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807A -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807A
KR20200077807A KR1020180167046A KR20180167046A KR20200077807A KR 20200077807 A KR20200077807 A KR 20200077807A KR 1020180167046 A KR1020180167046 A KR 1020180167046A KR 20180167046 A KR20180167046 A KR 20180167046A KR 20200077807 A KR20200077807 A KR 2020007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ad
sensor module
sold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요한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807A/en
Publication of KR2020007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touch sensor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pad part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panel by having a protective pattern that protects the pad part inside the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in an outer area of a rear surface of a display panel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touch sensor module comprises a first printed circuit substrate, a second printed circuit substrate, a plurality of pad parts, and a protective pattern.

Description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module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touch sensor module capable of sensing a user's touch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lasma display devic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being utilized.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스마트 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 등은 사용자 편의와 디바이스 특성 등에 따라 터치 방식의 입력 처리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among display device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and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smart televisions provide touch-type input processing according to user convenience and device characteristics.

이러한 터치 입력 처리가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으며, 사용자 요구 또한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A touch display device capable of such touch input processing has been developed to sense a user's touch and provide various functions through this, and user needs are also diversified.

그러나, 이러한 터치 신호를 전달받는 터치센서 모듈이 충격에 취약하여 터치센서 모듈 내 일부 소자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파손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touch sensor module receiving the touch signal is vulnerable to shock, a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for damage such as disconnection of some elements in the touch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터치센서 모듈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touch sensor module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the touch sensor module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orce in the display device. hav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서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센서 모듈 내부에 패드부를 보호하는 보호패턴을 구비함으로써 패널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패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pattern to protect the pad portion inside the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in the outer area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prevent the pad portion from being damaged whil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nel. Provided is a sensor module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touch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첫째,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솔더링되는 패드부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Firs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nding state of the pad portion soldered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more firmly,

둘째, 터치센서 모듈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패드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보호패턴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패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Secon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the protection pattern disposed in the outer area of the pad portion absorbs shock to prevent the pad portion from being damaged,

셋째, 터치센서 모듈의 외면에 별도로 이들을 보호하는 쉴드 케이스 등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Third, since an external structure of the touch sensor module does not require a structure such as a shield case protecting them separately,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and costs can be reduced.

넷째, 터치센서 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좌표 센싱과 함께, 터치 시 화면을 누르는 터치 포스의 센싱을 반 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ouch sensor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the sensing of the coordinates by the user's touch and the sensing of the touch force pressing the screen when touched semi-perman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터치센서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터치센서 모듈의 일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터치센서 모듈의 메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메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센서 모듈 내부에서 보호패턴이 다양한 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sensor module is separated on a rear surface of a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sh por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sh portion of a touch senso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on pattern is arranged in a pattern of various shapes inside the touch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when designat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터치센서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터치센서 모듈의 일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uch sensor module is separated on a rear surface of a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cross sec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00)을 구비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배면에 터치센서 모듈(100)이 배치된다.1 and 2, the touch display device 10 provided with the touch sensor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ouch sensor module 10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 do.

이때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uch display device may operate in a display mode for realizing an image or a touch mode for sensing a user's touch.

먼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서브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기본 픽셀은 화이트(W), 레드(R), 그린(G), 블루(B) 서브 픽셀들 중 컬러 혼합으로 화이트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3개 서브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픽셀은 R/G/B 조합의 서브 픽셀들, W/R/G 조합의 서브 픽셀들, B/W/R 조합의 서브 픽셀들, G/B/W 조합의 서브 픽셀들로 구성되거나, W/R/G/B 조합의 서브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in the display mode, the display panel 20 displays an image through a pixel array in which sub-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basic pixel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hree sub-pixels capable of expressing white by color mixing among white (W),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For example, the basic pixel is an R/G/B combination subpixel, a W/R/G combination subpixel, a B/W/R combination subpixel, and a G/B/W combination subpixel. Or W/R/G/B combination sub-pixels.

또한 전원부를 구비하여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타이밍 컨트롤러와,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와, 디스플레이 패널(20) 등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한 다양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타이밍 컨트롤러 등에 공급되는 디지털 회로의 구동 전압과,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되는 아날로그 회로의 구동 전압과,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이용되는 게이트 온 전압(게이트 하이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게이트 로우 전압) 등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 구동 시 필요한 복수의 구동 전압(EVDD, EVSS)과, 레퍼런스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에 공급한다.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to generate and output various driving voltages required by the timing controller, the gate driver, the data driver, the display panel 20, and the like, using the input voltage.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driving voltage of a digital circuit supplied to a data driver and a timing controller, a driving voltage of an analog circuit supplied to a data driver, and a gate-on voltage (gate high voltage) and a gate-off voltage used in the gate driver. (Gate low voltage) and the like are generated and supplied. The power supply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driving voltages (EVDD, EVSS) and reference voltages required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20 and supplies them to the display panel 20 through a data driver.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기초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공급받는다. 시스템은 컴퓨터, TV 시스템, 셋탑 박스, 태블릿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초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도트 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receives image data and basic timing control signals from an external system. The system may be any one of a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omputer, a TV system, a set top box, a tablet or a mobile phone. The basic timing control signals may include a dot clock, a data enable signal,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기초 타이밍 제어 신호들과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된 타이밍 설정 정보(스타트 타이밍, 펄스폭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각각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들 및 게이트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공급한다.The timing controller uses the basic tim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iming setting information (start timing, pulse width, etc.) stored in the internal registers to control the data driver signals and gate drivers, respectively, and gate control data. Generate and supply signals.

또한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나, 펜 등의 포인터에 의해 발생한 터치에 대하여 터치의 발생 여부와 터치 위치를 센싱하는 터치 위치 센싱 기능을 제공하고, 터치 시 디스플레이 패널(20)에 가해지는 힘(압력)에 대응하는 터치 포스(Touch Force)를 센싱하는 터치 포스 센싱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언급된 터치는 사용자가 포인터로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접촉하는 행동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operating in a touch mode, a touch position sensing function is provided to sense whether a touch has occurred and a touch position on a touch generated by a pointer such as a user's finger, a body part, or a pen. 20) It provides a touch force sensing function that senses a touch force corresponding to a force (pressure) applied to it. The touch referred to herein refers to an action of a user touching the display panel 20 with a pointer.

이러한 터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누르는 힘에 따라서 일정 수준 이하의 힘으로 터치하는 소프트 터치와,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터치하는 포스 터치로 나눌 수 있다. 소프트 터치 또는 포스 터치에 따른 터치 위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터치한 지점의 위치를 의미하며, 터치 좌표라고도 한다.Such a touch may be divided into a soft touch that touches with a force below a certain level, and a force touch that touches with a force above a certain level depending on the force pressing the display panel 20. The touch location according to the soft touch or the force touch refers to the location of the point where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panel 20 and is also referred to as touch coordinates.

이렇게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터치하는 포인터는 손가락 등의 인체 일부와, 접촉부가 도체로 된 펜 등과 같은 도체 포인터일 수 있고, 또한 접촉부가 부도체로 된 펜 등의 부도체 포인터일 수도 있다. 다만, 터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포인터는 도체 포인터로 적용되어야 하고, 터치 포스를 센싱하는 포인터는 도체와 부도체 포인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pointer that touches the display panel 20 may be a body pointer such as a finger and a conductor pointer such as a pen having a contact portion as a conductor, or a non-conductor pointer such as a pen having a contact portion as a non-conductor. However, the pointer capable of sensing the touch position should be applied as a conductor pointer, and both the conductor and the non-conductive pointer can be applied to the pointer sensing the touch force.

이러한 터치 동작을 센싱하면, 터치센서 모듈(100)로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데, 터치센서 모듈(100)은 터치 신호와 포스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터치 동작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진다.When the touch operation is sensed, a touc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100, and the touch sensor module 100 receives the touch signal and the force touch signal to perform contro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터치센서 모듈(100)은 도 2와 같이, 제1인쇄회로기판(110)과 제2인쇄회로기판(120)과, 이들 사이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부(130)와, 패드부(130)의 외곽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패턴(14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00)은 제1인쇄회로기판(110)이 터치 신호를 전달받는 터치 연성인쇄회로(이하 터치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이고, 제2인쇄회로기판(120)이 포스 터치 신호를 전달받는 포스 터치 연성인쇄회로(이하 포스 터치 FPC)이다. 물론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은 내부에 솔더링 되는 패드부가 구비되고, 패드부 주변을 보호하는 보호패턴이 구비된 다른 회로기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ouch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a pad unit 130 and a pad unit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m. ) Includes a protection pattern 140 that protects the outer region.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flexible printed circ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wher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receives a touch signal,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 120) This is a Force Touch flexible printed circuit (hereafter Force Touch FPC) that receives a Force Touch signal. Of cours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pplied to other circuit boards having a pad portion to be soldered therein and a protective pattern for protecting the periphery of the pad portion.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센서 모듈(100)은 제1인쇄회로기판(110)과 제2인쇄회로기판(120) 사이에 패드부(130)와, 패드부(130)와 같은 높이로 보호패턴(14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2, the touch sensor module 100 has a pad pattern 130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a protection pattern at the same height as the pad unit 130. 140 is provided.

패드부(130)는 제1인쇄회로기판(110)의 배면에 마련되는 제1솔더(133) 패드(131)와, 제2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솔더(144) 패드(132)와, 제1솔더(133) 패드(131)와 제2솔더(144) 패드(132)를 연결하는 제1솔더(133)를 포함한다. 즉, 제1솔더(133) 패드(131)와 제2솔더(144) 패드(132)는 제2솔더(144)가 비교적 녹는점이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었다가 굳으면서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pad unit 130 includes a first solder 133 pad 131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a second solder 144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0. It includes a pad 132 and a first solder 133 connecting the first solder 133 pad 131 and the second solder 144 pad 132. That is, the first solder 133 pad 131 and the second solder 144 pad 132 are integrally combined while the second solder 144 melts at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and solidifies, and also electrically The connection is made.

이때 보호패턴(140) 역시 제3솔더 패드(141)와 제4솔더 패드(142)와, 제3솔더 패드(141)와 제4솔더 패드(142) 사이에 구비되는 메시부(150)를 포함하고, 제3솔더 패드(141)와 제4솔더 패드(142) 사이에 제2솔더(144)가 공급되면서 제3솔더 패드(141)와 제4솔더 패드(142) 및 메시부(150)를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패드부(130)가 솔더링되는 과정에서 보호패턴(140) 역시 솔더링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패드부(130)를 보호하는 보호패턴(140)을 추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ion pattern 140 also includes a third solder pad 141, a fourth solder pad 142, and a mesh portion 150 provided between the third solder pad 141 and the fourth solder pad 142. And, while the second solder 144 is supplied between the third solder pad 141 and the fourth solder pad 142, the third solder pad 141 and the fourth solder pad 142 and the mesh portion 150 It is integrally combined. Accordingly, since the protection pattern 140 is also soldered at the same time as the pad portion 130 is soldered, the protection pattern 140 for protecting the pad portion 130 may be added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여기서 보호패턴(140)은 제1인쇄회로기판(110)과 제2인쇄회로기판(120) 사이에서 패드부(130) 보다 상대적으로 외곽 영역에 배치되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도 패드부(130) 보다는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 또는 터치센서 모듈(100)의 외곽으로부터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보호패턴(140)이 1차적으로 흡수 또는 차단함으로써 패드부(130)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Here, the protection pattern 1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0 in a relatively outer area than the pad 130, and the touch display device 10 also includes a pad (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rather than 130). Due to this, the protection pattern 140 primarily absorbs or blocks the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touch display device 10 or the touch sensor module 100, thereby preventing the pad 130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It provides an effect.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터치센서 모듈의 메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sh por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메시부(150)는 제1프레임(150a)과, 제2프레임(150b)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50c)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esh unit 150 includes a first frame 150a, a second frame 150b, and a connection frame 150c connecting them.

제1프레임(150a)은 패드부(도 1 참조, 130)와 인접한 영역에서 패드부(130)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프레임(150b)은 제1프레임(150a)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연결 프레임(150c)은 제1프레임(150a)과 제2프레임(150b)을 연결하되, 설정된 패턴을 갖도록 연결한다.The first frame 150a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ad portion 130 in an area adjacent to the pad portion (see FIG. 1, 130 ). The second frame 150b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15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arranged side by sid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frame 150c connects the first frame 150a and the second frame 150b, but is connected to have a set pattern.

여기서 연결 프레임(150c)의 설정된 패턴은 도 3과 같이, 벌집 형상의 통공(150d)이 마련되도록 연결하는 하니콤 패턴(Honeycomb pattern)일 수 있다. 이러한 하니콤 패턴의 메시부(150)는 시트(sheet)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육각형 모양의 통공이 형성되어 비압축강도(比壓縮强度)가 극히 높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적용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150c)의 각 통공(150d) 간 간격이나 제1프레임(150a)과 제2프레임(150b)의 두께 또는 폭을 조절하여 메시부(150)가 외력에 대응하는 응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프레임(150a) 보다 더 외곽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50b)의 두께나 폭을 더 크게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하니콤 패턴 이외에도 제1프레임에서 제2프레임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직선 패턴이나, X자로 연결하는 사선패턴, 또는 충격에 따라 외형이 변형되는 원형패턴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Here, the set pattern of the connection frame 150c may be a honeycomb pattern connecting the honeycomb-shaped through holes 150d as shown in FIG. 3. Since the mesh part 150 of the honeycomb pattern is formed in a sheet shape, a hexagonal-shaped through hole is formed and is applied as a structure for absorbing shock because the incompressive strength is extremely high.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each through hole 150d of the connection frame 150c or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first frame 150a and the second frame 150b, the mesh portion 150 adjusts the degree of stres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 You can.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second frame 150b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frame 150a may be larger.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honeycomb pattern, it may be applied as a straight line pattern connecting the first frame to the second frame in a straight line, a diagonal pattern connecting the X-shape, or a circular pattern in which the appearanc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impact.

메시부(150)는 에칭이 가능한 메탈 재질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인청동 재질로 적용되어 강성과 내열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mesh portion 15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etched. More preferably, it is applied to stainless steel or phosphor bronze material to promote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그리고 메시부(150)가 패드부(130)의 주변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인쇄회로기판(110)과 제2인쇄회로기판(120)이 충격으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sh portion 150 can block the transmission of an impact from the outside in the vicinity of the pad portion 130,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mpa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the process of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메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sh portion of a touch senso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200)의 메시부(250)는 패드부(130)의 외곽에 복수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mesh parts 250 of the touch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on the outer side of the pad part 130.

메시부(250)가 복수개 마련되면, 하나의 메시부(251)가 솔더링 되어 외력의 전달을 방지하는 것에 비하여 제1프레임(250a)과 제2프레임(250b)이 각각 복수개로 증가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 프레임(250c)과 통공(250d이 배치되기 때문에 패드부(130)의 외곽 방향으로 더 많은 충격 흡수층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패드부(130)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a plurality of mesh portions 250 are provided, the first frame 250a and the second frame 250b are increased to a plurality,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one mesh portion 251 being soldered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external force, and corresponding to this Therefore, since the connection frame 250c and the through hole 250d are disposed, more shock absorbing layers are provid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pad portion 130, thereby providing a more robust protection to the pad portion 130.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센서 모듈 내부에서 보호패턴이 다양한 형상의 패턴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5 to 7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on pattern is arranged in a pattern of various shapes inside the touch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터치센서 모듈(100) 내부에 배치된 보호패턴(140)은 제1인쇄회로기판(110)과 제2인쇄회로기판(120) 사이에서 일 단면이 "C", "I", "L", "W", "Z", "ㄹ"자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한 각 패턴이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protection pattern 140 disposed inside the touch sensor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 of "C", "I",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0. L", "W", "Z", "d" any one of the patterns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y be provided so that each pattern is at least partially spaced from each other.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보호패턴(140a)이 패드부(130) 주변 외곽 영역에서 대략 “ㄹ”자 형상의 패턴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 protection pattern 140a is arranged in a zigzag direction in a pattern of an approximately “d” shape in the outer region around the pad portion 130.

이러한 “ㄹ”자 패턴은 패드부(130)와 외력 사이에서 서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메시부(151)가 배치되고, 부착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때문에 수평방향의 메시부(151)가 1차적으로 외력을 흡수하거나 변형을 통해 외력의 전달을 방지하고, 수직 방향의 메시부(152)가 수평방향의 메시부(151)를 지지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sh pattern 151 is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between the pad portion 130 and the external force, and the attachment area is wide. Therefore, the horizontal mesh portion 151 primarily absorbs external force or prevents the transmission of external force through deformation, and the vertical mesh portion 152 supports the horizontal mesh portion 151 to be structurally robust. Structure can be provided.

도 6은 보호패턴(140b)이 패드부(130) 주변 외곽 영역에서 대략 “ㄷ”자 형상의 패턴으로 감싸듯이 배치된다. 또한 도 6의 변형예로 대략 “C”자 형상의 곡선 패턴이나, “I”자 형상의 패턴 복수개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6, the protection pattern 140b is disposed to wrap around the pad portion 130 in an approximately “c” shape pattern. In addition, as a modification example of FIG. 6, a curved pattern having a “C” shape or a plurality of “I” shape patterns may be implemented to b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이러한 “ㄷ”자 패턴이나 “C”자 패턴은 패드부(130)를 감싸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외력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Since the “C”-shaped pattern or “C”-shaped pattern is arranged to surround the pad portion 130, transmission of external force can be block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 7은 보호패턴(140c)이 패드부(130) 주변 외곽 영역에서 대략 “I”자 형상의 패턴으로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력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터치센서 모듈(100)의 꼭지점 부분 또는 최외곽 영역에 배치된 패드부(130)에 인접한 보호패턴이 보다 조밀한 밀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보호패턴(140c)의 크기나 밀도를 조절하여 패드부(130)가 상대적으로 외력에 더 취약한 부분을 보호할 수도 있다.In FIG. 7, a plurality of protection patterns 140c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n approximately “I”-shaped pattern in an outer region around the pad unit 13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7, the protection pattern adjacent to the pad portion 130 disposed at the vertex portion or the outermost area of the touch sensor module 100 that may be relatively vulnerable to external force may be disposed to have a denser density. Can. By controlling the size or density of the protection pattern 140c in this way, the pad 130 may be relatively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솔더링되는 패드부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터치센서 모듈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패드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보호패턴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패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센서 모듈의 외면에 별도로 이들을 보호하는 쉴드 케이스 등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터치센서 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좌표 센싱과 함께, 터치 시 화면을 누르는 터치 포스의 센싱을 반 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ouch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nding state of the pad portion soldered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more firmly, an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Even if the protective pattern disposed on the outer area of the pad portion absorbs shock, the pad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assembly time is shortened because a structure such as a shield case protecting them separat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module is not required.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prevent damage to the touch sensor modu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ensing of the coordinates by the user's touch and the sensing of the touch force pressing the screen when touched semi-permanent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in order to illustrat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e specific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ed examples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viate. Therefore, such a modified example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 : 디스플레이 장치
20 : 디스플레이 패널
100, 200 : 터치센서 모듈
110 : 제1인쇄회로기판
120 : 제2인쇄회로기판
130 : 패드부
140 : 보호패턴
150, 250 : 메시부
10: display device
20: display panel
100, 200: Touch sensor module
110: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20: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30: pad portion
140: protection pattern
150, 250: mesh part

Claims (13)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복수개의 패드부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패턴;
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pad parts connect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 protection pattern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o protect the pad portion from impact;
Touch sensor modul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배면에 마련되는 제1솔더 패드와,
상기 제1솔더 패드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 상면에 마련되는 제2솔더 패드와,
상기 제1솔더 패드와 제2솔더 패드를 연결하는 제1솔더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portion,
A first solder pad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second solder pa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face the first solder pad;
A touch sensor module including a first solder connecting the first solder pad and the second solder pa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마련되는 제3솔더 패드와,
상기 제3솔더패드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 상면에 마련되는 제4솔더 패드와,
상기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메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rotection pattern,
A third solder pad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fourth solder pa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face the third solder pad,
A touch sensor module including a mesh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solder pad and the fourth solder pa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패드부와 동일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ection pattern,
A touch sensor module made of the same height as the pad portion and disposed in an outer region of the pad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제2솔더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ection pattern,
A touch sensor module including a second solder provided between the third solder pad and the fourth solder pa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제2솔더에 의해 상기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와 메시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protection pattern is a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the third solder pad, the fourth solder pad, and the mesh portion are integrally coupled by the second sold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시부는,
상기 패드부의 외곽 영역을 따라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설정 패턴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들 사이에는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를 연통하도록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sh portion,
A first frame disposed adjacently along an outer region of the pad portion,
A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a set pattern,
A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solder pad and the fourth solder pa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설정 패턴이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하는 하니콤 패턴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connection frame,
A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the setting pattern is formed in a honeycomb pattern centering on the through ho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 사이에서 복수개의 상기 메시부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protection pattern,
A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mesh portions are arranged side by side between the third solder pad and the fourth solder pa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에서 일 단면이 "C", "I", "L", "W", "Z", "ㄹ"자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이 서로 연결되도록 또는 부분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터치센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ection pattern,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one cross-section of "C", "I", "L", "W", "Z", or "d" characters so that any one pattern is connected to each other Or a touch sensor module that is partially spaced apart.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생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진 힘에 의해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복수개의 패드부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을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panel;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for sensing a touch generated on the display panel;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fo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sensing touch force by a force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A plurality of pad portions for connect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protection pattern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o protect the pad from impact Touch sensor module;
Touch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턴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마련되는 제3솔더 패드와,
상기 제3솔더패드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 상면에 마련되는 제4솔더 패드와,
상기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 사이에 구비되는 메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tection pattern,
A third solder pad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 fourth solder pa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face the third solder pad,
And a mesh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solder pad and the fourth solder pa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시부는,
상기 패드부의 외곽 영역을 따라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설정 패턴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들 사이에는 제3솔더 패드와 제4솔더 패드를 연통하도록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제2솔더에 의해 결합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mesh portion,
A first frame disposed adjacently along an outer region of the pad portion,
A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a set patter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solder pad and the fourth solder pad, and the touch display device is coupled by the second solder.
KR1020180167046A 2018-12-21 2018-12-21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000778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46A KR20200077807A (en) 2018-12-21 2018-12-21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46A KR20200077807A (en) 2018-12-21 2018-12-21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07A true KR20200077807A (en) 2020-07-01

Family

ID=7160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46A KR20200077807A (en) 2018-12-21 2018-12-21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8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222B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US11527592B2 (en) Terminals and display screens
JP6576426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isplay panel
JP6840554B2 (en)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481713B2 (en) Display device
KR101981991B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40052175A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10890412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P3255624A1 (en) Display device
KR20170039025A (en) Display device
JP2015056522A (en) Display device with built-in touch panel
CN109074197B (en) Touch input device for detecting touch pressure
KR102625979B1 (en) Touch display panel comprising 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JP6833530B2 (en) Display device
KR20200077807A (en) Touch Sensor Module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10074207A1 (en) Gradual change of pixel-resolution in oled display
KR102517161B1 (en) Display device, mobile informaion terminal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nd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display panel
US11842012B2 (en) Touch sen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601644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2114704B (en)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362112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3268176A (en) Self-contained touch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067965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102388802B1 (en) Display device
JP2015201075A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