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362A -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362A
KR20200076362A KR1020180165391A KR20180165391A KR20200076362A KR 20200076362 A KR20200076362 A KR 20200076362A KR 1020180165391 A KR1020180165391 A KR 1020180165391A KR 20180165391 A KR20180165391 A KR 20180165391A KR 20200076362 A KR20200076362 A KR 20200076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sing member
bracket
connection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307B1 (ko
Inventor
이두현
박기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8016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07B1/ko
Priority to AU2019284161A priority patent/AU2019284161B2/en
Priority to US16/627,628 priority patent/US11473891B2/en
Priority to PCT/KR2019/017625 priority patent/WO2020130491A1/ko
Publication of KR2020007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12Primers; Detonators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3Connectors for detonating cords and ignition tubes, e.g. None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in parallel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뇌관의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결선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위치되는 하부 케이싱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는 내부로 각선을 삽입시킬 수 있는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내부에는 입구와 연결되어 내부로 삽입된 각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각선 끼움부가 위치되어 각선으로 사용되는 이중 피복 전선 또는 단일 피복 전선을 입구 측에서 끼워 고정하여 내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각선과 모선의 접속 안정성 및 접속 신뢰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CONNECTOR HAVING ELECTRIC WIRE INSERT STRUCTURES}
본 발명은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선으로 사용되는 이중 피복 전선 또는 단일 피복 전선을 입구 측에서 끼워 고정하여 내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공사를 위한 암반의 폭파, 폐건물 폭파 등의 공사에는 폭발물이 이용된다. 즉, 발파 대상물을 구간별로 구분하여 폭발물이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천공한다. 천공된 구멍들 각각에 폭발물을 삽입한 후 발파 시스템과 연결한다. 발파 시스템의 조작을 통해 폭발물을 폭파하여 발파 대상물을 폭파한다.
발파 시스템은 폭발물을 기폭시키는 기폭제인 뇌관과, 뇌관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및 지령을 뇌관으로 전송하는 발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발파 시스템의 뇌관으로는 주로 전기 뇌관 또는 전자 뇌관이 사용된다. 전기 뇌관 또는 전자 뇌관은 폭발물 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발파기에 복수의 뇌관이 연결된다.
전기 뇌관 또는 전자 뇌관은 발파기에서 지령이 전달되면 해당 발파기에 연결된 복수의 뇌관이 동시에 작동하여 폭발물을 동시에 기폭시키는 구조와, 복수의 전자 뇌관이 서로 다른 지연시간으로 설정되어 복수의 뇌관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폭발물들은 순차적으로 기폭시키는 구조가 있다.
전기뇌관 또는 전자뇌관에 연결되는 각선이나 발파기에 연결되는 모선은 발파 작업을 위해 전선 단부의 피복을 박리되어 다른 전기 뇌관 또는 전자 뇌관의 모선, 각선, 보조 모선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각선 등의 연결 부위는 물 또는 습기가 많은 터널 등의 장소에서는 지전류 또는 누설전류에 대해 노출될 염려가 많아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특히 폭약에 전기뇌관 또는 전자뇌관을 설치하는 작업자와 전기뇌관 또는 전자뇌관의 관체가 직접 접촉된 경우 더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전기뇌관 또는 전자뇌관의 각선과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뇌관용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뇌관용 커넥터는 지전류 또는 누설전류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작업자가 직접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여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해준다.
본 특허출원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147호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2006년 02월 24일 등록)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는 각선이 관통하여 걸쳐지도록 개구가 마련된 측면을 갖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과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하방 회동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가 하방회동시 이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측에 각선 양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각선 접속용 장공이 다수개 형성된 등전위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는 각선이 가압부재 하방 회동력에 의해 상기 접속용 장공에 삽입되면서 각선의 심재 일부가 절결되어 상기 접속용 장공에 도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선의 등전위를 달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는 로거(logger)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뇌관에 초시 장입하고, 뇌관과 각선의 연결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태깅 작업을 수행 시 상부 커버를 열어 결선 브라켓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로거 장비의 외부 단자와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는 일자형 등전위접속부재로 단일 접점 방식으로 각선과 모선의 접속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147호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2006년 02월 2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각선으로 사용되는 이중 피복 전선 또는 단일 피복 전선을 입구 측에서 끼워 고정하여 내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태깅 작업을 가능하게 한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접점 구조를 확보하여 각선과 모선의 안정적인 결선을 통해 결선과 모선의 접속 안정성 및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뇌관의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결선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위치되는 하부 케이싱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는 내부로 각선을 삽입시킬 수 있는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내부에는 입구와 연결되어 내부로 삽입된 각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각선 끼움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제1모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모선 끼움홈, 제2모선이 통과되는 제2모선 통과구멍, 상기 제1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각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각선 끼움홈이 있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 및 상기 제1모선이 통과되는 제1모선 통과구멍, 제2모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모선 끼움홈, 상기 제2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각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각선 끼옴홈이 있는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선 끼움부는 상기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와 상기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의 사이로 각선을 일직선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중앙에 일직선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선 끼움부는 이중 피복된 전선 또는 단일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선 끼움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 쪽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와 연결되고 이중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전선 끼움부 및 상기 제1전선 끼움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며 단일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전선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중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전선,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감싸는 외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선 끼움부는 상부 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이중 피복된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되, 상기 이중 피복된 전선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 측이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2전선 끼움부는 상부 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단일 피복된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되, 상기 단일 피복된 전선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 측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선 끼움부 내에 위치되는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전선 가압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선 끼움부 내에 위치되는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전선 가압부가 위치되며, 상기 전선 가압부는 상기 제1전선 끼움부에 위치되는 이중 피복된 전선을 가압하는 제1전선 가압부, 상기 제2전선 끼움부에 위치되는 단일 피복된 전선을 가압하는 제2전선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가 상부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선 가압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에 삽입되어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3전선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는 양 측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 측벽이 위치되고, 양측의 하부 측벽에는 모선이 통과되고 상부로 개방된 하부 통과공이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는 양 측면에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측벽과 겹쳐지는 상부 측벽이 위치되고, 양측의 상부 측벽에는 모선이 통과되고 하부로 개방된 상부 통과공이 위치되고, 상기 모선은 상기 하부 통과공과 상기 상부 통과공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측벽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질 때 상기 하부 측벽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일부분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통과공의 중앙에는 모선이 통과되는 공간을 구분하는 모선 구획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 끼움부가 위치되고,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 끼움홈 내로 삽입시켜 각선 또는 모선을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결선시키는 결선용 가압부가 위치되며,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졌을 때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트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지면 상기 브라켓 삽입부에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전선 끼움홈의 입구에 올려진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으로 끼워지게 하여 각선 또는 모선의 피복이 전선 끼움홈 내에서 벗겨져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위치되는 한쌍의 브라켓트가 연결 브라켓트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태깅용 노출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깅용 노출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진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브라켓 끼움부와 연결되는 홈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홈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된 상기 태깅용 노출부의 바닥에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깅용 노출부로 노출된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에 접속되어 태깅 작업을 수행하는 태깅용 로거 장비는 사이에 돌출된 태깅용 단자가 위치되는 한쌍의 태깅용 안내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는 상기 태깅용 단자가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에 접속될 때 내측면이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의 내측면에는 볼플런저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측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볼플런저가 삽입되는 볼삽입홈이 위치되며,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태깅용 단자는 상기 태깅용 노출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에 태깅용 안내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접속용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접속용 삽입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의 사이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가 위치되어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측면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는 뇌관의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결선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위치되는 하부 케이싱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후면과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후면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회전될 수 있게 연결하는 케이싱 연결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전면 측에는 닫혀진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싱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 끼움부가 위치되고,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 끼움홈 내로 삽입시켜 각선 또는 모선을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결선시키는 결선용 가압부가 위치되며,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졌을 때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트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지면 상기 브라켓 삽입부에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전선 끼움홈의 입구에 올려진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으로 끼워지게 하여 각선 또는 모선의 피복이 전선 끼움홈 내에서 벗겨져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접속시키며,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는 내부로 각선을 삽입시킬 수 있는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내부에는 입구와 연결되어 내부로 삽입된 각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각선 끼움부가 위치되고, 상기 각선 끼움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 쪽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와 연결되고 이중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전선 끼움부 및 상기 제1전선 끼움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며 단일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전선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전선,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감싸는 외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선으로 사용되는 이중 피복 전선 또는 단일 피복 전선을 입구 측에서 끼워 고정하여 내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각선과 모선의 접속 안정성 및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중 접점 구조를 확보하여 각선과 모선의 안정적인 결선을 통해 결선과 모선의 접속 안정성 및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결선 작업 시 오작동에 의한 대형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성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크리티컬한 이슈인 발파 지연 방지 및 트러블 슈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케이싱부재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에 각선과 모선을 결선하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태깅용 노출부가 위치되어 열지 않은 상태에서 뇌관에 초시 장입하는 태깅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태깅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싱부재와 하부 케이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싱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b)에서 A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2의 (b)에서 B-B'단면도.
도 9는 도 2의 (b)에서 C-C'단면도.
도 10은 각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싱부재(200)와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각각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은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열어 개방한 상태에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2의 (b)는 하부 케이싱부재(200)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진 상태에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진 상태에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평면도이며, 각선(10)과 모선(20)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에서 배선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뇌관의 각선(10) 또는 모선(20)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이 형성되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를 포함한다.
전선 끼움홈(110)의 입구에는 각각 전선 끼움홈(110)으로 끼워지게 안내하는 V자 형상의 가이드부가 위치되어 추후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질 때 모선(20)이 가압되어 전선 끼움홈(110)으로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에 끼워지는 뇌관의 각선(10) 또는 발파기의 모선(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제조된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조되며 각선(10)과 모선(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재질로도 제조 가능함을 밝혀둔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 중 어느 한 측에 각선(10)이 끼워지고,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 중 다른 한 측에 모선(20)이 끼워져 각선(10)과 모선(20)을 결선시킨다.
각선(10) 또는 모선(20)은 와이어를 피복으로 감싼 형태의 공지된 전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어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각선(10)은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 중 어느 한 측을 통과하여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에 접속되고, 모선(20)은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 중 어느 한 측을 통과하여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에 접속된다.
각선(10)과 모선(20)은 각각 서로 다른 전선 끼움홈(110)에 끼워져 결선용 브라켓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서로 결선된다.
각선(10)과 모선(20)은 전선 끼움홈(110)에 끼워진 부분에서 피복이 벗겨져 내부의 와이어가 노출되고, 노출된 와이어가 결선용 브라켓트(110)에 접속되면서 전도성 재질의 결선용 브라켓트(110)를 통해 서로 결선된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하부 케이싱의 상부면에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가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트 끼움부(210)가 위치된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선(10)과 모선(20)이 각각 이중 접점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각선(10) 또는 모선(20)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이 위치되는 한쌍의 브라켓트가 연결 브라켓트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각선(10) 또는 모선(20)은 각각 한쌍의 브라켓트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110)에 각각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이중 접점 구조를 가져 안정적으로 결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제1모선(21)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모선 끼움홈(111), 제2모선(22)이 통과되는 제2모선 통과구멍(116), 제1모선(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각선(11)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각선 끼움홈(112)이 있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1모선(21)이 통과되는 제1모선 통과구멍(115), 제2모선(22)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모선 끼움홈(113), 제2각선(12)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각선 끼옴홈이 있는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를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는 제1모선(21)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모선 끼움홈(111), 제2모선(22)이 통과되는 제2모선 통과구멍(116), 제1모선(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각선(11)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각선 끼움홈(112)이 있는 한쌍의 제1브라켓트부, 한쌍의 제1브라켓트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을 가져 제1모선(21)이 2개의 제1모선 끼움홈(111)에 끼워지고, 제1각선(11)이 2개의 제1각선 끼움홈(112)에 끼워져 각각 이중 점점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는 제1모선(21)이 통과되는 제1모선 통과구멍(115), 제2모선(22)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모선 끼움홈(113), 제2각선(12)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각선 끼옴홈이 있는 한쌍의 제2브라켓트부, 한쌍의 제2브라켓트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을 가져 제2모선(22)이 2개의 제2모선 끼움홈(113)에 끼워지고, 제2각선(12)이 2개의 제2각선 끼움홈(114)에 끼워져 각각 이중 점점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모선(20)은 (+)용 제1모선(21)과 (-)용 제2모선(22)을 포함하고, 각선(10)은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를 통해 (+)용 제1모선(21)과 전기적으로 연결 즉, 결선되는 (+)용 제1각선(11)과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를 통해 (-)용 제2모선(22)과 전기적으로 연결 즉, 결선되는 (-)용 제2각선(12)을 포함한다.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는 하부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제1모선 끼움홈(111)과 제1모선 통과구멍(115)이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2모선 끼움홈(113)과 제2모선 통과구멍(116)이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제1모선(21)은 제1모선 끼움홈(111)에 끼워져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접속되고 제2모선 통과구멍(116)을 통과하여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와 접속되지 않고 절연된 상태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일 측에서 타측을 통과하게 된다.
또한, 제2모선(22)은 제2모선 끼움홈(113)에 끼워져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와 접속되고 제2모선 통과구멍(116)을 통과하여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접속되지 않고 절연된 상태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일 측에서 타측을 통과하게 된다.
하부 케이싱부재(200)는 양 측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 측벽(200a)이 위치되고, 양측의 하부 측벽(200a)에는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통과되는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2하부 통과공(200c)이 각각 위치된다.
하부 케이싱부재(200)는 전면 측에 내부로 각선(1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위치되고,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에는 입구와 연결되고 내부로 삽입된 각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각선 끼움부(250)가 위치된다.
각선 끼움부(250)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의 사이로 각선(20)을 일직선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중앙에 일직선으로 위치된다.
각선 끼움부(250)는 전면 측으로 개방된 통로로 각선(10)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각선 끼움홈(112, 114)에 끼워져 결합되어 모선(20)과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를 통해 결선되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제1각선(11)은 각선 끼움부(250)를 통해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의 제1각선 끼움홈(112)에 끼워져 제1모선(21)과 결선되고, 제2각선(12)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의 제2각선 끼움홈(114)에 끼워져 제2모선(22)과 결선된다.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2하부 통과공(200c)은 각각 각선 끼움부(250)와 서로 수직 방향에 위치된다.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2하부 통과공(200c)은 각각 상부로 개방된 형태를 가져 개방된 상부 측을 통해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각각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상부 케이싱부재(300)에 의해 가압되어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가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트 끼움부(210)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브라켓트 끼움부(211)와 제2브라켓트 끼움부(212)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트 끼움부(211)와 제2브라켓트 끼움부(212)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에 각각 대응되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는 제1브라켓트 끼움부(211)와 제2브라켓트 끼움부(2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면 상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하부 측벽(200a)은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면 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하부 측벽(200a) 사이에 위치되고, 제1모선 끼움홈(111)과 제1모선 통과구멍(115), 하부 측벽(200a)의 제1하부 통과공(200b)은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2모선 끼움홈(113)과 제2모선 통과구멍(116), 하부 측벽(200a)의 제2하부 통과공(200c)은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제1모선(21)은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1모선 끼움홈(111)과 제1모선 통과구멍(115), 하부 측벽(200a)의 제1하부 통과공(200b)을 각각 통과하여 배선되고, 제2모선(22)은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2모선 끼움홈(113)과 제2모선 통과구멍(116), 하부 측벽(200a)을 각각 통과하여 배선된다.
그리고, 제1각선(11)은 각선 끼움부(250)를 통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로 삽입된 후 꺽여져 제1결선용 브라켓트 브라켓트부의 제1각선 끼움홈(112)에 끼워져 배선되고, 제2각선(12)은 각선 끼움부(250)를 통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제1각선(11)과 반대 방향으로 꺽여져 제2결선용 브라켓트 브라켓트부의 제2각선 끼움홈(114)에 끼워져 배선된다.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는 상부 케이싱부재(300)에 의해 개폐되고,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내부에서 결선되는 모선(20)과 각선(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후면 측에 연결되고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를 개폐한다.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후면과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후면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와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연결하되,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회전될 수 있게 연결하는 케이싱 연결힌지부(400)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 케이싱부재(200)와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전면 측에는 닫혀진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싱 록킹부(500)가 구비된다. 케이싱 록킹부(50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를 커버한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록킹하고, 록 상태를 해제하여 하부 케이싱부재(20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케이싱 록킹부(500)에 의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를 덮어 커버한 상태로 유지되며, 케이싱 록킹부(500)의 록상태가 해제되면 케이싱 연결힌지부(4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들어올려져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케이싱 록킹부(50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록킹부재(510), 상부 케이싱부재(300)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 중 다른 한 측에 위치되고 록킹부재(5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결합부(520)가 위치된다.
록킹부재(51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양 측에 위치되며 굴곡된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11), 탄성 지지부(511)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걸림부(512), 탄성 지지부(511)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상부 측벽(300a)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누름부(513)를 포함한다.
록킹 결합부(520)는 탄성 지지부(51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 제1걸림부(512)가 탄성적으로 걸려 위치되는 제2걸림부(521)가 돌출된다.
록킹부재(51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전방 양측에 한 쌍으로 위치되고, 록킹 결합부(520)는 록킹부재(510)와 대응되게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에서 전방 양 측에 한 쌍으로 위치된다.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히면 탄성 지지부(511)는 록킹 결합부(520) 내로 삽입되면서 제1걸림부(512)가 제2걸림부(521)에 걸린 상태로 위치되어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상부 측벽(300a)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누름부(513)를 누르면 제1걸림부(512)가 제2걸림부(521)에서 걸려진 것이 해제되면서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케이싱 연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하부면에는 각선(10) 또는 모선(20)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110) 내로 삽입시켜 각선(10) 또는 모선(20)을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와 결선시키는 결선용 가압부(310)가 위치될 수 있다.
결선용 가압부(310)는 각선(10) 또는 모선(20)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110) 내로 끼워지게 하면서 각선(10) 또는 모선(20)의 피복이 전선 끼움홈(110) 내에서 벗겨져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 즉,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전선 끼움홈(110)은 각선(10) 또는 모선(20)에서 피복을 제외한 와이어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각선(10) 또는 모선(20)이 끼워질 때 피복이 제거되면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각선(10) 또는 모선(20)은 전선 끼움홈(110)의 입구 즉, V자 형상의 가이드부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결선용 가압부(310)에 의해 가압되어 전선 끼움홈(110) 내로 끼워지면서 전선 끼움홈(110)에 끼워지는 부분에서만 피복이 벗겨지면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 즉, 접속된다.
결선용 가압부(31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졌을 때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트 삽입부(311)가 위치된다.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지면 브라켓 삽입부에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가 삽입되면서 결선용 가압부(310)는 V자 형상의 가이드부 상에 올려진 각선(10) 또는 모선(20)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110)으로 끼워지게 한다.
그리고, 결선용 가압부(31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진 상태에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에서 각선(10) 또는 모선(20)을 가압하여 각선(10) 또는 모선(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결선용 가압부(310)의 상부에는 제1모선 끼움홈(111)과 제1모선 통과구멍(115), 하부 측벽(200a)의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1모선 가압홈부(311c), 제2모선 끼움홈(113)과 제2모선 통과구멍(116), 하부 측벽(200a)의 제2하부 통과공(200c)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2모선 가압홈부(311d)가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트 삽입부(311)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의 한쌍의 제1브라켓트가 삽입되는 한쌍의 제1브라켓 삽입부(311a),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의 한쌍의 제2브라켓트가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제2브라켓 삽입부(311b)가 위치된다.
제1모선 가압홈부(311c)와 제2모선 가압홈부(311d)는 결선용 가압부(310) 상에 한쌍의 제1브라켓 삽입부(311a)와 한쌍의 제2브라켓 삽입부(311b)를 제외한 하부면에 일직선으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양 측에 하부 측별부와 일부분 겹쳐지는 상부 측벽(300a)이 돌출되게 위치된다.
상부 측벽(300a)은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질 때 하부 측벽(200a)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일부분 겹쳐지게 위치되면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가 브라켓트 삽입부(311)에 정확하게 삽입되면서 결선용 가압부(310)에 의해 각선(10) 또는 모선(20)이 가압되면서 결선될 수 있도록 한다.
결선용 가압부(310)와 상부 측벽(300a) 사이에는 하부 측벽(200a)의 상부 측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측벽 삽입부(300b)가 위치되고, 하부 측벽(200a)의 외측에는 상부 측벽(300a)이 삽입되는 제2측벽 삽입부(240)가 위치된다.
하부 측벽(200a)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2측벽 삽입부(240)는 상부 측벽(300a)이 맞물려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측벽(300a)은 제2측벽 삽입부(240)에 되어 선단부 측과 후단부 측이 각각 지지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측벽(300a)에는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제1상부 통과공(320)이 위치되고, 제2하부 통과공(200c)과 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제2상부 통과공(330)이 위치된다.
제1상부 통과공(320)과 제2상부 통과공(330)의 중앙에는 각각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통과되는 공간을 구분하는 제1모선 구획부(321)와 제2모선 구획부(331)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제1모선 구획부(321)는 제1상부 통과공(320)을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통과될 수 있는 2개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제2모선 구획부(331)는 제2상부 통과공(330)을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통과될 수 있는 2개의 공간으로 구분한다.
즉,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은 제1상부 통과공(320) 또는 제2상부 통과공(3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통과될 수 있다.
제1상부 통과공(320)은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각각 구분되어 통과될 수 있고, 제2상부 통과공(330)은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이 각각 구분되어 통과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케이싱 연결힌지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혀질 때 상부 하부 측벽(200a)의 상부 측 일부분이 제1측벽 삽입부(300b)와 제2측벽 삽입부(240)에 삽입되고 상부 측벽(300a)이 제2측벽 삽입부(240)에서 맞물려 결합되면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가 브라켓트 삽입부(311)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은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1상부 통과공(320)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됨으로서 꺾임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되거나 제2하부 통과공(200c)과 제2상부 통과공(330)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됨으로서 꺾임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모선(21)과 제2모선(22)은 상부 케이싱부재(300)와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상부 측벽(300a)과 하부 측벽(200a) 사이에서 물려 고정됨으로써 내부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이로써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는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1상부 통과공(320)에 대응되는 위치 및 제2하부 통과공(200c)과 제2상부 통과공(3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모선 끼움홈(111), 제2모선 통과구멍(116)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는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1상부 통과공(320)에 대응되는 위치 및 제2하부 통과공(200c)과 제2상부 통과공(3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모선 통과구멍(115)과 제2모선 끼움홈(113)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제1모선(21)과 제2모선(22)는 제1하부 통과공(200b)과 제1상부 통과공(320)을 통과하도록 배선되거나 제2하부 통과공(200c)과 제2상부 통과공(330)을 통과하도록 배선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질 때 결선용 브라켓트가 브라켓트 삽입부(311)에 정확하게 삽입되면서 결선용 가압부(310)가 전선 끼움홈(110)의 입구에 위치되는 각선(10) 또는 모선(20)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110)으로 끼워 결합시켜 각선(10)과 모선(20)을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로 안정적으로 결선시키게 된다.
한편, 케이싱 연결힌지부(400)는 다수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고 양 단부가 각각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후면과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후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재(410)를 포함한다.
케이싱 연결부재(410)의 접힘부분은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회전 중심이 되고,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케이싱 연결부재(410)의 접힘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를 개폐한다.
케이싱 연결부재(410)는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케이싱 연결힌지부(400)는 이격된 케이싱 연결부재(4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뒤로 젖혀진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케이싱 지지부재(420)를 더 포함한다.
젖혀진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상면부가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나란하지 않고 기울어져 들어올려진 형태로 지지된다.
케이싱 지지부재(420)는 젖혀진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기설정된 힘 이상의 힘으로 밀리는 경우에만 하부 케이싱부재(200) 측을 향해 회전될 수 있게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지지한다.
케이싱 지지부재(420)는 양 단부 측이 각각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후면과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후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회전될 때 기설정된 각도범위에서 안쪽으로 굴곡되고 기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면 다시 펼쳐지는 구조를 가진다.
케이싱 지지부재(420)는 양 단부 측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안쪽으로 굴곡되는 굴곡라인부가 구비되고, 굴곡라인부는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회전될 때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기설정된 각도범위에서 내에서 안쪽으로 굴곡되고,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기설정 각도범위 내에서 벗어나면 다시 펴지는 구조를 가진다.
상부 케이싱부재(30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록상태가 해제된 후 회전되어 젖혀져 하부 케이싱부재(200)를 완전히 개방하여 각선(10)과 모선(20)을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전선 끼움홈(110)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케이싱 연결힌지부(40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외측면 중 일부분에 곡면의 제1열림 가이드면(431)이 구비된 케이싱 열림 안내부재(430); 및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후면으로 휘어져 돌출되며 제1열림 가이드면(431)과 접촉되는 곡면의 제2열림 가이드면(441)이 외측면에 구비된 회전 안내부재(440)를 포함하여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상면과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하면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이 되도록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들어올리게 된다.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측면에는 케이싱 열림 안내부재(430)와 이격되어 회전 안내부재(440)가 통과될 수 있는 열림 안내통로가 형성되고, 회전 안내부재(440)는 열림 안내통로를 통과하여 제2열림 가이드면(441)이 제1열림 가이드면(431)과 접촉되어 이동된다.
제1열림 가이드면(431)과 제2열림 가이드면(441)의 곡률은 서로 상이하여 어느 한 측이 다른 한 측을 밀어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케이싱 열림 안내부재(430)와 회전 안내부재(44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고,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다시 닫혀질 수 있는 탄성을 가지며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제1열림 가이드면(431)과 제2열림 가이드면(441)으로 접촉되므로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어느 한 측이 다른 한 측을 가압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케이싱 록킹부(5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기설정된 각도로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 케이싱부재(200) 또는 상부 케이싱부재(300)에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태깅용 노출부(220)가 위치된다.
태깅용 노출부(220)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일부분을 노출시켜 각선(10)과 모선(20)을 결선시키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를 상부 케이싱부재(300)를 열지 않고 태깅용 로거 장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태깅용 노출부(220)는 제1모선(21)과 제1각선(11)을 결속시키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를 노출시키는 제1노출부(221), 제2모선(22)과 제2각선(12)을 결속시키는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를 노출시키는 제2노출부(222)를 포함한다.
태깅용 노출부(22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저면에 위치되어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일부분만 노출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태깅용 노출부(220)가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상면에 위치되는 경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로 결선되는 모선(20) 또는 각선(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따라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에 태깅용 노출부(22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에 위치되어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일부분만 노출시키고 각선(10) 또는 모선(20)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위치됨으로써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혀진 상태에서 각선(10) 또는 모선(2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하게 태깅용 노출부(22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진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를 노출시키도록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저면에서 브라켓 끼움부와 연결되는 홈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홈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된 태깅용 노출부(220)의 바닥에서 돌출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제1노출부(221)와 제2노출부(222)에 노출된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는 나란하게 위치되어 태깅용 로거 장비(30)의 태깅용 단자(31)에 각각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태깅용 노출부(220)의 바닥 상에 돌출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된다.
즉, 태깅용 노출부(220)의 바닥 상에 돌출된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높이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저면을 기준으로 한 태깅용 노출부(220)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태깅용 로거 장비(30)는 선단부 측에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와 연결되는 태깅용 단자(31)가 외부로 돌출되고, 태깅용 단자(31)를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각 각선(10)에 연결되는 각 뇌관에 초시 장입하고, 뇌관과 각선(10)의 연결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태깅 작업을 수행하는 공지의 로거 장비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태깅용 단자(31)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태깅 단자,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태깅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태깅용 로거 장비(30)는 사이에 태깅용 단자(31)가 위치되고 내측면이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양 측면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양 측면에 지지되는 한쌍의 태깅용 안내부재(32)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태깅용 안내부재(32)의 내측면에는 볼플런저(32a)가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측면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측면에는 볼플런저(32a)가 삽입되는 볼삽입홈(230)이 위치된다.
태깅용 안내부재(32)가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양 측면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볼플런저(32a)가 볼삽입홈(230)에 삽입될 때 태깅용 단자(31)는 태깅용 노출부(220) 내로 삽입되어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에 정확하게 접속하게 된다.
볼삽입홈(230)은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태깅용 안내부재(32) 내의 볼플런저(32a)가 삽입되면서 태깅 작업을 위한 태깅용 단자(31)가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에 정확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는 상부 케이싱부재(300)가 닫힌 상태에서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양 측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양 측에 태깅용 안내부재(32)가 삽입될 수 있는 접속용 삽입부(600)가 위치될 수 있다.
접속용 삽입부(600)는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양 측면과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태깅용 안내부재(32)의 사이로 상부 케이싱부재(300)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가 위치되면서 태깅용 단자(31)가 태깅용 노출부(220) 내로 삽입되어 태깅용 노출부(220) 내에 위치되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에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도 2의 (b)에서 A부분 확대이고, 도 8은 도 2의 (b)에서 B-B'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b)에서 C-C'단면도이다.
도 10은 각선(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10의 (a)는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단일 피복된 전선(5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도 7 내지 도 9, 도 10을 참고하면 각선 끼움부(250)는 통과되는 이중 피복된 전선(40) 또는 단일 피복된 전선(50)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더 상세하게 각선 끼움부(25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 쪽에 위치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와 연결되고 이중 피복된 전선(40)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전선 끼움부(251) 및 제1전선 끼움부(251)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며 단일 피복된 전선(50)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전선 끼움부(252)를 포함한다.
각선(10)은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중 피복된 전선(40)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전선, 제1전선과 제2전선을 감싸는 외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단일 피복된 전선(50)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각선 끼움부(25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중앙에 위치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 측에 위치되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101)와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102)로 제1각선(11)과 제2각선(12)이 각각 꺾여져 안정적으로 배선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전선 끼움부(251)는 상부 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일부분을 감싸되,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전선 끼움부(251)는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 측이 탄성을 가져 내부로 삽입된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전선 끼움부(252)는 상부 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단일 피복된 전선(50)의 일부분을 감싸되, 단일 피복된 전선(50)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전선 끼움부(252)는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 측이 탄성을 가져 내부로 삽입된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깅용 노출부(220)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는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제1전선 끼움부(251)와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제2전선 끼움부(252)를 구비하여 이중 피복된 전선(40) 또는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각선(10)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각 입구 측에서 끼워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각선(10)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결선 브라켓트에 안정된 상태로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중 피복된 전선(40) 또는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이용한 각선(10)은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 측에서 제1전선 끼움부(251) 또는 제2전선 끼움부(25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각선(10)의 단부 측을 결선 브라켓트의 전선 끼움홈(110)에 끼워 결합시키는 결선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결선된 후 각선(10)의 접속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이용하는 경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전선 끼움홈(110)에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가압으로 각선(10)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하부 케이싱부재(200) 내로 삽입된 부분 중 단부 측 일부분에 대한 외피복을 벗겨 단일 피복형태의 전선으로 형성해야 한다.
즉,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이용하는 경우 외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을 제1전선 끼움부(251)로 1차적으로 끼워져 고정하고,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로 접속시키기 위해 외피복이 벗겨져 단일 피복된 전선(50)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제2전선 끼움부(252)로 2차적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이용한 각선(10)의 위치를 하부 케이싱부재(200) 내에서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싱부재(300)의 하부면에는 각선 끼움부(250) 내에 위치되는 각선(10)의 상부를 가압하는 전선 가압부(340)가 위치된다.
전선 가압부(340)는 제1전선 끼움부(251)에 위치되는 이중 피복된 전선(40)을 가압하는 제1전선 가압부(341), 제2전선 끼움부(252)에 위치되는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가압하는 제2전선 가압부(342)를 포함한다.
제1전선 가압부(341)는 제1전선 끼움부(251)의 상부 측 개방부를 통과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제1전선 끼움부(251) 내에 위치되는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상부를 가압하여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위치를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전선 가압부(342)는 제2전선 끼움부(252)의 상부 측 개방부를 통과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제1전선 끼움부(251) 내에 위치되는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상부를 가압하여 이중 피복된 전선(40)의 위치를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전면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가 상부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전선 가압부(340)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에서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3전선 가압부(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전선 가압부(342)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에서 각선(10)을 가압하여 즉, 이중 피복된 전선(40) 또는 단일 피복된 전선(50)을 하부 케이싱부재(200)의 입구에서 전선 즉, 각선(10)의 유동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각선(10)으로 사용되는 이중 피복 전선 또는 단일 피복 전선을 입구 측에서 끼워 고정하여 내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각선과 모선의 접속 안정성 및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접점 구조를 확보하여 각선(10)과 모선(20)의 안정적인 결선을 통해 결선과 모선(20)의 접속 안정성 및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결선 작업 시 오작동에 의한 대형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성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크리티컬한 이슈인 발파 지연 방지 및 트러블 슈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케이싱부재(300) 또는 하부 케이싱부재(200)에 각선(10)과 모선(20)을 결선하는 결선용 브라켓트부재(10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태깅용 노출부(220)가 위치되어 열지 않은 상태에서 뇌관에 초시 장입하는 태깅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태깅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각선 11 : 제1각선
12 : 제2각선 20 : 모선
21 : 제1모선 22 : 제2모선
30 : 태깅용 로거 장비 31 : 태깅용 단자
32 : 태깅용 안내부재 32a : 볼플런저
40 : 이중 피복된 전선 50 : 단일 피복된 전선
100 : 결선용 브라켓트부재 101 :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
102 :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 110 : 전선 끼움홈
111 : 제1모선 끼움홈 112 : 제1각선 끼움홈
113 : 제2모선 끼움홈 114 : 제2각선 끼움홈
115 : 제1모선 통과구멍 116 : 제2모선 통과구멍
200 : 하부 케이싱부재 200a : 하부 측벽
200b : 제1하부 통과공 200c : 제2하부 통과공
210 : 브라켓트 끼움부 211 : 제1브라켓트 끼움부
212 : 제2브라켓트 끼움부 220 : 태깅용 노출부
221 : 제1노출부 222 : 제2노출부
230 : 볼삽입홈 240 : 제2측벽 삽입부
250 : 각선 끼움부 251 : 제1전선 끼움부
252 : 제2전선 끼움부 300 : 상부 케이싱부재
300a : 상부 측벽 300b : 제1측벽 삽입부
310 : 결선용 가압부 311 : 브라켓트 삽입부
311a : 제1브라켓 삽입부 311b : 제2브라켓 삽입부
311c : 제1모선 가압홈부 311d : 제2모선 가압홈부
320 : 제1상부 통과공 321 : 제1모선 구획부
330 : 제2상부 통과공 331 : 제2모선 구획부
340 : 전선 가압부 341 : 제1전선 가압부
342 : 제2전선 가압부 343 : 제3전선 가압부
400 : 케이싱 연결힌지부 410 : 케이싱 연결부재
420 : 케이싱 지지부재 430 : 케이싱 열림 안내부재
431 : 제1열림 가이드면 440 : 회전 안내부재
441 : 제2열림 가이드면 500 : 케이싱 록킹부
510 : 록킹부재 511 : 탄성 지지부
512 : 제1걸림부 513 : 누름부
520 : 록킹 결합부 521 : 제2걸림부
600 : 접속용 삽입부

Claims (20)

  1. 뇌관의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결선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위치되는 하부 케이싱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는 내부로 각선을 삽입시킬 수 있는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내부에는 입구와 연결되어 내부로 삽입된 각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각선 끼움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제1모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모선 끼움홈, 제2모선이 통과되는 제2모선 통과구멍, 상기 제1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각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1각선 끼움홈이 있는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 및
    상기 제1모선이 통과되는 제1모선 통과구멍, 제2모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모선 끼움홈, 상기 제2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각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제2각선 끼옴홈이 있는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선 끼움부는 상기 제1결선용 브라켓트부와 상기 제2결선용 브라켓트부의 사이로 각선을 일직선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중앙에 일직선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선 끼움부는 이중 피복된 전선 또는 단일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선 끼움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 쪽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와 연결되고 이중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전선 끼움부; 및
    상기 제1전선 끼움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며 단일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전선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중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전선,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감싸는 외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 끼움부는 상부 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이중 피복된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되, 상기 이중 피복된 전선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 측이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2전선 끼움부는 상부 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단일 피복된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되, 상기 단일 피복된 전선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 측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선 끼움부 내에 위치되는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전선 가압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선 끼움부 내에 위치되는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전선 가압부가 위치되며,
    상기 전선 가압부는 상기 제1전선 끼움부에 위치되는 이중 피복된 전선을 가압하는 제1전선 가압부;
    상기 제2전선 끼움부에 위치되는 단일 피복된 전선을 가압하는 제2전선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가 상부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선 가압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에 삽입되어 각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3전선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는 양 측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 측벽이 위치되고, 양측의 하부 측벽에는 모선이 통과되고 상부로 개방된 하부 통과공이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는 양 측면에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측벽과 겹쳐지는 상부 측벽이 위치되고, 양측의 상부 측벽에는 모선이 통과되고 하부로 개방된 상부 통과공이 위치되고,
    상기 모선은 상기 하부 통과공과 상기 상부 통과공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벽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질 때 상기 하부 측벽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일부분 겹쳐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통과공의 중앙에는 모선이 통과되는 공간을 구분하는 모선 구획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 끼움부가 위치되고,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 끼움홈 내로 삽입시켜 각선 또는 모선을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결선시키는 결선용 가압부가 위치되며,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졌을 때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트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지면 상기 브라켓 삽입부에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전선 끼움홈의 입구에 올려진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으로 끼워지게 하여 각선 또는 모선의 피복이 전선 끼움홈 내에서 벗겨져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위치되는 한쌍의 브라켓트가 연결 브라켓트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태깅용 노출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태깅용 노출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진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브라켓 끼움부와 연결되는 홈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홈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된 상기 태깅용 노출부의 바닥에서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태깅용 노출부로 노출된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에 접속되어 태깅 작업을 수행하는 태깅용 로거 장비는 사이에 돌출된 태깅용 단자가 위치되는 한쌍의 태깅용 안내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는 상기 태깅용 단자가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에 접속될 때 내측면이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의 내측면에는 볼플런저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측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볼플런저가 삽입되는 볼삽입홈이 위치되며,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태깅용 단자는 상기 태깅용 노출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1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에 태깅용 안내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접속용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접속용 삽입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의 사이로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 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가 위치되어 상기 태깅용 안내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양측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20. 뇌관의 각선 또는 모선이 끼워지는 복수의 전선 끼움홈이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결선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위치되는 하부 케이싱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후면과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후면에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회전될 수 있게 연결하는 케이싱 연결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전면 측에는 닫혀진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싱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 끼움부가 위치되고,
    상기 결선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브라켓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 끼움홈 내로 삽입시켜 각선 또는 모선을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결선시키는 결선용 가압부가 위치되며,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졌을 때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트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부재가 닫혀지면 상기 브라켓 삽입부에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결선용 가압부는 상기 전선 끼움홈의 입구에 올려진 각선 또는 모선을 가압하여 전선 끼움홈으로 끼워지게 하여 각선 또는 모선의 피복이 전선 끼움홈 내에서 벗겨져 상기 결선 브라켓트부재와 접속시키며,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에는 내부로 각선을 삽입시킬 수 있는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내부에는 입구와 연결되어 내부로 삽입된 각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각선 끼움부가 위치되고,
    상기 각선 끼움부는,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 쪽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싱부재의 입구와 연결되고 이중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전선 끼움부; 및
    상기 제1전선 끼움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며 단일 피복된 전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2전선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전선,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을 감싸는 외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피복된 전선은 제1피복으로 감싸진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전선, 제2피복으로 감싸진 제2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20180165391A 2018-12-19 2018-12-19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212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391A KR102129307B1 (ko) 2018-12-19 2018-12-19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AU2019284161A AU2019284161B2 (en) 2018-12-19 2019-12-12 Detonation connector having electric wire mounting structure
US16/627,628 US11473891B2 (en) 2018-12-19 2019-12-12 Detonation connector having electric wire mounting structure
PCT/KR2019/017625 WO2020130491A1 (ko) 2018-12-19 2019-12-12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391A KR102129307B1 (ko) 2018-12-19 2018-12-19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62A true KR20200076362A (ko) 2020-06-29
KR102129307B1 KR102129307B1 (ko) 2020-07-02

Family

ID=7110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391A KR102129307B1 (ko) 2018-12-19 2018-12-19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73891B2 (ko)
KR (1) KR102129307B1 (ko)
AU (1) AU2019284161B2 (ko)
WO (1) WO2020130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444A1 (ko) * 2022-12-14 2024-06-20 주식회사 한화 각선 잠금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07B1 (ko) * 2018-12-19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CN114562920A (zh) * 2022-02-25 2022-05-31 西安庆华民用爆破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雷管脚线周转模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608A (ja) * 1993-08-10 1995-03-03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KR20010078027A (ko) * 2000-01-28 2001-08-20 석명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JP2005038703A (ja) * 2003-07-15 2005-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線用コネクタ
KR200410147Y1 (ko) 2005-11-16 2006-03-07 주식회사 한화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KR101195188B1 (ko) * 2011-02-21 2012-10-2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발파용 결선커넥터
KR20180070982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한화 뇌관용 커넥터의 전선 가압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204A1 (en) * 2006-04-18 2007-10-25 Richard Petersen Electrical connector and system
CN205079683U (zh) 2015-09-09 2016-03-09 贵州全安密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雷管脚线和母线快速连接线夹结构
KR102114221B1 (ko) * 2018-12-19 2020-05-22 주식회사 한화 태깅용 노출부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
KR102129307B1 (ko) * 2018-12-19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608A (ja) * 1993-08-10 1995-03-03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KR20010078027A (ko) * 2000-01-28 2001-08-20 석명호 전기뇌관용 각선 접속구 및 모선 접속구
JP2005038703A (ja) * 2003-07-15 2005-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線用コネクタ
KR200410147Y1 (ko) 2005-11-16 2006-03-07 주식회사 한화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KR101195188B1 (ko) * 2011-02-21 2012-10-2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발파용 결선커넥터
KR20180070982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한화 뇌관용 커넥터의 전선 가압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444A1 (ko) * 2022-12-14 2024-06-20 주식회사 한화 각선 잠금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6245A1 (en) 2021-11-18
AU2019284161A1 (en) 2020-07-09
KR102129307B1 (ko) 2020-07-02
WO2020130491A1 (ko) 2020-06-25
US11473891B2 (en) 2022-10-18
AU2019284161B2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07B1 (ko) 전선 끼움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2114221B1 (ko) 태깅용 노출부가 구비된 뇌관용 커넥터
KR200410147Y1 (ko)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EP2133957B1 (en) Communication jack
KR101195188B1 (ko) 발파용 결선커넥터
WO2007112771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RU2659354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CN206610919U (zh) 用于连接电缆的连接器
CN107732482A (zh) 具有分线元件的线缆连接器组件
KR101925573B1 (ko) 클램핑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1925572B1 (ko) 뇌관용 커넥터의 전선 가압 구조체
CA2816289A1 (en) Connector
KR102553442B1 (ko) 지중 저압 케이블의 접속장치
US7914334B2 (en) Adapter having flexible cable
KR102160301B1 (ko) 전자뇌관용 커넥터
KR101925571B1 (ko) 뇌관용 커넥터의 개폐 구조체
KR101424215B1 (ko) 케이블 오토 커넥터
CN109155510B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CN107732563A (zh) 线缆连接器组件
KR20240091476A (ko) 각선 잠금 구조를 가지는 뇌관용 커넥터
KR102056934B1 (ko) 쉴드쉘과 와이어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고전압 커넥터
CN216049475U (zh) 一种雷管用防水型线卡
AU2023226667A1 (en) Detonator connector having leg wire locking structure
KR0138984Y1 (ko) 시그널 튜브와 기폭용 뇌관 콘넥터
KR102499816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