우, 측정 또는 산정된 1RM의 50%을 권장중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00)에서는 집중 운동부위의 신체치수 정보와 목표 신체치수 정보의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은 기본 운동 프로그램과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에서, 이전 회의 운동 프로그램과 연속성 있는 다른 운동 프로그램을 다음회에 제공하도록, 이전에 제공되었던 운동 프로그램 또는 제공되었던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 컨디션, 운동 가능 시간, 운동공간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목표한 운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는 추가 입력단계(S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각 운동의 시작 시부터 완료 시까지 실제 운동 시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공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9
    제1항에 있어서,
    입력단계(S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신장, 병력, 1RM, 체형, 평균 수면시간의신체 특성 정보와, 기구의 사용 여부, 유산소/무산소 운동 중 선호하는 운동, 집중 운동부위의 선호 운동 정보와, 체중 조절, 체형 보정, 체력 단련, 재활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운동 목적 정보와, 운동 가능 빈도가 입력되고,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사항을 분석하여 서버에 구비된운동 프로그램 제공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단말기로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기본 운동프로그램과 이에 대응하는 대체 운동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것을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 PDA, IP TV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11
    제11항에 있어서,
    신체 특성 정보, 선호 운동 정보, 운동 목적 정보, 운동 가능 빈도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로부터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 단말기이거나 별개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청구항 1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단계(S100), 운동 프로그램 제공단계(S200),트레이닝단계(S300)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되며,상기 소프트웨어는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1020180168844A 2018-12-25 2018-12-25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20200079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44A KR20200079404A (ko) 2018-12-25 2018-12-25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44A KR20200079404A (ko) 2018-12-25 2018-12-25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404A true KR20200079404A (ko) 2020-07-03

Family

ID=715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844A KR20200079404A (ko) 2018-12-25 2018-12-25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4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556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6308921A (zh) * 2023-03-14 2023-06-23 宁波浙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数据分析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WO2023128514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시퀀스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556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514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시퀀스제공장치 및 방법
CN116308921A (zh) * 2023-03-14 2023-06-23 宁波浙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数据分析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6308921B (zh) * 2023-03-14 2023-11-24 宁波浙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数据分析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640B1 (ko)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US20190192912A1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 parameters
US201102812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Personalized Workout Programs
US11103750B2 (en) Exercise biofeedback using sensor-equipped athletic garments
Hoffman NSCA's guide to program design
US8727948B2 (en) Exercise method and system
US20050181347A1 (en) Instructional gaming methods and apparatus
Smith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programmes designed to improve fitness characteristics in golfers
KR20200079404A (ko)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US114135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WO2008112638A2 (en) Exercise device with on board personal trainer
US9495880B2 (en) Self correcting fitness test
WO2014148038A1 (ja) 健康支援装置
JP2011189014A (ja) 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提案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065791A1 (en) Golf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
US20220336077A1 (en) Predicting exercises based on user-selected variance
Sheehan et al. Examination of the neuromechanical factors contributing to golf swing performance
Wickham et al. Comparison of energy expenditure and heart rate responses between three commercial group fitness classes
US20140080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ustomizable sports workouts
US20140212855A1 (en) Fitnes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xercise Routine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Nieman The exercise test as a component of the total fitness evaluation
US20220331659A1 (en) Determining a user's current exercise capability
Marco-Contreras et al. Load index and vertical jump to monitor neuromuscular fatigue in an elite 800-m athlete
US20070065790A1 (en) Golf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