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817A -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817A
KR20200074817A KR1020180163642A KR20180163642A KR20200074817A KR 20200074817 A KR20200074817 A KR 20200074817A KR 1020180163642 A KR1020180163642 A KR 1020180163642A KR 20180163642 A KR20180163642 A KR 20180163642A KR 20200074817 A KR20200074817 A KR 2020007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virtual game
wireless communication
virtual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663B1 (ko
Inventor
최이권
Original Assignee
모젼스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젼스랩(주) filed Critical 모젼스랩(주)
Priority to KR102018016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7Partially or entirely replaying previous game 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8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top view, e.g. radar screens or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watching a game played by other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접속된 스마트폰으로 게임에 참여하고, 게임 진행 내용을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변인들이 관전할 수 있도록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5G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게임에 대한 관전영상을 생성하는 게임제공서버와; 상기 게임제공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관전 영상을 출력하는 관전디스플레이; 그리고 5G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게임에서 할당된 캐릭터의 게임 수행 내역을 컨트롤하는 복수의 유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거리에 구비된 게임제공서버 및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상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유저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관람자들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 진행 상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거리 놀이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 VIRTUAL GAME PROVIDING SYSTEM FOR MULTIPLE ACCESS DEVICE USING 5G COMMUNICATION }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접속된 스마트폰으로 게임에 참여하고, 게임 진행 내용을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변인들이 관전할 수 있도록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산학연협력 클러스터 지원사업' 중 'DMC 4차산업혁명 지식클러스터'과제(과제번호 : KOITA-2018-지식13, 수행기간 : 2018.03.01 ~ 2018.12.31)를 수행함에 있어 산출된 결과물에 대한 발명이다.
5G는 4세대 LTE-Advanced에 이은 차세대 통신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5G(5generation)통신의 공식 용어는 IMT-2020이다.
5G 무선통신은 최고 전송 속도가 초당 1기가비트(Gbps) 수준으로, 초고화질 영상이나 3D 입체영상, 360도 동영상, 홀로그램 등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5G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표준이 확정된 것은 아니나,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가급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및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통해, 초고속, 대용량의 서비스가 포함된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다자간 접속을 요구하는 대용량 게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전적으로 온라인 게임이 접속자들 스스로 즐기는 영역에서 벗어나, 하나의 e스포화 됨에 따라 접속자들의 게임 수행 상황을 다수의 접속자가 관람하고 중계하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은 지 오래고, 이와 같은 증거로 TV 채널에 게임 중계채널이 선보인지 오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41180호에서는 다수의 단말기에서 게임을 진행하는 중 특정 단말기의 게임 중계 요청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단말기의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게임 상황을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게임 중계는 방법에서는 게임 수행 케릭터들이 포함되는 특정 시점에서 게임 진행상황을 관람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지적 관찰 시점을 통해 안정적인 중계화면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게임 진행 상황에 따라 생동감 있는 중계 화면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중계방송 등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게임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을 모든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게임 중계자가 게임 중계화면의 시점을 게임 진행내용에 따라 변화시켜 이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경우, 게임 진행 상황에 따른 생동감 있는 중계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나, 게임 진행에 대하여 숙련된 관리자가 있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길거리 버스킹과 같이, 공연자와 참여자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놀이문화가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대중문화의 일환으로 거리에 설치되어 일반 대중이 각자 보유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에 접속하고, 이에 대한 게임진행과정을 별도의 관리자 없이 생동감있게 관람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놀이 문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411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거리에 게임제공서버와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상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유저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관람자들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 진행 상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진행 상태를 대형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에 있어, 게임제공서버가 다수 접속자 케릭터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게임 수행 캐릭터를 관찰할 수 있는 최적의 시점을 산출하여 게임 가상현실을 출력하도록 하여, 생동감 있는 관전 화면을 관리자 없이 관람자들에게 제공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5G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게임에 대한 관전영상을 생성하는 게임제공서버와; 상기 게임제공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관전 영상을 출력하는 관전디스플레이; 그리고 5G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게임에서 할당된 캐릭터의 게임 수행 내역을 컨트롤하는 복수의 유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임제공서버는, 상기 유저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5G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부와; 접속된 상기 유저단말기에게 할당된 캐릭터 시점에서의 게임진행 영상인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과 관전시점에서의 게임진행 영상인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생성하는 출력화면 생성부와; 상기 접속된 유전단말기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화면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 및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각각 유저단말기 및 관전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가상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전시점은, 기 설정된 시야각을 중심으로,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모두 포함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한 경우, 상기 수행캐릭터를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보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한 경우, 상기 수행캐릭터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수행 캐릭터들의 정면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셋 이상인 경우, (A) 각각의 수행캐릭터의 중심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B) 각각의 수행캐릭터의 시선방향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각 수행캐릭터에 대한 시선방향벡터를 상기 중심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합하여 평균중심젝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평균중심벡터의 역방향벡터인 관전벡터를 상기 평균중심벡터방향으로 이동시켜, 기 설정된 시야각을 중심으로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하는 최소 이격거리인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상기 평균중심벡터 방향으로 상기 이동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관전벡터 방향을 관전시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거리에 구비된 게임제공서버 및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상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유저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관람자들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 진행 상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길거리 놀이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게임 진행 상태를 대형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에 있어, 게임제공서버가 다수 접속자 케릭터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게임 수행 캐릭터를 관찰할 수 있는 최적의 시점을 산출하여 게임 가상현실을 출력하므로, 관리자 없이도 게임 진행상황에 따른 생동감 있는 관전 화면을 관람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중계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임제공서버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유저화면 및 관전화면이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유저화면 및 관전화면이 출력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3인 이상의 유저가 접속된 경우, 관전화면의 출력시점을 산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객체 인덱싱을 통한 공연 시설물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임제공서버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유저화면 및 관전화면이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유저화면 및 관전화면이 출력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3인 이상의 유저가 접속된 경우, 관전화면의 출력시점을 산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은 관전디스플레이(100), 유저단말기(200) 및 게임제공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임제공서버(300)는 5G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된 상기 유저단말기(200)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게임에 대한 관전영상을 생성하는 게임서버로,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 제어부(320), 출력화면 생성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유저단말기(200)와 상기 게임제공서버(300)가 서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5세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유저단말기(200)들과 접속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3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접속된 유저단말기(200)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후술할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 및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각각 유저단말기(200) 및 관전디스플레이(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화면 생성부(330)는 상기 유저단말기(200)에 출력될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 및 상기 관전디스플레이(100)에 출력될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생성하는 부분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 및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의 생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은, 해당 유저단말기(200)에 할당된 캐릭터의 시선방향으로 바라보는 게임상의 가상공간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은, 관전시점에서 바라본 게임상의 가상공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관전시점은 게임의 진행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시점으로 게임의 참여 캐릭터의 수 및 게임 진행 내용에 따라 설정된다.
이하에서, 상기 관전시점의 구체적인 설정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관전시점은 가상 게임 공간상의 특정 위치 및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관전시점에서 바라본 가상 게임 공간 모습이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구성된다.
이에 상기 관전시점은 기본적으로, 기설정된 시야각을 중심으로,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모두 포함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에는 참여 캐릭터가 모두 포함되어, 각 캐릭터의 게임 수행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전시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한 경우, 상기 수행캐릭터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저단말기(200)들에는 각 캐릭터가 바라보는 시선에서의 가상게임모습이 출력되고, 상기 관전디스플레이(100)에는 양 캐릭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가상게임모습이 출력된다.
이때, 각 캐릭터 사이의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의 원근이 실시간으로 변화됨에 따라 관람자들은 역동성 있는 관전화면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또 다르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전시점이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한 경우, 상기 수행캐릭터를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보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 관전시점을 번갈아 적용하여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관전시점은,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보는 경우에 효과적인 관전 시점으로 가상 게임의 종류가 대전게임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복수의 게임참여자들이 공동의 미션을 수행하는 퀘스트 게임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관전시점의 설정은 게임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전시점 설정방법은, 상기 가상게임에 참여한 수행 캐릭터들이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수행 캐릭터들의 정면 방향으로 상기 관전시점이 설정될 수 있다.
즉, 각 캐릭터들이 대략 비슷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 이들 캐릭터들과 마주하는 방향에서 바라보는 시점을 상기 관전시점으로 하여, 상기 캐릭터들의 정면이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게임에 참여한 캐릭터들이 셋 이상 다수인 경우에 상기 관전시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캐릭터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이들 캐릭터들의 게임수행 내용을 최대한 넓게 살피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각 수행캐릭터(A,B,C)의 중심점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각 캐릭터 별 중심점에서 각 수행캐릭터의 시선방향을 벡터화(시선방향벡터, VA, VB, VC)하여, 해당 벡터를 상기 각 중심점들의 중심위치(P)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중심위치(P)에서 상기 시선방향벡터들(VA, VB, VC)의 평균값인 평균중심젝터(VP)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평균중심젝터(VP)의 역방향 벡터를 관전시점에 대한 관전벡터(VX)로 설정하고, 상기 관전벡터(VX)를 상기 평균중심벡터(VP)방향으로 점차 이격시켜, 기설정된 시야각(2α)을 중심으로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 모두가 포함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관전벡터(VX)의 방향이 관전시점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전시점은 많은 수의 게임 캐릭터들이 가상게임 공간상에 존재하는 경우, 특정 캐릭터에 치우치지 않고 모든 캐릭터들의 게임 수행 내용을 관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들의 위치 및 시선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관전시점이 실시간으로 변화되어, 생동감있는 관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3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관전디스플레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임제공서버(300)에서 생성된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에 설치할 수 있는 입식 형태의 대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기존 건축물 등에 설치된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단말기(200)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제공서버(300)에 접속하는 단말기로, 5세대 이동통신 규약에 따른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거리 보행중에 본 발명에 의한 관전디스플레이(100)를 발견하면, 앱 실행 등을 통해 상기 게임제공서버(300)에 접속하여, 가상게임에 참여할 수 있고, 또 이와 같은 가상게임은 관전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일반 행인들이 관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거리 놀이문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게임 제공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다말기(200)들이 게임제공서버(300)에 접속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0).
이때, 상기 유저단말기(200)의 접속은 앱 등의 실행프로그램을 통해 5세대 이동통신규약에 따라 이루어짐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게임제공서버(300)는 접속된 유저단말기(200)에 캐릭터를 할당하고, 해당 캐릭터가 포함된 게임용 가상현실을 생성한다(S200, S300).
이후, 상기 게임제공서버(300)는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유저단말기(200)에 제공하여 출력되도록 하고(S400),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관전디스플레이(100)에 제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500).
이때, 상기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 및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은 게임 진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생성되어 제공되고, 상기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관전시점의 설정 역시 실시간으로 새롭게 산출되어 적용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접속된 스마트폰으로 게임에 참여하고, 게임 진행 내용을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변인들이 관전할 수 있도록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거리에 구비된 게임제공서버 및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다수 접속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상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유저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관람자들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 진행 상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거리 놀이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관전디스플레이 200 : 유저단말기
300 : 게임제공서버 310 : 통신부
320 : 제어부 330 : 출력화면 생성부
3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5G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게임에 대한 관전영상을 생성하는 게임제공서버와;
    상기 게임제공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관전 영상을 출력하는 관전디스플레이; 그리고
    5G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게임에서 할당된 캐릭터의 게임 수행 내역을 컨트롤하는 복수의 유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제공서버는,
    상기 유저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5G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부와;
    접속된 상기 유저단말기에게 할당된 캐릭터 시점에서의 게임진행 영상인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과 관전시점에서의 게임진행 영상인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생성하는 출력화면 생성부와;
    상기 접속된 유전단말기들에게 가상게임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화면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저단말기용 출력화면 및 관전디스플레이용 출력화면을 각각 유저단말기 및 관전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가상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전시점은,
    기 설정된 시야각을 중심으로,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모두 포함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갱신되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한 경우, 상기 수행캐릭터를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보는 방향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가 둘이고, 두 캐릭터가 서로 마주한 경우, 상기 수행캐릭터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전시점은,
    상기 가상게임 수행 캐릭터들이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수행 캐릭터들의 정면 방향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KR1020180163642A 2018-12-17 2018-12-17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KR10230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42A KR102307663B1 (ko) 2018-12-17 2018-12-17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42A KR102307663B1 (ko) 2018-12-17 2018-12-17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817A true KR20200074817A (ko) 2020-06-25
KR102307663B1 KR102307663B1 (ko) 2021-10-01

Family

ID=7140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642A KR102307663B1 (ko) 2018-12-17 2018-12-17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8582A (zh) * 2021-07-15 2021-09-1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的战斗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2130568A1 (ja) * 2020-12-17 2022-06-2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実況画像表示支援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実況画像表示支援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180A (ko) 2017-12-14 2017-1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게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8254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영상 제공 장치 및 게임 영상 제공 방법
KR20180130270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가상현실 관전 모드를 이용한 게임 방송 시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254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영상 제공 장치 및 게임 영상 제공 방법
KR20180130270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가상현실 관전 모드를 이용한 게임 방송 시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41180A (ko) 2017-12-14 2017-1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게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0568A1 (ja) * 2020-12-17 2022-06-2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実況画像表示支援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実況画像表示支援方法
CN113398582A (zh) * 2021-07-15 2021-09-1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的战斗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663B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903B1 (en) Directional audio for virtual environments
CN109479010B (zh) 通过注视化身的私有通信
EP3265864B1 (en) Tracking system for head mounted display
US10092838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field-of-view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US6783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n interactive computer game with a broadcast television program
WO2020090786A1 (ja) 仮想空間中のアバター表示システム、仮想空間中のアバター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06218B2 (en) 3D videogame system
US7868847B2 (en) Immersive environments with multiple points of view
US20120162255A1 (en) Techniques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20210211632A1 (en) Three-dimension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hree-dimensional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462497B2 (en) Free viewpoint picture data distribution system
CN109478342B (zh) 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系统
WO2021106803A1 (ja) 授業システム、視聴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42145A1 (en) Reverse path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74817A (ko) 5g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중접속자 기반의 가상게임 제공 시스템
Robinett Interactivity and individual viewpoint in shared virtual worlds: the big screen vs. networked personal displays
JP2016034087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CN109996060B (zh) 一种虚拟现实影院系统及信息处理方法
KR102163601B1 (ko) 4d 상영관 시스템
Zheng et al. Metal: Explorations into sharing 3d educational content across augmented reality headsets and light field displays
KR102586011B1 (ko)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1086606A (ja) 授業システム、視聴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338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Mishra et al. Comparative Study of Cloud and Non-Cloud Gaming Platform: Apercu
CN110166825A (zh) 视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视频播放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