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724A -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 Google Patents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724A
KR20200074724A KR1020180163434A KR20180163434A KR20200074724A KR 20200074724 A KR20200074724 A KR 20200074724A KR 1020180163434 A KR1020180163434 A KR 1020180163434A KR 20180163434 A KR20180163434 A KR 20180163434A KR 20200074724 A KR20200074724 A KR 2020007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unit
road traffic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왕수
Original Assignee
(주)우신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특장 filed Critical (주)우신특장
Priority to KR102018016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724A/ko
Publication of KR2020007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연산된 거리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거리표시부와,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표시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인 도로교통차량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거리값이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어떠한 원인에 의해 교통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알리고, 현재 위치에서부터 해당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가 실시간으로 안내되는 도로교통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Road Transportation Vehicle for Guid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연산된 거리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거리표시부와,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표시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인 도로교통차량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거리값이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어떠한 원인에 의해 교통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알리고, 현재 위치에서부터 해당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가 실시간으로 안내되는 도로교통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로 위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여 교통 정체 현상을 겪게 된다. 교통 정체의 원인, 예를 들면 교통 사고, 차량 고장 등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의 부근의 차량 운전자는 육안으로 해당 원인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정체의 원인이 무엇 때문에 발생하였는지 알기 쉽지만, 교통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곳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운전자는 무슨 원인에 의해 도로 교통 정체가 나타나고 있는지 알 길이 없다.
차량의 유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 교통 정체의 원인이 심각하거나, 해당 문제의 해결이 뒤늦어질수록 교통 정체의 원인 발생지점에서부터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까지 긴 차량 정체가 발생하게 되고, 교통 정체 원인 발생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운전자는 수 킬로미터 앞에서 발생한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바, 단순한 병목현상으로 인하여 짧은 구간에서만 정체가 발생하는 것인지, 아니면 전방에 사고가 났는지, 사고가 났다면 얼마나 긴 정체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지 알 길이 없다.
라디오 방송이 도로의 정체 상황에 관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매번 같은 말만 되풀이하는 듯, 대표적인 도로명을 언급하고 정체와 서행을 반복하고 있다는 추상적인 말만을 전달하고 있어, 실제 운전을 하는 운전자에게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라디오 청취를 통해 제공받는 정보는 수많은 도로의 정보를 라디오 진행자들의 가십거리 중간에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개략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정확한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의 주기가 길어, 문제가 발생한 도로의 정보를 해당 도로상에 있는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운전자들은 라디오에서 전달되는 도로교통정보는 내가 운전하고 있는 장소 이외의 곳의 정보만 제공해 준다고 느끼고 있을 정도이다.
차량의 네비게이션을 통해 정체상황을 구간별로 표시해 주는 기술이 도입되어 있기는 하나, 정체 구간에 관한 개략적인 정보를 녹색, 붉은색 등의 색깔로 표현해 제공하고 있을 뿐, 이러한 정보가 실제 해당 구간을 지나는 차량 운전자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주지 못하고 있다.
기존에 나와 있는 기술들은 정체 구간에 들어서기 전의 차량이면서 해당 구간을 지나갈 예정인 운전자에게 해당 정체 구간을 피해 우회할 길을 모색할 기회를 어느 정도 제공하고 있지만, 해당 정체 구간에 이미 들어선 차량 운전자에게는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정보 표시 전광판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7207호(2017.01.17)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라디오 방송이나, 차량용 네비게이션 이외에, 도로상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광판이 설치되어 구간별 정체 구간의 거리를 안내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광판은 도로의 일정 지점에만 마련되어 있는바, 전광판이 위치한 해당 지점에서 떨어져 있는 운전자에게까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전광판의 설치 개소를 늘리면 되지 않느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겠으나, 전광판의 설치 개소를 늘리는 것은 많은 비용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주변 경관을 해치며, 유지 보수, 관리 감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를 낳는다.
정체 구간에 들어선 차량 운전자가 가장 알고 싶어하는 것은 해당 차량 정체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했는지와, 그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과 현재 자신의 위치와의 거리를 가늠하여 해당 정체를 얼마나 더 인내해야 할지 등일 것이다.
따라서 정체 구간에 들어선 차량 운전자에게 정체의 원인과 정체 원인이 발생한 지점과 자신과의 거리 등을 효과적으로 안내해 줄 수 있는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연산된 거리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여, 도로교통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해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이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정체 구간에 있는 차량 탑승자들에게 해당 정체의 원인과,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체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 등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연산된 거리값 등의 정보가 시야 방해 없이 주변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거리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정체 구간에 있는 차량 탑승자들에게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체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거리값 이외에 기호, 글자 등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원인에 의해 교통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기준좌표수신부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가변좌표수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교통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의 기준좌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하는 도로교통차량의 현재 위치인 가변좌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기준좌표를 보다 용이하게 수신하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입력부를 통한 직접 입력으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정하는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원격 통신이 어려운 상황 등에서 차량 탑승자의 조작으로 임의의 기준좌표를 설정할 수 있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변좌표수신부는, 위성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운행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값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신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도로교통차량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제 차량 운전자가 운행하게 될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특정 지점의 현장상황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장부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저장부와, 현장상황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장상황저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제 차량 운전자가 운행하게 될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특정 지점의 현장상황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해 불러오는 정보탐색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가져오고, 데이터의 분석 및 디스플레이부로 분석된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정보탐색부는, 상기 지도저장부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불러오는 지도추출모듈과, 상기 현장상황저장부로부터 현장상황데이터를 불러오는 현장상황추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지도데이터를 통해 실제 차량 운전자가 운행하게 될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특정 지점의 현장상황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 없이 필요한 문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현장상황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도추출모듈을 통해 불러들인 지도데이터 상에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가변좌표를 대응시키는 좌표대응모듈과, 상기 좌표대응모듈에 연결되어 지도데이터 상에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경로를 검색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경로탐색모듈에 연결되어 검색된 경로 가운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모듈과, 상기 경로선택모듈에 연결되어 선택된 경로의 거리값을 계산하는 거리값연산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수신된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실제 지도상에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 위치시키고 기준좌표와 가변좌표 간의 변위값이 아닌, 실제 거리값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연산된 거리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거리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기준좌표수신부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가변좌표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입력부를 통한 직접 입력으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정하는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변좌표수신부는, 위성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도로교통차량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저장부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저장부와, 현장상황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장상황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해 불러오는 정보탐색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정보탐색부는, 상기 지도저장부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불러오는 지도추출모듈과, 상기 현장상황저장부로부터 현장상황데이터를 불러오는 현장상황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도추출모듈을 통해 불러들인 지도데이터 상에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가변좌표를 대응시키는 좌표대응모듈과, 상기 좌표대응모듈에 연결되어 지도데이터 상에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경로를 검색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경로탐색모듈에 연결되어 검색된 경로 가운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모듈과, 상기 경로선택모듈에 연결되어 선택된 경로의 거리값을 계산하는 거리값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연산된 거리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여, 도로교통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해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이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정체 구간에 있는 차량 탑승자들에게 해당 정체의 원인과,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체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 등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연산된 거리값 등의 정보가 시야 방해 없이 주변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거리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정체 구간에 있는 차량 탑승자들에게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체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거리값 이외에 기호, 글자 등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원인에 의해 교통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기준좌표수신부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가변좌표수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교통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의 기준좌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하는 도로교통차량의 현재 위치인 가변좌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기준좌표를 보다 용이하게 수신하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입력부를 통한 직접 입력으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정하는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원격 통신이 어려운 상황 등에서 차량 탑승자의 조작으로 임의의 기준좌표를 설정할 수 있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가변좌표수신부는, 위성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운행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값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신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로교통차량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제 차량 운전자가 운행하게 될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특정 지점의 현장상황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저장부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저장부와, 현장상황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장상황저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제 차량 운전자가 운행하게 될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특정 지점의 현장상황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해 불러오는 정보탐색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가져오고, 데이터의 분석 및 디스플레이부로 분석된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보탐색부는, 상기 지도저장부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불러오는 지도추출모듈과, 상기 현장상황저장부로부터 현장상황데이터를 불러오는 현장상황추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지도데이터를 통해 실제 차량 운전자가 운행하게 될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특정 지점의 현장상황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 없이 필요한 문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현장상황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도추출모듈을 통해 불러들인 지도데이터 상에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가변좌표를 대응시키는 좌표대응모듈과, 상기 좌표대응모듈에 연결되어 지도데이터 상에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경로를 검색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경로탐색모듈에 연결되어 검색된 경로 가운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모듈과, 상기 경로선택모듈에 연결되어 선택된 경로의 거리값을 계산하는 거리값연산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수신된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실제 지도상에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 위치시키고 기준좌표와 가변좌표 간의 변위값이 아닌, 실제 거리값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정보 표시 전광판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위치정보수신부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제어부 및 저장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지도데이터 상에 기준좌표와 가변좌표를 대응시킴에 따라 경로가 탐색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도면.
도 7은 도로교통차량의 이동으로 가변좌표가 달라지면서 연산된 거리값의 변화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및 이동은 각 도면에 화살표로 표현된 방향에 따라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 본문 내에서 별도로 정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1)은 위치정보수신부(10), 제어부(30), 저장부(50), 입력부(70), 디스플레이부(8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위치정보수신부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란, 도로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 등을 가리키며, 예를 들어 도로공사 지점, 병목 현상 지점, 사고 발생 지점, 고장 차량 발생 지점 등 문제가 되는 특정 지점의 위치를 의미한다.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1)은 도로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도로상의 정체 원인 파악 등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담당 구역을 나누어 수시로 해당 구역을 순찰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차량(1)은 이러한 정기적인 순찰업무 이외에도, 교통 사고 등이 접수가 되면 긴급출동업무 등도 수행하게 되는데, 도로교통차량(1)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한 특정 지점을 목적지로 하여 출동할 때, 상기 목적지의 위치 정보가 전술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지점의 문제 발생 사실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 신고 접수 내용을 통해 해당 정보를 획득하거나, CCTV 등의 감시수단을 통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란, 현재 도로교통차량(1)이 위치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뜻한다. 도로교통차량(1)은 순찰 또는 출동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을 할 수 있기에, 상기 도로교통차량(1)의 현재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는 고정된 값인 기준좌표가 되고,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는 고정되지 않은 값인 가변좌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는 목적지로 볼 수 있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도로교통차량(1)의 현재 위치 정보를 모두 수신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는 기준좌표수신부(11)와 가변좌표수신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좌표수신부(11)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구성을 말하며, 상기 기준좌표란, 후술할 가변좌표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변하지 않는 좌표를 의미한다. 상기 기준좌표수신부(11)는 외부 장비로부터 이러한 기준좌표를 전달받게 되고, 수신한 기준좌표를 후술할 제어부(30)로 보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기준좌표수신부(11)는 통신모듈(111)과 입력모듈(113)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111)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외부란, 차량이 아닌 다른 장소를 말하며, 예를 들어 도로공사, 경찰청, 소방서, 국민안전처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에서 도로의 특정 지점의 사고 발생 신고 등을 접수하게 되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통신모듈(111)이 설치된 도로교통차량(1)으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가 전달된다.
상기 입력모듈(113)은, 입력부(70)를 통한 직접 입력으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는 반드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전송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사고 등이 발생한 특정 지점의 위치가 파악되면, 차량 탑승자의 인위적인 입력에 따라 사고 등이 발생한 지점을 특정 지으면 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모듈(113)은 특정 지점의 위치를 파악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 정보를 차량 탑승자 스스로가 입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가변좌표수신부(13)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로교통차량(1)의 현재 위치 정보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수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좌표수신부(13)는 위성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위성망이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 봄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좌표란, 상기 기준좌표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실시간으로 변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상기 가변좌표수신부(13)는 GPS 위성 등에 의해 현재 도로교통차량(1)의 실시간으로 변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가변좌표를 전달받아 후술할 제어부(30)로 보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 및 저장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는 상기 제어부(30)와 연결이 되는바,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의 기준좌표수신부(11)를 통해 수신된 기준좌표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의 가변좌표수신부(13)를 통해 실시간으로 달라지는 도로교통차량(1)의 위치 좌표인 가변좌표를 전달받아 이들을 대상으로 연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연산되는 값은, 설정된 기준좌표와 상기 가변좌표의 거리값이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값이란, 현재 도로교통차량(1)이 위치한 위치, 즉 가변좌표에서, 수신된 기준좌표까지 이르는 경로의 거리를 수치화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체 구간에 위치한 차량 탑승자들에게 현재 위치에서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까지 운행하게 될 실질적인 거리를 안내해야 하는바,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까지 직선의 변위값이 아닌 거리값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때, 도로교통차량(1)이 운행중일 경우 상기 가변좌표는 계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바, 상기 거리값 역시 이에 따라 계속적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탐색부(31) 및 처리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탐색부(31)는, 후술할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해 불러오는 구성으로, 이러한 상기 정보탐색부(31)는, 지도추출모듈(311)과 현장상황추출모듈(313)을 포함한다.
상기 지도추출모듈(311)은, 저장부(50)의 지도저장부(51)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불러오는 구성을 말한다.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까지의 거리값은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를 직선으로 이어 측정한 변위값이 아니며, 차량 운행이 가능한 지도상의 도로 위의 경로를 따라 측정한 거리값인바, 이러한 거리값의 계산을 위해서는 도로가 표현된 지도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지도추출모듈(311)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를 통해 기준좌표와 가변좌표를 얻게 되면, 상기 기준좌표와 가변좌표를 표시할 지도데이터를 불러오게 된다.
상기 현장상황추출모듈(313)은, 저장부(50)의 현장상황저장부(53)로부터 현장상황데이터를 불러오는 구성을 말한다.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까지의 거리값만으로는 교통 정체의 원인인 특정 지점의 상황에 관한 설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바, 다양한 현장상황정보를 가지고 있는 현장상황데이터 가운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와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거리값 이외에 기호, 글자 등이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33)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처리의 의미에 관하여 설명하면, 단순히 상기 제어부(30)에 입력된 데이터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8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30)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거리값 등을 계산해 후술할 디스플레이부(8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 등의 모든 작업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33)는, 좌표대응모듈(331), 경로탐색모듈(333), 경로선택모듈(335), 거리값연산모듈(337)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대응모듈(331)은, 상기 지도추출모듈(311)을 통해 제어부(30)로 불러들인 지도데이터 상에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가변좌표를 대응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도추출모듈(311)을 통해 저장부(50)의 지도저장부(51)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제어부(30)가 획득하게 되면, 상기 좌표대응모듈(331)은 제어부(30)에 수신된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지도상에 각각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 연산하게 되고 이들을 지도데이터 상에 대응시킨다.
상기 경로탐색모듈(333)은, 상기 좌표대응모듈(331)에 연결되어 지도데이터 상에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경로를 검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좌표대응모듈(331)을 통해 지도데이터에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대응되면, 상기 경로탐색모듈(333)은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를 검색하게 된다.
도 5는 지도데이터 상에 기준좌표와 가변좌표를 대응시킴에 따라 경로가 탐색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를 통해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수신되고, 상기 지도추출모듈(311)을 통해 수신된 기준좌표와 가변좌표에 대응되는 지도데이터가 제어부(30)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좌표대응모듈(331)을 통해 지도데이터 상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좌표와 가변좌표 지점이 정해지게 된다. 이후 상기 경로탐색모듈(333)은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를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로선택모듈(335)은, 상기 경로탐색모듈(333)에 연결되어 검색된 경로 가운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되는 경로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는바, 상기 경로선택모듈(335)은 최단거리 등과 같은 일정 조건하에 자동으로 경로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50)를 통해 도로교통차량(1) 운전자가 자신이 운전하게 될 경로를 스스로 선택하면, 입력부(50)로부터 전달된 명령에 따라 경로를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거리값연산모듈(337)은, 상기 경로선택모듈(335)에 연결되어 선택된 경로의 거리값을 계산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가변좌표는 도로교통차량(1)의 이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바, 상기 거리값연산모듈(337)은 기준좌표와 가변좌표의 거리 차이를 지속적으로 계산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50)는,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50)는, 지도저장부(51), 현장상황저장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저장부(51)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지도데이터란, 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를 통해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정해지게 되면, 상기 정보탐색부(31)의 지도추출모듈(311)은 상기 지도저장부(51)를 서치하여 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현장상황저장부(53)는, 현장상황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현장상황데이터란, 현장의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문구 등, 예를 들어 '전방사고발생', '전방도로공사', '전방병목지점' 등 교통 정체의 원인이 된 특정 지점의 현장 상황을 설명한 정보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상기 현장상황저장부(53)에는 각각의 현장 상황을 표현하는 정보를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다가, 후술할 입력부(70)를 통한 차량 탑승자의 특정 현장 상황 정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탐색부(31)의 현장상황추출모듈(313)은 상기 현장상황저장부(53)를 서치하여 해당 현장 상황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70)는,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데이터란,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의 입력모듈(113)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기준좌표 수신을 대신하여 직접 입력하는 기준좌표 및 디스플레이부(80)에 출력되는 거리값 이외에 기호, 글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라고 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70)는 이러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80)는,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0)는 도로의 정체 구간에 위치하여 정체의 원인을 알지 못하는 운전자 등에게 해당 정체가 무엇에 의한 것인지, 해당 정체의 발생 원인이 되는 지점은 현재 위치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도로교통차량(1)이 제공하는 정보를 주변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80)는 거리표시부(81)와 상황표시부(83)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표시부(81)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7은 도로교통차량의 이동으로 가변좌표가 달라지면서 연산된 거리값의 변화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7의 (a)에서는 기준좌표와 가변좌표가 지도데이터상에 대응이 되고 다양한 경로 가운데에서 상기 경로선택모듈(37)에 의해 어느 한 경로가 선택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거리값연산모듈(39)은 그 거리값을 계산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도 7의 (b)에서는 도로교통차량(1)의 이동으로 인하여 가변좌표가 달라진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거리값연산모듈(39)을 통해 계산된 거리값 역시 달라져서 디스플레이부(80)에 다른 수치를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달라지는 가변좌표에 따라 상기 거리값연산모듈(39)은 지속적으로 달라지는 가변좌표에 따른 거리값을 계산해 내어, 계산된 상기 거리값이 디스플레이부(80)의 상기 거리표시부(81)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상황표시부(83)는,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로 거리값을 계산해 표시하는 것만으로는 교통 정체 구간에 있는 차량 탑승자에게 상기 거리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달하기 어렵고, 교통 정체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지 주변에 알릴 필요가 있기에, 도로교통차량(1)의 탑승자가 문제가 되는 현장상황을 인지하고 해당 상황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현장상황데이터를 추출할 것을 입력부(7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제어부(30)의 현장상황추출모듈(313)은 현장상황저장부(53)에 기 저장된 데이터 가운데 해당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상황표시부(83)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리표시부(81)와 상황표시부(83)의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 아래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는 등 다양한 모든 개념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현재 해당 도로는 차량 정체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차량 정체의 원인이 되는 지점은 도시된 도로 지점에서 전방에 926m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해당 원인은 교통사고인데, 본 발명인 도로교통차량(1)이 없다면, 도 8 구간의 운전자들은 차량 정체의 원인을 알지못하고, 그 정체의 원인이 발생한 지점과 현재 자신의 위치와의 거리를 가늠하여 해당 정체를 얼마나 더 인내해야 하는지조차 알 수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도로교통차량(1)이 갓길 등을 통해 주행하면서 정체구간을 지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현재 도로교통차량(1)의 위치 대비 정체 원인 발생지점까지의 거리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정체 구간에 있는 차량의 탑승자들은 지나가는 도로교통차량(1)의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현재 정체의 원인과, 정체 원인 발생 지점까지의 거리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10 : 위치정보수신부 11: 기준좌표수신부
13: 가변좌표수신부 30: 제어부
31: 정보탐색부 33: 처리부
50: 저장부 51: 지도저장부
53: 현장상황저장부 70: 입력부
80: 디스플레이부 81: 거리표시부
83: 상황표시부

Claims (13)

  1.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거리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연산된 거리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거리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장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수신부는,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기준좌표수신부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가변좌표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좌표수신부는, 입력부를 통한 직접 입력으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좌표로 정하는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좌표수신부는, 위성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가변좌표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차량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저장부와, 현장상황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장상황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해 불러오는 정보탐색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탐색부는, 상기 지도저장부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불러오는 지도추출모듈과, 상기 현장상황저장부로부터 현장상황데이터를 불러오는 현장상황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도추출모듈을 통해 불러들인 지도데이터 상에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가변좌표를 대응시키는 좌표대응모듈과, 상기 좌표대응모듈에 연결되어 지도데이터 상에 가변좌표에서 기준좌표에 이르는 경로를 검색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경로탐색모듈에 연결되어 검색된 경로 가운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모듈과, 상기 경로선택모듈에 연결되어 선택된 경로의 거리값을 계산하는 거리값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KR1020180163434A 2018-12-17 2018-12-17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KR20200074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434A KR20200074724A (ko) 2018-12-17 2018-12-17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434A KR20200074724A (ko) 2018-12-17 2018-12-17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724A true KR20200074724A (ko) 2020-06-25

Family

ID=7140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434A KR20200074724A (ko) 2018-12-17 2018-12-17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95B1 (ko) * 2021-07-29 2021-11-04 (주)파란아이티 도로상황 안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95B1 (ko) * 2021-07-29 2021-11-04 (주)파란아이티 도로상황 안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0616A1 (en) Destination changes in autonomous vehicles
US20180023966A1 (en) Route search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04936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future vehicle actions to be performed by an autonomous vehicle
JP4470873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US11378980B2 (en) Cellular device location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vehicles
JP7061634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防災システムおよびインテリジェント防災方法
CN102629423A (zh) 机场滑行道碰撞报警系统
US10614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autonomous vehicle confidence levels
CN111757288A (zh) 道路交通环境中的感知基站及其消息发送方法、装置
EP3147882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JP201417813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交差点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交差点案内方法
KR101403661B1 (ko) 차량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070143009A1 (en) Navigation device
JP2005339094A (ja) 入場情報提供装置及び入場情報利用端末装置
KR102284660B1 (ko)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4724A (ko)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도로교통차량
US10896676B2 (en) Server system, informat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KR100519628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차량 단말기, 그리고 경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및 경로 안내 정보 요청 방법
KR102492016B1 (ko) 가변속도표지정보를 가변속도구간정보로 구성하여 내비게이션이 가변속도 변경구간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JP2006003169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のプログラム
KR101087487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교통정보 표시방법
JP2011039696A (ja) 交通情報案内装置及び交通情報案内プログラム
US20240175693A1 (en)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evacuation route cre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KR100934118B1 (ko) 도로 주변의 교통 및 도로시설물을 제어하기 위한다기능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102600313B1 (ko) 교차로 통행 정보 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