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212A -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212A
KR20200075212A KR1020180163596A KR20180163596A KR20200075212A KR 20200075212 A KR20200075212 A KR 20200075212A KR 1020180163596 A KR1020180163596 A KR 1020180163596A KR 20180163596 A KR20180163596 A KR 20180163596A KR 20200075212 A KR20200075212 A KR 2020007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mera module
rolling
optical image
lens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567B1 (ko
Inventor
조원만
이민애
송재근
황지영
Original Assignee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중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16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5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이 탑재되며 멀티 컨버젼스화 되고 있으며, 멀티 컨버젼스로의 전개를이끌어 가는 요소 중의 하나가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lens module)이다.
모바일에 탑재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은 사용자 요구에 의한 고화소 및 고기능 중심으로의 최근 변화에 부합하기 위해 자동 초점 기능(AUTO FOCUS: AF), 광학 줌 기능(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춘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학 이미지 보정 또는 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ATION)을 모바일 크기에 구현하려는 시도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광학 이미지 보정 기술은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보정렌즈의 초점을 손 떨림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자동제어함으로써 촬상 이미지의 해상도를 최적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광학 이미지 보정기술의 구현을 위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에는 광학 이미지 보정용 엑츄에이터가 탑재된다.
광학 이미지 보정용 엑츄에이터 중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VCM (Voice Coil Motor) 타입이 잘 알려져있다. VCM 타입은 보통, 대면 배치되는 코일과 자성체로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자기회로가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을 이용해 렌즈가 실장된 구동파트(mover)를 고정파트(stator)에 대해 평면 이동시켜 떨림에 대응하는 보정이 구현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는 X, Y 2축 방향으로 구동파트를 움직여 보정이 행해질 수 있도록, 2축 방향으로 대면하는 두 쌍의 자기회로를 적용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으며, 고정파트에 대한 구동파트의 평면운동을 지지하고 구동파트의 2축 방향 움직임에 대한 복원력을 발생시켜 원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서스펜션 와이어를 이용하는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서스펜션 와이어 방식의 종래 광학 이미지 보정 장치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가 쉽게 휘어지거나 단선되어 버리는 등 내구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고,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어 소형화에 적합하지 못하다는 단점이있다.
또한, 구동파트와 고정파트를 서스펜션 와이어로 연결하는 조립 작업에 있어서도, 별도의 전용지그(jig)에 고정파트와 구동파트를 이격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서스펜션 와이어의 양단을 상기 고정파트와 구동파트에 각각 솔더링(Soldering)하여 연결해야 했기 때문에,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함에 있어 제품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스펜선 와이어 방식과 달리 내구성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구성의 간소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며, 전원 인가시 상기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렌즈 캐리어 및 상기 렌즈 캐리어를 수용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캐리어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에 구름 접촉될 수 있으다.
이 때, 상기 마찰부는 상기 렌즈 캐리어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 부재, 상기 베이스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상기 구름 부재의 일부를 돌출시키는 수용홈 및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구름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렌즈 캐리어와 이를 수용하는 베이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를 배치시키고, 마찰부에 의해 렌즈 캐리어가 베이스에 구름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서스펜션 와이어 방식 대비 단순하면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성이 개선됨으로써 제품의 양산성 증대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찰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구름 볼과 커버 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마찰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구름 롤러와 커버 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은 렌즈 배럴(120)과 렌즈 배럴(120)을 수용하는 하우징(90)을 포함하며, 카메라 ?뮬(1)은 하우징(90)의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100)를 통해 다른 전자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는 광이 투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베이스(10)의 바닥면(11)의 상부로는 수평 이동 홀더(30)의 바닥판(36)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사측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개구부에는 수평이동코일(2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베이스(10)의 상단의 사측 꼭짓점에는 각각 서스펜션 스프링(80)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홈(18)이 마련될 수 있다. 수평 이동 홀더(30)는 베이스(10)와 수평 이동 홀더(30) 사이에 설치되는 서스펜션 스프링(8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수평 이동 홀더(30)는 렌즈 배럴(120)을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 대해 수평 방향(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이동 홀더(30)의 바닥판(36)은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 지지되어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이동 홀더(30)는 필요에 따라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와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에 고정되는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는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바닥면(11)보다 면적이 좁은 바닥판(36)과 바닥판(36)의 사측 꼭짓점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기둥부(38)를 포함할 수 있다.바닥판(36)의 중앙에는 렌즈 배럴(120)을 통과한 외부의 광이 통과하는 원형의 개구부(37)가 형성된다.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바닥판(36)의 상면에는 개구부(37)의 테두리에는 렌즈 캐리어(40)의 하단을 탄성지지하는 하부 탄성 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는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바닥판(36)에 대응하는 상부판(32)과 상부판(32)의 사측 꼭짓점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4개의 기둥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판(32)의 중앙에는 렌즈 캐리어(4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각 기둥부(34)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기둥부(38)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34a)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 홀더(30)의 사측 모서리에는 각각 영구자석(60)이 설치될 수 있다. 4개의 영구자석(60)은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40)는 수평 이동 홀더(30)의 내부에 설치되며,전원 인가시수평 이동 홀더(30)의 바닥판(36)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렌즈 캐리어(40) 내 수용된 렌즈 배럴(120)이 렌즈 캐리어(4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40)의 개구부(41)에는 렌즈 배럴(120)이 결합된다. 렌즈 캐리어(40)의 사측 모서리 각각에는 요크(70)의 스커트(71)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 홈(43)이 바닥판(42)을 관통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 캐리어(40)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이동 코일(15)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 캐리어(40)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이동 코일(15)이 감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직 이동 코일(15)은 렌즈 캐리어(40)의 외주면에 끼우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요크(70)는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와 영구자석(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요크(70)는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의 상부판(3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요크(70)의 사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스커트(7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71)는수직 이동 코일(15)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 홀더(30)의 측면에 설치된 영구자석(60)의 일 단과 좌우로 절곡될 수 있다. 요크(70)는 수평 이동 홀더(30)를 동작시키는 수평 이동 코일(20)과 영구자석(6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계에 주는 간섭이나 영향이 적으므로, 자동초점기능, 즉 렌즈 캐리어(40)의 작동성에 맞도록 요크(70)의 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요크(70)는 수직 이동 코일(15)과 영구자석(60) 사이의 자력선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로는 냉간 압연 강판(SPCC; steel plate cold commercial), 탄소공구강(SK5), 순철, 퍼멀로이(pemallo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4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렌즈 캐리어(40)를 탄성 지지하는 상부 탄성 부재(55)와 하부 탄성 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탄성 부재(55)는 렌즈 캐리어(40)의 상단을 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 홀더(3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 부재(55)는 서로 대칭인 좌측 및 우측 상부 탄성부재(55L, 55R)로 형성된다. 좌측 하부 탄성 부재(55L)는 수평 이동 홀더(30)에 고정되는 테두리부(56)와 렌즈 캐리어(40)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7)는 2개의 연결부(58)에 의해 테두리부(56)에 연결될 수 있다. 테두리부(56)는 수평 이동 홀더(3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57) 및 연결부(58)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우측 상부 탄성부재(55R)도 좌측 상부 탄성부재(55L)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탄성 부재(55)의 테두리부(56)는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의 상단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 각각에 마련된 고정 돌기(33)에 삽입되는 관통 구멍(56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7)에도 렌즈 캐리어(40)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 돌기(44)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5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이동 홀더(30)의 고정 돌기(33)는 테두리부(56)의 관통 구멍(56a)에 삽입되고, 렌즈 캐리어(40)의 고정 돌기(44)가 지지부(57)의 관통 구멍(57a)에 삽입됨으로써상부 탄성 부재(55)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돌기(33)에 의해 테두리부(56)가 수평 이동 홀더(30)에 고정되고, 지지부(57)가 복수의 고정 돌기(44)에 의해 렌즈 캐리어(40)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렌즈 캐리어(40)는 상부 탄성부재(55L, 55R)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이동 홀더(30)에 고정된 상부 탄성 부재(55)의 상측에는 서스펜션 스프링(80)이 고정될 수 있다. 수평 이동 홀더(30)의 고정 돌기(33)에는 상부 탄성 부재(55)의 테두리부(56)와 서스펜션 스프링(80)의 고정부(85)가 차례로 적층되어고정될 수 있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바닥판(36)과 렌즈 캐리어(40)의 바닥판(42)에 고정되며, 렌즈 캐리어(4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 구체적으로, 하부 탄성 부재(50)는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바닥판(36)의 사측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51)와 렌즈 캐리어(4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2)는 연결부(53)에 의해 고정부(51)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2)는 렌즈 캐리어(40)의 하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53)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2)에는 렌즈 캐리어(40)의 하단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52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1)는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의 기둥부(34)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기둥부(38)를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바닥판(36)에 접촉하는 기둥부(34)의 하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1)를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에 고정하기 위해,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바닥판(36)과 하부 탄성 부재(50)의 고정부(51)에는 각각 구멍(39,5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의 기둥부(34)의 하단에는 구멍(39,51a)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수평 이동 홀더(31)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를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 탄성 부재(50)의 고정부(51)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의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탄성 부재(50)의 고정부(51)가 하부 수평 이동 홀더(35)에 고정되고, 지지부(52)가 렌즈 캐리어(40)의 하단에 고정되면, 렌즈 캐리어(40)는 하부 탄성 부재(5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40)에 감긴 수직 이동 코일(15)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부 탄성 부재(55)와 하부 탄성 부재(50)에 의해 렌즈 캐리어(40)는 항상 일정한 위치(원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20)이 수용된 렌즈 캐리어(40)는 베이스(10)의 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10a, 10b)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마찰부(10a, 10b)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10)의 사측 꼭짓점 또는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거나 일 모서리의 양 끝 꼭짓점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10a, 10b)가 베이스(10)의 사측 꼭짓점 또는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경우, 전원 인가시 렌즈 캐리어(40)의 사측 꼭짓점 또는 모서리는 각각 마찰부(10a, 10b)와 접촉한 상태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찰부(10a, 10b)가 베이스(10)의 일 모서리의 양 끝 꼭짓점에 각각 구비된 경우, 전원 인가시 렌즈 캐리어(40)는 마찰부(10a, 10b)가 위치하는 베이스(10)의 일 모서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마찰부(10a, 10b)와 접촉한 후 마찰부(10a, 10b)와 접촉한 상태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캐리어(4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베이스(10)의 내측에 형성된 마찰부(10a, 10b)와 접촉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수평 방향(x축, y축)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 캐리어(40)가 z축 방향으로 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10)에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며, 베이스(10)의 내측으로 구름 부재, 구체적으로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의 일부를 돌출시키는 수용홈(12a, 12b)이 형성되며,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는 베이스(10)의 외측으로부터 수용홈(12a, 12b)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 부재(14a, 14b)는 베이스(10)의 외측으로부터 수용홈(12a, 12b)에 수용된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를 커버할 수 있다.
수용홈(12a, 12b)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가 수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이 수용홈(12a, 12b)에 수용될 경우, 복수의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은 렌즈 캐리어(40)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에 적절한 구름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광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14a, 14b)는 베이스(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4a, 14b)는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를 수용홈(12a, 12b)에 수용하기 전 수용홈(12a, 12b)을 개방할 수 있도록 개폐 방식으로 베이스(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14a, 14b)는 베이스(10)와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4a, 14b)는 수용홈(12a, 12b)에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가 수용된 상태에서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가 수용홈(12a, 12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억지 끼움, 후크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으로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마찰부를 확대한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는 수용홈(12a, 12b)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의 일부만 베이스(10)의 내측으로 노출되며, 베이스(10)의 내측으로 노출된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는 렌즈 캐리어(40)의 외측과 구름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렌즈 캐리어(40)의 외측에는 구름 접촉된 구름 부재, 특히 구름 볼(13a)이 정상적인 접촉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홈이 렌즈 캐리어(4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캐리어(40)와 베이스(10)를 구름 접촉시키는 마찰부(10a, 10b) 내에는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의 원활한 구름 구동을 위한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다.
구름 부재와 커버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를 마찰부(10a, 10b) 내에 고정시키는 커버 부재(14a, 14b)의 내측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15a, 15b)이 마련될 수 있다. 벤트 홀(15a, 15b)은 커버 부재(14a, 14b)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주입된 윤활유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로서 역할하며, 특히 윤활유가 과도하게 주입된 경우에 과량의 윤활유가 벤트 홀(15a, 15b)에 수용되어,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의 구름 마찰력을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의 구름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트 홀(15a, 15b)은 구름 볼(13a) 또는 구름 롤러(13b)이 구르는 방향, 즉 렌즈 캐리어(40)의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며, 전원 인가시 상기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렌즈 캐리어; 및
    상기 렌즈 캐리어를 수용하는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캐리어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에 구름 접촉되며,
    상기 마찰부는,
    상기 렌즈 캐리어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 부재;
    상기 베이스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상기 구름 부재의 일부를 돌출시키는 수용홈; 및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구름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
    를 포함하는,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베이스의 사측 꼭짓점 또는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 모서리의 양 끝 꼭짓점에 각각 구비되는,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 부재는 구름 볼 또는 구름 롤러인,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이 형성되는,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0180163596A 2018-12-17 2018-12-17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27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96A KR102270567B1 (ko) 2018-12-17 2018-12-17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96A KR102270567B1 (ko) 2018-12-17 2018-12-17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212A true KR20200075212A (ko) 2020-06-26
KR102270567B1 KR102270567B1 (ko) 2021-06-30

Family

ID=7113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596A KR102270567B1 (ko) 2018-12-17 2018-12-17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5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146A (ko) * 2015-12-28 2016-01-18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70089504A (ko) * 2016-01-27 2017-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99513A (ko) * 2017-02-27 2018-09-05 (주) 엠디펄스 Ois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146A (ko) * 2015-12-28 2016-01-18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70089504A (ko) * 2016-01-27 2017-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99513A (ko) * 2017-02-27 2018-09-05 (주) 엠디펄스 Ois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567B1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6109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1825731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552969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US9304326B2 (en) Lens actuator
KR101717207B1 (ko) 복합 판 스프링 및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498356B1 (ko) 렌즈 액츄에이터
KR20180116965A (ko) 카메라 모듈 엑추에이터
US10018800B2 (en) Lens driving apparatus
KR20190116808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CN111295611A (zh) 透镜移动设备及包括其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3011258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광학 기기
KR2017003464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270567B1 (ko)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847433B1 (ko) 렌즈 구동장치
CN113194244A (zh) 光学元件驱动机构的上盖
KR20170047962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163058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006895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10036763A (ko) 렌즈 구동 장치
CN220208013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714294B2 (en) Camera module
CN217283127U (zh) 光学元件驱动机构的上盖
KR20170088543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10018718A1 (en) Lens drive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