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270A -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270A
KR20200079270A KR1020207014514A KR20207014514A KR20200079270A KR 20200079270 A KR20200079270 A KR 20200079270A KR 1020207014514 A KR1020207014514 A KR 1020207014514A KR 20207014514 A KR20207014514 A KR 20207014514A KR 20200079270 A KR20200079270 A KR 2020007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terminal device
measurement interval
measurement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550B1 (ko
Inventor
쯔 장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정 구성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유연하게 처리 가능하고, 측정으로 인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속도, 지연, 고속 기동성, 에너지 효율에 대한 추구에 따라, 미래 생활에서 서비스가 다양하고 복잡해진다.
이를 위해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 GPP)의 국제 표준 단체는 제 5 세대 이동 통신 기술(5-Generation, 5G)의 개발을 시작하였다. 5G의 주요 응용 시나리오는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 Mobile Broadband, eMBB), 저 지연 고 신뢰성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대용량 기기 유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of Communication, mMTC)이다.
엔알(New Radio, NR)의 초기 구축시 완전한 NR 커버리지는 취득하기 어렵 기 때문에, 일반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광역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커버리지 및 NR 고립 커버리지 모드이다. 또한 많은 LTE은 6 기가 헤르쯔(GHz) 이하에 구축하기 때문에, 5G에 사용 가능한 6GHz 이하의 스펙트럼은 적다. 따라서, NR은 6GHz 이상의 스펙트럼 적용을 검토하여야 하며, 고 주파수 대역의 커버리지는 제한되어 있고, 신호의 페이딩이 빠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동 통신 사업자의 초기 LTE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LTE와 NR 사이의 밀접한 상호 통신(tight interworking)의 동작 모드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대역폭(band) 조합에 의해 LTE-NR 듀얼 연결(Dual Connection, DC) 전송 데이터를 지원하여,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 LTE와 NR 사이의 밀접한 상호 통신(tight interworking)의 동작 모드에 대해, 현재 신호 품질의 명확한 측정 방법은 없다.
본 발명은 측정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유연하게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 가능하고, 측정으로 인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 검출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거리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의 측정 간격(measurement gap)을 정의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하는 것을 통해, 측정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유연하게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 가능하고, 측정으로 인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기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제 2 양태로서,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제 3 양태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송수신 유닛 및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고,
측정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처리 유닛 및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처리 유닛은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고,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로서, 상술한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방법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제 8 양태로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코드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코드가 수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양태 및 다양한 구현 방식에서의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제 9 양태로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코드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코드가 수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양태 및 다양한 구현 방식에서의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0 양태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용 시나리오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제 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130)와 엔알(New Radio, NR )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제 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연결된다.
여기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130) 및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의 아래에 복수 개의 셀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셀 전환을 진행하기 전에, 타겟 셀의 파워(신호 품질)를 정상적으로 측정하여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130)에 보고하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130)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가 타겟 셀로 전환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시피, 타겟 셀과 현재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동일하면(동일한 주파수 측정),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타겟 셀의 신호 품질을 보다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타겟 셀과 현재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상이하면(상이한 주파수 측정),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타겟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논리적 의미에서 보면, 간단한 상이한 주파수 측정의 해결 기술책은 UE에서 2 개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듀얼 RF 송수신기 해결책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고, 하나의 문제는 비용으로서, 추가적인 송수신기를 구현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하고, 다른 하나의 문제는 특히 듀얼 링크 시나리오에서 양자가 인접하는 경우, 현재의 주파수와 타겟 주파수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간섭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듀얼 링크 시나리오에서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의 측정 간격(measurement gap)을 정의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의 측정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측정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측정 간격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제 1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해당 제 2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통신 시스템과 제 2 통신 시스템은 상이하지만, 제 1 통신 시스템과 해당 제 2의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유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시스템과 제 2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GSM) 시스템,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시스템,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시스템,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 Time Division Duplex(TD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UMTS)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지 제 4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측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임의의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유형 통신(MTC)의 사용자 장비,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5G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임의의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할 수 있고,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장치,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처리(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검출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2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220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230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구성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며,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거리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한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성한 측정 간격은 상이한 주파수 측정 또는 동일한 주파수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성한 측정 간격(현재 셀)은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타겟 셀로 전환하고,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한 후, 현재 셀로 다시 전환(정상적인 송수신 동작을 계속함)할 수 있다.
해당 단말기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측정 간격(예를 들어, 측정 검출의 시작 위치, 측정 검출의 길이, 측정 검출의 횟수 등)의 동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듀얼 링크 동작 모드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채널에 의거한 측정 간격을 정의하고, 즉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하나의 측정 간격(measurement gap)을 구성한다. 또한, 해당 measurement gap은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신(Rx) 데이터 채널/송신(Tx) 데이터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에만 영향을 미치고, 기타 무선 주파수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은 주파수 범위에 의거하여 분할될 수 있고, 통신 시스템의 유형에 의거하여 분할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히 듀얼 링크 시나리오에서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수행할 수 있는 측정하는 밴드(band) 또는 지원하는 밴드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능력(파워 증폭기(PA) 및 안테나 지원)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 전화)는 무선 주파수 설계에서 band로 설계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band 정보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서 지원하는 band의 조합의 정보, 듀얼 링크(DC) 시나리오에서 지원하는 band의 조합 정보 및 측정 관련 능력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대응하는 측정 거리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자신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고, 이에 통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해당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RF-CH1 및 RF-CH2의 2 개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갖추고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러한 2 개의 무선 주파수 채널 각각에 대해 별도의 gap1 및 gap2를 구성할 수 있다. gap1은 무선 주파수 채널 RF-CH1을 위해 사용되고, gap2는 무선 주파수 채널 RF-CH2를 위해 사용된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진행해야할 측정이 무선 주파수 채널 RF-CH1 만에 위치하는 경우, Gap1을 사용한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gap1에서 측정을 진행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무선 주파수 채널 RF-CH2에서의 하향 수신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gap3을 구성하고, 무선 주파수 채널 RF-CH1/무선 주파수 채널 RF-CH2에 걸친 측정에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송수신 유닛(310) 및 측정 유닛(320)을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3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고,
측정 유닛(32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310)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대응하는 측정 거리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또한, 송수신 유닛(310)은 송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측정 유닛(320)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10), 송수신기(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430)는 지시 정보를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410)가 수행하는 코드, 명령어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각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의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도 4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상기 도 2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지만,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처리 유닛(510)은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고,
송수신 유닛(520)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수신 유닛(510)은 또한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510)은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구성 정보를 생성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해당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해당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만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한다.
또한, 처리 유닛(510)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송수신 유닛(520)은 송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610), 송수신기(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30)는 지시 정보를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610)가 수행하는 코드, 명령어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의 각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의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도 6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상술한 도 2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고,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직접 실시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성숙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가 방법, 단계,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 또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은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듀얼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 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기타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은 것을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홀수 형식의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이 기타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식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문맥에 의거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되면"라는 용어는 "만약" 또는 "만일" 또는 "......의 경우"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문맥에 의거하여, "확정되면" 또는 "검출되면(조건 또는 이벤트 제시된 경우)"라는 어구는 "확정된 경우"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된 경우(조건 또는 이벤트가 제시된 경우)"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기술 해결책의 특정 적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하는지를 결정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응용 프로그램마다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인정하여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동작 과정에 대해,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설명이 생략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적 기능의 분할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에서는 기타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기타 시스템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될 수 있고,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표시되거나 논의되는 상호 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수 있고, 즉, 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산할 수 있다. 또한 그중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제 필요에 의거하여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은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 있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제공되어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해결책의 일부는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 매체로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보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24)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측정 거리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7.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13.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과,
    적어도 하나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9.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과,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지원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측정 간격에 의거하여 신호 품질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무선 주파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 능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의 수량,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능력, 데이터 수신 채널의 수량, 데이터 송신 채널의 수량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각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나의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중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측정 간격은 단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데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4.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동일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07014514A 2017-10-28 2017-10-28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397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8200 WO2019080138A1 (zh) 2017-10-28 2017-10-28 配置测量间隔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70A true KR20200079270A (ko) 2020-07-02
KR102397550B1 KR102397550B1 (ko) 2022-05-13

Family

ID=6624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514A KR102397550B1 (ko) 2017-10-28 2017-10-28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90281B2 (ko)
EP (1) EP3700255B1 (ko)
JP (1) JP7062761B2 (ko)
KR (1) KR102397550B1 (ko)
CN (2) CN110786042A (ko)
AU (1) AU2017437322A1 (ko)
WO (1) WO2019080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8926A1 (en) * 2017-10-06 2019-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CHANGE OF MEASUREMENT INTERVALS
CN110166978B (zh) * 2018-02-13 202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第一终端设备和第二终端设备
CN112040474B (zh) * 2019-06-04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能力配置方法及装置
CN113498092B (zh) * 2020-04-03 2023-06-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测量、测量间隔配置、测量上报方法及相关设备
CN116438839A (zh) 2021-03-01 2023-07-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间隔的配置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CN117063526A (zh) * 2022-03-14 2023-1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4075A (zh) * 2009-01-21 2010-07-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配置测量间隙的方法、基站和终端
EP2624628A1 (en) * 2010-09-30 2013-08-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16038763A1 (ja) * 2014-09-12 2016-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局、無線端末、及び端末測定のための方法
WO2016080899A1 (en) * 2014-11-18 2016-05-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unsynchronised or synchronised dual connectivity mode of a user equipment
KR20160130286A (ko) * 2014-05-08 2016-11-10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이중 접속성을 위한 측정 갭들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6434A (zh) * 2008-06-27 2009-12-3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测量上报的方法及设备
CN101466106A (zh) * 2008-12-30 2009-06-24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一种移动通信系统中多信道的测量方法及小区切换方法
KR101670513B1 (ko) * 2009-06-01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장치
CN103428758B (zh) * 2012-05-14 2018-08-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管理方法和网络端、测量方法和用户设备
US20150245235A1 (en) * 2014-02-24 2015-08-27 Yang Tang Measurement gap patterns
US9729175B2 (en) * 2014-05-08 2017-08-0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radio frequency chains
FI3281440T3 (fi) * 2015-04-09 2023-12-07 Apple Inc Signalointi komponenttikantoaaltokohtaiselle parannetulle mittausvälikonfiguraatiolle
KR102278519B1 (ko) * 2015-04-22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3285791A (zh) * 2015-05-15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装置及方法
US20170019819A1 (en) * 2015-07-16 2017-01-1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handover synchronization
CN106535215B (zh) * 2015-09-11 2019-10-1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载波聚合下的增强测量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4075A (zh) * 2009-01-21 2010-07-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配置测量间隙的方法、基站和终端
EP2624628A1 (en) * 2010-09-30 2013-08-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20160130286A (ko) * 2014-05-08 2016-11-10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이중 접속성을 위한 측정 갭들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WO2016038763A1 (ja) * 2014-09-12 2016-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局、無線端末、及び端末測定のための方法
WO2016080899A1 (en) * 2014-11-18 2016-05-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unsynchronised or synchronised dual connectivity mode of a user equip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4 Meeting #84bis, R4-1710671, 2017.10.02. *
3GPP TSG-RAN WG4 Meeting #AHS, R4-1709307, 2017.09.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2761B2 (ja) 2022-05-06
EP3700255A1 (en) 2020-08-26
CN110786042A (zh) 2020-02-11
EP3700255A4 (en) 2020-11-18
WO2019080138A1 (zh) 2019-05-02
JP2021503739A (ja) 2021-02-12
KR102397550B1 (ko) 2022-05-13
AU2017437322A1 (en) 2020-06-18
US11490281B2 (en) 2022-11-01
CN111132220A (zh) 2020-05-08
US20200162957A1 (en) 2020-05-21
EP3700255B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550B1 (ko) 측정 간격의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27785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720186B (zh) 上报射频能力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720235B (zh) 上报射频能力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234153B2 (en) Method for setting measurement interval and network device
EP3703424A1 (en) Random access method, spectrum repor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36892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9084799A1 (zh) 上报频谱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TWI617211B (zh) 處理用於非執照頻帶的通訊運作的裝置及方法
WO2018227585A1 (zh) 测量同步信号块的方法和设备
CN112584412B (zh) 一种波束切换的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0754103B (zh) 测量频点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31069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y selecting target uplink carrier,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