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619A -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619A
KR20200075619A KR1020180164494A KR20180164494A KR20200075619A KR 20200075619 A KR20200075619 A KR 20200075619A KR 1020180164494 A KR1020180164494 A KR 1020180164494A KR 20180164494 A KR20180164494 A KR 20180164494A KR 20200075619 A KR20200075619 A KR 2020007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plan
image data
management unit
display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925B1 (ko
Inventor
전진환
임용현
리신
Original Assignee
(주)제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레이 filed Critical (주)제노레이
Priority to KR102018016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925B1/ko
Priority to PCT/KR2019/015162 priority patent/WO2020130349A1/ko
Publication of KR2020007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신호를 기반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피시술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가 필요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및 오브젝트를 포함한 치료계획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DING OF TREATMENT PLAN OF 3D MEDICAL IMAGE}
본 발명은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료계획 수립 시 치료계획과 의료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의료 영상데이터의 회전 및 축 이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수립된 치료계획을 확인할 수 있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술자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의료 기기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의료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시술자가 치료계획을 수립하면, 수립된 치료계획은 의료 영상데이터의 해당 위치에 오브젝트의 형태로 추가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는 상기 의료 기기는 치료계획이 수립된 이후에, 의료 영상데이터의 상태 예컨대, 치료계획이 수립된 3차원 의료 영상데이터의 회전 및 축 이동 등을 변경하면, 3차원 의료 영상데이터를 단면으로 분할한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오브젝트 형태의 치료계획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치료계획 수립 시 치료계획과 의료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의료 영상데이터의 회전 및 축 이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수립된 치료계획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은,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가 필요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한 상기 치료계획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경우, 상기 축 정보와 관련된 관상면, 시상면 및 수평면에 대한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상기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시술자에 대한 상기 치료계획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계획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치료계획이 선택되면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치료계획에 대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는,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관리부, 상기 영상데이터에 추가할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오브젝트관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가 필요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추가되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상기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치료계획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관리부는, 상기 2차원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경우, 상기 축 정보와 관련된 관상면, 시상면 및 수평면에 대한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상기 오브젝트를 삭제하고, 상기 변경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치료계획에 대한 확인신호에 따라 치료계획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치료계획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치료계획이 선택되면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치료계획에 대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료계획 수립 시 치료계획과 의료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함께 기록함으로써, 의료 영상데이터의 회전 및 축 이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수립된 치료계획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 기록 및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 이하, 전자장치(100)라 함)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피시술자를 시술하고자 하는 시술자(이하, 사용자라 함)가 이용하는 전자장치로, 태블릿 PC, 컴퓨터, 랩탑 등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장치(미도시, 기공소에서 사용하는 단말 등)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영상획득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고, 메인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장치(100)는 메인서버를 통해 의료 영상데이터(이하, 영상데이터라 함) 및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5G(fif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케이블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시술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센서(sensor),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및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의 실행 및 동작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치파일을 저장하거나, 웹 페이지 등의 접속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도구들에 의해 영상데이터에 오브젝트 추가 시, 오브젝트가 추가된 영역의 길이, 넓이, 각도, 깊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고, 영상데이터의 영상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영상데이터에 추가할 임플란트 및 크라운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피시술자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와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DB(141)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수립된 치료계획을 저장하기 위한 치료계획DB(142)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픽셀 형식 이미지인 Ceph, Panorama 형식의 이미지, IO Sensor에서 획득된 이미지, X-ray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등의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 및 Volume 형식의 이미지, Voxel 형식의 이미지, CT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MRI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초음파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등의 3차원 의료 영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는, 관상면(coronal), 시상면(sagittal) 및 수평면(axial)을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관상면은 신체를 앞/뒤로 나누는 가상의 면, 시상면은 신체를 좌/우로 나누는 가상의 면, 수평면은 신체를 상/하로 나누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피시술자의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면서 표시상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치료계획의 변경 및 전송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부(151), 영상관리부(152), 오브젝트관리부(153) 및 치료계획관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영상데이터는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영상획득부(미도시)에 의해 획득된 영상데이터이거나, 전자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영상획득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수립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표시부(130)에 메인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의 실행 및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영상관리부(152), 오브젝트관리부(153) 및 치료계획관리부(154) 등으로 적절히 제공하여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51)는 메인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때, 오브젝트관리부(153)로 오브젝트 도구의 호출을 요청한다. 오브젝트관리부(153)는 영상데이터에 추가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복수의 오브젝트 도구를 호출하여 메인화면의 일부에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피시술자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호출신호를 영상관리부(152)로 제공하고, 영상관리부(152)는 호출신호를 기반으로 메모리(140)에 포함된 영상DB(141)의 검색을 수행한다. 영상관리부(152)는 영상DB(141)로부터 호출신호에 대응되는 피시술자와 관련된 영상데이터를 호출하여 메인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호출신호는, 피시술자의 이름 또는 환자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피시술자와 관련된 영상데이터는,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는, 관상면(coronal), 시상면(sagittal) 및 수평면(axial)을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영상데이터일 수 있으며, 2차원 영상데이터와 3차원 영상데이터는 동일한 환자의 동일한 부위에 대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메인화면에 표시된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 정보는 영상데이터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고, 메인화면에 표시된 모든 영상데이터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메인화면에 표시된 관상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시상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수평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즉, 사용자가 영상데이터를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확인된 이후에,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를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도구가 선택되면, 이를 치료계획관리부(154)로 제공한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 도구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메인화면에 표시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치료가 필요한 부분에 치료계획을 입력할 수 있는 도구로 2차원 및 3차원 오브젝트 도구로 구성될 수 있다. 2차원 오브젝트 도구는, 영상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정해진 형태를 가진 사각형, 원형 등의 폴리곤을 입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도구, 영상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모도구, 길이 측정, 각도 측정, 깊이 측정 및 넓이 측정을 위한 측정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오브젝트 도구는, 영상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임플란트, 크라운, CAD데이터, Scan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수립된 치료계획을 메모리(140)에 기록(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가 제1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1 치료계획으로 수립하고,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가 변경되어 제2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2 치료계획으로 수립한다. 예컨대, 제1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되는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이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제1 치료계획으로 수립한다. 이때,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1 위치 정보, 제1 오브젝트, 제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제2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1 치료계획으로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치료계획을 저장한 이후에, 입력부(120)로부터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변경신호에 따라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변경된 표시상태에 대응되는 제2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가 제2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되는 오브젝트가 제3 오브젝트이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3 오브젝트를 제2 치료계획으로 수립한다. 이때,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3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2 위치 정보, 제3 오브젝트 및 제3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2 치료계획으로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이때,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와 제1 치료계획에 동일한 인덱스를 추가하고, 영상데이터와 제2 치료계획에 동일한 인덱스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로부터 저장된 치료계획에 대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변경신호에 따라 치료계획을 변경하고, 변경된 치료계획을 치료계획DB(142)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수립된 치료계획 및 변경된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신호가 수신되면 전송신호를 치료계획관리부(154)로 제공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및 영상데이터에 수립된 모든 치료계획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치료계획이 수립된 영상데이터에서는 치료계획에 따른 인덱스가 추가되어 있으므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제1 치료계획과 제2 치료계획을 치료계획DB(142)에서 모두 추출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추출된 제1 치료계획에 포함된 제1 위치 정보, 제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제2 치료계획에 포함된 제2 위치 정보, 제3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영상데이터와 함께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영상데이터 내에서 오브젝트가 배치된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각도, 스케일, 이름, 색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순한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부장치로 치료계획 전송 시에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치료계획을 수신하는 외부장치에서의 로드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영상DB(141)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데이터는 메인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메인서버에 저장된 경우, 전자장치(100)는 메인서버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호출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수립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201단계의 확인결과, 수립신호가 수신되면 203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표시부(130)에 메인화면을 표시한다. 오브젝트관리부(153)는 인터페이스부(151)의 요청에 의해 영상데이터에 추가함으로써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복수의 오브젝트 도구를 호출하여 메인화면의 일부에 표시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의 실행 및 동작에 따른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영상관리부(152), 오브젝트관리부(153) 및 치료계획관리부(154) 등으로 제공하여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대로, 201단계의 확인결과, 수립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인터페이스부(151)는 수립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205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피시술자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207단계를 수행하고, 호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호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207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호출신호를 영상관리부(152)로 제공하고, 영상관리부(152)는 호출신호를 기반으로 메모리(140)에 포함된 영상DB(141)의 검색을 수행한다. 영상관리부(152)는 영상DB(141)로부터 호출신호에 대응되는 피시술자와 관련된 영상데이터를 호출하여 메인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는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고, 2차원 영상데이터와 3차원 영상데이터는 서로 연관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는, 관상면(coronal), 시상면(sagittal) 및 수평면(axial)을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영상데이터일 수 있으며, 2차원 영상데이터와 3차원 영상데이터는 동일한 환자의 동일한 부위에 대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209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치료계획관리부(154)로 제공하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어신호에 의해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이때,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은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가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확인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303단계를 수행한다. 303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를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도구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치료계획관리부(154)로 제공하고,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선택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오브젝트 도구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305단계를 수행한다. 305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 도구를 영상데이터에 추가한다.
예컨대,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영상데이터가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태이면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 정보는 영상데이터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고, 메인화면에 표시된 모든 영상데이터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메인화면에 표시된 관상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시상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수평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즉, 사용자가 영상데이터를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확인한 이후에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된 선택신호가 각도 측정도구이면, 각도 측정도구를 제1 오브젝트로 영상데이터에 추가한다. 아울러,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측정도구가 배치된 위치의 각도를 확인하여 측정도구의 상부에 텍스트로 표시하고, 제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영상데이터 내에서 오브젝트가 배치된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각도, 스케일, 이름,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그리기 도구가 선택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그리기 도구를 제2 오브젝트로서 영상데이터에 추가한다.
이와 같이, 영상데이터에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가 추가된 이후에 307단계에서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309단계를 수행하고, 저장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1단계를 수행한다. 309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303단계에서 확인된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에 따른 위치 정보와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오브젝트 및 오브젝트의 정보를 제1 치료계획으로 메모리(140)의 치료계획DB(142)에 저장하고, 311단계를 수행한다.
311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치료계획이 저장된 상태에서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313단계를 수행한다. 313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고 301단계로 회귀한다. 예컨대, 메인화면에 표시된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에 축 변경, 회전, 확대 및 축소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신호가 입력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한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제3 오브젝트를 추가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표시상태에 따른 위치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오브젝트를 제2 치료계획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311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치료계획이 저장된 상태에서 변경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 2의 211단계로 리턴한다.
반대로, 307단계에서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1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311단계의 확인결과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313단계를 수행하고, 변경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 2의 211단계로 리턴한다. 313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고 301단계로 회귀한다.
211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수립된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신호가 수신되면 213단계를 수행하고, 전송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15단계를 수행한다. 211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전송신호를 치료계획관리부(154)로 제공하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치료계획을 추출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피시술자와 관련된 영상데이터, 영상데이터와 연관된 모든 치료계획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피시술자의 하악 영상에 대하여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제3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2 치료계획을 수립하였으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치료계획DB(142)에서 하악 영상과 연관된 제1 치료계획 및 제2 치료계획을 추출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와 추출된 모든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영상데이터에는 관련된 치료계획과 동일한 인덱스가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치료계획은 치료계획별로 서로 다른 인덱스가 추가될 수 있으며, 영상데이터에는 치료계획에 추가된 서로 다른 인덱스가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정보 및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좌표 값, 텍스트 등의 단순한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부장치로 치료계획 전송 시에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치료계획을 수신하는 외부장치에서의 로드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장치(100)가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메인서버(미도시)로 치료계획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인서버는 메모리(140)의 영상DB(141) 대신하여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서버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전자장치(100)로 제공한다. 외부장치로 치료계획을 전송하기 위해 메인서버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치료계획을 수신하고, 수신된 치료계획과 관련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을 전달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서버는 전달서버로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 전달 시에 피시술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하거나 개인정보를 삭제한 후에 전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는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을 확인할 수 있는 URL 주소 등을 QR코드 등으로 생성하여 전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달서버는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로 전송하거나, QR코드 등을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215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치료계획 수립에 대한 종료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215단계의 확인결과,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인터페이스부(151)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의 실행을 종료한다. 반대로, 종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209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동작들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51)는 입력부(120)로부터 저장된 치료계획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치료계획관리부(154)로 제공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확인신호의 수신이 확인되면 403단계를 수행하고, 확인신호가 수신이 확인되지 않으면 확인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때, 확인신호는 피시술자의 이름 또는 환자번호 등일 수 있다.
403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메모리(140)로부터 확인신호에 대응되는 피시술자에 대한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 리스트를 호출하고 405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계획을 포함하는 치료계획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컨대,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확인신호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DB(141)에서 호출한다. 호출된 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치료계획이 제1 치료계획과 제2 치료계획이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치료계획DB(142)에서 제1 치료계획과 제2 치료계획을 포함하는 치료계획 리스트를 호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1 치료계획은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치료계획은 제3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407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로부터 치료계획 리스트에 포함된 치료계획 중 어느 하나의 치료계획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예컨대, 제1 치료계획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409단계를 수행하고,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선택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409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치료계획에 포함된 영상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411단계를 수행한다. 411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30)에 표시하되, 제1 치료계획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를 영상데이터에 추가하여 표시한다.
413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로부터 치료계획에 대한 변경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413단계에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415단계를 수행하고, 변경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417단계를 수행한다. 415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치료계획을 변경하고, 변경된 치료계획을 치료계획DB(142)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치료계획에 포함된 제2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신호가 수신되면, 제2 오브젝트가 이동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치료계획DB(142)에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417단계에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확인된 또는 변경된 치료계획을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신호가 수신되면 419단계를 수행하고, 전송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417단계 및 419단계는 도 2의 211단계 및 213단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계획 기록 및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을 실행하면, 표시부(130)에는 메인화면(500, 600, 700, 800)이 표시된다. 이때, 메인화면(500, 600, 700, 800)은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이미지영역(510, 610, 710, 810),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도구를 표시하는 도구영역(520, 620, 720, 820) 및 이미지영역(510, 610, 710, 810)에 표시된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수립된 치료계획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영역(530, 630, 730, 830)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도구영역(520, 620, 720, 820)의 상부에는 수립된 치료계획을 외부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한 export탭(521, 621, 721, 8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구영역(520, 620, 720, 820)에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선명도, 색상반전, 밝기 등을 조절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 영상처리를 초기화하기 위한 버튼, 영상데이터의 회전 및 반전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 영상데이터의 일부의 길이, 각도, 깊이 및 넓이를 측정하기 위한 버튼, 영상데이터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을 입력할 수 있는 pen,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시작점과 종료점을 연결하여 직선 입력, 화살표선 입력, 곡선 입력, 사각형 입력 및 타원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 영상데이터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버튼, 영상데이터의 일부에 임플란트 또는 크라운을 배치하기 위한 버튼 및 영상데이터에 추가한 오브젝트의 표시 및 숨김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도구가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치료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피시술자의 이름 또는 환자번호 등을 포함하는 호출신호를 입력한다. 인터페이스부(151)는 호출신호를 영상관리부(152)로 제공하고, 영상관리부(152)는 영상DB(141)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호출신호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호출하여 도 5와 같이 이미지영역(510)에 표시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서로 연관된 2차원 영상데이터와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미지영역(510)의 제1 영역(511)에는 관상면에 대한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 제2 영역(512)에는 시상면에 대한 2차원 의료영상데이터, 제3 영역(513)에는 수평면에 대한 2차원 의료 영상데이터 및 제4 영역(514)에는 3차원 영상데이터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이미지영역(510)에 표시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의 제1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제1 위치 정보는 메인화면(500)에 표시된 영상데이터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한다. 메인화면(500)에 표시된 모든 영상데이터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영역(511)에 표시된 관상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제2 영역(512)에 표시된 시상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제3 영역(513)에 표시된 수평면에 대한 2차원 영상데이터 및 제4 영역(514)에 표시된 3차원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가 메인화면(500)에 표시된 상태를 즉, 사용자가 영상데이터를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영상데이터의 제1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확인된 제1 위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리스트영역(530)에 short cut1이라는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Short cut1이라는 항목의 이름은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리스트영역(530)에 short cut1의 항목이 추가된 이후에, 사용자는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도구영역(520)에 표시된 오브젝트 도구 중 구강 내부의 특정 영역에 대한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영상데이터 중에서 제2 영역(612)에 표시된 시상면에 대한 영상데이터로 측정도구를 이동시키면, 치료계획관리부(145)는 측정도구를 제1 오브젝트(641)로 추가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측정도구가 배치된 위치의 각도를 확인하여 측정도구의 상부에 텍스트로 표시한다. 그리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오브젝트(641)에 대한 저장신호가 수신되면, 제1 오브젝트(641)를 치료계획DB(142)에 저장하고, 리스트영역(630)에 표시된 short cut1의 항목에 세부항목으로 Angle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저장신호는 예상치 못한 외부의 자극으로 제1 오브젝트(641)를 저장하기 이전에 데이터가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오브젝트(641)를 추가한 이후에, 영상데이터 내에서 제1 오브젝트(641)가 배치된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각도, 스케일, 이름, 색상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제1 오브젝트(641)가 추가된 이후에 사용자는 영상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그리기 도구를 추가로 선택한다.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선택한 그리기 도구를 제3 영역(613)에 표시된 수평면에 대한 영상데이터로 이동시키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그리기 도구를 제2 오브젝트(642)로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2 오브젝트(642)에 대한 저장신호가 수신되면, 제2 오브젝트(642)를 치료계획DB(142)에 저장하고, 리스트영역(630)에 표시된 short cut1의 항목에 세부항목으로 Rectangle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2 오브젝트(642)를 추가한 이후에, 영상데이터 내에서 제2 오브젝트(642)가 배치된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각도, 스케일, 이름, 색상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사용자로부터 제1 오브젝트(641)와 제2 오브젝트(642)를 제1 치료계획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신호가 수신되면, 제1 오브젝트(641), 제1 오브젝트(641)의 정보, 제2 오브젝트(642), 제2 오브젝트(642)의 정보 및 제1 위치 정보를 제1 치료계획으로 치료계획DB(14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치료계획과 영상데이터에 동일한 인덱스를 추가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의 메인화면(500, 600)에 표시된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의 표시상태를 도 7과 같이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를 입력하면, 영상관리부(152)는 제1 영역(710), 제2 영역(720), 제3 영역(730) 및 제4 영역(740)에 각각 표시된 영상데이터들의 표시상태를 일괄적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표시상태가 변경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리스트영역(730)에 short cut2의 항목을 추가한다. 만약, 제1 치료계획이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1 치료계획을 삭제할 수 있다.
리스트영역(730)에 short cut2의 항목이 추가된 이후에, 사용자는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도구영역(720)에 표시된 오브젝트 도구 중 구강 내부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측정도구를 선택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도 8과 같이 영상데이터 중에서 제1 영역(811)에 표시된 관상면에 대한 영상데이터에 측정도구를 제3 오브젝트(841)로 추가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측정도구가 배치된 위치의 길이를 확인하여 측정도구의 상부에 텍스트로 표시한다. 그리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리스트영역(830)에 표시된 short cut2의 항목에 세부항목으로 Distance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3 오브젝트(841)를 추가한 이후에, 영상데이터 내에서 제3 오브젝트(841)가 배치된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각도, 스케일, 이름, 색상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3 오브젝트(841)가 추가된 이후에 영상데이터에 특정 영역을 ROI(region of interest)로 설정하기 위한 영역설정도구가 추가로 선택되면 영상데이터 중에서 제3 영역(813)에 표시된 수평면에 대한 영상데이터에 영역설정도구를 제4 오브젝트(842)로 추가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에 제4 오브젝트(842)의 추가가 완료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리스트영역(830)에 표시된 short cut2의 항목에 세부항목으로 ROI를 추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영역설정도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4 오브젝트(842)를 추가한 이후에, 영상데이터 내에서 제4 오브젝트(842)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4 오브젝트(842)를 추가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저장신호가 수신되면 제3 오브젝트(841), 제3 오브젝트(841)의 정보, 제4 오브젝트(843), 제4 오브젝트(843)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를 제2 치료계획으로 치료계획DB(14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2 치료계획과 영상데이터에 동일한 인덱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료계획이 수립된 이후에, 사용자가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를 입력하면,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영상DB(141)와 치료계획DB(142)로부터 피시술자와 관련된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을 추출한다.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추출된 영상데이터 및 치료계획을 도 8과 같이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피시술자와 관련된 치료계획이 제1 치료계획과 제2 치료계획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리스트영역(830)에 표시된 제1 치료계획과 제2 치료계획 중 제2 치료계획이 선택되면, 제2 치료계획인 short cut2에 추가된 세부항목인 제3 오브젝트와 제4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치료계획관리부(154)는 제2 치료계획에 저장된 제2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메인화면(800)에 표시하고,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제3 오브젝트와 제4 오브젝트를 영상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치료계획관리부(154)는 표시된 제3 오브젝트 및 제4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수신되거나, 제5 오브젝트를 추가하여 제2 치료계획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변경신호에 따라 제2 치료계획을 변경하여 치료계획DB(142)를 갱신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가 필요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한 상기 치료계획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경우, 상기 축 정보와 관련된 관상면, 시상면 및 수평면에 대한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상기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상기 치료계획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치료계획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치료계획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치료계획이 선택되면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치료계획에 대한 변경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7. 피시술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영상데이터 및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관리부;
    상기 영상데이터에 추가할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오브젝트관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치료가 필요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추가되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상기 치료계획을 저장하는 치료계획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의 축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줌 스케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관리부는,
    상기 2차원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경우, 상기 축 정보와 관련된 관상면, 시상면 및 수평면에 대한 각각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데이터에 추가된 상기 오브젝트를 삭제하고, 상기 변경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치료계획에 대한 확인신호에 따라 치료계획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치료계획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치료계획이 선택되면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계획관리부는,
    상기 치료계획에 대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치료계획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장치.
KR1020180164494A 2018-12-18 2018-12-18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227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94A KR102273925B1 (ko) 2018-12-18 2018-12-18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PCT/KR2019/015162 WO2020130349A1 (ko) 2018-12-18 2019-11-08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94A KR102273925B1 (ko) 2018-12-18 2018-12-18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19A true KR20200075619A (ko) 2020-06-26
KR102273925B1 KR102273925B1 (ko) 2021-07-06

Family

ID=7110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494A KR102273925B1 (ko) 2018-12-18 2018-12-18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3925B1 (ko)
WO (1) WO20201303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072A1 (ko) * 2021-05-17 2022-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치료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093A (ja) * 1998-07-27 2000-02-18 Kameda Iryo Joho Kenkyusho:Kk 医療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KR20020071546A (ko) 2001-03-07 2002-09-13 (주)메디코텍 치과용 통합 진단 시스템
JP2009534126A (ja) * 2006-04-18 2009-09-24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矯正歯科関連の治療プロフィール及び治療選択肢を索引化及びカタログ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111902A (ko) * 2013-03-12 2014-09-22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과용 치료계획 수립방법
JP6261865B2 (ja) * 2010-02-18 2018-01-17 デントスプリー インプランツ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3次元デジタル歯内治療
KR101866748B1 (ko) * 2016-12-22 2018-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1164A (en) * 1980-04-22 1981-11-24 Kubota Ltd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cum closing scum suction port
US7471821B2 (en) * 2000-04-28 2008-12-30 Orametr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known digital object to scanned 3-D model
KR20100119103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서울씨앤제이 방사선 치료정보 저장관리시스템
KR20180060362A (ko) * 2016-11-29 2018-06-07 이형철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093A (ja) * 1998-07-27 2000-02-18 Kameda Iryo Joho Kenkyusho:Kk 医療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KR20020071546A (ko) 2001-03-07 2002-09-13 (주)메디코텍 치과용 통합 진단 시스템
JP2009534126A (ja) * 2006-04-18 2009-09-24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矯正歯科関連の治療プロフィール及び治療選択肢を索引化及びカタログ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261865B2 (ja) * 2010-02-18 2018-01-17 デントスプリー インプランツ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3次元デジタル歯内治療
KR20140111902A (ko) * 2013-03-12 2014-09-22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과용 치료계획 수립방법
KR101866748B1 (ko) * 2016-12-22 2018-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072A1 (ko) * 2021-05-17 2022-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치료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349A1 (ko) 2020-06-25
KR102273925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9628B2 (en)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CN102892018B (zh) 图像处理系统、装置、方法以及医用图像诊断装置
CN105637559B (zh) 使用深度传感器的结构建模
US10969949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CN104160369B (zh) 用于使用可移动引导标记来提供交互导航辅助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04262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941855A (zh) 医用图像参照装置以及医用图像参照方法
Pietroszek et al. Smartcasting: a discount 3D interaction technique for public displays
CN103777840A (zh) 用于口内图像的导航的叠加图
CN106445435B (zh) 医用图像显示装置、系统和方法
JP201710378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8899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102273925B1 (ko) 3차원 의료영상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JP6152888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1481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73922B1 (ko) 의료영상별 복수의 치료계획 기록 방법 및 장치
US20200219329A1 (en) Multi axis translation
CN109192282B (zh) 医用图像注释的编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20057408A (ja) 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440012A (zh) 建築模型影像顯示系統及其方法
JP2018089009A (ja) 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842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02120B1 (ko) 신체증강현실용 스마트폰 결합모듈과 신체증강현실용 sns 접속모듈을 통한 유사질병환자 친구맺기 또는 보호자 간 관계맺기 서비스 구현장치 및 방법
DE112020002244T5 (de)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r Erzeugung von CGR-Objekten
JP201611523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