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227A -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227A
KR20200077227A KR1020180166534A KR20180166534A KR20200077227A KR 20200077227 A KR20200077227 A KR 20200077227A KR 1020180166534 A KR1020180166534 A KR 1020180166534A KR 20180166534 A KR20180166534 A KR 20180166534A KR 20200077227 A KR20200077227 A KR 20200077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real estate
blockchain
transaction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건
류경호
양경민
우준범
Original Assignee
고명건
양경민
우준범
류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건, 양경민, 우준범, 류경호 filed Critical 고명건
Priority to KR102018016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227A/ko
Publication of KR2020007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은, 매도인이 온라인 상에 매물에 대한 거래조건을 등록하는 단계; 와 매수인이 상기 온라인을 통해 상기 매물에 대한 매수 의사를 상기 매도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와 상기 온라인 상에서 상기 매도인과 상기 매수인간의 상기 매물에 대한 거래계약서가 작성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을 운영하는 메인 노드가 상기 거래계약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메인 노드와 복수개의 서브 노드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거래계약서의 데이터가 블록 단위로 분할되어 상기 복수개의 서브 노드에 체인 형태로 저장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THE DEALING METHOD OF REAL ESTATE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거래 시 온라인을 통해 중개인 없이도 안전하게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거래는 거래 금액이 크고 계약서가 중요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매도인과 매수인이 직접 거래하지 않고, 부동산 관련 전문지식을 가진 중개업자가 거래에 개입하고 있다. 이 경우, 제3자인 중개인을 거쳐 거래가 진행되어 수수료가 발생한다.
또한, 현재 방식에 의하면 부동산 거래가 불투명하여, 부동산 중개인이나 임대인 등 제3자 의한 사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여러 당사자가 개입되고 당사자 모두가 거래에 대해 확인해야 하므로, 부동산 거래 시 소유주의 명의나 확정일자 등의 갱신이 느리고 부동산 이중거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부동산의 매도인과 매수인이 중개인 없이도 안전하게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계약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전하고 직관적인 부동산 거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투명하고 안전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에 의해 제안되는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은, 매도인이 온라인 상에 매물에 대한 거래조건을 등록하는 단계; 와 매수인이 상기 온라인을 통해 상기 매물에 대한 매수 의사를 상기 매도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와 상기 온라인 상에서 상기 매도인과 상기 매수인간의 상기 매물에 대한 거래계약서가 작성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을 운영하는 메인 노드가 상기 거래계약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메인 노드와 복수개의 서브 노드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거래계약서의 데이터가 블록 단위로 분할되어 상기 복수개의 서브 노드에 체인 형태로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부동산 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중개업자의 부재로 인해 거래 수수료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갱신 지연으로 인한 사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매도인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매수인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플랫폼은 부동산 거래에 대한 웹 기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거래 이력 정보를 노드들의 합의를 통해 거래데이터의 정당성을 보증하는 분산 원장 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은 거래 이력 정보를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모든 노드에 분산하여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100)는 메인 노드(110)와 복수개의 서브 노드(120, 130, 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노드(110)는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노드(110)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의 전체 거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노드(110)는 부동산 거래를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매물 등록, 매물 검색, 가계약서 작성, 본계약서 작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노드(110)는 부동산 거래에 대한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거나 출력 또는 파기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서(Smart Contract)는 온라인을 통한 부동산 거래를 위해 작성되는 전자 계약서일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는 가계약 계약서와 본계약 계약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서는 판매자 ID, 구매자 ID, 가계약서와 본계약서의 해시값, 기간, 계약 상태, 계약 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동산 거래 트랜잭션의 공증을 위한 변수와 함수를 스마트 계약서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의 내용을 법적 효력을 갖출 수 있는 양식에 따라 작성하는 경우, 스마트 계약서는 부동산 거래 관련 법적 분쟁에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메인 노드(110)는 스마트 계약서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노드(110)는 스마트 계약서의 데이터를 블록에 담아 복수개의 서브 노드(120, 130, 140)에 체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 노드(110)는 이더리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노드(120, 130, 140)는 부동산 거래에 대한 스마트 계약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서브 노드(120, 130, 140)는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스마트 계약서의 데이터를 블록에 담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노드(110)와 복수개의 서브 노드(120, 130, 140)는 private 환경의 IPFS를 구성할 수 있다.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 분산형 파일 시스템)는 모든 컴퓨팅 장치를 동일한 파일 시스템으로 연결하려는 분산 파일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해시로 참조한다는 IPFS의 특성을 활용한다. IPFS는 특정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노드들에 직접 접근하여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계약서 파일을 IPFS에 저장하여 URL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WS 서버 3대와 로컬 서버 PC 1대를 노드로 사용하여 private 환경의 IPFS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AWS 서버 3대는 각각 복수개의 서브 노드(120, 130, 140)의 역할을 수행하고, 로컬 서버 PC 1대는 메인 노드(11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는 중앙집중형이 아닌 분산형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부동산 거래 방식과 달리 온라인 계약을 수행하여 부동산 거래를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된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public 환경의 이더리움을 이용하여 계약서를 생성 및 관리함으로써,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 생성 시간이 15초 정도로 짧아 데이터 갱신지연으로 인한 거래 사기를 방지하고, 이중 거래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부동산 거래가 가능하므로, 매도인과 매수인이 제3자의 중개 없이도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블록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누구나 공유할 수 있어 투명한 부동산 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인 노드(110)는 프론트 엔드(front end)와 백 엔드(back end)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엔드는 부트 스트랩을 이용하여 응답 가능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백 엔드는 Node.js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백 엔드의 각 기능들을 모듈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메인 노드(110)는 Web3.js를 이용해 이더리움 노드와(2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노드(110)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Mongo DB를 통해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Node.js와 Mongo DB는 Mongoose API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Mongo DB는 user, Sales-Contract Schema, Pro-Contract Schema, Rent-Contract Schema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는 가계약을 위한 계약서와 본 계약을 위한 계약서로 구분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의 원본은 IPFS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개의 노드(AWS)와 한 개의 Controller(Local)로 private 환경의 IPFS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노드(AWS)는 서브 노드(120, 130, 140)이고, 한 개의 controller는 메인 노드(110)일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는 판매자 ID, 구매자 ID, 가계약서와 본계약서의 해시값, 기간, 계약 상태, 계약 번호를 변수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계약서를 구성하는 변수에 대한 데이터가 IPFS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서 함수로는 가계약 생성, 본계약 생성, 계약서 출력, 계약 파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노드(110)는 입력된 함수에 대응하여 스마트 계약서에 대한 가계약 생성, 본계약 생성, 계약서 출력, 계약 파기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는 Truffle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노드(110)와 스마트 계약서는 Web3.js를 이용하여 연동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서의 저장 시, 이더리움(Ethereum)에서 제공하는 Ganache를 이용하여 블록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들에 스마트 계약서의 내용을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230)을 통하여 이더리움 블록체인(240)과 연결하고, 데이터는 mongo DB를 통하여 여러 노드들에게 분산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앙화된 서버 없이 노드들이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IPFS로 부동산 거래 계약서를 저장한다. 블록은 약 15초 이내로 생성되므로, 갱신지연으로 인한 사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에 의하면, 매물 등록, 매물 현황 확인, 내 매물 관리, 가계약서 작성, 본계약서 작성, 계약 확인, 계약 파기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매물 등록 기능은 판매하기를 원하는 부동산 매물을 등록하는 기능이다. 매물 등록 시, 사용자는 부동산의 주소, 거래 종류(매매, 전세, 월세 등), 부동산의 상세 내용(층수, 공급 면적 등, 주차 가능 여부 등) 등 매물 등록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110)는 입력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매물 현황 확인 기능은 구매하기를 원하는 부동산 매물을 검색 및 확인하는 기능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 노드(110)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 매물 상세 내용, 매물 주소, 계약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노드(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동산 매물들을 생성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노드(110)는 계약 상태에 따라 검색 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내 매물 관리 기능은 사용자의 관심 부동산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 계약의 진행정도에 따라 매물을 관리해줄 수 있다. 사용자의 관심 부동산은, 사용자가 매물로 등록하거나, 매수를 위해 모니터링 대상으로 선택한 부동산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노드(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물들의 계약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계약서 작성 기능은 매수인과 매도인 간에 가계약서 작성을 도와주는 기능이다. 이 경우, 메인 노드(110)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가계약서 양식을 생성하고, 가계약에 필요한 내용 항목을 상기 양식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계약에 필요한 내용 항목은, 부동산의 표시(소재지, 양적, 용도 등), 가계약금, 가계약서(계약자 성명,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등), 매도인 성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웹에서 가이드 하는 양식 및 항목에 따라 계약 내용을 기입함으로써, 가계약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본계약서 작성 기능은 매수인과 매도인 간에 본계약서 작성을 도와주는 기능이다. 본계약서는 매매계약서 일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노드(110)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매매계약서 양식을 생성하고, 매매계약에 필요한 내용 항목을 상기 양식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매매계약에 필요한 내용 항목은, 부동산의 소재지, 토지에 대한 사항(지목, 대지권, 면적), 건물에 대한 사항(용도, 면적 등), 계약내용(매매대금, 계약금, 융자금, 중도금, 잔금, 특약사항, 날짜), 매도인 인적 사항(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성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웹에서 가이드 하는 양식 및 항목에 따라 계약 내용을 기입함으로써, 매매계약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계약 확인 기능은 계약의 진행 척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 메인 노드(110)는 해당 매물에 대한 계약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계약 파기 기능은 계약기간 안에 계약이 이뤄지지 않았을 때 계약을 자동 파기하는 기능이다. 메인 노드(100)는 가계약 체결 시 기록된 블록타임과 계약기간을 더한 값보다 현재 블록타임이 더 클 경우 계약을 파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뉴를 선택한다(S310).
사용자는 메인 노드(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웹 상에서, 부동산 거래와 관련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메뉴는 매도자로서 부동산을 매도(판매)하는 메뉴와, 매수인으로서 부동산을 매수(구매)하는 메뉴가 있을 수 있다.
만일, 부동산 판매를 선택하는 경우(S311), 하위 메뉴로 매물 등록이나 내 매물 관리를 선택할 수 있다.
매물 등록을 선택하면(S312), 등록한 매물에 대한 등기부 등본을 업로드 한다(S313). 이 경우, 사용자는 매도하고자 하는 부동산에 대한 등기부 등본을 업로드 할 수 있다. 부동산 중개업자가 없는 거래이므로, 매물의 실제를 확인하기 위한 등기부등본을 등록한다. 이후, 구매자는 해당 등기부등본을 등기 고유번호와 함께 확인 가능하다. 등기부 등본이 업로드 되면, 사용자나 매수인 또는 제3자는 매물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S315). 이에 의해, 매수인이나 제3자는 매매 대상 부동산에 대한 등기부를 열람할 수 있고, 매매 대상 부동산에 대한 신뢰성이 담보되어 안전한 부동산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내 매물 관리를 선택하면(S314), 등록한 매물에 대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S315).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 노드(110)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 매물 상세 내용, 매물 주소, 계약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부동산 구매를 선택하는 경우(S321), 하위 메뉴로 매물 검색이나 내 거래 현황을 선택할 수 있다.
매물 검색을 선택하면(S322), 사용자는 원하는 매물을 검색하여 가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S323). 이 경우, 사용자는 웹에서 가이드 하는 양식 및 항목에 따라 계약 내용을 기입하여, 가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가계약서가 작성되면, 매도인과 매수인 간에 가계약이 체결된다. 가계약 체결의 경우, 매물 등록 당시 당자가가 입력한 매물 가격에 비례하여 선금의 액수를 측정하고, 선금을 토큰으로 판매자에게 보내 가계약을 체결한다. 체결이 완료되면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이 발생한다. 한편, 가계약서에 대한 내용은 스마트 계약서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S324). 이 경우, 사용자는 웹에서 가이드 하는 양식 및 항목에 따라 계약 내용을 기입하여, 본계약서(매매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본계약서가 작성되면, 매도인과 매수인 간에 본계약이 체결된다. 가계약 체결 후, 남은 잔금을 판매자에게 토큰으로 보내 본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체결이 완료되면,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이 발생한다. 이후, 본계약서에 대한 내용은 스마트 계약서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내 거래 현황을 선택하면(S325), 사용자가 매도인 또는 매수인으로 거래한 부동산 거래 현황이 조회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계약이나 본계약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S32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매도인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판매할 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매물을 등록한다(S401).
매도자는 메인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웹 페이지상에,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매물을 등록할 수 있다. 매물 등록 시, 매도자는 웹 페이지의 가이드 사항에 따라 매물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매자에게 가계약서를 전달받아 가계약서 작성 후 구매자에게 전송한다(S402).
매도자는 등록 매물의 매수를 원하는 구매자로부터 웹 페이지를 통해 가계약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매도자는 가계약에 필요한 내용을 추가 입력하여 가계약서를 작성 완료하고, 이를 구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가계약금 확인 후 서명한다(S403).
매도자는 매수자가 가계약서의 내용에 따라 가계약금을 송금하면, 가계약금을 확인한 후 가계약서에 서명한다. 이에 의해, 매도자와 매수자 간에 가계약이 체결된다.
구매자에게 본계약서를 전달받아 본계약서 작성 후 구매자에게 전송한다(S404).
가계약이 체결된 후, 본계약(매매계약)이 진행된다. 이 경우, 매도자는 등록 매물의 매수인으로부터 웹 페이지를 통해 본계약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매도자는 본계약에 필요한 내용을 추가 입력하여 본계약서를 작성 완료하고, 이를 구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계약금을 확인한 후 서명한다(S405).
매도자는 매수자가 본계약서의 내용에 따라 본계약금을 송금하면, 본계약금을 확인한 후 본계약서에 서명한다. 이에 의해, 매도자와 매수자 간에 본계약이 체결된다.
계약이 완료된다(S40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매수인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매물을 검색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매물을 선택한다(S501).
구매자는 메인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웹 페이지상에, 구매 조건에 맞는 부동산 매물을 검색할 수 있다.
가계약서 작성 후 계약서를 판매자에게 전송한다(S502).
구매자는 매수를 원하는 등록 매물을 선택하고, 웹 페이지를 통해 선택한 등록 매물에 대한 가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는 가계약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여 가계약서를 작성하고, 작성한 가계약서를 판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가계약금 송금 후 서명한다(S503).
매수자는 매도자에게 가계약금을 송금한 후, 가계약서에 서명한다. 이에 의해, 매도자와 매수자 간에 가계약이 체결된다.
본 계약서 작성 후 계약서를 판매자에게 전송한다(S504).
가계약이 체결된 후, 본계약(매매계약)이 진행된다. 이 경우, 매수자는 웹 페이지를 통해 등록 매물에 대한 본계약서를 작성하고, 이를 매도인에게 전송한다. 본계약서 작성 시, 매수자는 본계약에 필요한 내용과 본계약서 양식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계약금을 송금한 후 서명한다(S505).
매수자는 계약금을 매도자에게 송금한 후, 본계약서에 서명한다. 이에 의해, 매도자와 매수자 간에 본계약이 체결된다.
계약이 완료된다(S506).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동산 시장과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다른 시장 에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고차 거래 시장의 경우, 중고차 거래를 블록체인에 등재하는 방법을 이용해 중고차 매물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추후 암호 화폐 도입 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은행을 거치지 않고 직접 거래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 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네트워크 110: 메인 노드
120, 130, 140: 서브 노드 220: 이더리움 노드
230: 이더리움 가상 머신 240: 이더리움 블록체인

Claims (7)

  1.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에 있어서,
    매도인이 온라인 상에 매물에 대한 거래조건을 등록하는 단계;
    매수인이 상기 온라인을 통해 상기 매물에 대한 매수 의사를 상기 매도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상에서 상기 매도인과 상기 매수인간의 상기 매물에 대한 거래계약서가 작성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을 운영하는 메인 노드가 상기 거래계약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메인 노드와 복수개의 서브 노드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거래계약서의 데이터가 블록 단위로 분할되어 상기 복수개의 서브 노드에 체인 형태로 저장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계약서는,
    전자문서 형태로 작성되고, 법적 효력을 갖출 수 있는 양식으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계약서는,
    가계약서와 본계약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드는,
    상기 가계약서에 의한 가계약 체결 시 기록된 블록 생성 기간과 계약기간을 더한 값보다 현재 블록 생성 시간이 더 클 경우 상기 매물에 대한 거래계약을 파기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드는,
    상기 매물 등록 당시 상기 매도인이 입력한 매물가격에 비례하여 선금의 액수를 결정하고, 상기 매수인이 상기 선금을 토큰으로 상기 매도인에게 전송하는 경우 가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드는,
    상기 매수인이 가계약 체결 후 남은 잔금을 토큰으로 상기 매도인에게 전송하는 경우 본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166534A 2018-12-20 2018-12-2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KR20200077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34A KR20200077227A (ko) 2018-12-20 2018-12-2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34A KR20200077227A (ko) 2018-12-20 2018-12-2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27A true KR20200077227A (ko) 2020-06-30

Family

ID=7112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534A KR20200077227A (ko) 2018-12-20 2018-12-2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2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9340A (zh) * 2021-07-09 2021-09-28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联盟链的存量房交易资金监管方法及装置
CN113570479A (zh) * 2021-08-03 2021-10-29 北京房江湖科技有限公司 一种房产交易数据的区块链传输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9340A (zh) * 2021-07-09 2021-09-28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联盟链的存量房交易资金监管方法及装置
CN113449340B (zh) * 2021-07-09 2023-08-22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联盟链的存量房交易资金监管方法及装置
CN113570479A (zh) * 2021-08-03 2021-10-29 北京房江湖科技有限公司 一种房产交易数据的区块链传输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3570479B (zh) * 2021-08-03 2023-12-12 贝壳找房(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房产交易数据的区块链传输方法、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84749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登録されたデジタルアセットを分配する方法及び自律計算エージェント
CN111902814A (zh) 以基于区块链的文档传递、协作和传播为动力的去中心化的市场和生态系统
US11201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ying token validity to a task executed in a computing system
US111532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merchant discussion groups based on settings in an e-commerce platform
US20100138311A1 (en) Software Escrow Service
US115228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uthentication of emails sent by 3rd parties
KR20200062640A (ko)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US112017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a user with a task executed in a computing system
US20200402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merchant discussion groups based on merchant categories
JP2014089745A (ja) 無体財産及び無体法律文書を価値評価及びトレ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vantaggiato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ing multichain for real estate
EP4149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network congestion-adaptive digital asset event handling
KR20200077227A (ko)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방법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Moreaux et al. Royalty-friendly digital asset exchanges on blockchains
KR102074937B1 (ko) 미술품의 분할된 소유권을 관리하는 방법
Gómez et al. Blockverse: A cloud blockchain-based platform for tracking in affiliate systems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US115228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rusted entity to facilitate authentication of emails sent by 3rd parties
CN114820184A (zh) 一种非同质化通证的商品交易系统及设备
JP6633128B2 (ja) 動産取引管理装置および動産取引管理システム
Sutopo Blockchain Programming Smart Contract on Polygon
JP735797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20086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scuring content in electronic messages
US20230094849A1 (en) Distributed cryptographic network integrated with crowd-sourced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