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036A -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036A
KR20200079036A KR1020180168517A KR20180168517A KR20200079036A KR 20200079036 A KR20200079036 A KR 20200079036A KR 1020180168517 A KR1020180168517 A KR 1020180168517A KR 20180168517 A KR20180168517 A KR 20180168517A KR 20200079036 A KR20200079036 A KR 20200079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hear wave
transducers
situ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350B1 (ko
Inventor
변용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3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1Analysing solid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e.g. using Lamb, Rayleigh or shear 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2Wave modes
    • G01N2291/0422Shear waves, transverse waves, horizontally polarised 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를 포함하는 기층에서 원위치 응력 및 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한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는 기층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길이 방향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및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되고 기층에 작용하는 하중에 견디도록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각각 보호하는 한 쌍의 프로텍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EMBEDDED APPARATUS FOR MEASURING IN-SITU SHEAR WAVE}
이하, 실시예들은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기층 및 보조 기층(aggregate base/subbase layer)의 강성은 도로 하부 구조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및 평가(evaluation)하고, 포장체(pavement)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미국 도로교통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ion Officials; AASHTO)는 CBR값 또는 R값과 같은 지반의 강도가 아닌, 재료의 역학적 특성이자 기층 재료의 강성 중 하나인 회복 탄성계수(resilient modulus)(MR)를 적용한 설계법을 추천하고 있다. 이러한 기층의 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4491호 (2008.07.09. 공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연약 지반이 아닌 골재(aggregate)를 포함하는 기층에서 다짐 작용(compaction)에도 손상되지 않고 전단파를 측정하여 원위치 응력(stress) 및 탄성계수(modulus)를 평가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를 포함하는 기층에서 원위치 응력 및 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한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는 기층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길이 방향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및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되고 기층에 작용하는 하중에 견디도록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각각 보호하는 한 쌍의 프로텍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로텍터들은 각각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의 각각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 및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의 각각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로텍터들은 각각 상기 상부 바 및 상기 하부 바와 함께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둘러싸며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 및 상기 한 쌍의 프로텍터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및 상기 프레임 사이의 전단파의 전달을 차단하는 한 쌍의 블로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사이에서 전파되는 전단파의 파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는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사이에 이동하는 전단파의 파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기층 내 골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단파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의 길이는 기층 내 골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은 압전 물질을 갖는 한 쌍의 시트들 및 상기 한 쌍의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며 금속 물질을 갖는 심(shim)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는 골재를 포함하는 기층에서 다짐 작용에도 손상되지 않고 전단파를 측정하여 원위치 응력 및 탄성계수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는 기층의 함수량(moisture content) 변화에 따른 기층의 탄성계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는 교통 수단의 방해 및 지연 없이 하중에 따른 기층의 탄성계수 특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의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10)는 골재(aggregate)를 포함하는 기층(BL)에 작용하는 하중(L)에 따른 기층(BL)의 탄성계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L)는 기층(BL)의 다짐 작용(compaction)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지반을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지면(또는 아스팔트 층), 골재를 포함하는 기층(BL) 및 토양층(soil layer)(SL)을 관입하여 각각의 층의 동적 강성을 평가하는 관입 시험기(penetrometer)와 달리,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10)는 기층(BL) 내에 배치되어 기층(BL) 내 원위치(in-situ) 응력(stress) 및 탄성계수(modulus)를 평가(estimate)하도록 구성된다.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10)는 프레임(110),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121, 122), 한 쌍의 프로텍터(130)들, 한 쌍의 블로커(141)들 및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기층(BL)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지지부(112) 및 제2지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2)는 기층(BL)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길이 방향의 바(ba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114)는 트랜스듀서(121) 및 프로텍터(1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2지지부(114)는 제1지지부(112)의 양 단부들에 설치되고 기층(BL)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2)는 기층(BL) 내 탄성계수 특성을 측정하기에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부(112)의 길이(H)는 제1지지부(112)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121, 122) 사이에서 전달되는 전단파(shear wave)(W)의 파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부(112)의 길이(H)는 근거리장 효과(near-field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단파(W)의 파장보다 약 4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12)의 길이(H)는 기층(BL)에 하중(L)를 인가하는 주체(e.g. 타이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112)의 길이(H)는 어느 하나의 트랜스듀서(121)로부터 발생한 전단파(W)가 기층(BL)을 통과하면서 설정 강도(intensity) 이상을 가지면서 다른 하나의 트랜스듀서(122)로 전달되도록 전단파(W)의 에너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 길이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11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부(112)의 한 쌍의 길이 방향의 바들은 각각 복수 개의 분리 가능한 섹션(section)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섹션들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분리 가능한 섹션들의 개수에 따라 제1지지부(112)의 길이(H)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지지부(112)의 한 쌍의 길이 방향의 바들에 각각 구비된 섹션들은 서로 텔레스코프 방식(telescopic manner)으로 동작될 수 있다.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121, 122)은 전단파(W)를 발생시켜 제2트랜스듀서(122)를 향해 발생된 전단파(W)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1트랜스듀서(121)로부터 송신된 전단파(W)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트랜스듀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프레임(110)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전단파(W)를 송수신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제2프레임(114)에 각각의 단부가 고정되고 제2프레임(114)으로부터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기층(BL) 내 응력 및 탄성계수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길이(D)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의 각각의 길이(D)는 기층(BL) 내 골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할 전단파(W)의 파장이 증가할수록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의 각각의 길이(D)가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골재의 내부 저역 필터링 효과(internal low-pass filtering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단파(W)의 파장이 골재의 직경의 중간 크기(median size)의 2배보다 크도록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의 각각의 길이(D)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기층(BL)의 골재의 직경의 중간 크기가 약 25mm이면,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의 각각의 길이(D)는 약 30mm일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전단파(W)를 발생시키기에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트랜스듀서(121)는 압전 물질(piezoelectric material)을 가지는 한 쌍의 시트들(P1, P2) 및 금속 물질을 가지는 심(shim)(S)을 포함할 수 있다. 심(S)은 한 쌍의 시트들(P1, P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121)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시트들(P1, P2)에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한 쌍의 시트들(P1, P2)이 압전 구동 방식으로 벤딩되고, 이에 따라 전단파(W)가 발생할 수 있다. 압전 구동 방식을 사용하여 전단파(W)를 발생시키는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트랜스듀서에 비해 골재와의 커플링(coupling) 관점 및 비용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시트들(P1, P2)의 외부 표면에는 전도성 은 도료(conductive silver paint) 등의 도료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이는 더 나은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로텍터(130)들은 기층(BL)에 작용하는 하중(L)에 의한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해 제1트랜스듀서(121) 및 제2트랜스듀서(122)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프로텍터(130)들은 프레임(110)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로텍터(130)들은 베이스(131), 상부 바(132) 및 하부 바(13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1), 상부 바(132) 및 하부 바(133)는 제1트랜스듀서(121)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31)는 제1트랜스듀서(121)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131)에 삽입되도록 제1트랜스듀서(1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제1트랜스듀서(121)의 단부를 제2프레임(114)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부 바(132) 및 하부 바(133)는 베이스(131)로부터 제1트랜스듀서(121)의 양 측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바(132)는 제1트랜스듀서(121)를 기준으로 기층(BL)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바(133)는 제1트랜스듀서(121)를 기준으로 기층(BL)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132) 및 하부 바(133)는 제1트랜스듀서(121)의 양 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프로텍터(130)들의 구성요소들이 제1트랜스듀서(121)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으며, 제2트랜스듀서(12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 쌍의 블로커(141)들은 제1트랜스듀서(121)로부터 발생한 전단파(W)가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며 제2트랜스듀서(122)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1트랜스듀서(121)과 프레임(110) 사이 및 제2트랜스듀서(122)와 프레임(110) 사이의 전단파(W)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블로커(141)들은 고강도를 가지는 물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블로커(141)들은 에폭시, 실리콘, 우레탄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1트랜스듀서(121)로부터 발생한 전단파(W)가 제2트랜스듀서(122)를 향해 기층(BL) 내 골재를 통과하도록 전단파(W)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121, 122)에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121, 122) 사이에 이동하는 전단파(W)의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50)는 기층(BL) 내 골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단파(W)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전단파(W)의 파장은 골재의 직경의 중간 크기의 2배보다 크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8)

  1. 골재를 포함하는 기층에서 원위치 응력 및 탄성계수를 평가하기 위한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기층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길이 방향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및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각각 설치되고 기층에 작용하는 하중에 견디도록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각각 보호하는 한 쌍의 프로텍터들;
    을 포함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로텍터들은 각각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의 각각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 및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의 각각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
    를 포함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로텍터들은 각각 상기 상부 바 및 상기 하부 바와 함께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둘러싸며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을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들 및 상기 한 쌍의 프로텍터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및 상기 프레임 사이의 전단파의 전달을 차단하는 한 쌍의 블로커들을 더 포함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사이에서 전파되는 전단파의 파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 사이에 이동하는 전단파의 파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기층 내 골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단파의 파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의 길이는 기층 내 골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랜스듀서들은
    압전 물질을 갖는 한 쌍의 시트들; 및
    상기 한 쌍의 시트들 사이에 개재되며 금속 물질을 갖는 심(shim);
    을 포함하는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KR1020180168517A 2018-12-24 2018-12-24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KR10217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517A KR102174350B1 (ko) 2018-12-24 2018-12-24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517A KR102174350B1 (ko) 2018-12-24 2018-12-24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036A true KR20200079036A (ko) 2020-07-02
KR102174350B1 KR102174350B1 (ko) 2020-11-04

Family

ID=7159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517A KR102174350B1 (ko) 2018-12-24 2018-12-24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3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02A (ko) * 2001-06-08 2002-12-16 정희옥 지반 조사방법
JP2004286464A (ja) * 2003-03-19 2004-10-14 Shimizu Corp ベンダーエレメント設置フレーム
US20040226380A1 (en) * 2003-05-13 2004-11-18 Zeng Xiangwu Measurement of base and subgrade layer stiffness using bender element technique
KR20080064491A (ko) 2007-01-05 2008-07-09 한상재 원지반의 전단강도 예측방법
KR100860937B1 (ko) * 2007-06-13 2008-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벤더 엘리먼트를 이용한 연약지반 측정장치
KR20090055242A (ko) * 2007-11-28 2009-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약지반의 강성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02A (ko) * 2001-06-08 2002-12-16 정희옥 지반 조사방법
JP2004286464A (ja) * 2003-03-19 2004-10-14 Shimizu Corp ベンダーエレメント設置フレーム
US20040226380A1 (en) * 2003-05-13 2004-11-18 Zeng Xiangwu Measurement of base and subgrade layer stiffness using bender element technique
KR20080064491A (ko) 2007-01-05 2008-07-09 한상재 원지반의 전단강도 예측방법
KR100860937B1 (ko) * 2007-06-13 2008-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벤더 엘리먼트를 이용한 연약지반 측정장치
KR20090055242A (ko) * 2007-11-28 2009-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약지반의 강성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350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nzalez-Torre et al. Evaluation of reflective cracking in pavements using a new procedure that combine loads with different frequencies
KR100784582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계측장치 및 방법
Moghaddas-Nejad et al. Resilient and permanent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granular materials by repeated load triaxial tests
Byun et al. Horizontal stiffness evaluation of geogrid-stabilized aggregate using shear wave transducers
CN106840477B (zh) 一种长期监测psc结构预应力损失的装置及方法
Kaewunruen et al. Experimental simulation of the railway ballast by resilient materials and its verification by modal testing.
Gara et al. Dynamic monitoring of bridges during static load tests: influence of the dynamics of trucks on the modal parameters of the bridge
WO2012012903A1 (en) Pavement stress analysis sensor
Tosti et al. Large-scale analysis of dielectric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avement using GPR and LFWD
CN105067207A (zh) 简支梁挠度测试装置及方法
KR101184048B1 (ko) 임피던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기 강도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79036A (ko) 매립형 원위치 전단파 측정 장치
Bao et al. Monitoring the distributed impact wave on a concrete slab due to the traffic based on polarization dependence on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Sato et al. Theoretical analyses and experimental results on track moduli with use of wheelset drop test
KR101794275B1 (ko) 준설 퇴적물의 하중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중 측정 패키지 시스템
Byun et al. Embedded shear wave transducer for estimating stress and modulus of As-constructed unbound aggregate base layer
EP1841921B1 (en) System for monitoring level variations in a soil subjected to erosive and sedimentary agents, and monitoring method
Leandri et al. Appropriate and reliable use of pavement instrumentation on in-service roads
JP6103578B2 (ja) コンクリートのひずみ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非破壊検査システム、監視システムおよび非破壊検査方法と監視方法
Uglova et al. Interlayer bond evaluation in the flexible pavement structures using a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
CN204882013U (zh) 简支梁挠度测试装置
Gomez-Ramirez et al. Aircraft multiple wheel gear load interaction effects on airport flexible pavement responses
CN205317387U (zh) 用于监测桁式组合拱桥的车辆荷载横向分布效应的装置
JP2002090233A (ja) 橋梁の歪み分布計測方法
KR102093099B1 (ko) 텐던의 긴장력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