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644B1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644B1
KR102601644B1 KR1020160184329A KR20160184329A KR102601644B1 KR 102601644 B1 KR102601644 B1 KR 102601644B1 KR 1020160184329 A KR1020160184329 A KR 1020160184329A KR 20160184329 A KR20160184329 A KR 20160184329A KR 102601644 B1 KR102601644 B1 KR 10260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area
gate
driving frequenc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9610A (en
Inventor
김태환
양승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44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6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되,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좌표에 대한 터치정보를 산출하는 터치센서, 및 터치센서로부터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제2표시영역을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 image is displayed by pixel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 display panel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displays a second image, detects a touch on the display panel, and provides touch information about the touch coordinat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that calculates ,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display area to be driven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upon receiving touch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se embodiments relate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includ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plasma display devic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being used.

상기의 표시장치 중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채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색재현율, 시야각, 응답특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얇고 가볍우며 소비전력이 적어 스마트폰, 태브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above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employ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which are self-luminous devices, are excellent in color gamut, viewing angle, response characteristics, etc. In add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thin, light, and consume low power, so they are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모바일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사용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모바일 장치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얇고 가볍게 개발되고 있어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 터치패널 등을 포함하고 있어 소비전력을 저감하여 사용 시간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Since mobile devices are supplied with power using a battery, the usage time can be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battery. However, as mobi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be thin and light for convenient 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capacity cannot be increased and the usage time is shortened. In particular, smartphones and tablet PCs contain various sensors and touch panel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o there is a ne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e usage time.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되,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좌표에 대한 터치정보를 산출하는 터치센서, 및 터치센서로부터 상기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표시영역을 상기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ne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display an image by pixels disposed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display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 display panel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that displays and a second display area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displays a second image, detects a touch on the display panel, and touches the touch panel.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at includes a touch sensor that calculates touch information about coordinate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display area to be driven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when the touc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다른 일측면에서,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되,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제1터치영역과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제2터치영역으로부터 터치를 감지하되, 제1터치영역은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제2터치영역은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터치센서, 터치센서로부터 제1터치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터치센서가 제2구동주파수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터치센서로부터 제2터치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제2표시영역이 제2구동주파수에서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nother aspect,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by pixels arranged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 display panel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displays a second image, a first touch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 touch is detected from a second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where the first touch area operates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touch area operates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When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area is received, the touch sensor operates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when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the second display area is operated. The objec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riving from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다른 일측면에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표시패널의 제1표시영역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표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생성된 터치정보를 수신하여 제2표시영역을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s driven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s driven at a second driving frequency, detecting a touch of the display panel and touching the touch panel.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generating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ordinates, receiving the generated touch information, and driving a second display area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다른 일측면에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표시패널의 제1표시영역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표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센서는 제2터치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생성된 터치정보가 제1터치영역에 포함된 터치좌표를 포함하면 제2터치영역을 제1터치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생성된 터치정보가 제2터치영역에 포함된 터치좌표를 포함하면 제2표시영역을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s driven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s driven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touch sensor is Driving at a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detecting a touch on the display panel to generate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coordinates, and if the generated touch information includes touch coordinate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area, the second touch area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driving a touch area at a first touch driving frequency and driving the second display area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when the generated touch information includes touch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area. is to provide.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에 채용된 터치센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에 채용된 터치센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제1표시영역이 구동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패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이 구동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드라이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2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ouch sensor employed i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ouch sensor employed i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FIG. 4A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is driven.
FIG. 4B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pass panel shown in FIG. 3 is driven.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ate driver shown in FIG. 1.
FIG.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드라이버(120), 데이터드라이버(130), 터치드라이버(140), 제어부(150) 및 전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 gate driver 120, a data driver 130, a touch driver 140, a control unit 150, and a power unit 160. .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1,G2,…,Gn-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panel 110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G1, G2,..., Gn-1, G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1, D2,..., Dm-1, Dm) intersect. Images can be displayed by pixels. It is not limited to the gate line and data lin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표시패널(110)은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되,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노말모드에서는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말모드에서는 제1구동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표시패널(110)에 구동주파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한 프레임을 유지하는 시간이 구동주파수에 대응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110)이 제1구동주파수에 의해 구동하는 것과 제2구동주파수에 의해 구동하는 것은 각각 한 프레임이 유지되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제1구동주파수가 제2구동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이면 한 프레임이 유지되는 시간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보다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할 때 더 짧을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0 has a first display area that displays the first image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a first display area that is driven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nd displays the second image.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display area. The display panel 110 may operate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normal m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driven at a higher frequency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normal mode.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driven by a driving frequency, the time for maintaining one frame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may correspond to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ly, the time for which one frame is maintained may be different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driven by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a higher frequency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time for which one frame is maintained may be shorter when driving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an when driving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제1영상은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고, 제2영상은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주파수가 제2구동주파수보다 주파수가 더 높을 수 있다. 제1구동주파수는 60Hz 일 수 있고, 제2구동주파수는 15Hz 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image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image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dditionally, the first driving frequency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first driving frequency may be 60Hz, and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may be 15Hz.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표시패널(110)은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표시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센서는 표시패널(11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표시패널(110)의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터치영역과 표시패널(110)의 제2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터치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제1터치영역을 터치하면 터치센서는 제1터치영역을 터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제2터치영역을 터치하면 터치센서는 제2터치영역을 터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touch sensor (not shown). The touch sensor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can detect a touch of the display panel 1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ouch sensor may be built into the display panel 110. The touch sensor can distinguish between a first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a second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area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the touch sensor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area has been touched,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area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the touch sensor determines that the second touch area is touch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area has been touched.

터치센서는 노말모드와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는 노말모드에서는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터치센서가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터치센서에서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can be driven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normal mode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dditionally, the touch sensor may be driven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in normal mode and at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When the touch sensor is driven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power consumption in the touch sensor can be reduced.

게이트드라이버(12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1,G2,…,Gn-1,Gn)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20)는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게이트라인에는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게이트신호를 전달하고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게이트라인에는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게이트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20)는 제2구동주파수로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면 하이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는 간격이 커 게이트드라이버(12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The gate driver 120 can transmit gate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1, G2,..., Gn-1, Gn). The gate driver 120 may transmit a gate signal in response to a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ransmit a gate signal in response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there is. When the gate driver 120 outputs the gate signal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interval between high-state signals is large, so power consumption in the gate driver 120 can be reduced.

데이터드라이버(13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30)는 게이트드라이버(120)와 동일한 구동주파수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드라이버(120)가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면 데이터드라이버(130)는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게이트드라이버(120)가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면 데이터드라이버(130)는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30)는 제2구동주파수로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면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간격이 커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The data driver 130 can transmit data signals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1, D2,...,Dm-1, Dm). The data driver 130 may be driven at the same driving frequency as the gate driver 120. Therefore, when the gate driver 120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e data driver 130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if the gate driver 120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data driver (130)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130) can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When the data driver 130 outputs a data signal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interval between outputting the data signal is large, so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터치드라이버(130)는 표시패널(110)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센서를 구동시켜 표시패널(110)에 발생된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터치좌표에 대한 터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드라이버(130)은 노말모드에서 터치센서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드라이버(130)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센서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센서가 제2구동주파수로구동하게 되면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보다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The touch driver 130 can detect a touch generated on the display panel 110 by driving the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calculate touch information about the touch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 The touch driver 130 can drive the touch sensor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normal mode. Additionally, the touch driver 130 can drive the touch sensor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When the touch sensor is driven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touch sensor is driven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제어부(140)는 노말모드에서는 표시패널(110)이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는 표시패널(110)의 제1영역이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하고 제2영역이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표시패널(110)을 노말모드로 구동하도록 하면 표시패널(110)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센서 역시 노말모드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가 표시패널(110)을 소비전력저감모드로 구동하도록 하면 표시패널(110)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센서는 노말모드 또는 소비전력저감모드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an drive the display panel 110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normal mode, and drive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area in the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It can be driven at this second driving frequency. When the control unit 140 drives the display panel 110 in normal mode, the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10 can also be driven in normal mode. Additionally, when the control unit 140 drives the display panel 110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driven in a normal mode or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제어부(140)는 노말모드에서 게이트드라이버(120)와 데이터드라이버(130)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게 할수 있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는 게이트드라이버(120)와 데이터드라이버(130)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노말모드에서 터치드라이버(140)가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게 할 수 있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드라이버(140)가 제1구동주파수 또는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게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an cause the gate driver 120 and the data driver 130 to drive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normal mode, and the gate driver 120 and the data driver 130 can drive the gate driver 120 and the data driver 130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It can be run with .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can cause the touch driver 140 to drive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normal mode, and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touch driver 140 can drive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r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You can make it run.

또한, 제어부(140)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센서로부터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제2표시영역을 상기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센서로부터 제1터치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수신하면 터치드라이버(140)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하여 터치센서(110)이 노말모드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센서로부터 제2터치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수신하면 표시패널(110)의 구동주파수를 제1구동주파수로 변경하여 표시패널(110)이 노말모드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second display area to be driven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when touc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ouch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area from the touch sensor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it drives the touch driver 140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so that the touch sensor 110 is in normal mode. You can make it run.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ouch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from the touch sensor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control unit 140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so that the display panel 110 changes to a normal state. It can be run in mode.

전원부(16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드라이버(120), 데이터드라이버(130), 터치드라이버(140),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드라이버(120), 데이터드라이버(130), 터치드라이버(140), 제어부(150)가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경우 공급하는 전원의 변화가 적어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전원부(160)는 저전위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panel 110, gate driver 120, data driver 130, touch driver 140, and control unit 150. The power supply unit 160 changes the power supplied when the display panel 110, gate driver 120, data driver 130, touch driver 140, and control unit 150 operate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s a resul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dditionall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output a low potential voltag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에 채용된 터치센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2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ouch sensor employed i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도 2a를 참조하면, 터치전극(TEa)이 표시패널(210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각 터치전극(TEa)에는 각각 하나의 터치전극라인(240a)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라인(240a)의 일 부분은, 터치 전극들(TEa)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전극(TEa)과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전극(TEa)이 터치전극라인(240a)을 통해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터치펜이 표시패널(210a) 상의 한 지점을 터치하면 터치전극(TEa)과 손가락 또는 터치펜 사이에 정전용량이 생성되고 생성된 정전용량을 감지한 터치감지신호가 터치전극라인(240a)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ouch electrodes TEa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210a, and one touch electrode line 240a may be connected to each touch electrode TEa.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touch electrode line 240a may overlap with at least one of the touch electrodes TEa. And, when a finger or a touch pen touches a point on the display panel 210a while the touch electrode (TEa) is supplied with a touch drive signal through the touch electrode line 240a, the touch electrode (TEa) and the finger or touch pen A capacitance is generated in between, and a touch detection signal detecting the generated capacitance may be output through the touch electrode line 240a.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에 채용된 터치센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ouch sensor employed i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210b)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TEb)은 마름모꼴 형태일 수 있고 가로방향으로 터치전극이 연결되거나 세로방향으로 터치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210b)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전극들(TEb)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touch electrode TEb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210b may have a diamond shape, and the touch electrodes may b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touch electrodes may b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dditionally, the touch electrodes TEb dispos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210b may have a triangular shape.

터치전극들(TEb) 중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터치라인 중 터치구동라인(241b)과 연결되어 터치구동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터치전극들(TEb) 중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터치라인 중 터치감지라인(242b)과 연결되어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mong the touch electrodes (TEb), the touch electrode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touch drive line 241b among the touch lines to receive a touch drive signal, and among the touch electrodes (TEb), the touch electrodes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touch drive line 241b. The electrodes may be connected to the touch detection line 242b among the touch lines to output a touch detection signal.

그리고, 일지점을 손가락 또는 터치펜을 통해 터치전극(TEb)을 터치하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TEb)과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TEb) 간에 정전용량이 변화되고 터치감지신호는 정전용량변화에 대응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And, when the touch electrode (TEb) is touched at one point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the capacitance changes between the touch electrode (TEb)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ouch electrode (TEb)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uch detection occurs. A signal may be output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capacitance.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터치전극(TEa, TEb)은 투명전극일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TEa, TEb)은 메쉬형태일 수 있어 각 터치전극(TEa, TEb)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표시패널에서 방출되는 빛이 터치전극을 투과하도록 할 수 있다.The touch electrodes TEa and TEb shown in FIGS. 2A and 2B may be transparent electrodes. Additionally, the touch electrodes TEa and TEb may be in a mesh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touch electrodes TEa and TEb, allow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to pass through the touch electrodes.

여기서, 터치전극(TEa, TEb)의 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의 크기와 터치전극(TEa, TEb)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터치전극(TEa, TEb)이 표시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number of touch electrodes (TEa, TEb)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various numbers of touch electrodes (TEa, TEb) are installed on the display panel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ize of the touch electrodes (TEa, TEb). can be placed i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한 평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310)은 터치를 감지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표시패널(310)은 제1표시영역(311)과 제2표시영역(3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표시영역(311)은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제2표시영역(312)은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는 제1표시영역(311)에 대응되는 위치가 제1터치영역으로 설정되고 제2표시영역(312)에 대응되는 위치가 제2터치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표시영역(311)과 제2표시영역(312)은 게이트라인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제1터치영역과 제2터치영역은 터치센서의 터치전극라인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표시영역(311)과 제2표시영역(312)의 크기는 고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panel 310 may be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shown in FIGS. 2A and 2B that detects a touch. Additionall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display panel 3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311 and a second display area 312. The first display area 311 may be an are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the second display area 312 may be an area where the image is not displayed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dditionally,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311 of the touch sensor may be set as the first touch area,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312 may be set as the second touch area. The first display area 31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312 can be set using gate lines, and the first touch area and the second touch area can be set using the touch electrode lines of the touch sensor. Additionally, the sizes of the first display area 31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312 may be fixed or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는 표시패널(310)의 제1표시영역(311)에서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표시영역(312)에서는 제2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영상은 노말모드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하게 구동되는 영상일 수 있고 제2영상은 노말모드에서 표시되는 영상보다 소비전력을 적은 영상일 수 있다.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first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311 of the display panel 310 and the second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312. The first image may be an image that is driven identically to the image displayed in normal mod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an image that consumes less power than the image displayed in normal mode.

노말모드 또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영상은 제1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표시되는 제2영상은 제2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제2주파수는 제1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일 수 있으며 제2주파수에 의해 표시패널이 구동하게 되면 영상이 변환되는 속도가 느려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저감모드는 표시패널(310)이 제1표시영역(311)과 제2표시영역(312)으로 구분되고 제2표시영역(312)에서 소비전력이 저감되도록 함으로써 표시패널(310)에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The first image displayed in the normal mode or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may be an image displayed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image displayed in the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may be an image displayed in correspondence to the second frequency. The second frequency may be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and when the display panel is driven by the second frequency, the speed at which the image is converted is slow,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ccordingl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display panel 310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311 and a second display area 312, and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econd display area 312 is reduced to reduce the display panel 310.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표시영역(312)은 적어도 일부의 게이트라인이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표시영역(312)에 대응되는 게이트라인의 수가 100인 것으로 가정을 하면 구동되는 게이트라인의 수가 20개이고 나머지 80개는 구동하지 않도록 하여 제2표시영역(312)에서 게이트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을 짧게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구동하는 게이트라인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영역(312)에 대응하는 게이트라인 전체가 구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t least some gate lines of the second display area 312 may not be driven. That is, assuming that the number of gate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312 is 100, the number of driven gate lines is 20 and the remaining 80 are not driven, so that the gate signal is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area 312. It can be implemented in a short time. However, the number of driving gate lines is not limited to this, and not all gate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312 may be driven.

또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표시패널(310)의 제2표시영역(312)에 표시되는 제2영상은 0 계조에 대응되는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데이터구동부(130)은 데이터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데이터구동부(13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가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은 백라이트의 일부는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제2영역에 대응하는 화소가 빛을 발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312 of the display panel 310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0 gray scale. Accordingly, the data driver 130 shown in FIG. 1 does not output a data signal,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he data driver 130. Additional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preventing a portion of the backlight from emitting light in the second area that displays the second image. Additional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preventing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from emitting light.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제1표시영역이 구동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패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이 구동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FIG. 4A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is driven, and FIG. 4B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pass panel shown in FIG. 3 is driven. This is a timing diagram showing .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310)의 제1표시영역(311)은 제1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패널(310)의 제2표시영역(312)은 제1주파수보다 느린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표시영역(311)에서 한 프레임에 대응되는 구간에 해당되는 시간은 제2표시영역(312)에서 한 프레임에 대응되는 구간에 해당되는 시간 보다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310)은 함 프레임 단위로 화면이 전환될 수 있는데, 소비전력저감보드에서 제2표시영역(312)이 제1표시영역(311)보다 화면이 변화되는 속도가 더 늦어 소비전력이 더 작게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first display area 311 of the display panel 310 may be driven at a first frequency. However, the second display area 312 of the display panel 310 may be driven at a second frequency that is s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Accordingly,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one frame in the first display area 311 may be implemented as shorter than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one frame in the second display area 312. Therefore, the display panel 310 can change screens on a frame-by-frame basis, but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board, the second display area 312 changes the screen at a slower rate than the first display area 311,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is can be made smaller.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드라이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ate driver shown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드라이버(520)는 복수의 GIP 회로(520a,520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GIP 회로는 하나의 게이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gate driver 5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IP circuits 520a and 520b. Each GIP circuit can output one gate signal.

복수의 GIP 회로(520a,520b)는 먹스(521)의 출력단과 연결될 수 있고, 먹스(521)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단을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GIP 회로(520a,520b) 중 일부의 GIP 회로(520a)가 게이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먹스(521)로부터 인에이블신호를 전달받은 GIP 회로들(520a)는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g1 내지 g5)를 출력하고 먹스(521)로부터 인에이블신호를 전달받지 못한 GIP 회로들(520b)는 제2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g6 내지 g10)를 출력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즉, 제2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GIP 회로(520b)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게이트라인만이 게이트신호(g1 내지 g5)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IP circuits 520a and 520b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ux 521, and the mux 521 outputs an enable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GIP circuits 520a and 520b. Some of the GIP circuits 520a can be controlled to output gate signals. Due to this, the GIP circuits 520a, which received the enable signal from the mux 521, output gate signals (g1 to g5) applied to the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receive the enable signal from the mux 521. GIP circuits 520b that do not receive signals may not output gate signals (g6 to g10) applied to the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That is, the GIP circuit 520b, which applies the gate signal to the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is prevented from outputting the gate signal, so that only the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transmits the gate signal (g1 to g5). It can be made to run.

제2표시영역은 게이트신호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화면이 표시된 후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초기화면은 O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Since the gate signal is not driven in the second display area, it may not be switched after the initial screen is displayed. The initial screen may be a screen corresponding to a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 gradation.

따라서, 먹스에 의해 복수의 GIP 회로(520a,520b) 중 일부의 GIP 회로(520b)만 동작하게 되어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Accordingly, only some of the GIP circuits 520b among the plurality of GIP circuits 520a and 520b are operated by the mux,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먹스(521)는 2개 이상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게이트라인 중 일부의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GIP 회로에는 인에이블 신호를 전달하고 다른 일부의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GIP 회로는 인에이블 신호를 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2표시영역의 일부의 게이트라인은 게이트신호가 구동되고 다른 일부의 게이트라인은 게이트신호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ux 521 includes two or more output terminals, transmits an enable signal to the GIP circuit that drives some of the gate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transmits an enable signal to the gates of some of the other gate lines. By preventing the GIP circuit that drives the line from transmitting an enable signal, some gate lines in the second display area can be driven by gate signals and other gate lines cannot be driven by gate signals.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FIG.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650)는 연산부(651)와 메모리(6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651)는 터치센서로부터 터치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650)는 메모리(652)에 기설정된 제1표시영역에 대한 터치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650 may include a calculation unit 651 and a memory 652. The calculation unit 651 may receive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uch coordinates from the touch sensor.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650 may store touch coordinates for the preset first display area in the memory 652.

연산부(651)는 터치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터치좌표와 메모리(652)에 저장되어 있는 제1표시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를 전달받아 비교함으로써 제1표시영역을 터치하였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652)에 저장되어 있는 제1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는 업데이트되어 제1표시영역이 변경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alculation unit 651 can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isplay area has been touched by comparing the touch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first display area stored in the memory 652.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first area stored in the memory 652 may be updated to correspond to changes in the first display area.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표시영역과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S700). 제1표시영역은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표시영역은 제2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영상은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제2영상은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1구동주파수는 제2구동주파수 보다 더 높은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제2표시영역은 제1표시영역에서보다 소비전력이 더 저감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image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S700). The first display area may display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display area may display the second image. The first image may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image may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first driving frequency may be a higher frequency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in the second display area can be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at in the first display area.

표시장치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S710). 표시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센서는 표시장치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터치영역이 터치되었는지 또는 제2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터치영역이 터치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터치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는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터치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할 수 있다. 제2터치구동주파수는 제2터치구동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센서가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터치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게 되면 터치센서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터치구동주파수는 제1구동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이고 제2터치구동주파수는 제2구동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터치구동주파수는 제1구동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이고 제2터치구동주파수는 제2구동주파수와 같은 주파수 일 수 있다.A touch on the display device can be detected (S710). The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can detect a touch on the display device. The touch sensor can detect whether the first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is touched or whether the second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is touched. Additionally, the touch sensor may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dditionally, the touch sensor may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may be a lower frequency than the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Therefore, when the touch sensor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touch sensor can be reduced. Additionally, the first touch driving frequency may be a different frequency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may be a different frequency from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touch driving frequency may be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may be the same frequency as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터치센서에서 터치를 감지한 영역에 대응하여 터치센서 또는 표시패널의 구동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S720). 터치센서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표시장치는 제1표시영역과 제2표시영역 모두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센서가 터치를 감지하면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노말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touch sensor or display panel can be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area where the touch was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S720). When a touch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the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so that both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operate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erefore, when the touch sensor detects a touch,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can be switched to the normal mode.

또한, 터치센서는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고 터치가 제1터치영역을 터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센서가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터치영역을 터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패널은 소비전력저감모드로 동작하게 되지만 터치센서는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터치검출을 노말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가 제2터치영역을 터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이 제2구동주파수에서 제1구동주파수로 변경되어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터치영역을 터치한 것으로 감지하면 표시패널이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노말모드로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 역시 제2구동주파수에서 제1구동주파수로 변경되어 구동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ouch sensor can operate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has touched the first touch area, the touch sensor can be enabled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area has been touched, the display panel operates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but the touch sensor can be oper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llowing touch detection to operate in the normal mode. Addi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sensor has touched the second touch area,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can be driven by changing from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ccordingly, when the second touch area is detected as being touched, the display panel can be operat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o the normal mode. Additionally, the touch sensor can also be driven by changing from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mbine the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transform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change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드라이버
140: 터치드라이버
150: 제어부
160: 전원부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gate driver
130: data driver
140: touch driver
150: control unit
160: power unit

Claims (10)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되,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좌표에 대한 터치정보를 산출하는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로부터 상기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표시영역을 상기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각각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GIP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GIP 회로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가 연결되는 제1출력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연결된 제2출력단,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을 포함하는 먹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먹스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에 상기 게이트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을 구동하지 않는 표시장치.
A first display area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pixels arranged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in response to a first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 display panel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is divided into a second display area that displays a second image;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n the display panel and calculates touch information about touch coordinat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display area to be driven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when the touc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and
Includes a gate driver that transmits gat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The gate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GIP circuits each outputting a gate signal,
The plurality of GIP circuits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o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separate from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e gate driver further includes a mux including a first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is connected, a second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is connected, and 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
The MUX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signal, deactivates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does not drive the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게이트라인에는 상기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게이트라인에는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te driver transmits the gate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o the at least one second signal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the gate signal to a gate line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게이트라인을 구동하지 않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gate driver does not drive at least some of the gate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mo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삭제delete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고,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구동하되,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제1터치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제2터치영역으로부터 터치를 감지하되, 상기 제1터치영역은 상기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2터치영역은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로부터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터치센서가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서 상기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터치센서로부터 상기 제2터치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표시영역이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서 상기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각각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GIP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GIP 회로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가 연결되는 제1출력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연결된 제2출력단,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을 포함하는 먹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먹스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에 상기 게이트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을 구동하지 않는 표시장치.
A first display area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pixels arranged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in response to a first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 display panel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and is divided into a second display area that displays a second image;
A touch is detected from a first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wherein the first touch area operates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first touch area operates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2 Touch area includes a touch sensor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When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area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operates at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touch sensor corresponds to the second touch area from the touch senso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display area to be driven from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when receiving touch information; and
Includes a gate driver that transmits gat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The gate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GIP circuits each outputting a gate signal,
The plurality of GIP circuits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o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separate from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e gate driver further includes a mux including a first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is connected, a second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is connected, and 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
The MUX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signal, deactivates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does not drive the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게이트라인에는 상기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게이트라인에는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gate driver transmits the gate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o the at least one second signal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the gate signal to a gate line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게이트라인을 구동하지 않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5,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the gate driver does not drive at least some of the gate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mo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삭제delete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제1표시영역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터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표시영역을 상기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각각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GIP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GIP 회로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가 연결되는 제1출력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연결된 제2출력단,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을 포함하는 먹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먹스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에 상기 게이트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을 구동하지 않는 상기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pixels disposed corresponding to areas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a gate driver that transmits a gate signal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Driving a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and driving a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t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detecting a touch on the display panel to generate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uch coordinates; and
Receiving the generated touch information and driving the second display area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e gate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GIP circuits each outputting a gate signal,
The plurality of GIP circuits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o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separate from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e gate driver further includes a mux including a first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is connected, a second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is connected, and 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
The MUX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Driving the display device so that a signal is output and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is deactivated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thereby not driving the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method.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화소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제1표시영역은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2표시영역은 제2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소비전력저감모드에서 터치센서는 제2터치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표시패널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터치정보가 제1터치영역에 포함된 터치좌표를 포함하면 제2터치영역을 제1터치구동주파수로 구동하고, 생성된 상기 터치정보가 상기 제2터치영역에 포함된 터치좌표를 포함하면 상기 제2표시영역을 상기 제1구동주파수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각각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GIP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GIP 회로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와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가 연결되는 제1출력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연결된 제2출력단,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을 포함하는 먹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먹스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GIP 회로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라인에 상기 게이트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GIP 회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상기 제2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라인을 구동하지 않는 상기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pixels disposed corresponding to areas wher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 and a gate driver that transmits a gate signal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Driving a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t a first driving frequency and driving a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at a second driving frequency in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Driving the touch sensor at a second touch driving frequency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ode;
detecting a touch on the display panel to generate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uch coordinates; and
If the generated touch information includes touch coordinate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area, the second touch area is driven at the first touch driving frequency, and the generated touch information includes touch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area. and driving the second display area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e gate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GIP circuits each outputting a gate signal,
The plurality of GIP circuits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o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separate from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e gate driver further includes a mux including a first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is connected, a second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is connected, and 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
The MUX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IP circuit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Driving the display device so that a signal is output and the at least one second GIP circuit is deactivated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thereby not driving the at least one second gate l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method.
KR1020160184329A 2016-12-30 2016-12-30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601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329A KR102601644B1 (en) 2016-12-30 2016-12-30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329A KR102601644B1 (en) 2016-12-30 2016-12-30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10A KR20180079610A (en) 2018-07-11
KR102601644B1 true KR102601644B1 (en) 2023-11-14

Family

ID=6291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329A KR102601644B1 (en) 2016-12-30 2016-12-30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6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961A (en)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Display device
KR20220105892A (en) * 2021-01-21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of driving display with multiple refresh rate and a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1848A1 (en) * 2015-02-10 2016-08-11 Acer Incorporated Touch devices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84B1 (en) * 2013-06-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56057B1 (en) * 2013-12-10 2020-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Panel For Display Device
US9489882B2 (en) * 2014-02-25 2016-11-08 Lg Display Co., Ltd. Display having selective portions driven with adjustable refresh rat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73499B1 (en) * 2014-12-29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1848A1 (en) * 2015-02-10 2016-08-11 Acer Incorporated Touch devices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10A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6620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KR102446751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EP2887186B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10175791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9740327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063349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50071875A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ing thereof
KR20130035883A (en) Display unit,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KR20140137096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50727B1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KR20130067112A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0780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sensor
US1156759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KR102601644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25806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031135A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R1022028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47825B1 (en) Display panel including the photo senso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8931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469014B1 (en) Integrated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89128B1 (en) Driving circuit of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screen
KR20160092095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79100A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426678B1 (en) In cell type display apparatus
KR20130077050A (en) Portable image display device available optical sensing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