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993A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993A
KR20200076993A KR1020180166062A KR20180166062A KR20200076993A KR 20200076993 A KR20200076993 A KR 20200076993A KR 1020180166062 A KR1020180166062 A KR 1020180166062A KR 20180166062 A KR20180166062 A KR 20180166062A KR 20200076993 A KR20200076993 A KR 2020007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pixels
deterior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9509B1 (en
Inventor
남우진
황동찬
구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09B1/en
Publication of KR2020007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9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to a driving method thereof. By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each of sub-pixels,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s in each of the pixels is adjusted based on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of the sub-pixels.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a data driving unit; a sensing unit; and a timing controller.

Description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브 픽셀별 열화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서브 픽셀들의 열화를 분산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disperses deterioration of sub-pixels based on a result of deterioration sensing for each sub-pixel.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발광 표시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대별된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블랙 계조를 완전한 블랙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명암비(contrast ratio)와 색재현율에서 월등한 수준으로 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roughly classified into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by itself, and has a fast response speed, high light emission efficiency, high brightness, and a large viewing angle.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n express black gradation in full black,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n image at a level superior to that of contrast ratio and color reproduct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OLED와, 게이트-소스간 전압에 따라 O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OLED를 구동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OLED는 애노드 및 캐소드와, 이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OLED에 전류가 흐를 때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가 형성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The pixel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 an OLED and a driving element that supplies the current to the OLED according to the voltage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to drive the OLED. The OLE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anode and a cathode, and an organic compound layer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organic compound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OLED, holes passing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re moved to the emission layer (EML) to form excitons, and as a result, the emission layer (EML) generates visible light. .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서 자막이나 로고와 같이 특정 픽셀들에 높은 계조의 픽셀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기입될 때 이 픽셀들의 누적 스트레스가 다른 픽셀들에 비하여 커진다. 누적 스트레스가 큰 픽셀들은 다른 픽셀들에 비하여 열화가 더 빠르게 가속되어 휘도가 감소된다. 이렇게 열화된 픽셀들로 인하여, 화면 상에서 비복원 잔상 혹은 얼룩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 방법은 서브 픽셀들 간 스트레스를 분산할 때 영상 정보를 임의로 변경하기 때문에 재현된 영상에서 컬러 왜곡이 발생하는 등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high grayscale pixel data is continuously written to specific pixels, such as subtitles or logo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cumulative stress of these pixels increases compared to other pixels. Pixels with high cumulative stress are accelerated to deteriorate faster than other pixels, thereby reducing luminance. Due to the deteriorated pixels, non-restored afterimages or stains may remain on the screen. In order to prevent such afterimages, various methods are known.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image information is arbitrarily changed when stress is distributed between sub-pixels, image quality may deteriorate, such as color distortion occurring in the reproduced image.

종래 방법에서 컬러별 서브 픽셀들의 누적 사용량은 입력 영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서브 픽셀들 각각의 실제 열화 수준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서브 픽셀들의 열화 수준을 정화하게 검출하지 못하면 잔상 개선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잔상이 유발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cumulative usage of sub-pixels for each color varies depending on an input image,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ctual level of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If the deterioration level of the sub-pixels is not detected to be purified, the afterimage improvement effect may be insignificant or an afterimage may be caused.

입력 영상의 프레임 기준으로 픽셀들의 스트레스를 예측하면 화면 내에서 위치별로 픽셀들의 열화 수준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화면 상에서 위치별로 다른 픽셀들의 열화 수준을 고려하여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없다. If the stress of pixels is predicted based on the frame of the input image,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pixels for each location on the screen is not known, so the stress cannot be distributed considering the deterioration level of different pixels for each location on th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은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실시간 센싱하여 화면 내에서 위치가 다른 픽셀들 간의 스트레스를 분산하고, 경시적으로 누적되는 픽셀들의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sub-pixel in real time to distribute stress between pixels having different positions on the screen, an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capable of dispersing the stress of pixels accumulated over time and its driving Provides a method.

본 발명의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 센싱 라인들, 및 컬러가 다른 다수의 서브 픽셀들을 각각 포함한 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바탕으로 상기 픽셀들 각각에서 상기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조정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 which pixels including data lines, sensing lines,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having different colors are disposed; A data driver that convert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nto a data voltage and supplies the data lines to the data lines;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And a timing controller adjust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s in each of the pixels based on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of the sub-pixels.

상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바탕으로 상기 픽셀들 각각에서 상기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riving method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es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using the sensing unit, and based on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of the sub-pixels sensed by the sensing unit in each of the pixels. And adjust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s.

본 발명은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발광 소자의 열화를 실시간 센싱하여 서브 픽셀별로 누적 휘도 스트레스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판단하여 픽셀들 각각에서 컬러별 구동량을 조정하여 컬러 왜곡 없이 화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의 픽셀 간에 스트레스를 분산하고, 경시적으로 누적되는 픽셀들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each of the sub-pixels is sensed in real tim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ccumulated luminance stress for each sub-pixel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sub-pixel and adjusts the driving amount for each color in each pixel to distribute stress between pixels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screen without color distortion and effectively reduce the stress of pixels accumulated over time. Can be dispersed.

본 발명은 실시간 센싱되는 서브 픽셀별 열화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픽셀들 각각에서 컬러별 누적 스트레스를 절절히 분산하여 픽셀들의 저보상 또는 과보상을 방지하여 픽셀들의 수명과 화질을 향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lifetime and image quality of pixels by preventing the under-compensation or over-compensation of pixels by properly dispersing the cumulative stress for each color in each pixel based on the deterioration sensing result for each sub-pixel sensed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픽셀에 연결된 센싱 라인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픽셀 회로에 연결된 열화 센싱부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열화 센싱부가 소스 드라이버 IC에 내장되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센싱 대상 서브 픽셀에 열화 센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열화 전후 픽셀 회로의 센싱 동작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7은 센싱 모드를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픽셀들 간의 스트레스 편차로 인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된 후 화면 상에서 얼룩 및 잔상이 보이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픽셀들간 스트레스 차이로 인하여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픽셀들 간에 휘도 차이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픽셀을 WRGB 방식과 RGB 방식의 조합으로 구동하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WRGB 방식과 RGB 방식에서 컬러별 서브 픽셀의 휘도 사용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하나의 픽셀이 WRGB 방식과 RGB 방식으로 구동되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화면에 적색 이미지가 표시된 후 백색 이미지로 바뀔 때 잔상이 보이는 예를 보여 주는 이미지이다.
도 14는 한 화면에서 백색 열화 픽셀과 적색 열화 픽셀이 공존하는 예를 보여 주는 이미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컬러별 누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WRGB 방식과 RGB 방식에서 구동 비율을 조정하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nsing line connected to a pixel.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eterioration sensing unit connected to a pixel circuit.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is built in the source driver IC.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erioration sensing method for a sub-pixel to be sensed.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sensing operation of a pixel circuit before and after deterioration.
7 is a view showing a sensing mod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tains and afterimages are seen on a screen after a use time has elapsed due to a stress variation between pixels.
9 is a view showing luminance differences between pixels as the use time increases due to a stress difference between pixels.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riving a pixel in a combination of a WRGB method and an RGB method.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luminance of sub-pixels for each color in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ne pixel is driven by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13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fterimage is seen when a 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is changed to a white image.
14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white and red pixels are coexisting on one scree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driving ratio in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to reduce cumulative stress for each colo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in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When "equipped", "included", "have", "consisting of" and the like referred to herei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singular, it may be interpreted in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구성요소들 간에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그 구성요소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mponents is described as'on the top','on the top','on the bottom','on the side', '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ose components for which no'direct' or'direct' is used.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제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 요소들은 구성 요소 앞에 붙은 서수나 구성 요소 명칭으로 그 기능이나 구조가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classify the components, but the functions or structures of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 or the name of the component before the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partially or tota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on relationship.

본 발명의 픽셀 회로와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패널의 기판 상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 Oxide TFT(Thin Film Transistor),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을 포함한 LTPS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p 타입 TFT 또는 n 타입 TFT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ixel circuit and gat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ransistors formed on a substrate of a display panel. Transistors may be implemented as an oxide TFT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n oxide semiconductor, an LTPS TFT including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Further, each of the transistors can be implemented with a p-type TFT or an n-type TFT.

트랜지스터는 게이트(gate),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을 포함한 3 전극 소자이다.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캐리어(carrier)를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 내에서 캐리어는 소스로부터 흐르기 시작한다.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가 외부로 나가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의 흐름은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흐른다. n 타입 트랜지스터의 경우, 캐리어 가 전자(electron)이기 때문에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전자가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진다. n 타입 트랜지스터에서 전류의 방향은 드레인으로부터 소스 쪽으로 흐른다. p 타입 트랜지스터의 경우, 캐리어가 정공(hole)이기 때문에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정공이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높다. p 타입 트랜지스터에서 정공이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가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른다.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인가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으로 인하여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을 제1 및 제2 전극으로 칭하기로 한다.Transistors are three-electrode devices, including gates, sources, and drains.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is an electrode that supplies a carrier to the transistor. In the transistor, carriers begin to flow from the source. The drain is an electrode through which a carrier is driven out of the transistor. In the transistor, the carrier flows from source to drain. In the case of an n-type transistor, since the carrier is electron, the source voltage has a voltage lower than the drain voltage so that electrons can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n-type transistors,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s from drain to source. In the case of a p-type transistor, the source voltage is higher than the drain voltage so that holes can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because the carrier is a hole. In the p-type transistor, current flows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because holes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ource and drain of the transistor are not fixed. For example, the source and drain of the transisto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Therefor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due to the source and drain of the transist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ource and drain of the transistor will b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신호는 게이트 온 전압(Gate On Voltage)과 게이트 오프 전압(Gate Off Voltage) 사이에서 스윙한다. 게이트 온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되며, 게이트 오프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된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온 전압에 응답하여 턴-온(turn-on)되는 반면, 게이트 오프 전압에 응답하여 턴-오프(turn-off)된다. n 타입 트랜지스터의 경우에, 게이트 온 전압은 게이트 하이 전압(Gate High Voltage, VGH)이고, 게이트 오프 전압은 게이트 로우 전압(Gate Low Voltage, VGL)일 수 있다. p 타입 트랜지스터의 경우에, 게이트 온 전압은 게이트 로우 전압(VGL)이고, 게이트 오프 전압은 게이트 하이 전압(VGH)일 수 있다.The gate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river swings between a gate on voltage and a gate off voltage. The gate-on voltage is set to a voltage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 and the gate-off voltage is set to a voltage low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 The transistor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gate on voltage, while it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the gate off voltage. In the case of the n-type transistor, the gate-on voltage may be a gate high voltage (VGH), and the gate-off voltage may be a gate low voltage (VGL). In the case of a p-type transistor, the gate-on voltage may be a gate low voltage (VGL), and the gate-off voltage may be a gate high voltage (VG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보상 회로가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an external compensation circuit is appli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1 to 4,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nd a display panel driver.

본 발명의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Normal driving mode)와, 픽셀들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모드(sensing mode)로 동작한다.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display driving mode for displaying an input image on a screen and a sensing mode for sens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ixels.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에서, 표시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매 프레임 기간마다 버티컬 액티브 구간(Active time, AT) 동안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픽셀들에 기입한다. 센싱 모드에서 표시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서브 픽셀들 각각을 센싱하여 서브 픽셀들의 열화를 실시간 센싱한다. In the display driving mode, the display panel driver write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to pixels during a vertical active time (AT) every frame period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In the sensing mode, the display panel driver senses each sub-pixel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to sense deterioration of the sub-pixels in real time.

표시패널(100)의 화면은 액티브 영역(A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는 입력 영상이 재현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102), 데이터 라인들(102)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104),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픽셀들을 포함한다.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the active area AA. The active area AA includes a pixel array in which an input image is reproduced. The pixel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102, a plurality of gate lines 104 intersecting the data lines 102, and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픽셀 어레이의 해상도가 m*n 일 때, 픽셀 어레이는 m(m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픽셀 컬럼(Column)과, 픽셀 컬럼과 교차되는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픽셀 라인들(L1~Ln)을 포함한다. 픽셀 컬럼은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 라인은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픽셀들(PIX)을 포함한다. 1 수직 기간은 1 프레임 분량의 픽셀 데이터를 화면의 모든 픽셀들(PIX)에 기입(write)하는데 필요한 1 프레임 기간이다. 게이트 라인을 공유하는 1 라인 분량의 픽셀 데이터를 1 픽셀 라인의 픽셀들에 기입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1 수평 기간은 1 프레임 기간을 m 개의 픽셀 라인(L1~Lm) 개수 즉, 표시패널(100)의 수직 해상도로 나눈 시간이다. When the resolution of the pixel array is m*n, the pixel array includes m (m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pixel columns and n (n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pixel lines intersecting Fields (L1 to Ln) are included. The pixel column includes pixels arranged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pixel line includes pixels PIX arranged along the x-axis direction. One vertical period is one frame period required to write one frame of pixel data to all pixels PIX on the screen. This is the time required to write one line of pixel data sharing the gate line to pixels of one pixel line. One horizontal period is a period obtained by dividing one frame period by the number of m pixel lines L1 to Lm, that is, the vertical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픽셀들(PIX)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서브 픽셀(이하, “R 서브 픽셀”이라 함), 녹색 서브 픽셀(이하, “G 서브 픽셀”이라 함), 청색 서브 픽셀(이하, “B 서브 픽셀”이라 함) 및 백색 서브 픽셀(이하, “W 서브 픽셀”이라 함)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 각각은 도 3과 같은 픽셀 회로(10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하나의 픽셀(PIX) 내에 배치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들을 “R, G, B 서브 픽셀들”로 칭하기로 한다. Each of the pixels PIX has a red sub-pix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 sub-pixel”), a green sub-pix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G sub-pixel”), and a blue sub as shown in FIG. 2 for color realization. It includes a pix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sub-pixel”) and a white sub-pix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W sub-pixel”). Each of the sub-pixels includes a pixel circuit 101 as shown in FIG. 3. Hereinafter,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disposed in one pixel PIX will be referred to as “R, G, and B sub-pixels”.

표시패널(100) 상에 터치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별도의 터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싱되거나 픽셀들을 통해 센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들은 온-셀(On-cell type) 또는 애드 온 타입(Add on type)으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배치되거나 픽셀 어레이에 내장되는 인-셀(In-cell type) 터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Touch sensors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00. The touch input may be sensed using separate touch sensors or may be sensed through pixels. The touch sensors may be implemented as in-cell type or in-cell type touch sensors disposed on a screen of a display panel or embedded in a pixel array in an on-cell type or an add-on type. Can.

표시패널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10), 게이트 구동부(120), 타이밍 콘트롤러(130), 및 전원부(150)를 구비한다. 데이터 구동부(110)와 데이터 라인들(102) 사이에 배치된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14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driver includes a data driver 110, a gate driver 120, a timing controller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A demultiplexer 140 disposed between the data driver 110 and the data lines 102 may be disposed.

표시패널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에서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 130)의 제어 하에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기입하여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표시한다. 모바일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에서 데이터 구동부(110), 타이밍 콘트롤러(130) 그리고 전원부(150)는 하나의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에 집적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driver displays the input image on the screen by writing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in the display driving mode. In a mobile device or a wearable device, the data driving unit 110, the timing controller 13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integrated in one drive integrated circuit (IC).

데이터 구동부(11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수신되는 픽셀 데이터(RGBW)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감마 기준 전압(GMA)을 분압하여 픽셀 데이터의 계조별 감마 보상 전압을 발생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igital to 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 함, 112)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DAC를 이용하여 픽셀 데이터(RGBW)를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발생한다. 데이터 전압(Vdata)은 센싱 모드에서 서브 픽셀들에 공급되는 센싱용 데이터 전압과,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에서 서브 픽셀들에 기입되어 영상으로 재현되는 픽셀 데이터 전압으로 나뉘어진다. 데이터 구동부(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압(Vdata)은 데이터 라인들(102)에 공급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SDIC)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ata driver 110 receives pixel data RGBW receiv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30. The data driving unit 110 divides the gamma reference voltage (GMA) to generate gamma compensation voltage for each gray level of pixel data and supplies it to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C”) 112. The data driver 110 converts the pixel data RGBW to a gamma compensation voltage using a DAC to generate a data voltage Vdata. The data voltage Vdata is divided into a sensing data voltage supplied to sub-pixels in a sensing mode and a pixel data voltage written into sub-pixels in a display driving mode and reproduced as an image. The data voltage Vdata output from the data driver 110 is supplied to the data lines 102. The data driver 110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source drive integrated circuits (SDICs) as shown in FIG. 4.

데이터 구동부(110)는 센싱 라인들(103)에 연결된 샘플링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센싱부(111)를 포함한다. The data driver 110 includes a sensing unit 111 that senses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by using a sampling switch element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s 103.

디멀티플렉서(140)는 데이터 구동부(110)와 데이터 라인들(102)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 소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압(Vdata)을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102)로 분배한다. 디멀티플렉서(140)에 의해 데이터 구동부(110)의 한 채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압(Vdata)이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시분할 분배되기 때문에 데이터 구동부(110)의 채널 수가 감소될 수 있다.The demultiplexer 140 distributes the data voltage Vdata output from the data driver 110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102 using switch elements disposed between the data driver 110 and the data lines 102. do. Since the data voltage Vdata output from one channel of the data driver 110 by the demultiplexer 140 is time-divided and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data driver 110 may be reduced.

게이트 구동부(120)는 액티브 영역(AA)의 픽셀 어레이와 함께 표시패널(100) 상에 직접 형성되는 GIP(Gate in panel)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GIP 회로는 픽셀 어레이 밖의 표시패널(100)의 베젤(bezel)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104)로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시프트시킴으로써 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104)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스캔 신호(SCAN)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신호(SCAN)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동기된다.The gate drive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gate in panel (GIP) circuit form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100 together with the pixel array of the active area AA. The GIP circuit may be disposed on a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outside the pixel array. The gate driver 120 outputs a gate signal to the gate lines 104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The gate driver 120 may sequentially supply the signals to the gate lines 104 by shifting the gate signal using a shift register. The gate signal may include the scan signal SCAN illustrated in FIG. 3. The scan signal SCAN is synchronized with the data voltage Vdata.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 영의 픽셀 데이터(RGB)와, 그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에 수신된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메인 클럭(M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130 receives input zero pixel data RGB and a timing signal synchronized therewith from the host system 200. The timing signal received by the timing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main clock (MCLK), and a data enable signal (DE).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와 센싱 모드에서 표시패널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수직 동기신호(Vsync)의 1 주기는 1 프레임 기간이다.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1 주기는 1 수평 기간(1H)이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펄스는 액티브 영역(AA)의 픽셀들에 표시될 1 픽셀 라인의 픽셀 데이터와 동기되어 유효 데이터 구간을 정의한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프레임 기간과 수평 기간을 알 수 있으므로,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가 생략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isplay panel driver in the display driving mode and the sensing mode based on the timing signal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200. One period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one frame period. One cycl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the data enable signal DE is one horizontal period (1H). The pulse of the data enable signal DE is synchronized with the pixel data of one pixel line to be displayed on the pixels of the active area AA to define an effective data section. Since the frame period and the horizontal period are known by the method of counting the data enable signal DE,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may be omitted.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수직 기간과 수평 기간을 알 수 있으므로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입력 신호에서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가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를 통해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으로 변환되어 게이트 구동부(120)에 공급된다.Since the vertical period and the horizontal period can be known by counting the data enable signal DE,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may be omitted from the input signa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The voltage level of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30 is converted into a gate high voltage VGH and a gate low voltage VGL through a level shifter and supplied to the gate driver 120.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입력 프레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입력 프레임 주파수를 i 배 체배하여 프레임 주파수×i(i는 0 보다 큰 양의 정수)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표시패널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프레임 주파수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에서 60Hz이며, PAL(Phase-Alternating Line) 방식에서 50Hz이다.The timing controller 130 may adjust the frame rate to a frequency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put frame frequency. For example, the timing controller 130 may multiply the input frame frequency by i times to control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isplay panel driver at a frame frequency x i (i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0) Hz. The frame frequency is 60 Hz in the NTSC (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method and 50 Hz in the PAL (Phase-Alternating Line) method.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를 포함한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이하, “RGB 데이터”라 함)를 포함한 입력 픽셀 데이터(RGB)를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데이터(이하, “RGBW 데이터”라 함)를 포함한 픽셀 데이터(RGBW)로 변환한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게인 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RGB 데이터로부터 백색 데이터를 발생한다. 화이트 게인 산출 알고리즘은 대한민국 특허 10-1857809 등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130 includes a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inputs red, green, blue, and whit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RGBW data”) as input pixel data (RGB)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RGB data”). Convert to pixel data (RGBW) including.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generates white data from the RGB data using a preset white gain calculation algorithm. As the white gain calculation algorithm, a known method such as Korean Patent 10-1857809 can be used.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도 3에 도시된 열화 센싱부를 통해 수신된 서브 픽셀들 각각의 실시간 센싱 결과를 누적하여 서브 픽셀별 누적 스트레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매 프레임 기간마다 업데이트한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별 누적 스트레스를 바탕으로 픽셀들(PIX) 각각에서 W 서브 픽셀과, R, G, B 서브 픽셀들 각각의 누적 스트레스를 비교하여 W 서브 픽셀의 열화가 큰지 R, G, B 서브 픽셀의 열화가 큰지 판단한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W 서브 픽셀의 열화가 R, G, B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보다 많을 때 W 서브 픽셀의 구동 세기를 감소하고, R, G, B 서브 픽셀의 열화가 W 서브 픽셀의 열화가 클 때 컬러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R, G, B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유지하고 상대적으로 R, G, B 서브 픽셀의 열화가 적은 주변 픽셀에서 R, G, B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증가시킨다.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accumulates the real-time sensing results of each of the sub-pixels received through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illustrated in FIG. 3, stores the accumulated stress for each sub-pixel in memory, and updates each frame period.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compares the cumulative stress of each of the W sub-pixels and the R, G, and B sub-pixels in each of the pixels PIX based on the cumulative stress for each sub-pixel,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gradation of the W sub-pixel is lar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ioration of the, G, and B subpixels is large.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ecreases the driving intensity of the W subpixel when the degradation of the W subpixel is greater than that of each of the R, G, and B subpixels, and the degradation of the R, G, and B subpixels is the W subpixel In order to prevent color distortion when the deterioration of is large,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is maintained, and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is relatively low in surrounding pixels with little deterioration Increases.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별 열화량의 실시간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서브 픽셀들의 열화량을 컬러별로 상대 비교하거나 각 컬러별 문턱값을 설정하여 문턱값과 서브 픽셀별 열화량을 비교할 수 있다.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compare the deterioration amount of the sub-pixels by color or compare the deterioration amount of each sub-pixel by comparing the deterioration amount of the sub-pixels for each color based on the real-time sensing result of the sub-pixel deterioration amount. .

W, R, G, B 각각에 대해서 각 컬러별 열화량의 문턱값(threshold)을 설정하고 , 이 문턱값 값보다 열화량이 커질 때 컬러별 구동량을 조정하여 서브 픽셀들의 누적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들 중 열화량이 문턱값 보다 큰 경우가 발생할 때부터 컬러별 구동량을 조정한다. For each of W, R, G, and B, the threshold of the deterioration amount for each color is set, and when the deterioration amount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accumulated amount of sub-pixels can be distributed by adjusting the driving amount for each color. have. In other words,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adjusts the driving amount for each color from the time when the amount of degradation among sub-pixels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실제 구동 환경에서, 화면이 잔상은 두 가지 이상의 컬러에서 잔상이 발생될 수 있다. 픽셀들 각각에서 열화량이 가장 큰 컬러의 서브 픽셀에 대하여 열화량을 줄이면 해당 컬러에서 잔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어서, 다른 컬러의 서브 픽셀이 열활량이 픽셀 내의 다른 서브 픽셀들 보다 높아지면 같은 이 서브 픽셀의 열화량을 줄이면 다른 컬러에서도 잔상이 감소된다. In an actual driving environment, a residual image on the screen may be generated in two or more colors. When the amount of deterioration is reduced for a sub-pixel of a color having the largest amount of deterioration in each of the pixels, an afterimage in the corresponding color may be reduced. Subsequently, if a sub-pixel of a different color has a higher heat capacity than other sub-pixels in a pixel, reducing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same sub-pixel reduces the afterimage even in other colors.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센싱부(111)를 통해 실시간 센싱된 서브 픽셀별 열화량을 미리 설정된 특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서브 픽셀별로 열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이웃한 픽셀들(또는 서브 픽셀들) 간에 서브 픽셀별로 센싱된 열화량을 비교하여 픽셀(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may compare the amount of deterioration for each sub-pixel sens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ing unit 111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deterioration level for each sub-pixel. In addition,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compare the amount of deterioration sensed for each sub-pixel between neighboring pixels (or sub-pixels) to determine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pixel (or sub-pixels).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픽셀들 간에 그리고 서브 픽셀들 간에 스트레스를 분산하기 위하여 컬러별로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조정할 수 있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컬러별로 구동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고정값을 픽셀 데이터에 가감하거나, 열화 수준에 따라 보상값을 픽셀 데이터에 가감할 수 있다.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adjust the driving amount of sub-pixels for each color in order to distribute stress between pixels and between sub-pixels.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add or subtract a preset fixed value to the pixel data according to the driving amount for each color, or the compensation value to the pixel data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level.

두 컬러 이상이 혼합된 픽셀 데이터를 픽셀에서 재현하는 경우, W 서브 픽셀, R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들(W+R+B) 또는, W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들(W+R+B)에 기입되는 픽셀 데이터로 해당 픽셀 데이터의 컬러를 표현하거나(WRGB 방식),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들(R+G+B)에 기입되는 픽셀 데이터(RGB 방식)으로 해당 픽셀 데이터의 컬러를 표현할 수 있다. When reproducing pixel data in which two or more colors are mixed in a pixel, W subpixel, R subpixel and B subpixels (W+R+B) or W subpixel, G subpixel and B subpixels (W The pixel data written in +R+B) expresse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ixel data (WRGB method), or the pixel data (RGB) written in R subpixel, G subpixel and B subpixels (R+G+B) Method) to expres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ixel data.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에서, 보상값은 WRGB 방식과 RGB 방식의 조합으로 결정되고, 그 조합 비율을 적절하게 정하여 서브 픽셀들 간에 픽셀들 간에 열화 편차를 줄일 수 있다. 고정값을 가감한다는 것은 RGB 방식의 휘도 비율이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 방식의 휘도 비율이 5%로 고정될 수 있다. W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이 커지면, RGB 방식의 휘도 비율을 10%로 상향 조정하면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줄이고 R, G, 및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늘려 더 빠르게 서브 픽셀들의 스트레스를 분산 조정할 수 있다. 열화 수준이 작을 경우, RGB 방식의 휘도 비율을 2% 정도로 낮출 수 있다. WRGB 방식과 RGB 방식의 조합 비율은 스트레스 분산 효과와 화질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In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the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and the deterioration variation between pixels between sub-pixels can be reduced by appropriately determining the combination ratio. Adding or subtracting a fixed value means that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method can be fix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method may be fixed at 5%. When the deterioration level of the W sub-pixel increases, adjusting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method to 10% de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and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thereby quickly distributing the stress of the sub-pixels. I can adjust it. When the deterioration level is small,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method can be reduced to about 2%. The combination ratio of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dispersion effect and image quality.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들에 기입되는 데이터의 계조값을 변조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W 서브 픽셀과 R, G, B 서브 픽셀들 간의 스트레스를 분산하여 이 서브 픽셀들 간의 열화 편차를 줄인다. 이를 위하여,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W 서브 픽셀에 기입되는 백색 데이터의 계조값을 낮추고 R, G, B 서브 픽셀들에 기입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의 계조값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픽셀의 백색과 컬러 왜곡 없이 W 서브 픽셀의 구동 세기를 낮추고, W 서브 픽셀과 R, G, B 서브 픽셀들의 열화 편차를 줄일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에 의해 변조된 픽셀 데이터(RGBW)를 데이터 구동부(110)로 전송한다.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istributes stress between the W sub-pixels and R, G, and B sub-pixels shown in FIG. 5 by modulating the gradation value of data written to the sub-pixels to compensate for deterioration deviation between the sub-pixels. Decrease. To this end,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may lower the gradation values of white data written in the W sub-pixels and increase the gradation values of red, green, and blue data written in the R, G, and B sub-pixels. Therefore,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lower the driving intensity of the W sub-pixel without distortion of the white and color of the pixel, and reduce the variation in deterioration of the W sub-pixel and the R, G, and B sub-pixels. The timing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pixel data RGBW modulated by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to the data driver 110.

전원부(150)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와 표시패널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한다. 직류-직류 변환기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레귤레이터(Regulator), 벅 변환기(Buck Converter), 부스트 변환기(Boost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는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의 직류 입력 전압(Vin)을 조정하여 감마 기준 전압(GMA), 게이트 하이 전압(VGH). 픽셀 구동 전압(ELVDD), 저전위 전원 전압(ELVSS), 기준 전압(Vref) 등의 직류 전원을 발생할 수 있다. 감마 기준 전압(GMA)은 데이터 구동부(110)에 공급된다. 게이트 오프 전압(VGH)과 게이트 온 전압(VGL)은 게이트 구동부(120)에 공급된다. 기준 전압(Vref)은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센싱 노드 즉, 제2 노드(n2)의 전압을 균일하게 초기화하기 위하여 서브 픽셀들에 공통으로 공급되는 기준 전압이다. 전원부(150)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50 uses a DC-DC converter to generate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display panel driver. The DC-DC converter may include a charge pump, a regulator, a buck converter, and a boost converter. The DC-DC converter adjusts the DC input voltage (Vin) from the host system 200 to determine a gamma reference voltage (GMA) and a gate high voltage (VGH). A DC power source such as a pixel driving voltage ELVDD, a low potential power voltage ELVSS, and a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generated. The gamma reference voltage GMA is supplied to the data driver 110. The gate-off voltage VGH and the gate-on voltage VGL are supplied to the gate driver 120.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a reference voltage commonly supplied to the sub-pixels in order to uniformly initialize the voltage of the sensing node, that is, the second node n2 in each of the sub-pixels.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호스트 시스템(200)은 TV(Television)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host system 200 may be any one of a TV (Television) system, a set top box, a navigation system, a personal computer (PC), a home theater system, a mobi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열화 센싱부는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구동 소자)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발광 소자(OLED)의 열화를 센싱한 결과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이밍 콘트롤러(130)로 전송한다. 이 열화 센싱부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열화 센싱부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공개 특허 10-2017-0021406 (2017. 02. 28.)에 개시된 센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열화 센싱부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converts the result of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nto digital data while controlling the transistor (driving element) driv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n each of the sub-pixels to the off state, thereby converting the timing controller 130 into digital data. ).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may use a known method for sensing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For example,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may use the sensing method disclosed in published patent 10-2017-0021406 (2017. 02. 28.)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열화 센싱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픽셀 회로(101)에 연결된 센싱 라인(103), 및 센싱부(111)를 포함한다. 센싱 라인(103)은 데이터 라인들(102)과 나란하게 표시패널(100)의 화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111)는 센싱 라인(103)을 통해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한다. 센싱부(111)는 DAC(112)와 함께 데이터 구동부(110)가 집적된 소스 드라이브 IC(SDIC)에 집적될 수 있다.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includes a sensing line 103 and a sensing unit 111 connected to the pixel circuit 101 in each of the sub-pixels, as shown in FIG. 3. The sensing line 103 may be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00 in parallel with the data lines 102. The sensing unit 111 senses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through the sensing line 103. The sensing unit 111 may be integrated in a source drive IC (SDIC) in which the data driver 110 is integrated together with the DAC 112.

열화 센싱부는 기준 전압(Vref)으로 센싱 라인(103)과 구동 소자(DT)의 소스 전압 즉, 제2 노드(n2)의 전압을 초기화한 후에 제2 노드(n2)의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여 발광 소자(OLED)와 구동 소자(DT)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와 구동 소자(DT)의 전기적 특성은 문턱 전압(Vth)과 이동도(Vth, μ) 등을 포함한다. The deterioration sensing unit senses the current or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after initializing the source voltage of the sensing line 103 and the driving element DT, that is,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with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the driving device DT may be sens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nd the driving element DT include a threshold voltage Vth, mobility Vth, μ, and the like.

센싱부(111)는 기준전압 제어 스위치(SW1), 샘플링 스위치(SW2), 및 샘플 앤 홀드부(116)를 포함한다. 기준전압 제어 스위치(SW1)는 기준전압 제어신호(PRE)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입력단과 센싱 라인(103) 사이의 전류 패스를 스위칭한다. 샘플링 스위치(SW2)는 샘플링 제어신호(SAM)에 따라 센싱 라인(1103)과 샘플 앤 홀드부(116) 간의 전류 패스를 스위칭한다. The sensing unit 111 includes a reference voltage control switch SW1, a sampling switch SW2, and a sample and hold unit 116. The reference voltage control switch SW1 switche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sensing line 103 according to the reference voltage control signal PRE. The sampling switch SW2 switche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sensing line 1103 and the sample and hold unit 116 according to the sampling control signal SAM.

기준전압 제어 스위치(SW1)는 제1 및 제2 기간 동안 턴-온(turn-on) 되어 센싱 라인(103)에 기준 전압(Vref)을 인가한 후, 제3 기간에서 턴-오프(turn-off)된다. 샘플링 스위치(SW2)는 제3 기간의 특정 시점에서 온 되어 센싱 라인(103)을 샘플 앤 홀드부(116)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The reference voltage control switch SW1 is turned on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to apply the reference voltage Vref to the sensing line 103 and then turn-off in the third period. off). The sampling switch SW2 is turned on at a specific time in the third period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sensing line 103 to the sample and hold unit 116.

샘플 앤 홀드부(116)는 센싱 모드에서 픽셀 회로(101)에 연결된 센싱 라인(103) 상의 전류 또는 전압을 적분기로 샘플링한다. 적분기의 출력 전압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함)(115)에 입력되어 디지털 데이터(ADC DATA)로 변환된다. ADC(115)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ADC DATA)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전기적 특성 예를 들어, 발광 소자(OLED)의 문턱 전압(Vth)과 이동도(Vth, μ) 정보를 포함한다. ADC(115)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ADC DATA)는 타이밍 콘트롤러(130)로 전송된다. The sample and hold unit 116 samples the current or voltage on the sensing line 103 connected to the pixel circuit 101 in the sensing mode with an integrator. The output voltage of the integrator is input to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C”) 115 and converted to digital data (ADC DATA). The digital data (ADC DATA) output from the ADC 115 includes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sub-pixels, for example, threshold voltage (Vth) and mobility (Vth, μ) informa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The digital data (ADC DATA) output from the ADC 115 is transmitted to the timing controller 130.

픽셀 회로(101)는 도 3의 예와 같이, 발광 소자(OLED)와,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구동 소자(DT), 다수의 스위치 TFT(M1, M2),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구동 소자(DT)와 스위치 TFT(M1, M2)는 n 채널 트랜지스터(NMOS)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ixel circuit 101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 driving element DT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 plurality of switch TFTs M1 and M2, and a capacitor Cst,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do. The driving element DT and the switch TFTs M1 and M2 may be implemented as an n-channel transistor NMO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발광 소자(OLED)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변하는 구동 소자(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로 발광된다. 발광 소자(OLED)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수송층(ETL) 및 전자주입층(EI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는 제2 노드(n2)를 통해 구동 소자(DT)에 연결되고, 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는 저전위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ELVSS 전극에 연결된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emits light with a curr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gate-source voltage Vgs of the driving device D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Vdata.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ncludes an organic compound layer form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 organic compound laye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element DT through the second node n2,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connected to the ELVSS electrode to which the low potential power voltage ELVSS is applied.

제1 스위치 TFT(M1)는 스캔 신호(SCAN)의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102)을 제1 노드(n1)에 연결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n1)에 공급한다. 제1 스위치 TFT(M1)는 스캔 신호(SCAN)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104)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10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전극,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 및 제1 스위치 TFT(M1)의 제2 전극이 제1 노드(n1)에 연결된다.The first switch TFT M1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gate-on voltage of the scan signal SCAN to connect the data line 102 to the first node n1 to connect the data voltage Vdata to the first node n1. To supply. The first switch TFT M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line 104 to which the scan signal SCAN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102,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Includes.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element DT,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st,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 TFT M1 ar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제2 스위치 TFT(M2)는 스캔 신호(SCAN)에 따라 턴-온되어 기준 전압(Vref)을 제2 노드(n2)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치 TFT(M2)는 스캔 신호(SCAN)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104)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는 센싱 라인(10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소자(DT)의 제2 전극,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 및 제2 스위치 TFT(M2)의 제1 전극이 제2 노드(n2)에 연결된다.The second switch TFT M2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SCAN to supply the reference voltage Vref to the second node n2. The second switch TFT M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line 104 to which the scan signal SCAN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nd a sensing line to which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applied ( 103). The second electrode of the driving element DT,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st,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 TFT M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구동 소자(DT)는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에 따라 발광 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한다. 구동 소자(DT)는 제1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 픽셀 구동 전압(ELVDD)이 공급되는 ELVDD 라인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driving device DT drives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by supplying a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according to the gate-source voltage Vgs. The driving element DT includes a gat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ELVDD line to which the pixel driving voltage ELVDD is su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 소자(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을 1 프레임간 유지한다.The capacitor Cs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second node n2 to maintain the gate-source voltage Vgs of the driving element DT between frames.

센싱 라인(10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브 픽셀들(101)에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라인(103)은 네 개의 서브 픽셀들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서브 픽셀들 각각에 1:1로 센싱 라인(104)이 연결될 수 있으나, 픽셀 어레이 상에 배치되는 센싱 라인들(103)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픽셀의 개구율이 낮아질 수 있다. 픽셀의 개구율이 낮은 만큼 발광 소자(OLED)의 밝기를 높일 수 있으나, 이 경우 발광 소자(OLED)의 전류 밀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발광 소자(OLED)의 열화 속도가 증가되고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The sensing line 103 may be shared by a plurality of sub-pixels 101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one sensing line 103 may be connected to four sub pixels. Meanwhile, although the sensing line 104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ub-pixels 1:1, the aperture ratio of the pixel may be lowered because the number of sensing lines 103 disposed on the pixel array is large. As the aperture ratio of the pixel is low,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can be increased, but in this case, the current dens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increased, so that the deterioration rat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may be increased and the life may be reduced.

소스 드라이브 IC(SDIC)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110)는 센싱부(111), 멀티플렉서(Multiplexer, 113), 시프트 레지스터(114), 및 ADC(115)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113)는 센싱부들(111)과 ADC(115)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소자들(SS1, SS2)을 통해 센싱부들(111)의 출력 전압을 하나의 ADC(115)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The source drive IC (SDIC) may include a deterioration sensing unit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For example, the data driver 110 includes a sensing unit 111, a multiplexer (113), a shift register 114, and an ADC 115. The multiplexer 113 sequentially supplies the output voltages of the sensing units 111 to one ADC 115 through switch elements SS1 and SS2 connected between the sensing units 111 and the ADC 115.

시프트 레지스터(114)는 입력 신호의 펄스를 ADC 클럭 신호(ACLK)에 따라 시프트한다. 멀티플렉서(113)의 스위치 소자들(SS1, SS2)은 시프트 레지스터(11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턴-온(turn-on)된다. 시프트 레지스터(114)와 ADC(115)는 ADC 클럭 신호(ACLK)를 공유하여 동기된다. The shift register 114 shifts the pulse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ADC clock signal ACLK. The switch elements SS1 and SS2 of the multiplexer 113 are sequential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hift register 114. The shift register 114 and the ADC 115 are synchronized by sharing the ADC clock signal ACLK.

센싱용 데이터 전압(Vdata)은 센싱 모드에서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어, 센싱 대상 서브 픽셀들(101)에 인가되는 제1 센싱용 데이터 전압(Vdata)과 비센싱 대상 서브 픽셀들(101)에 인가되는 제2 센싱용 데이터전압으로 나뉘어진다. 비센싱 대상 서브 픽셀들(101)은 센싱 대상 서브 픽셀(101)에 센싱될 때 센싱되지 않는 서브 픽셀을 의미한다. 모든 서브 픽셀들의 전기적 특성이 센싱되기 때문에 비센싱 대상 서브 픽셀들(101)도 순차적으로 센싱 대상 서브 픽셀들로 선택되어 센싱된다. The sensing data voltage Vdata i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element DT in the sensing mode, and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Vdata and the non-sensing subpixels applied to the sensing subpixels 101 are applied. It is divided by the second sensing data voltage applied to (101). The non-sensing sub-pixels 101 mean a sub-pixel that is not sensed when it is sensed by the sensing target sub-pixel 101. Sinc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ll sub-pixels are sensed, the non-sensing sub-pixels 101 are sequentially selected as sensing sub-pixels and sensed.

구동 소자(DT)가 열화되면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동도, 문턱전압 등)이 변하여 발광 소자(OLED)의 전류가 변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OLED)의 열화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는 구동 소자(DT)의 열화로 인한 발광 소자(OLED)의 전류 변화는 발광 소자(OLED)의 열화를 센싱할 때 정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When the driving element DT is deteriorate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egrad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becaus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mobility, threshold voltage, etc.) of the driving element change and the curre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changes. This is because the current chang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driving element DT decreases accuracy when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발광 소자(OLED)의 열화를 센싱할 때 구동 소자(DT)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발광 소자(OLED)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싱용 데이터 전압은 구동 소자(DT)를 턴-오프(turn-off)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센싱용 데이터 전압은 구동 소자(DT)가 턴-온되도록 기준 전압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싱용 데이터 전압은 블랙 계조(Black gray level) 전압으로 설정되고, 제2 센싱용 데이터 전압은 백색 계조 전압(White gray level)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센싱부(111)는 제1 센싱용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센싱 대상 서브 픽셀의 제2 노드(n2)로부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한다. 모든 서브 픽셀들(101)에 순차적으로 제1 센싱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이와 동기하여 서브 픽셀들(101)이 센싱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라인이 다수의 서브 픽셀들(101)에 공유되더라도 서브 픽셀들(101) 각각에서 발광 소자(OLED)가 센싱될 수 있다. In order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driving element DT when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for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turns off the driving element DT. It can be set to a voltage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enough to turn-off. The data voltage for the second sensing may be set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so that the driving element DT is turned on.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may be set as a black gray level voltage, and the second sensing data voltage may be set as a white gray level voltage. The sensing unit 111 senses the current or voltage from the second node n2 of the sensing target sub-pixel to which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is applied. As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is sequentially applied to all the sub-pixels 101 and the sub-pixels 101 are sen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is,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the sensing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ub-pixels.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may be sensed in each of the sub pixels 101 even though it is shared with the 101.

도 5는 센싱 대상 서브 픽셀에 열화 센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열화 전후 픽셀 회로(101)의 센싱 동작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6에서 Ng는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 전압과 같은 제1 노드(n1)의 전압이다. Ns는 구동 소자(DT)의 소스 노드 전압과 같은 제2 노드(n2)의 전압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erioration sensing method for a sub-pixel to be sensed.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pixel circuit 101 before and after the deterioration. In FIG. 6, Ng is a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equal to the gate node voltage of the driving element DT. Ns is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equal to the source node voltage of the driving element D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픽셀의 열화 센싱 방법은 제1 기간(Tint)에서 이루어지는 초기화 단계(S10), 제2 기간(Tbst)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점 셋팅 단계(S20), 및 제3 기간(Tsen)에서 이루어지는 센싱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싱 구동시 데이터 구동회로(12)는 구동 소자(DT)를 오프 시킬 수 있는 제1 센싱용 데이터전압(예컨대, 블랙 계조용 데이터전압, 0.5V)을 데이터 라인들(102)에 공급한다.5 and 6, the sub-pixel deterioration sensing method includes an initialization step (S10) performed in a first period (Tint), an operation point setting step (S20) performed in a second period (Tbst), and a third period. It includes a sensing step (S30) made in (Tsen). During the sensing driving, the data driving circuit 12 supplies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eg, black gradation data voltage, 0.5V), which can turn off the driving element DT, to the data lines 102.

제1 기간(Tint)에서, 제1 레벨(24V)의 제1 게이트 온 전압(VGH1)을 갖는 스캔 신호(SCAN)에 따라 센싱 대상 서브 픽셀에 포함된 제1 및 제2 스위치 TFT(M1,M2)가 턴-온 된다. 그리고 제1 기간(Tint)에서 기준 전압 제어 스위치(SW1)가 턴-온 되고, 샘플링 스위치(SW2)가 턴-오프된다.In the first period Tint, the first and second switch TFTs M1 and M2 included in the sub-pixel to be sensed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SCAN having the first gate-on voltage VGH1 of the first level 24V ) Is turned on. Then, in the first period Tint, the reference voltage control switch SW1 is turned on, and the sampling switch SW2 is turned off.

그에 따라 구동 소자(DT)가 턴-오프되는 제1 센싱용 데이터전압(블랙 계조용 데이터전압, 0.5V)이 센싱 대상 서브 픽셀의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 즉, 제1 노드(n1)에 인가된다. 그리고,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보다 높은 제1 레벨(LV1, 9V)의 기준 전압(Vref)이 센싱 라인(17)을 통해 구동 소자(DT)의 소스 노드 즉, 제2 노드(n2) 에 인가된다.Accordingly,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black gradation data voltage, 0.5 V) at which the driving device DT is turned off is a gate node of the sensing device DT of the sub-pixel to be sensed, that is, the first node n1. Is applied to. In addition, the reference voltage Vref of the first level LV1 and 9V higher than the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the source node of the driving element DT through the sensing line 17, that is, the second node n2 ).

제1 기간(Tint)에서 구동 소자(DT)는 턴-오프 되고, 센싱 대상 서브 픽셀의 발광 소자(OLED)는 턴-온된다.In the first period Tint, the driving element DT is turned off,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of the sensing target sub-pixel is turned on.

제2 기간(Tbst)에서 제2 레벨(-6V)의 게이트 오프 전압(VGL)을 갖는 스캔 신호(SCAN)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TFT(M1, M2)가 턴 오프 된다. 이때 기준전압 제어 스위치(SW1)는 턴-온 상태를 그리고, 샘플링 스위치(SW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econd period Tbst, the first and second switch TFTs M1 and M2 are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SCAN having the gate-off voltage VGL of the second level (-6V). At this time, the reference voltage control switch SW1 maintains a turn-on state, and the sampling switch SW2 maintains a turn-off state.

제2 기간(Tbst)에서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는 플로팅(floating)된다. 그리고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에 충전된 제1 레벨(LV1, 9V)의 기준 전압(Vref)에 의해 발광 소자(OLED)로 전류가 흘러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된다. 발광 소자(O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압은 제1 레벨(LV1, 9V)의 기준 전압(Vref)에서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까지 낮아진다. 이 때,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은 발광 소자(OLED)의 열화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은 발광 소자(OLED) 열화 전에 8V인데 반해, 발광 소자(OLED)의 열화 후에 8.5일 수 있다. In the second period Tbst,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floated. In addition, a current flows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by the reference voltage Vref of the first level LV1 and 9V charged in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emits light. The anode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lowered from the reference voltage Vref of the first level LV1 and 9V to the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At this time, the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varies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leve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For example, the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may be 8.5 after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whereas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i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8V before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deterioration.

제2 기간(Tbst)에서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에 연결된 제2 노드(n2)도 플로팅된다.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통해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에 커플링(coupling)되어 있으므로,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위 변화에 비례하여 그 전위도 낮아진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위가 9V에서 8V로 변하는 경우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 전위도 0.5V에서 -0.5V로 변할 수 있으며, 또한,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위가 9V에서 8.5V로 변하는 경우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 전위도 0.5V에서 0V로 변할 수 있다.In the second period Tbst, the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gate node of the driving element DT is also floated. Since the gate node of the driving element DT is coupl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through the storage capacitor Cst, its potential is also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change in the anode potentia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For example, when the anode potenti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changes from 9V to 8V, the gate node potential of the driving device DT may also change from 0.5V to -0.5V, and also, the anode potenti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When is changed from 9V to 8.5V, the gate node potential of the driving element DT may also change from 0.5V to 0V.

한편, 제2 기간(Tbst)에서 제1 레벨(LV1, 9V)보다 높은 제2 레벨(LV2, 14V)의 기준 전압(Vref)이 센싱 라인(103)에 충전된다.Meanwhile, in the second period Tbst, the reference voltage Vref of the second levels LV2 and 14V higher than the first levels LV1 and 9V is charged in the sensing line 103.

제3 기간(Tsen)에서 제3 레벨(11V)의 제2 게이트 온 전압(VGH2)을 갖는 스캔 신호(SCAN)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치 TFT(M1, M2)가 턴-온된다. 그리고 기준 전압 제어 스위치(SW1)가 턴-오프되고, 특정 시점(샘플링 시점)에서 샘플링 스위치(SW2)가 턴-온된다.In the third period Ts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 TFTs M1 and M2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SCAN having the second gate-on voltage VGH2 of the third level 11V. Then, the reference voltage control switch SW1 is turned off, and the sampling switch SW2 is turned on at a specific time point (sampling time point).

원활한 방전 동작이 이뤄지도록, 제3 레벨(11V)의 제2 게이트 온 전압(VGH2)은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보다 높고 제2 레벨(LV2, 14V)의 기준 전압(Vref)보다 낮다. 제3 기간(Tsen)에서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노드 전위가 제1 센싱용 데이터전압(블랙 계조용 데이터전압, 예컨대, 0.5V)으로 유지되어 구동 소자(DT)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압이 센싱될 때 구동 소자(DT)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The second gate-on voltage VGH2 of the third level 11V is higher than the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nd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of the second level LV2, 14V so that a smooth discharge operation is achieved. . In the third period Tsen, the gate node potential of the driving element DT is maintained at the first sensing data voltage (black gradation data voltage, for example, 0.5V), so that the driving element DT is turned off. Therefore, when the anode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sensed, the driving element DT does not affect.

제3 기간(Tsen)에서 센싱 라인(103)은 기준 전압(Vref) 입력단과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고, 제2 스위치 TFT(M2)를 통해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센싱 라인(103)에 충전된 제2 레벨(LV2, 14V)의 기준 전압(Vref)이 발광 소자(OLED)를 통해 방전되면서 발광 소자(OLED)의 문턱 전압이 센싱된다.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는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으로부터 상승한다.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이 낮은 열화 전의 경우에 제2 스위치 TFT(M2)의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Vgs, 11V-8V=3V)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제2 스위치 TFT(M2)를 통해 방전되는 전류량이 커진다. 다시 말해, 방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반면, 발광 소자(OLED)의 동작점 전압이 높은 열화 후에 제2 스위치 TFT(M2)의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Vgs, 11V-8.5V=2.5V)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제2 스위치 TFT(M2)를 통해 방전되는 전류량이 열화 전 보다 적어 방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렇게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에 따른 제2 노드(n2)의 방전 속도 차이로 인해 센싱 라인(103)에 남아 있는 전압이 달라진다. 따라서 특정 시점(샘플링 시점)에서 샘플링 스위치(SW2)가 턴-온될 때 센싱 라인(103)의 잔류 전압을 센싱한 후, 그 센싱값을 열화전의 초기값과 비교하면 발광 소자(OLED)의 열화 수준을 알 수 있다.In the third period Tsen,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input termina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released, and the sensing line 1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through the second switch TFT M2. As a result,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sensed while the reference voltages Vref of the second levels LV2 and 14V charged in the sensing line 103 are discharg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rises from the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n the case of deterioration before the operation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low, the second switch TFT (M2) is used because the voltage (Vgs, 11V-8V=3V)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of the second switch TFT (M2) is relatively large. The amount of current discharged through it becomes large.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rate is relatively fas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witch TFT (M2) because the voltage between the gate-source (Vgs, 11V-8.5V=2.5V) of the second switch TFT (M2) is relatively small after the high operating point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deteriorated. ), the amount of current discharged is smaller than before deterioration, so the discharge rate is relatively slow. The voltage remaining in the sensing line 103 is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ischarge rate of the second node n2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level of the sub-pixel. Therefore, when the sampling switch SW2 is turned on at a specific point in time (sampling point), after sensing the residual voltage of the sensing line 103 and comparing the sensed value with the initial value before deterioration, the level of degrad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Can be seen.

센싱 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온 시퀀스(Power ON sequence)에서 실시되는 ON RF 모드,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 동안 버티컬 블랭크 구간(Vertical blank, VB)에 실시되는 RT MODE, 및 파워 오프 시퀀스(Power OFF sequence)에서 실시되는 OFF RS 모드로 나뉘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ensing mode is an ON RF mode performed in a power ON sequence, an RT MODE performed in a vertical blank (VB) during a display driving period, and a power off sequence (Power) OFF sequence).

ON RF 모드에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전원이 켜질 때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가 센싱된다. RT 모드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간에서 매 프레임 기간마다 버티컬 블랭크 구간(Vertical blank interval, VB)에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가 센싱된다. OFF RS 모드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이 꺼질 때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가 센싱된다. In the ON RF mode,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is sensed when the field emission display is powered on. In the RT mode,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is sensed in a vertical blank interval (VB) every frame period in a display driving period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In the OFF RS mode, degrad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is sensed when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ff.

도 8은 픽셀들 간의 스트레스 편차로 인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된 후 화면 상에서 얼룩 및 잔상이 보이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픽셀들간 스트레스 차이로 인하여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픽셀들 간에 휘도 차이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tains and afterimages are seen on a screen after a use time has elapsed due to a stress variation between pixels. 9 is a view showing luminance differences between pixels as the use time increases due to a stress difference between pixels.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품 출하 당시에 화면의 초기 휘도가 균일하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사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픽셀들은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열화가 진행된다. 그런데 픽셀들에 입력되는 영상에 따라 픽셀들의 누적 스트레스가 달라지게 되어 열화의 가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8 and 9, the initial luminance of the screen is uniform at the time of product shipment. As the use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reases, the stress of the pixels accumulates and progresses. However, the cumulative stress of the pixels varies according to the image input to the pixels, and thus the acceleration of deterioration may vary.

픽셀들의 열화로 인하여 픽셀들의 휘도 유지율이 낮아진다. 특히, 누적 스트레스가 많은 픽셀들(이하, “제1 열화 픽셀”이라 함)의 휘도 유지율은 상대적으로 누적 스트레스가 적은 픽셀들(이하, “제2 열화 픽셀”이라 함)에 비하여 휘도 유지율이 더 빨리 떨어진다. 제1 열화 픽셀은 누적 스트레스가 가장 큰 픽셀 예를 들어, 자막이나 로고가 표시되는 위치의 픽셀일 수 있다. 제2 열화 픽셀은 평균 스트레스 수준의 누적 스트레스를 받는 픽셀 예를 들어, 자막이나 로고 주변의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픽셀일 수 있다.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pixels, the luminance retention ratio of the pixels is lowered. In particular, the luminance retention rate of pixels having a lot of cumulative str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egraded pixel”) has a higher luminance retention rate compared to pixels having less cumulative str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deterioration pixel”). It falls quickly. The first deteriorated pixel may be a pixel having the greatest cumulative stress, for example, a pixel at which a subtitle or logo is displayed. The second deteriorated pixel may be a pixel under a cumulative stress of an average stress level, for example, a pixel on which a background image around a subtitle or logo is displayed.

제1 및 제2 픽셀 간의 누적 스트레스 차이로 인한 열화 편차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간이 경과되어 픽셀들의 열화가 상당히 진행될 때 동일한 백색 계조의 픽셀 데이터가 모든 픽셀들에 인가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AA) 상의 P1과 P2 위치에서 휘도 차이(ΔL)로 인하여 얼룩과 잔상이 보인다. 또한, P3 위치의 휘도가 그 주변의 배경 휘도 보다 낮아진다. Due to the deterioration vari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cumulative str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xels, as shown in FIG. 8, when the deterioration of the pixels proceeds significantly as the usage time elapses, even when pixel data of the same white gradation is applied to all pixels As shown in Fig. 8, spots and afterimages are seen due to the difference in luminance (ΔL) at positions P1 and P2 on the screen AA. Further, the luminance at the P3 position is lower than the background luminance around it.

본 발명은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제1 및 제2 픽셀들의 누적 스트레스를 분산한다. 본 발명은 픽셀 데이터를 픽셀들에 기입할 때 W 서브 픽셀과 R, G, B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에 따라 W 서브 픽셀의 사용량을 높이거나 R, G, B 서브 픽셀의 사용량을 높인다. 픽셀 데이터는 R, G, B 각각 0 이상의 계조값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accumulated stress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based on the deterioration sensing result of each of the sub-pixels.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usage of the W sub-pixel or increases the usage of the R, G, and B sub-pixels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level of the W sub-pixel and the R, G, and B sub-pixels when writing the pixel data to the pixels. The pixel data has a gradation value of 0 or more in each of R, G, and B.

본 발명의 픽셀들(PIX) 각각은 W 서브 픽셀과 R, G, B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픽셀(PIX)에서 백색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R, G, B 서브 픽셀들보다 높이는 WRGB 방식과, W 서브 픽셀 대비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더 높이는 RGB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픽셀의 구동량은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한다. 서브 픽셀의 구동량은 픽셀 데이터의 계조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Each of the pixels PIX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 sub-pixel and R, G, and B sub-pixels. As shown in FIG. 10, white in the pixel PIX has a WRGB method in which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is higher than the R, G, and B sub-pixels, and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compared to the W sub-pixel. It can be expressed in an RGB way to increase. Here,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 is proportional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s can be adjusted to the gradation value of the pixel data.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들에 기입되는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여 서브 픽셀별 구동량을 조정할 수 있다. 픽셀 회로(10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이 높을수록 발광 소자(OLED)의 전류 세기가 높아져 발광 소자(OLED)의 스트레스가 많아지고, 발광 소자(OLED)에 전류가 흐르는 구동 시간이 길어질수록 발광 소자(OLED)의 스트레스가 많아진다.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may modulate the pixel data written in the sub-pixels to adjust the driving amount for each sub-pixel. The higher the data voltage Vdata applied to the pixel circuit 101, the higher the current intensity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the more stress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has, and the longer the driving time for the current to flow through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becomes. The more the stres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ncreases.

WRGB 방식은 색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R, G, B 서브 픽셀들에 비하여 높인다. WRGB 방식은 색온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W 서브 픽셀과 함께 R 및 B 서브 픽셀을 구동하거나(W+R+B) W 서브 픽셀과 함께 G 및 B 서브 픽셀을 구동(W+G+B)할 수 있다. RGB 방식은 3 원색 서브 픽셀들 즉,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W 서브 픽셀 보다 높인다. The WRGB method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compared to the R, G, and B sub-pixels to match the color temperature. In order to optimize the color temperature, the WRGB method can drive R and B subpixels with W subpixels (W+R+B) or G and B subpixels with W subpixels (W+G+B). . The RGB method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three primary color sub-pixels, that is, the R, G, and B sub-pixels than the W sub-pixel.

도 11은 픽셀 데이터를 재현하기 위하여 픽셀들이 WRGB 방식(A)과 RGB 방식(B)으로 구동될 때 컬러별 휘도 사용예를 보여 준다. FIG. 11 shows an example of using luminance for each color when pixels are driven by the WRGB method (A) and the RGB method (B) to reproduce pixel data.

도 11을 참조하면, WRGB 방식(A)으로 구동되는 제1 픽셀(PIX1)에서 W 서브 픽셀의 휘도 사용 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에 W 서브 픽셀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상대적으로 R, G, B 서브 픽셀들의 스트레스가 적다. WRGB 방식(A)으로 구동되는 제2 픽셀(PIX2)에서 W 서브 픽셀의 휘도 사용 비율이 가장 높지만 모든 컬러의 서브 픽셀들이 받는 스트레스 강도가 제1 픽셀(PIX1)에 비하여 적다. 서브 픽셀의 구동량이 높을수록 서브 픽셀의 휘도 사용 비율이 높아진다. Referring to FIG. 11, in the first pixel PIX1 driven by the WRGB method (A), the W sub-pixel has the highest luminance use ratio, so the W sub-pixel is under a lot of stress, and relatively R, G, and B sub-pixels Their stress is less. In the second pixel PIX2 driven by the WRGB method A, the luminance use ratio of the W sub-pixel is the highest, but the stress intensity received by the sub-pixels of all colors is less than the first pixel PIX1. The higher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 the higher the luminance use ratio of the sub-pixel.

RGB 방식(B)으로 구동되는 제1 픽셀(PIX1)에서 W 서브 픽셀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R, G, B 서브 픽셀들만 스트레스를 받는다. RGB 방식(A)으로 구동되는 제2 픽셀(PIX2)에서 W 서브 픽셀의 스트레스는 없고 R, G, B 서브 픽셀들이 받는 스트레스 강도가 제1 픽셀(PIX1)에 비하여 적다. Since the W sub-pixel is not driven in the first pixel PIX1 driven by the RGB method B, only the R, G, and B sub-pixels are stressed. In the second pixel PIX2 driven by the RGB method (A), there is no stress of the W sub-pixel and the stress intensity received by the R, G, and B sub-pixels is less than that of the first pixel PIX1.

본 발명은 도 11의 예에서, 실시간 열화 센싱 결과 제1 픽셀(PIX1)에서 W 서브 픽셀의 누적 스트레스가 클 때 제1 픽셀(PIX1)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스트레스 누적을 경감하는 반면 R, G, B 서브 픽셀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픽셀들(PIX1, PIX2) 각각에서 컬러별 서브 픽셀들의 누적 스트레스 편차를 줄이고, 픽셀들간 누적 스트레스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픽셀들 각각의 구동 방법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들간 누적 스트레스 편차에 따라 WRGB 방식과 RGB 방식을 적응적으로 스위칭한다. In the example of FIG. 11, when the accumulated stress of the W sub-pixel in the first pixel PIX1 is large as a result of real-time deterioration sensing, the stress of the W sub-pixel is reduced by driving the first pixel PIX1 in an RGB manner. On the other hand, by increasing the stress of the R, G and B sub-pixels, the cumulative stress variation of sub-pixels for each color in each of the pixels PIX1 and PIX2 can be reduced, and the cumulative stress variation between pixels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daptively switches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according to the cumulative stress variation between sub-pixels, as shown in FIG. 12 for the driving method of each pixel.

도 13은 화면(AA)에 적색 이미지가 표시된 후 백색 이미지로 바뀔 때 잔상이 보이는 예를 보여 주는 이미지이다.13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fterimage is seen when a 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A and then is changed to a white image.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AA) 상에 제1 열화 픽셀(P01)과 제2 열화 픽셀(P02)이 있을 수 있다. 제1 열화 픽셀(P01)은 R 서브 픽셀의 구동량이 높아 R 서브 픽셀이 열화된 픽셀이다. 제1 열화 픽셀(PO1)은 적색 로고가 표시되는 최대 누적 스트레스 영역의 픽셀일 수 있다. 제2 열화 픽셀(PO2)은 제1 열화 픽셀(PO1) 보다 누적 스트레스가 적은 픽셀이다. 제2 열화 픽셀(PO2)은 적색 로고 주변의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픽셀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re may be a first deterioration pixel P01 and a second deterioration pixel P02 on the screen AA. The first deterioration pixel P01 is a pixel in which the R subpixel is deteriorated due to a high driving amount of the R subpixel. The first deterioration pixel PO1 may be a pixel of a maximum cumulative stress area in which a red logo is displayed. The second deterioration pixel PO2 is a pixel having less cumulative stress than the first deterioration pixel PO1. The second degradation pixel PO2 may be a pixel on which a background image around the red logo is displayed.

화면(AA)의 모든 픽셀들에 적색 데이터를 기입하여 적색 화면을 표시한 후, 백색 데이터를 픽셀들에 기입하여 백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적색 화면에서 제1 열화 픽셀(P01)에서 R 서브 픽셀의 휘도가 낮아져 잔상이 보이고 백색 화면에서 제1 열화 픽셀(P01)이 어둡게 보이는 잔상이 보인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픽셀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픽셀 데이터를 재현할 때 R 서브 픽셀의 열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2 열화 픽셀(P02)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줄이고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인다. 반면에,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제1 열화 픽셀(P01)에서 R 서브 픽셀의 열화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WRGB 방식으로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 보다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픽셀들에서 구동량을 증가하여 픽셀들 간에 열화 편차를 줄일 수 있다. 픽셀들 간에 열화 편차가 적어지면 화면 전체에서 열화 보상 산포가 감소되어 열화 보상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다. After displaying red screen by writing red data to all pixels of the screen AA, white data may be written to pixels to display a white screen. On the red screen, the luminance of the R sub-pixel is lowered in the first deterioration pixel P01, and a residual image is seen. On the white screen, an afterimage in which the first deterioration pixel P01 is dark is seen.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rives the second deterioration pixel P02 having relatively little deterioration of the R subpixel in an RGB manner when reproducing the pixel data by modulating the pixel data based on the deterioration sensing result of each subpixel. Thus,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s is reduced, and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s in the WRGB manner to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in order to slow the deterioration progress rate of the R sub-pixels in the first deterioration pixel P01.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eterioration deviation between pixels by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in pixels with relatively little degradation. When the deterioration variation between pixels is small, the deterioration compensation spread across the screen is reduced, so that the deterioration compensa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녹색 및 청색 화면이 표시될 때 화면 위치별로 잔상이 보일 때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픽셀들 간의 열화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When the green and blue screens are displayed, even when an afterimage is seen for each screen position, deterioration deviation between pixels may be reduc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도 14는 한 화면(AA)에서 백색 열화 픽셀과 적색 열화 픽셀이 공존하는 예를 보여 주는 이미지이다. 14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hite degradation pixel and a red degradation pixel coexist on one screen AA.

도 14를 참조하면, 화면(AA) 상에 제1 내지 제4 열화 픽셀들(P11~P14)가 있을 수 있다. 제1 열화 픽셀(P11)은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이 높아 W 서브 픽셀이 열화된 픽셀이다. 제2 열화 픽셀(P12)은 상대적으로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이 적은 픽셀이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제1 및 제2 열화 픽셀들(P11, P12)의 컬러별 열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픽셀 데이터를 재현할 때 제1 열화 픽셀(P11)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낮추고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인다. 반면에,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픽셀 데이터를 재현할 때 제2 열화 픽셀(P12)을 W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 보다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픽셀들에서 구동량을 증가하여 픽셀들 간에 열화 편차를 감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re may be first to fourth deteriorated pixels P11 to P14 on the screen AA. The first deteriorated pixel P11 is a pixel in which the W sub-pixel is deteriorated due to a high driving amount. The second deteriorated pixel P12 is a pixel having a relatively small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determine the deterioration level for each color of the first and second deterioration pixels P11 and P12 based on the deterioration sensing result of each subpixel. When reproducing the pixel data,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rives the first deteriorated pixel P11 in an RGB manner, thereby reduc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s and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On the other hand, when reproducing pixel data,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drives the second deteriorated pixel P12 in a WRGB manner,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s than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eterioration deviation between pixels by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in pixels with relatively little degradation.

제3 열화 픽셀(P13)은 R 서브 픽셀의 구동량이 높아 R 서브 픽셀이 열화된 픽셀이다. 제4 열화 픽셀(P14)은 상대적으로 R 서브 픽셀의 구동량이 적은 픽셀이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제3 및 제4 열화 픽셀들(P13, P14)의 컬러별 열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적색 데이터를 재현할 때 컬러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 열화 픽셀(P13)에서 R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유지한다. 반면에,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제4 열화 픽셀(P14)에서 R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높여 제3 및 제4 열화 픽셀들(P13, P14) 간에 R, G, B 서브 픽셀들 간 열화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픽셀 데이터를 재현할 때 제4 열화 픽셀(P14)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줄이고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픽셀들에서 구동량을 증가하여 픽셀들 간에 열화 편차를 줄일 수 있다.The third deterioration pixel P13 is a pixel in which the R subpixel is deteriorated due to a high driving amount of the R subpixel. The fourth deterioration pixel P14 is a pixel having a relatively small driving amount of the R subpixel.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y determine the level of deterioration for each color of the third and fourth degraded pixels P13 and P14 based on the deterioration sensing result of each of the sub-pixels.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intains the driving amount of the R sub-pixel in the third degradation pixel P13 in order to prevent color distortion when reproducing red data. On the other hand,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R sub-pixel in the fourth deterioration pixel P14, thereby deteriorating between the R, G, and B sub-pixels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deterioration pixels P13 and P14. In order to reduce the deviation, when reproducing the pixel data, the fourth deteriorated pixel P14 is driven by the RGB method to reduce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and increase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eterioration deviation between pixels by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in pixels with relatively little degrada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이 구동 방법은 센싱부(111)와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에 의해 실시된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riving method is implemented by the sensing unit 111 and the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132.

도 15를 참조하면, 센싱부(111)는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발광 소자(OLED)의 열화를 실시간 센싱한다(S01)Referring to FIG. 15, the sensing unit 111 senses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n each of the sub pixels in real time (S01).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W 서브 픽셀이 열화된 제1 픽셀의 경우, 이 제1 픽셀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감소시키고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증가시킨다(S20 및 S21).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W 서브 픽셀이 열화되지 않은 제2 픽셀의 경우, 이 제2 픽셀을 W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W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유지하거나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감소시킨다(S20 및 S21). 제2 픽셀은 제1 픽셀에 비하여 W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이 낮은 픽셀이다. In the case of the first pixel in which the W sub-pixel is deteriorated,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rives the first pixel in an RGB manner to reduce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and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S20 and S21). In the case of the second pixel in which the W sub-pixel is not deteriorated,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maintains the driving amount of the W sub-pixel by driving the second pixel in the WRGB method or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Decrease (S20 and S21). The second pixel is a pixel having a lower level of deterioration of the W sub-pixel than the first pixel.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R, G, 및 B 서브 픽셀들 중 하나 이상에서 열화가 많이 진행된 제3 픽셀의 경우, 컬러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제3 픽셀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유지한다(S30 및 S31). R, G, B 서브 픽셀들이 열화되면, 이 서브 픽셀들의 열화 개선을 위해서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줄여야 하지만 영상 재현시 컬러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R, G, B 서브 픽셀들이 열화된 경우에 RGB 구동양을 유지하고, R, G, B 서브 픽셀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열화된 픽셀들의 열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third pixel in which deterioration is greatly performed in one or more of the R, G, and B sub-pixels,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rives the third pixel in an RGB manner to prevent color distortion, thereby causing R, G, The driving amount of the B sub-pixels is maintained (S30 and S31). When the R, G, and B subpixels are deteriorated,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must be reduced to improve the deterioration of these subpixels, but the color may be distorted when reproducing the image, so the R, G, and B subpixels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amount of RGB driving in the case of deterioration, and to increase the deterioration level of pixels in which R, G, and B sub-pixels are relatively less deteriorated.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132)는 R, G 및 B 서브 픽셀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열화된 제4 픽셀의 경우, 이 제4 픽셀을 RGB 방식으로 구동하여 R, G, B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여 R, G, B 서브 픽셀들이 많이 열화된 제3 픽셀과의 열화 편차를 줄인다(S30 및 S32). 제4 픽셀은 제3 픽셀에 비하여 R, G, B 서브 픽셀들의 열화 수준이 낮은 픽셀이다. In the case of the fourth pixel in which the R, G, and B sub-pixels are relatively less deteriorated,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132 drives the fourth pixel in an RGB manner to increase the driving amount of the R, G, and B sub-pixels to increase the R, The deterioration deviation from the third pixel in which the G and B sub-pixels are greatly deteriorated is reduced (S30 and S32). The fourth pixel is a pixel having a lower level of deterioration of R, G, and B sub-pixels than the third pixel.

도 16은 컬러별 누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WRGB 방식과 RGB 방식에서 구동 비율을 조정하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driving ratio in the WRGB method and the RGB method to reduce cumulative stress for each color.

도 16을 참조하면,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32)는 RGB 서브 픽셀들의 휘도 비율을 10% 또는 5%로 조정하여 W 서브 픽셀이 90 nit로 발광할 때 보다 W 서브 픽셀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RGB 방식의 휘도 비율이 10%일 때 W 서브 픽셀의 휘도가 81 nit로 감소되고, RGB 방식의 휘도 비율이 5%일 때 W 서브 픽셀의 휘도가 85.5 nit로 감소된다.Referring to FIG. 16, the stress dispersion processing unit 32 may reduce the stress of the W sub-pixel than when the W sub-pixel emits 90 nit by adjusting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sub-pixels to 10% or 5%. When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method is 10%, the luminance of the W sub-pixel is reduced to 81 nit, and when the luminance ratio of the RGB method is 5%, the luminance of the W sub-pixel is reduced to 85.5 nit.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표시패널 110 : 데이터 구동부
111 : 센싱부 120 : 게이트 구동부
130 : 타이밍 콘트롤러 132 : 스트레스 분산 처리부
100: display panel 110: data driver
111: sensing unit 120: gate driver
130: timing controller 132: stress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Claims (12)

데이터 라인들, 센싱 라인들, 및 컬러가 다른 다수의 서브 픽셀들을 각각 포함한 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바탕으로 상기 픽셀들 각각에서 상기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조정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 which pixels including data lines, sensing lines,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having different colors are disposed;
A data driver that convert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nto a data voltage and supplies the data lines to the data lines;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And
And a timing controller that adjusts a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s in each of the pixels based on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of the sub-pix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은,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sub-pixel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white sub-pixel, a red sub-pixel, a green sub-pixel, and a blue sub-pix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이 열화된 제1 픽셀에서 상기 백색 픽셀의 구동량을 낮추고,
상기 제1 픽셀에 비하여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이 낮은 제2 픽셀에서 상기 백색 픽셀의 구동량을 유지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iming controller,
Lower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pixel in the first pixel in which the white sub-pixel is deteriorate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that maintains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pixel in the second pixel having a lower level of deterioration of the white sub-pixel than the first pix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제1 픽셀에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이고,
상기 제2 픽셀에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낮추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iming controller,
The driving amount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is increased in the first pixel,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or reduc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in the second pix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이 열화된 제3 픽셀에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유지하고,
상기 제3 픽셀에 비하여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열화 수준이 낮은 상기 제4 픽셀에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이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timing controller,
Maintain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s in the third pixel in which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s are deteriorated,
The driving amount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s in the fourth pixel having a lower level of deterioration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s compared to the third pixel Height i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제4 픽셀에서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낮추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timing controller,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lowers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sub-pixel in the fourth pix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 중 어느 하나의 컬러 서브 픽셀이 열화된 제1 픽셀에서 백색 데이터를 재현할 때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높이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iming controller,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subpixel when white data is reproduced from the first pixel in which the color subpixel of any one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is deteriora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제1 픽셀에 비하여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열화 수준이 낮은 제2 픽셀에서 백색 데이터를 재현할 때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상기 백색 서브 픽셀 보다 높이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timing controller,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 when reproducing white data in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second pixel having a low deterioration level of the blue sub-pixels compared to the first pixel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pixels higher than the white sub-pix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이 열화된 제1 픽셀을 구동할 때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낮추고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높이고,
상기 제1 픽셀에 비하여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이 낮은 제2 픽셀을 구동할 때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높이고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낮추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iming controller,
When driving the first pixel in which the white sub-pixel is deteriorated,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sub-pixel is lowered and the driving amount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s is increased,
When driving the second pixel having a lower level of deterioration of the white sub-pixel than the first pixel,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sub-pixel is increased and the driving amount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s is increased. Lowered electroluminescent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 중 어느 하나의 컬러 서브 픽셀이 열화된 제3 픽셀에 상기 컬러 서브 픽셀의 컬러와 같은 컬러의 데이터를 재현할 때 상기 컬러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유지하고,
상기 제3 서브 픽셀에 비하여 상기 컬러 서브 픽셀의 열화 수준이 낮은 제4 픽셀에 백색 데이터를 재현할 때 상기 백색 서브 픽셀의 구동량을 줄이고 상기 적색 서브 픽셀, 상기 녹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증가시키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iming controller,
When data of the same color as the color of the color subpixel is reproduced in the third pixel in which the color subpixel of any one of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is deteriorated, Maintain the driving amount,
When the white data is reproduced in the fourth pixel having a lower level of deterioration of the color sub-pixel than the third sub-pixel, the driving amount of the white sub-pixel is reduced and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are reduce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increases the driving amount of th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발광 소자의 열화를 센싱한 결과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ing unit,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converts the result of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s the result of sen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timing controller while controlling the transist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each of the sub-pixels.
데이터 라인들, 센싱 라인들, 및 컬러가 다른 다수의 서브 픽셀들을 각각 포함한 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의 열화 수준을 바탕으로 상기 픽셀들 각각에서 상기 서브 픽셀들의 구동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A display panel in which pixels including data lines, sensing lines,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having different colors are disposed, a data driver that convert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nto a data voltage and supplies the data lines to the data lines, and the sub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degradation of each of the pixels,
Sensing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ub-pixels using the sensing unit; And
And adjust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sub-pixels in each of the pixels based on the deterioration level of each of the sub-pixels sensed by the sensing unit.
KR1020180166062A 2018-12-20 2018-12-20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KR102599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62A KR102599509B1 (en) 2018-12-20 2018-12-20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62A KR102599509B1 (en) 2018-12-20 2018-12-20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993A true KR20200076993A (en) 2020-06-30
KR102599509B1 KR102599509B1 (en) 2023-11-08

Family

ID=7112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062A KR102599509B1 (en) 2018-12-20 2018-12-20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142A (en) * 2020-11-04 2022-05-10 乐金显示有限公司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912A (en) * 2012-09-27 201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oppe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49788A (en) * 2015-10-28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having white sub-pix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109356A (en) * 2016-03-21 2017-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912A (en) * 2012-09-27 201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oppe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49788A (en) * 2015-10-28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having white sub-pix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109356A (en) * 2016-03-21 2017-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142A (en) * 2020-11-04 2022-05-10 乐金显示有限公司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509B1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63958B (en) Display panel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ing the same
US1099131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thereof
US10741114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 of managing defective pixels thereon
KR102273497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0324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driving characteristics thereof
US11195474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compensation power generator for adjusting input voltag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53259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07874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device characteristic
KR102348765B1 (en) Degradation Sensing Method For Emitting Devic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11114034B2 (en) Display device
US20210202673A1 (en) Pixel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01355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07508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03538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79777B1 (en) Electroluminescent System And How To Set Reference Voltage Of The Same
KR10260473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599509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of driving the same
KR102577468B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using the same
KR20180007822A (en) Degradation Sens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239270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96403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75072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82602A (en) Pixel circuit,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nsing chracteristic of light emission control transistor using the same
US20230197003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KR102478991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