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128A -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128A
KR20200077128A KR1020180166341A KR20180166341A KR20200077128A KR 20200077128 A KR20200077128 A KR 20200077128A KR 1020180166341 A KR1020180166341 A KR 1020180166341A KR 20180166341 A KR20180166341 A KR 20180166341A KR 20200077128 A KR20200077128 A KR 20200077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ess
monitoring device
current monitoring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오승열
송성근
최정식
차대석
정규창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128A/ko
Publication of KR2020007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누설전류 감지부 및 누설전류 감지부로부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Leakage current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ESS}
본 발명은 누설전류 감시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배터리 및 관련 DC 계통의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누설전류를 이용하여 절연 정도를 파악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ESS는 전력망의 교류(AC) 전기를 배터리에 직류(DC) 전기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방전하는 시스템이다. ESS는 배터리,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PMS(Power Management System), PMS(Power Management System) 등의 주요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ESS는 비접지 전력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즉 ESS는 배터리-PCS 전력 설비가 대지(땅)와 분리되어 전기 시스템을 구성하고, 해당 주요 설비를 담는 컨테이너(Encloser)는 접지와 연결되어 인체가 외함에 접촉이 되어도 감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ESS는 직류 계통(배터리 및 DC-Link 회로)과 교류 계통(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필터, 교류 접속반)은 비접지 계통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기생 커패시터(capacitor) 성분이 존재하는데 이 기생 커패시터를 통하여 고주파의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누설전류는 시스템의 본래 설계 의도와는 상관없는 부산물로써, 시스템이 정상적인 운전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직류 계통, 교류 계통은 IGBT에서만 연결되어야 하지만 기생 커패시터를 통하여 상시로 연결되어 전력변환 과정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스위칭 시에 발생하는 고조파 전압, 전류가 분리된 각각의 계통에 전달되어 전기적인 오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기생 커패시터는 전기-물리의 기본 현상이기 때문에 작아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나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생 커패시터에 의한 누설전류의 순환은 보통 컨테이너 외함을 통해서 일어나는데 시스템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생 누설전류를 대지로 흘러가도록 접지를 하게 된다.
그런데 접지 임피던스가 높아져서 대지로 누설전류가 흘러가지 못할 경우, 컨테이너 외함의 전위는 대지를 기준으로 상승하게 되고 대지로 흐르지 못한 누설전류는 ESS 내부의 장비로 순환하며 이상 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접속 부위에 가열 현상을 유발하기도 하고, 배터리 충방전 상태를 관리하는 BMS의 계측, 통신 이상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PCS의 계통 및 DC-Link 단 전압 계측의 오류를 유발하여 출력의 이상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누설전류는 다양한 경로로 발생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ESS PCS의 DC-Link를 경계로 배터리(DC/DC 컨버터) 부분으로 흐르는 누설전류와 인버터 부분으로 흐르는 누설전류가 주요한 오류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양단의 누설전류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6312호(2018.05.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ESS 내부의 다양한 이상 동작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의 상황을 파악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누설전류 감지부 및 상기 누설전류 감지부로부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설전류 감지부는, 상기 ESS의 배터리와 DC/DC 컨버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DC/DC 컨버터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제1 감지모듈, 상기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DC/AC 인버터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제2 감지모듈 및 상기 DC/AC 인버터와 전력 계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DC/AC 인버터와 상기 전력 계통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제3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모듈 내지 상기 제3 감지모듈은, 영상 변류기(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ZC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상기 DC/AC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및 상용 주파수를 기준으로 누설전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된 누설전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trend)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경향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연상태를 연속적으로 저장시켜 상기 절연상태의 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SS의 누설전류 감시시스템은 전기를 저장 및 관리하는 ESS, 상기 ESS와 연결되고, 상기 ESS의 누설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누설전류 감시장치 및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된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는, 상기 ESS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누설전류 감지부 및 상기 누설전류 감지부로부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SS의 누설전류 감시방법은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ESS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상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상기 절연상태를 연속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절연상태의 변화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된 누설전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ESS 내부의 다양한 이상 동작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를 배터리와 DC/DC 컨버터 사이,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 사이 및 DC/AC 인버터와 전력 계통 사이에서 계측하여 누설전류의 상황을 파악하여 전기적 절연 건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ESS의 절연 및 접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110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누설전류 감시시스템(500)은 ESS 내부의 다양한 이상 동작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의 상황을 파악한다. 즉 누설전류 감시시스템(500)은 전력변환 과정의 PWM 스위칭으로 발생하는 고조파 전압과 ESS 내부 요소 기기와 컨테이너(200) 사이의 기생 커패시터에 의해서 누설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누설전류에 의해서 요소 기기의 동작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기초로 누설전류의 크기를 계측하여 시스템의 건정성을 판단한다. 이를 통해 누설전류 감시시스템(500)은 ESS의 절연 및 접지 상태를 개선한다. 누설전류 감시시스템(500)은 컨테이너(200)를 포함하는 ESS, 누설전류 감시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주요 설비가 컨테이너(200)에 구비된다. 컨테이너(200)는 배터리(210), DC/DC 컨버터(230) 및 DC/AC 인버터(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210)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고, DC/DC 컨버터(230)는 충방전을 위하여 기존의 직류 전압을 기 설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며, DC/AC 인버터(250)는 전력망(300)과의 계통연계를 위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거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다. 이때 DC/DC 컨버터(230) 및 DC/AC 인버터(250)는 하나의 PCS로 설치될 수 있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ESS와 연결되고, ESS의 누설전류를 모니터링한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누설전류 감지부(1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고, 통신부(50), 출력부(70) 및 저장부(90)를 더 포함한다.
누설전류 감지부(10)는 ESS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누설전류감지부(10)는 배터리(210) 충방전을 수행되는 부분, DC-Link 부분 및 전력 계통과 연결되는 부분에 대한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이를 위해 누설전류감지부(10)는 제1 감지모듈(11), 제2 감지모듈(13) 및 제3 감지모듈(13)을 포함한다.
제1 감지모듈(11)은 ESS의 배터리(210)와 DC/DC 컨버터(230) 사이에 설치되고, 배터리(210)와 DC/DC 컨버터(230)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제2 감지모듈(13)은 DC/DC 컨버터(230)와 DC/AC 인버터(250) 사이에 설치되고, DC/DC 컨버터(230)와 DC/AC 인버터(250)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제3 감지모듈(15)은 DC/AC 인버터(250)와 전력 계통인 전력망(300) 사이에 설치되고, DC/AC 컨버터(250)와 전력 계통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이때 제1 감지모듈(11) 내지 제3 감지모듈(15)은 영상 변류기(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ZCT)일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모듈(11) 내지 제3 감지모듈(15)는 PWM 주파수와 일치하는 누설전류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므로 해당 주파수 중심으로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230)와 DC/AC 인버터(250)의 PWM 주파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전력망(300)의 주파수는 50/60Hz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누설전류 감지부(10)로부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부(30)는 DC/DC 컨버터(230)의 스위칭 주파수, DC/AC 인버터(250)의 스위칭 주파수 및 상용 주파수를 기준으로 누설전류를 분석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정상인 경우에 발생되는 누설전류의 크기를 의미하며, ESS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기준의 크기가 변동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작으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크면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 제어부(30)는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발생된 알람은 통신부(5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되고, 출력부(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절연상태를 연속적으로 저장시켜 절연상태의 변화를 산출한다. 제어부(30)는 통신부(50)를 통해 산출된 변화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계절의 변화, 시간의 변화, 충방전 상태, 배터리 상태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누설전류가 변경되므로, 분석결과에 대한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계측된 누설전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trend)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간은 시간별, 일자별, 주간별, 월별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산출된 평균값과 추정된 경향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5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사용자 단말(40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50)는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누설전류와 관련된 정보, 알람과 관련된 정보 및 절연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70)는 제어부(50)로부터 생성된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알람은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70)가 시각적 효과를 지원하는 경우, 출력부(70)는 LED, 램프 등을 통해 불빛을 점등시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70)가 청각적 효과를 지원하는 경우, 출력부(70)는 스피커 등을 통해 경보음,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90)는 제어부(30)가 운영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저장부(90)는 누설전류와 관련된 정보, 알람과 관련된 정보 및 절연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9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써,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로부터 누설전류와 관련된 정보, 알람과 관련된 정보 및 절연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스마트폰,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PC, 핸드헬드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의 S110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누설전류 감시방법은 ESS 내부의 다양한 이상 동작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를 배터리와 DC/DC 컨버터 사이,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 사이 및 DC/AC 인버터와 전력 계통 사이에서 계측하여 누설전류의 상황을 파악하여 전기적 절연 건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설전류 감시방법은 ESS의 절연 및 접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S110단계에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누설전류를 수집힌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ESS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배터리(210) 충방전을 수행되는 부분, DC-Link 부분 및 전력 계통과 연결되는 부분에 대한 누설전류를 계측한다.
상세하게는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전류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S111), 수신된 전류 센서 신호를 누설전류가 측정되는 각 부분별로 구분하며, 구분된 부분별로 필터링 후, 누설전류의 크기를 계측한다.
즉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DC/DC 컨버터(230)의 스위칭 주파수 성분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고(S112), 필터링된 DC/DC 컨버터(230)의 스위칭 주파수에 대한 누설전류의 크기를 계측한다(S113).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DC/AC 인버터(250)의 스위칭 주파수 성분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고(S114), 필터링된 DC/AC 인버터(250)의 스위칭 주파수에 대한 누설전류의 크기를 계측한다(S115).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상용 전원의 주파수 성분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고(S116), 필터링된 상용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누설전류의 크기를 계측한다(S117).
S120단계에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누설전류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정상인 경우에 발생되는 누설전류의 크기를 의미하며, ESS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기준의 크기가 변동될 수 있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누설전류가 기준 이상이면 S130단계를 수행하고, 누설전류가 기준 이상이 아니면 S150단계를 수행한다.
S130단계에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누설전류 알람을 생성한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누설전류가 기준 이상임을 나타내는 경보 알람에 대한 신호를 생성한다.
S140단계에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알람을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시각적 효과 또는 청각적 효과를 발생되도록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알람을 출력하는 동시에 해당 알람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은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150단계에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상시 평균을 저장한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계측된 누설전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저장한다. 이때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평균값을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을 추정할 수 있다.
S160단계에서,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평균값을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누설전류 감시장치(100)는 평균뿐만 아니라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은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누설전류 감지부
11: 제1 감지모듈
13: 제2 감지모듈
15: 제3 감지모듈
30: 제어부
50: 통신부
70: 출력부
90: 저장부
100: 누설전류 감시장치
200: 컨테이너
210: 배터리
230: DC/DC 컨버터
250: DC/AC 인버터
300: 전력망
400: 사용자 단말
500: 누설전류 감시시스템

Claims (11)

  1.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누설전류 감지부; 및
    상기 누설전류 감지부로부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감지부는,
    상기 ESS의 배터리와 DC/DC 컨버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DC/DC 컨버터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제1 감지모듈;
    상기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DC/DC 컨버터와 상기 DC/AC 인버터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제2 감지모듈; 및
    상기 DC/AC 인버터와 전력 계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DC/AC 인버터와 상기 전력 계통 사이의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제3 감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모듈 내지 상기 제3 감지모듈은,
    영상 변류기(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Z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상기 DC/AC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및 상용 주파수를 기준으로 누설전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된 누설전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trend)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경향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연상태를 연속적으로 저장시켜 상기 절연상태의 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8. 전기를 저장 및 관리하는 ESS;
    상기 ESS와 연결되고, 상기 ESS의 누설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누설전류 감시장치; 및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모니터링된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는,
    상기 ESS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누설전류 감지부; 및
    상기 누설전류 감지부로부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시스템.
  9.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ESS의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누설전류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상기 계측된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전기적 절연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감시장치가 상기 절연상태를 연속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절연상태의 변화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된 누설전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의 누설전류 감시방법.
KR1020180166341A 2018-12-20 2018-12-20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7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41A KR20200077128A (ko) 2018-12-20 2018-12-20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41A KR20200077128A (ko) 2018-12-20 2018-12-20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28A true KR20200077128A (ko) 2020-06-30

Family

ID=7112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41A KR20200077128A (ko) 2018-12-20 2018-12-20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1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806B1 (ko) 2021-09-07 2021-11-22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누설 전압 감시시스템
CN113848508A (zh) * 2021-09-10 2021-12-28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 通过漏电流的电池储能系统交流侧单点接地故障定位方法
KR20220102159A (ko) 2021-01-11 2022-07-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Ess의 누설전류 검출 모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12B1 (ko) 2016-03-11 2018-05-09 문성기 인공지능형 분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12B1 (ko) 2016-03-11 2018-05-09 문성기 인공지능형 분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159A (ko) 2021-01-11 2022-07-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Ess의 누설전류 검출 모델
KR102328806B1 (ko) 2021-09-07 2021-11-22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누설 전압 감시시스템
CN113848508A (zh) * 2021-09-10 2021-12-28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 通过漏电流的电池储能系统交流侧单点接地故障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7128A (ko) Ess의 누설전류 감시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3217182B1 (en) Systems and methods to emulate high frequency electrical signatures
EP2619879B1 (en) Disaggregation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appliance in an electrical network
JP2006349424A (ja) 漏洩電流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578429A (zh) 电缆分支箱在线运行监测系统
US20050142957A1 (en) Method and device system for testing electrical components
EP31283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power usage information
KR101269131B1 (ko) 스마트 멀티채널 전력량계를 이용한 누설전류 검출장치 및 그 방법
EP3321701B1 (en) Proving unit for voltage measurement systems
KR101652109B1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KR20190055639A (ko) 자가발전형 고압 송전 직류 케이블의 실시간 고장진단 모니터링을 위한 센싱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61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rc in an electrical meter
KR20150107932A (ko) 고전압 전력설비의 무선온도감시 장치
KR101228530B1 (ko) 고조파를 제거한 누설전류 계측에 의한 누전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72310A (zh) 包括信号质量显示的用于绝缘监控的方法和装置
US10864527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ignal quality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05643448U (zh) 一种智能型电力安全检测装置
KR101073809B1 (ko)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KR20090009591A (ko) 저항성 누전전류 경보장치
CN108072856A (zh) 非接触式电压测量系统的检验单元
CN210803623U (zh) 充电器检测装置及系统
JPH0440350A (ja) 水質監視計
KR101566244B1 (ko) 수위 및 수질 감지시스템
US94265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ielectric fluid detection
US20220170994A1 (en) Health status of an internal power source of a faulted circuit ind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