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599A -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599A
KR20200075599A KR1020180164455A KR20180164455A KR20200075599A KR 20200075599 A KR20200075599 A KR 20200075599A KR 1020180164455 A KR1020180164455 A KR 1020180164455A KR 20180164455 A KR20180164455 A KR 20180164455A KR 20200075599 A KR20200075599 A KR 2020007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lab
building
double wall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최문호
김정동
이종계
이강철
조경래
Original Assignee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599A/ko
Publication of KR2020007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1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labs, both being partially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피씨 패널; 상기 제1 피씨 패널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피씨 패널; 및 상기 제1 피씨 패널에 매설되는 제1 철근망과, 상기 제2 피씨 패널에 매설되는 제2 철근망과, 상기 제1 철근망과 상기 제2 철근망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두 철근망들을 연결하는 두 보강 철근 유닛들을 구비하는 철근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두 보강 철근 유닛들 각각은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가로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보강 철근 유닛은 세로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띠철근 부재들과, 세로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띠철근 부재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철근들을 구비하며, 상기 띠철근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 철근들과 연결되는 띠 형상의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용 피씨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PRECAST CONCRETE DOUBLE WALL FOR CONSTRUCTING MULTI-STORY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STORY OF BUILDING}
본 발명은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주택, 빌딩 등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천장 및 바닥면과 벽면,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고, 합판이나 각목 등을 이용하여 배근된 철근을 둘러싸 거푸집을 형성한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시공방법에서는 작업자가 철근을 결속선으로 묶는 배근공정, 거푸집 설치 및 제거공정, 슬래브를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공정을 시공 현장에서 수행하게 됨으로써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양생될 때까지 거푸집을 유지하게 되는 만큼 작업 일정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래브, 서포트 및 벽체 거푸집 해체에 많은 번거로움과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거푸집을 설치하고 제거하는 공정에서 다수의 거푸집 패널이 파손되어 이를 수리하거나 폐기해야하기 때문에 물적 손실이 클 뿐 아니라, 배근공정, 거푸집 설치 및 해체 공정, 미장 공정 등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철근공,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제하는 목수, 미장공 등 다수의 숙련공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층을 별도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구조물의 시공 기간이 길어져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층마다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47225호 (2006.01.26.)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출물의 복수층 시공에 적합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피씨 더블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와이어 메쉬 또는 제1 철근이 매설된 편평한 벽 형태의 제1 피씨 패널; 상기 제1 피씨 패널과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이 매설된 편평한 벽 형태의 제2 피씨 패널; 상기 두 피씨 패널들의 사이에 연결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두 와이어 메시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강근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씨 패널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상기 두 피씨 패널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용 피씨 더블월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씨 더블월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복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된 제1 피씨 패널과, 상기 제1 피씨 패널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피씨 패널과, 상기 두 피씨 패널들을 연결하는 보강근들을 구비하는 피씨 더블월을 상기 제1 피씨 패널이 상기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이 동일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피씨 더블월을 기초 상에 설치하는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과 대응하는 높이에 상부 피씨 슬래브를 설치하고 상기 피씨 더블월의 상단과 대응하는 높이에 상부 피씨 슬래브를 설치하는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 상기 하부 피씨 슬래브 상에 철근을 배근하는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을 통해 상기 두 피씨 패널들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하부 타설 단계; 상기 상부 피씨 슬래브 상에 상부 철근을 배근하는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 및 상기 피씨 더블월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상기 두 피시 패널들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부 타설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층 높이 이상의 피씨 더블월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복수층을 시공하게 되므로, 건축물의 시공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피씨 더블월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피씨 더블월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므로 타설 높이에 의한 콘크리트 재료 분리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용 피씨 더블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씨 더블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씨 더블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의 주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들 중 기둥 설치 단계에 의해 기둥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단계들 중 거더 설치 단계에 의해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단계들 중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에 의해 피씨 슬래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4의 단계들 중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에 의해 피씨 더블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단계들 중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에 의해 하부 슬래브 상에 하부 슬래브 주근이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단계들 중 하부 타설 단계가 수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단계들 중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에 의해 상부 슬래브 상에 상부 슬래브 주근이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단계들 중 상부 타설 단계가 수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용 피씨 더블월(preacast concrete double wall)이 도 1에는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정면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 더블월(100)은 제1 피씨 패널(110)과, 제1 피씨 패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피씨 패널(120)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두 피씨 패널(110, 120)의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강근(130)들과, 제1 피씨 패널(110) 내에 매설되어서 복수개의 보강근(130)들과 결합되는 제1 와이어 메쉬 또는 제1 철근(140)과, 제2 피씨 패널(120) 내에 매설되어서 복수개의 보강근(130)들과 결합되는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씨 더블월(110)은 건축물의 2개층의 시공을 위한 것으로서, 2개 층의 높이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층 이상의 시공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피씨 더블월은 층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게 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1 피씨 패널(110)은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로서 편평한 벽 형태이며, 제1 피씨 패널(110)의 내부에는 제1 와이어 메쉬 또는 제1 철근(140)가 매설된다. 제1 피씨 패널(110)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111)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관통 구멍(111)들은 피씨 더블월(100)에 의해 시공되는 2개 층 중 첫번째 층의 천장 슬래브에 대응하는 높이에 폭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111)이 3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111)이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관통 구멍(111)의 형상을 원형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른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복수개의 관통 구멍(111)들은 시공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배근 공정에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시공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2 피씨 패널(120)은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로서 편평한 벽 형태이며, 제1 피씨 패널(1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피씨 패널(120)의 내부에는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150)이 매설된다. 제2 피씨 패널(120)은 제1 피씨 패널(110)보다 큰 높이를 갖는데, 제2 피씨 패널(120)과 제1 피씨 패널(110)의 높이 차는 피씨 더블월(100)에 의해 시공되는 2개 층 중 두번째 층의 천장 슬래브의 두께에 대응한다.
복수개의 보강근(130)들은 피씨 더블월(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복수개의 보강근(130)들 각각은 피씨 더블월(10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서 연장된다. 복수개의 보강근(130)들 각각의 양측은 각각 제1 피씨 패널(110) 내에 매설된 제1 와이어 메쉬 또는 제1 철근(140) 및 제2 피씨 패널(120) 내에 매설된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150)과 결합된다.
제1 와이어 메쉬(wire mesh) 또는 제1 철근(140)은 제1 피씨 패널(110)에 매설되고, 복수개의 보강근(130)들 각각의 일측과 결속선 또는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150)은 제2 피씨 패널(120)에 매설되고, 복수개의 보강근(130)들 각각의 타측과 결속선 또는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피씨 더블월(1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와이어 메쉬 또는 제1 철근(140)에 복수개의 보강근(130)들의 일측이 결속된다. 다음, 제1 피씨 패널(110)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거푸집에 제1 와이어(14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제1 피씨 패널(110)을 형성한다. 다음, 복수개의 보강근(130)들의 타측에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150)이 결속된다. 다음, 제2 피씨 패널(120)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거푸집에 제2 와이어(150)를 아래로 향하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제2 피씨 패널(120)을 형성하는데, 이때, 복수개의 관통 구멍(111)들이 거푸집에 대응하여 설치된 돌출부에 의해 함께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피씨 더블월(100)를 이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은, 복수개의 기둥들이 설치되는 기둥 설치 단계(S10)와, 기둥 설치 단계(S10)에서 설치된 복수개의 기둥들에 복수개의 거더(girder)들이 설치되는 거더 설치 단계(S20)와, 거더 설치 단계(S20)에서 설치된 복수개의 거더들에 하부 피씨 슬래브와 상부 피씨 슬래브가 설치되는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S30)와, 복수개의 피씨 더블월들이 설치되는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S40)와,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S30)를 통해 설치된 하부 피씨 슬래브와 상부 피씨 슬래브 중 하부 피씨 슬래브 상에 철근을 배근하는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S50)와, 피씨 더블월(100)의 하부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하부 타설 단계(S60)와,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S30)를 통해 설치된 하부 피씨 슬래브와 상부 피씨 슬래브 중 상부 피씨 슬래브 상에 철근을 배근하는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S70)와, 피씨 더블월(100)의 상부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부 타설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가 상세히 설명된다.
기둥 설치 단계(S10)에서는 복수개의 기둥들이 기초 위에 설치되어서 세워진다. 도 5에는 도 4의 기둥 설치 단계(S10)에 의해 복수개의 기둥들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초(10) 위에 복수개의 기둥(20)들이 설치되어서 세워져 있다. 도 5에는 기초(10) 위에 두 개의 기둥(20)들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있으나, 이는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시공 대상 건축물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된다. 기둥(20)은 높이방향 중간에 하부 거더가 거치되는 거더 거치부(21)가 형성된다. 기둥(20)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서, 거더 거치부(21)는 콘크리트 없이 철근(22)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기둥(20)의 상단에도 거더가 거치되기 용이하도록 철근(23)이 일정 높이 돌출된다. 기둥(20)은 피씨로 사전 제작되어서 현장에서 기초(10)에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거더 설치 단계(S20)에서는 기둥 설치 단계(S10)를 통해 설치된 복수개의 기둥(20)들에 복수개의 거더들이 설치된다. 도 6에는 거더 설치 단계(S20)가 수행되어서 복수개의 거더들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초(10)에 세워진 두 기둥(20)들 사이에 하부 거더(30)들과 상부 거더(40)들이 기둥(20)에 설치된 브래킷(24)에 거치되어서 설치된다. 도 6에서는 하부 거더(30)와 상부 거더(40)가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복수개의 기둥(20)들 각각에 복수개의 하부 거더(30)들과 복수개의 상부 거더(40)들이 설치된다. 하부 거더(30)는 두 기둥(20)들에 형성된 거더 거치부(21)에 하부 거더(30)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 거더(30)의 양단부에는 거더 거치부(21)의 노출된 철근(22)들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상부 거더(40)는 두 기둥(20)의 상단에 상부 거더(40)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거더(40)의 양단부에는 두 기둥(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철근(23)들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S30)에서는 거더 설치 단계(S20)를 통해 설치된 복수개의 하부 거더(30)들과 복수개의 상부 거더(40)들에 피씨 슬래브가 설치된다. 도 7에는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S30)가 수행되어서 복수개의 하부 거더(30)들과 복수개의 상부 거더(40)들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두 하부 거더(30)들에 하부 피씨 슬래브(50)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서 설치되고, 두 상부 거더(40)들에 상부 피씨 슬래브(60)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서 설치된다.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S40)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피씨 더블월(100)들 복수개가 시공대상 건축물의 둘레를 따라서 벽형태로 세워진다. 도 8에는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S40)가 수행되어서 하나의 피씨 더블월(100)이 설치된 상태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초(10)에는 기초(10)로부터 위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11)들이 설치되어 있다. 피씨 더블월(100)은 두 피씨 패널(110, 120)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기초(10)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보강부재(11)들이 위치하고, 복수개의 관통 구멍(111)들이 형성된 제1 피씨 패널(110)이 시공대상 건축물의 내부을 향하며, 제1 피씨 패널(110)보다 높게 돌출된 제2 피씨 패널(120)의 상단이 위에 위치하도록 기초(10) 위에 설치된다. 이때, 제1 피씨 패널(110)은 하부 거더(30) 및 상부 거더(140)와 접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거더(30)와 제1 피씨 패널(110)은 별도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거더(30)는 제1 피씨 패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1)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 거더(40)는 제1 피씨 패널(110의 상단에 일치하여 위치한다. 피씨 더블월(100)은 기초(10)에 설치된 고정구(12)에 고정된다.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S40)를 통해 복수개의 피씨 더블월(100)들이 시공대상 건축물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S50)에서는 하부 피씨 슬래브(50) 상에 철근이 배근된다. 도 9에는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S50)에 의해 하부 피씨 슬래브(50) 상에 하부 슬래브 주근(70)이 배근된 상태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피씨 슬래브(50) 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 슬래브 주근(70)들이 설치되는데, 복수개의 하부 슬래브 주근(70)들 각각의 끝단은 절곡되어서 아래로 연장된 하부 절곡부(71)를 형성하며, 하부 절곡부(71)는 제1 피씨 패널(110)의 관통구멍(111)으로 삽입되어서 제1 피씨 패널(110)과 제2 피씨 패널(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한다. 제1 피씨 패널(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11)은 하부 슬래브 주근(70)의 하부 절곡부(7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111)의 높이방향 길이(즉, 원형인 관통 구멍(111)의 직경)가 하부 절곡부(71)의 길이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하부 타설 단계(S60)에서는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S50)를 통해 하부 슬래브 주근(70)이 하부 피씨 슬래브(50) 상에 배근된 상태에서 제1 피씨 패널(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111)들을 통해 제1 피씨 패널(110)과 제2 피씨 패널(120)의 사이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도 10에는 하부 타설 단계(S60)가 수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피씨 패널(110)과 제2 피씨 패널(120)의 사이 공간으로 타설된 콘크리트(C1)는 하부 슬래브 주근(70)보다 약간 높은 수준까지 채워지며, 이와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피씨 슬래브(50)의 상부에 대해서도 타설이 이루어진다.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S70)에서는 상부 피씨 슬래브(60) 상에 철근이 배근된다. 도 11에는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S70)에 의해 상부 피씨 슬래브(60) 상에 상부 슬래브 주근(80)이 배근된 상태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피씨 슬래브(60) 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부 슬래브 주근(80)들이 설치되는데, 복수개의 상부 슬래브 주근(80)들 각각의 끝단은 절곡되어서 아래로 연장된 상부 절곡부(81)를 형성하며, 상부 절곡부(71)는 제1 피씨 패널(110)의 상단과 제2 피씨 패널(120)의 상단 사이의 높이차가 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상부 타설 단계(S80)에서는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S70)를 통해 상부 슬래브 주근(80)이 상부 피씨 슬래브(60) 상에 배근된 상태에서 피씨 더블월(10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피씨 패널(110)과 제2 피씨 패널(120)의 사이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때, 제1 피씨 패널(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11)에서 타설된 콘크리트(C1)로 막히지 않은 상부는 적절한 수단으로 폐쇄된다. 도 12에는 상부 타설 단계(S80)가 수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타설 단계(S80)를 통해 제1 피씨 패널(110)과 제2 피씨 패널(120)의 사이 공간으로 타설된 콘크리트(C2)는 상부 슬래브 주근(80)이 매설되도록 피씨 더블월(100)의 상단까지 채워지며, 이와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피씨 슬래브(60)의 상부에 대해서도 타설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은 복수층의 지하 주차장 시공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기초 20 : 기둥
30 : 하부 거더 40: 상부 거더
50 : 하부 피씨 슬래브 60 : 상부 피씨 슬래브
70 : 하부 슬래브 주근 71 : 하부 절곡부
80 : 상부 슬래브 주근 81 : 하부 절곡부
100 : 피씨 더블월 110 : 제1 피씨 패널
111 : 관통 구멍 120 : 제2 피씨 패널
130 : 보강근 140 : 제1 와이어 메쉬 도는 제1 철근
150 :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

Claims (13)

  1. 제1 와이어 메쉬 또는 제1 철근이 매설된 편평한 벽 형태의 제1 피씨 패널;
    상기 제1 피씨 패널과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제2 와이어 메쉬 또는 제2 철근이 매설된 편평한 벽 형태의 제2 피씨 패널;
    상기 두 피씨 패널들의 사이에 연결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두 와이어 메시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강근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씨 패널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위치하고 상기 두 피씨 패널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용 피씨 더블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씨 패널의 상단은 상기 제1 피씨 패널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용 피씨 더블월.
  3. 피씨 더블월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복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된 제1 피씨 패널과, 상기 제1 피씨 패널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피씨 패널과, 상기 두 피씨 패널들을 연결하는 보강근들을 구비하는 피씨 더블월을 상기 제1 피씨 패널이 상기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이 동일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피씨 더블월을 기초 상에 설치하는 피씨 더블월 설치 단계;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과 대응하는 높이에 상부 피씨 슬래브를 설치하고 상기 피씨 더블월의 상단과 대응하는 높이에 상부 피씨 슬래브를 설치하는 피씨 슬래브 설치 단계;
    상기 하부 피씨 슬래브 상에 하부 철근을 배근하는 하부 슬래브 배근 단계;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을 통해 상기 두 피씨 패널들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하부 타설 단계;
    상기 상부 피씨 슬래브 상에 상부 철근을 배근하는 상부 슬래브 배근 단계; 및
    상기 피씨 더블월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상기 두 피시 패널들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부 타설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철근은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 슬래브 주근들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슬래브 주근들의 끝단에는 수직으로 절곡되어서 연장되는 하부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절곡부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두 피씨 패널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 각각은 상기 하부 절곡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곡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관통 구멍의 높이는 상기 하부 절곡부의 길이보다 큰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원형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직경은 상기 하부 절곡부의 길이보다 큰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타설 단계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하부 철근이 매설되도록 상기 하부 피씨 슬래브의 상부에 대해서도 타설이 이루어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타설 단계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상부 철근이 매설되도록 상기 상부 피씨 슬래브의 상부에 대해서도 타설이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씨 패널의 높이는 상기 제2 피씨 패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초에 복수개의 기둥들을 설치하는 기둥 설치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기둥들 중 두 기둥들에 상기 하부 피씨 슬래브가 거치되는 하부 거더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피씨 슬래브가 거치되는 상부 거더를 설치하는 거더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거더 및 상기 상부 거더는 상기 제1 피씨 패널과 접하며,
    상기 하부 거더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들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거더에 상기 제1 피씨 패널이 결합되는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KR1020180164455A 2018-12-18 2018-12-18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Ceased KR20200075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55A KR20200075599A (ko) 2018-12-18 2018-12-18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55A KR20200075599A (ko) 2018-12-18 2018-12-18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99A true KR20200075599A (ko) 2020-06-26

Family

ID=7113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455A Ceased KR20200075599A (ko) 2018-12-18 2018-12-18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55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7203A (zh) * 2020-10-30 2021-01-05 济南捷源新材料有限公司 免拆双面叠合剪力墙板、叠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13187121A (zh) * 2021-03-23 2021-07-30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带钢管混凝土连接节点的装配式混合剪力墙体系
CN115596115A (zh) * 2022-10-10 2023-01-13 中建海龙科技有限公司(Cn) 一种叠合剪力墙体系
KR102812065B1 (ko) * 2024-01-30 2025-05-27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접합부가 개선된 양방향 pc슬래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225B1 (ko) 2003-10-31 2006-01-26 (주)나인아키텍 다방향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전단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225B1 (ko) 2003-10-31 2006-01-26 (주)나인아키텍 다방향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전단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7203A (zh) * 2020-10-30 2021-01-05 济南捷源新材料有限公司 免拆双面叠合剪力墙板、叠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12177203B (zh) * 2020-10-30 2025-02-07 济南捷源新材料有限公司 免拆双面叠合剪力墙板、叠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13187121A (zh) * 2021-03-23 2021-07-30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带钢管混凝土连接节点的装配式混合剪力墙体系
CN113187121B (zh) * 2021-03-23 2025-05-30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带钢管混凝土连接节点的装配式混合剪力墙体系
CN115596115A (zh) * 2022-10-10 2023-01-13 中建海龙科技有限公司(Cn) 一种叠合剪力墙体系
KR102812065B1 (ko) * 2024-01-30 2025-05-27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접합부가 개선된 양방향 pc슬래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200075599A (ko)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EA029731B1 (ru) Способ отливки на месте армированной стальными сетками бетонной панели со сборным каркасом и подвесной опалубкой
WO2020214086A1 (en) Precast building
WO2011127522A1 (en) A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el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KR100771144B1 (ko) 복수층의 동시시공을 통한 다층건축물의 수평증축방법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CN110984367A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及其施工方法
RU165803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KR102149662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이층 시공방법
KR100612662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KR20170060769A (ko) 더블 월 피씨에 의한 구조물의 복수 층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826086B1 (ko) 포스트텐션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수평 및 수직증축 시공 방법
CN210529916U (zh) 低层装配式钢砼结构建筑
KR102149661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상 전이층 시공방법
KR20160132348A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RU159311U1 (ru) Конструктивное решение сбор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каркаса, включающего полые железобетонные колонны, полые железобетонные балки (ригели) и пустотные плиты перекрытия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в сейсмически опасных районах
JP3281972B2 (ja) 鉄筋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施工方法
CN110295668B (zh) 低层装配式钢砼结构建筑及其施工方法
US20090301002A1 (en) System for constructing a semi-prefabricated building
KR102028828B1 (ko) 리브형 슬래브와 와플형 드랍을 이용한 포스트텐션 플랫 슬래브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54822B1 (ko) 바닥과 벽면을 동시에 양생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시공방법및 시공시스템
JP2900937B1 (ja) 壁式rc構造物の施工方法
JP3981496B2 (ja) プレキャスト柱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12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9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