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405A -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 Google Patents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405A
KR20200075405A KR1020180164046A KR20180164046A KR20200075405A KR 20200075405 A KR20200075405 A KR 20200075405A KR 1020180164046 A KR1020180164046 A KR 1020180164046A KR 20180164046 A KR20180164046 A KR 20180164046A KR 20200075405 A KR20200075405 A KR 2020007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ouch
hub body
hu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212B1 (ko
Inventor
문원석
Original Assignee
문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원석 filed Critical 문원석
Priority to KR102018016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2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21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onnecting nodes having radial connecting stu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3Screw connections with axis at an angle, e.g. perpendicular,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바(1)를 연결시켜주는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10)에 있어서, 상하 납작한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삽입홈(21)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는 각 삽입홈(21)과 연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된 허브바디(20);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는 상기 바(1)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터치연결구(30); 및 상기 허브바디(20)의 통공(22)에 결합되어 원터치연결구(30)의 둘레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원터치연결구(3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원터치연결구(30)를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70);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연결구(30)는,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단관(40); 상기 연결단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삽입되는 바(1)의 일방향으로의 삽입은 가능하나 타방향으로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일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탄성가압링(50); 및 상기 연결단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하면서 탄성가압링(50)을 일방향으로 밀어주어 탄성가압링(50)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푸시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이다.

Description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One-touch typed hub connector of geodesic dome}
본 발명은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오데식 돔을 좀 더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오데식(geodesic) 돔은 구체 혹은 구면 형태의 구조물로서, 다각형의 셀들이 망상을 이뤄 구면을 채우게 되는데 주로 삼각형 셀들이 망상을 이뤄 구면을 채운다. 이와 같은 지오데식 돔은 하중이 각각의 삼각형 셀에 고르게 분산되므로 기둥이 없이도 설치할 수 있어 넓은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실내 스포츠시설이나 대형 공연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오데식 돔의 삼각형 셀들은 허브커넥터에 다수의 바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3)와, 이 허브커넥터(3)에 연결되는 바(1)의 연결구조를 보여준다. 허브커넥터(3)에는 복수개의 바(1)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4)가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이 연결부(4)보다 직경이 큰 바(1)가 연결부(4)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바(1)와 허브커넥터(3)의 연결부(4)에는 결합핀(6)이 관통되도록 정렬되는 핀홀(2,5)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1)의 핀홀(2)과 허브커넥터(3)의 핀홀(5)을 정렬시킨 후 결합핀(6)을 삽입시켜 바(1)를 허브커넥터(3)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3)에 다수의 바(1)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바(1)의 핀홀(2)과 허브커넥터(3)의 핀홀(5)을 위치정렬시켜야 하므로 바(1)를 허브커넥터(3)에 조립하기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지오데식 돔을 해체할 경우 각각의 바(1)에 끼워진 결합핀(6)을 하나씩 빼내야 하므로 다수의 바(1)를 허브커넥터(3)에서 분리시키는 것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바를 허브커넥터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지오데식 돔을 좀 더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바(1)를 연결시켜주는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10)에 있어서, 상하 납작한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삽입홈(21)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는 각 삽입홈(21)과 연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된 허브바디(20);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는 상기 바(1)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터치연결구(30); 및 상기 허브바디(20)의 통공(22)에 결합되어 원터치연결구(30)의 둘레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원터치연결구(3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원터치연결구(30)를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70);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연결구(30)는,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단관(40); 상기 연결단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삽입되는 바(1)의 일방향으로의 삽입은 가능하나 타방향으로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일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탄성가압링(50); 및 상기 연결단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하면서 탄성가압링(50)을 일방향으로 밀어주어 탄성가압링(50)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푸시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바디(20)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삽입홈(21)에 결합된 원터치연결구(30)를 지지하는 지지턱(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바(1)가 허브커넥터(10)에 핀으로 결합하는 등 별도의 부품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직접 결합되므로, 돔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바(1)를 허브커넥터(10)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돔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바(1)가 직접 결합되는 허브커넥터(10)의 복수개의 원터치연결구(30)가 허브바디(20)에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일부 원터치연결구(30)가 파손 등 고장이 난 경우에도 허브커넥터(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해당 원터치연결구(30)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자원낭비가 방지된다.
한편, 상하로 납작한 허브커넥터(10)의 원터치연결구(30)가 삽입되는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1)가 결합되는 원터치연결구(30)가 허브바디(20)에서 하향 경사지며, 허브바디(20)의 하단에서 원터치연결구(30)의 경사진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턱(23)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지오데식 돔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자중 등에 의해 하중이 집중되는 원터치연결구(30)가 허브바디(20)의 지지턱(23)에 의해 지지되므로, 구조적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며 원터치연결구(30)의 파손 등이 방지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 지오데식 돔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에 바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일실시예의 일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허브커넥터를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원터치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바의 원터치연결구에의 결합을 보인 도면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원터치연결구가 허브커넥터에 경사지게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10)는 다수의 바(1)를 다수의 삼각형 셀 형태로 연결시켜주는 것으로서, 허브바디(20), 원터치연결구(30) 및 고정나사(7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바디(20)는 상하로 납작한 원반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삽입홈(21)이 방사상으로 배치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21)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허브바디(20)의 하단에는 적어도 삽입홈(21)의 입구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턱(23)이 구비된다. 한편, 허브바디(10)의 상면에는 각각의 삽입홈(21)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원터치연결구(30)는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1)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단관(40), 탄성가압링(50) 및 푸시링(60)을 포함한다. 연결단관(40)은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선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확경부(41)가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이 허브바디(20)의 상면에 대해 하향 경사(∠θ)지므로, 연결단관(40)이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끼워지면 허브바디(20)에 대해 하향 경사지는데, 허브바디(20)의 지지턱(23)에 의해 연결단관(40)이 지지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탄성가압링(50)은 연결단관(40)의 확경부(41)에 고정되며 내부로 바(1)가 삽입되는데, 이 바(1)의 일방향으로의 삽입은 가능하나 타방향으로의 이탈은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가압링(50)의 외주부는 연결단관(40)의 확경부(41)의 걸림턱(42)과 연결단관(40)의 선단에 끼워지는 고정링(80)에 의해 고정되며, 내경이 일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탄성가압링(50)은 내주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탄성가압편(51)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단관(40)의 확경부(41)의 걸림턱(42)은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탄성가압링(50)의 내경이 벌어질 때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가압링(50)은 연결단관(40)에 인서트되거나 또는 고정링(8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연결단관(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연결단관(40)의 확경부(4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한편, 푸시링(60)은 연결단관(40)의 확경부(41)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하면서 탄성가압링(50)의 탄성가압편(51)을 일방향으로 밀어주어 탄성가압편(51)의 내경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푸시링(60)의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연결단관(40)의 확경부(41)의 선단에 걸려지는 플랜지(6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나사(70)는 허브바디(20)의 통공(22)에 결합되어 원터치연결구(30)의 연결단관(40)의 둘레면을 가압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결단관(40)의 둘레면을 관통함으로써, 원터치연결구(30)를 허브바디(20)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나사(70)가 원터치연결구(30)의 연결단관(40)의 둘레면을 가압할 때 허브바디(20)의 통공(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나사(70)가 통공(2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나사(70)가 원터치연결구(30)의 연결단관(40)의 둘레면을 관통할 경우에는 나사산이 없는 핀 형태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에 도 6과 같이 바(1)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바(1)를 허브바디(20)에 고정된 원터치연결구(30)의 연결단관(40)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바(1)가 원터치연결구(30)의 연결단관(40)에 구비된 탄성가압링(50)을 일방향으로 밀어주므로, 그 선단의 내경이 확장되어 바(1)가 원터치연결구(30)의 연결단관(4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가압링(5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선단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바(1)의 둘레면을 탄성가압하므로 바(1)가 원터치연결구(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바(1)를 원터치연결구(30)에서 분리할 때, 푸시링(60)을 연결단관(40)의 내측으로 밀어주면 탄성가압링(50)의 탄성가압편(51)의 내경이 확장되면서 바(1)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다수의 바(1)가 하향 경사지면서 돔 형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의 바(1)가 허브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로 돔 형태를 이루는 과정에서 지오데식 돔 구조물의 자중 등에 의해 바(1)가 결합된 원터치연결구(30)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데, 허브바디(20)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진 원터치연결구(3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원터치연결구(30)의 경사진 하단을 지지해준다. 즉, 지오데식 돔에 작용하는 자중 등으로 인해 하중이 집중되는 원터치연결구(30)가 허브바디(20)의 지지턱(23)에 의해 지지되므로, 원터치연결구(30)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지오데식 돔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바 10 : 허브커넥터
20 : 허브바디 11 : 삽입홈
30 : 원터치연결구 40 : 연결단관
50 : 탄성가압링 60 : 푸시링
70 : 고정나사

Claims (2)

  1. 다수의 바(1)를 연결시켜주는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10)에 있어서,
    상하 납작한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삽입홈(21)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는 각 삽입홈(21)과 연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된 허브바디(20);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는 상기 바(1)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터치연결구(30); 및
    상기 허브바디(20)의 통공(22)에 결합되어 원터치연결구(30)의 둘레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원터치연결구(3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원터치연결구(30)를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70);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연결구(30)는,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단관(40);
    상기 연결단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삽입되는 바(1)의 일방향으로의 삽입은 가능하나 타방향으로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일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탄성가압링(50); 및
    상기 연결단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하면서 탄성가압링(50)을 일방향으로 밀어주어 탄성가압링(50)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푸시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바디(20)의 삽입홈(21)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바디(20)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삽입홈(21)에 결합된 원터치연결구(30)를 지지하는 지지턱(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KR1020180164046A 2018-12-18 2018-12-18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KR10230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46A KR102306212B1 (ko) 2018-12-18 2018-12-18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46A KR102306212B1 (ko) 2018-12-18 2018-12-18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05A true KR20200075405A (ko) 2020-06-26
KR102306212B1 KR102306212B1 (ko) 2021-09-29

Family

ID=7113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46A KR102306212B1 (ko) 2018-12-18 2018-12-18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32582A1 (en) * 2017-12-28 2021-10-28 Zhejiang Garden-Bee Horticulture Technology Co., Ltd. Spherical tent frame
USD968646S1 (en) 2021-07-21 2022-11-01 Msg Entertainment Group, Llc Bui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7009B1 (en) * 2002-10-01 2005-05-03 Conservatek Industries, Inc. Cylindrical joint and reticulated frame structure
KR20100007460U (ko) * 2009-01-14 2010-07-22 김인 호스 연결용 피팅
CN103556709A (zh) * 2013-11-13 2014-02-05 大连博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穹顶框架结构体系
KR20160120122A (ko) *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7009B1 (en) * 2002-10-01 2005-05-03 Conservatek Industries, Inc. Cylindrical joint and reticulated frame structure
KR20100007460U (ko) * 2009-01-14 2010-07-22 김인 호스 연결용 피팅
CN103556709A (zh) * 2013-11-13 2014-02-05 大连博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穹顶框架结构体系
KR20160120122A (ko) *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32582A1 (en) * 2017-12-28 2021-10-28 Zhejiang Garden-Bee Horticulture Technology Co., Ltd. Spherical tent frame
USD968646S1 (en) 2021-07-21 2022-11-01 Msg Entertainment Group, Llc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212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405A (ko) 원터치 지오데식 돔의 허브커넥터
JP2021121764A (ja) コネクタ
US9433269B2 (en) Quick assembly methods and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KR101615170B1 (ko) 활선 클램프
US11629740B2 (en) Connector and frame structure using same
CN103574199A (zh) 一种具有分体式挡块的锚定结构的承插式管道接口及其安装方法
KR101714329B1 (ko) 철근이음용 커플러
CN103618171A (zh) 公连接器、母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04575629A (zh) 一种可拆式上管座与导向管的连接结构
EP0140588B1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CN110235313A (zh) 插接连接器壳体
US11828324B1 (en) Quick-detachable connecting device with simplified thread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CN101694227A (zh) 全胀锚栓
KR20170032211A (ko) 안전 파이프 서포트의 제작 방법 및 안전 파이프 서포트
CN106499717B (zh) 一种螺母垫圈固定连接结构
CN105336278A (zh) Led显示屏锁紧机构及led显示屏
CN212003899U (zh) 一种方便拆装的四爪螺母
CN209730246U (zh) 一种探针式连接器
CN113622947A (zh) 一种可分离式齿形连接装置
CN215409607U (zh) 一种椭圆管连接头结构和支撑机构
KR200363060Y1 (ko) 원터치형 거푸집 고정구조
CN215716033U (zh) 一种方管连接头结构和支撑机构
CN210519234U (zh) 一种方便拆装的可扩展组合装置
CN210515953U (zh) 一种组装式标记牌
CN110165465A (zh) 一种探针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