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241A -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241A
KR20200078241A KR1020180167952A KR20180167952A KR20200078241A KR 20200078241 A KR20200078241 A KR 20200078241A KR 1020180167952 A KR1020180167952 A KR 1020180167952A KR 20180167952 A KR20180167952 A KR 20180167952A KR 20200078241 A KR20200078241 A KR 20200078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ype content
output
processo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215B1 (ko
Inventor
김주신
엄수현
서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범위하게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각종 컨텐츠를 향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드라마, 뉴스,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고, 광고를 통해 해당 제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드라마, 뉴스, 영화와 같은 방송 컨텐츠는 특정 시간에 방송되는 컨텐츠로서 사용자는 상기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반면, 광고는 상기 방송 컨텐츠와 달리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일하게(예: 동일한 화질로)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와 광고가 동일하게 출력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 또한 증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 및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대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이 나열된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설정 창에 나열된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편성표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창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방송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컨텐츠, 광고, 방송 편성표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데이터는 제1 타입 컨텐츠(10) 및 제2 타입 컨텐츠(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컨텐츠(10)은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로서, 드라마, 뉴스, 시사 컨텐츠, 오락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입 컨텐츠(20)은 제1 타입 컨텐츠(10)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지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후 9시에서 오후 9시 50까지 뉴스를 출력하고, 오후 9시 50분에서 오후 10시까지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후 10시부터 오후 11시까지 드라마를 출력할 수 있다. 드라마가 종료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타입 컨텐츠(20)이 출력될 경우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큐멘터리 컨텐츠(또는 제1 타입 컨텐츠(10))가 출력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질 보상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큐멘터리 컨텐츠가 종료되고 광고(또는 제2 타입 컨텐츠(20))가 출력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화질 보상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동일하게 출력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이 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타입 컨텐츠(20)가 출력될 경우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편성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회로(110),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0)는 방송 데이터를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 회로(110)는 세탑 박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세탑 박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회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회로(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지정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30)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지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타입 컨텐츠(10)이 출력되는 시간 및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타입 컨텐츠(20)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도 3에 도시된 방송 편성표(300)로부터 뉴스(또는 제1 타입 컨텐츠(10))가 출력될 시간(31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오후 1시 57분부터 오후 4시 59분까지 뉴스가 출력되므로, 프로세서(120)는 오후 4시 59분부터 오후 5시 4분까지 광고(또는 제2 타입 컨텐츠(20))가 출력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변화량이 약 60 frames/sec 이상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타입 컨텐츠(10)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변화량이 약 60 frames/sec 미만이면 프로세서(120)는 제2 타입 컨텐츠(20)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2 타입 컨텐츠(20)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타입 컨텐츠(20)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밍 프로세싱, 화질 보상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동일하게 출력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이 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타입 컨텐츠(20)가 출력될 경우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120)의 상세 블록도 및 디스플레이(13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21)(display module), 디밍 모듈(122)(dimming module), 화질 보상 모듈(123)(machine learning super resolution module), 프레임 제어 모듈(124)(frame rate control module), 및 타이밍 컨트롤러(125)(timing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1)은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되는 화면을 오프 시키거나 온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1)은 화면의 일부를 오프 시키거나 온 시킬 수도 있다.
디밍 모듈(122)은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되는 화면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밍 모듈(122)은 화면 일부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화질 보상 모듈(123)은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되는 화면의 화질을 보상할 수 있다. 화질 보상 모듈(123)은 상기 화면의 해상도에 따라 보상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 제어 모듈(124)은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프레임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 제어 모듈(124)은 노이즈 축소 필터 및/또는 프레임 보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25)는 디스플레이(130)에 각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컨트롤러(125)에서 전송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30)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를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타입 컨텐츠(10)이 출력되는 시간 및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타입 컨텐츠(20)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타입 컨텐츠(20)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밍 모듈(122) 및 화질 보상 모듈(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가 디밍 모듈(122)을 오프 시킬 경우 디밍 프로세싱은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가 화질 보상 모듈(123)을 오프 시킬 경우 화질 보상 프로세싱은 종료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동일하게 출력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전력이 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타입 컨텐츠(20)이 출력될 경우 일부 모듈을 오프 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즉시 출력할 수도 있다.
동작 5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타입 컨텐츠(20)의 해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타입 컨텐츠(20)의 해상도는 광고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다.
동작 530에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2 타입 컨텐츠(20)이 출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타입 컨텐츠(20)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밍 프로세싱, 화질 보상 프로세싱, 및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종료시킬 프로세싱을 선택할 수 있다.
디밍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화질 보상 프로세싱
1920×1080 오프
3840×2160 오프 오프
7680×4320 오프 오프 오프
<표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해상도가 1920×1080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밍 프로세싱만 오프 시킬 수 있으나, 해상도가 3840×2160으로 증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밍 프로세싱 및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해상도가 7680×4320으로 증가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밍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모두 오프 시킬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타입 컨텐츠(20)이 출력될 경우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창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세싱들이 정렬된 설정 창(61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창(610)에는 사용자가 종료시킬 수 있는 프로세싱들이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렬된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디밍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화질 보상 프로세싱 중 사용자가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리를 출력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리 출력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 창(61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창(610)을 통해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정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동일하게 출력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이 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실행 중인 프로세싱, 소리 등을 종료시킬 수 있는 설정 창(61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창(610)을 통해 프로세싱, 소리 등을 종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전력은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을 오프 시킬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710), 제2 영역(720), 제3 영역(730), 및 제4 영역(74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타입 컨텐츠(10)가 종료되면 제1 영역(710)을 통해 제2 타입 컨텐츠(2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720), 제3 영역(730), 및 제4 영역(740)은 오프 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영역(710)을 통해 제2 타입 컨텐츠(20)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영역(710)이 오프 되고, 제2 영역(720), 제3 영역(730), 및/또는 제4 영역(740)을 통해 제2 타입 컨텐츠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으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710) 내지 제4 영역(7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창(610)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창(610)을 통해 제1 영역(710) 내지 제4 영역(7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선택된 영역을 통해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타입 컨텐츠(10)과 제2 타입 컨텐츠(20)을 동일하게 출력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이 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타입 컨텐츠(10)에서 제2 타입 컨텐츠(20)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제2 타입 컨텐츠(20)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전력은 감소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싱들은 디밍(dimming)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및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상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디밍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및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오디오 출력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창을 통해 출력되는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편성표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편성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 사이에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 변화량이 지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에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 및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대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이 나열된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설정 창에 나열된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편성표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편성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 사이에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 변화량이 지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를 선택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추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싱들은 디밍(dimming)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및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오디오 출력 프로세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면, TV,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컨텐츠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컨텐츠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컨텐츠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컨텐츠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컨텐츠)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컨텐츠)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컨텐츠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들은 디밍(dimming)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및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상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디밍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및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종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오디오 출력 프로세싱을 종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창을 통해 출력되는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프로세싱을 종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편성표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편성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 사이에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 변화량이 지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에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을 오프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 및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대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실행 중인 프로세싱들이 나열된 설정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설정 창에 나열된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프로세싱을 종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프레임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편성표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편성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컨텐츠의 방송 시간 사이에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 변화량이 지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를 선택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추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타입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들은 디밍(dimming) 프로세싱, 시야각 보상 프로세싱, 및 화질 보상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면 오디오 출력 프로세싱을 종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타입 컨텐츠 및 제2 타입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타입 컨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타입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해상도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화질 관련 프로세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종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67952A 2018-12-21 2018-12-21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952A KR102545215B1 (ko) 2018-12-21 2018-12-21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952A KR102545215B1 (ko) 2018-12-21 2018-12-21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241A true KR20200078241A (ko) 2020-07-01
KR102545215B1 KR102545215B1 (ko) 2023-06-20

Family

ID=7160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952A KR102545215B1 (ko) 2018-12-21 2018-12-21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98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5426518A (zh) * 2022-08-09 2022-12-0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系统、图像显示方法及led显示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553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553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98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5426518A (zh) * 2022-08-09 2022-12-0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系统、图像显示方法及led显示控制系统
CN115426518B (zh) * 2022-08-09 2023-08-2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系统、图像显示方法及led显示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21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675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isplay refresh rate
CN109167890B (zh) 一种音画同步方法和装置及显示设备
CN103841389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播放器
KR102545215B1 (ko)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82707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CN102769726B (zh) 一种图像效果调整方法及智能装置
US88378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348936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7175219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6155375A1 (zh) 一种广告加载方法及装置
US109302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3494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58080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CN116132644A (zh) 色彩饱和度自动调整方法、装置及相关设备
US11582514B2 (e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590302B1 (en) Image edge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321706A1 (en) Video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video processing
US20230209146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with scene mode selection, and related dongle and adaptor cable
JP4398809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87826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thereof
TW201725914A (zh) 電視系統與多媒體播放方法
US2011028043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ntegrated circuit for image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16052058A (ja) 映像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CN104602101A (zh) 电视系统
TW201947941A (zh) 應用於一多媒體裝置的電路以及相關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