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478A -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 Google Patents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4478A KR20200074478A KR1020180162901A KR20180162901A KR20200074478A KR 20200074478 A KR20200074478 A KR 20200074478A KR 1020180162901 A KR1020180162901 A KR 1020180162901A KR 20180162901 A KR20180162901 A KR 20180162901A KR 20200074478 A KR20200074478 A KR 202000744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luetooth earphone
- charging
- charging device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01M2/027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유선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harging.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은 MP3플레이어와 같은 음악 재생 기기나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으로 음악을 듣거나 음성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므로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Bluetooth wireless earphones have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because they allow users to listen to music wirelessly or make voice calls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usic playback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phones.
특히 사용자가 운동이나 운전을 할 때,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하면 양손이 자유롭게 되어 편리성이나 안정성이 증대된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exercising or driving, using the Bluetooth earphone, both hands are freed to increase convenience and stability.
최근에 출시된 블루투스 이어폰은 별도의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전용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장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The recently released Bluetooth earphones are charged by attaching Bluetooth earphones to a dedicated Bluetooth earphone case with a separate charging battery.
하지만, 사용자는 항상 전용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를 소지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충전이 필요할 때마다. 전용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를 찾아 뚜껑을 열고 블루투스 이어폰을 장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the user must not only have a dedicated Bluetooth earphone case at all times, but also whenever charging is required. It was inconvenient to find the dedicated Bluetooth earphone case and open the lid to install the Bluetooth earphone.
또한, 전용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에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별도의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built in the dedicated Bluetooth earphone case is discharge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charging must be performed by connecting a separate charging cabl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dless and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and wired charg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이어폰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충전 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loss of Bluetooth earphones and minimizing user inconvenience when charging.
본 발명은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s.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는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2 수용부와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선 충전 플러그와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와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각각에 장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제1 충전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o second receiving unit to which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are mounted and a wired charging plug for receiving pow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units and the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wired charging plug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to second accommodating parts may include a first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luetooth earphone mounted on each.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배치되어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discharged disposed inside the cable.
또한, 상기 케이블 및 배터리는 연성일 수 있다.Also, the cable and battery may be flexible.
또한, 상기 배터리는 3차원 구조의 다공성 물질에 전자적 특성을 가지는 잉크를 투여하여 형성된 연성 배터리일 수 있다.Further, the battery may be a flexible battery formed by administering an ink having electronic properties to a porous material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2 충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충전 단자와 상기 제1 충전 단자가 연결되면, 상기 제1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have a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whe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re connected,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charg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It can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전력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 charging plug may include a USB plug with a power line.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USB 플러그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may include a first slide adjuster formed to expose the USB plug to the outside or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외부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커넥터가 상기 외부 단말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단말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에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 charging plug includes a terminal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may be suppli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nector. have.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단말 커넥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may include a second slide adjuster formed to expose the terminal connect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r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는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2 수용부와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선 충전 플러그와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와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각각에 장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제1 충전 단자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o second receiving unit to which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are mounted and a wired charging plug for receiving pow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units.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d charging plug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to second accommodating parts may include a first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luetooth earphone mounted on each, and a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원통형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원통형으로 상기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s include a cylindrical outer wall, and the receiving antenna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wall in the 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배치되어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In addition, it is disposed inside the cable and include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discharged.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신 수신된 전력 및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전력 중 어느 하나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The battery may be charged using any one of power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antenna and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d charging plug.
또한, 상기 케이블 및 배터리는 연성일 수 있다.Also, the cable and battery may be flexible.
또한, 상기 배터리는 3차원 구조의 다공성 물질에 전자적 특성을 가지는 잉크를 투여하여 형성된 연성 배터리일 수 있다.Further, the battery may be a flexible battery formed by administering an ink having electronic properties to a porous material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2 충전 단자를 구비하고,In addition,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have a second charging terminal,
상기 제2 충전 단자와 상기 제1 충전 단자가 연결되면, 상기 제1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re connected,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전력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 charging plug may include a USB plug with a power line.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USB 플러그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조절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may include a first slide adjuster formed to expose the USB plug to the outside or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외부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커넥터가 상기 외부 단말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단말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에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 charging plug includes a terminal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may be suppli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nector. have.
또한,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단말 커넥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조절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may include a second slide adjuster formed to expose the terminal connect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r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탄성 고무 재질일 수 있다.Further, the first to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a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based 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n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은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이어폰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충전 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loss of a Bluetooth earphone in advance and minimizing user inconvenience when charging.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이다.
도 2a는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충전 플러그(15)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충전 플러그(15)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수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의 수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ired
2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ired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d/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wired or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earphone wir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d/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pparatu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s" and "parts"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mselve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하드웨어적이 구성 요소-예를 들면, 회로 소자,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센서 등을 포함함-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해당 구성 요소의 일부 기능 또는 전체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components (for example, including circuit elements, microprocessors, memories, sensors, etc.),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some functions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being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It includes all that is formed by placing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기능이 탑재된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파워 송신기, 무선 파워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파워 전송 장치, 무선 파워 전송기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기능이 탑재된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파워 수신 장치, 무선 파워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 device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on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transmitter, a transmitter, and a transmit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ransmitting s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etc.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In addition,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wireless power receiver,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wireless power receiver, a receiving terminal, a receiving sid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an expression of a device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 receiving device, a receiver, and the lik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파워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pad form, a cradle form, an AP (Access Point) form, a small base station form, a stand form, a ceiling buried form, a wall-mounted form, etc., and one transmitter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You can also transmit power. To this end, the transmitter may include at least on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ans.
여기서,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은 전력 송신단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단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전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Qi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표준 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ans, a variety of radio power transmission standards based o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a coil of a power transmitting end and charges it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in which electricity is induced in a coil in a receiving e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may be used.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tandard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tandard technology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defined by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Qi and Power Matters Alliance (PMA), which ar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standards bod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1개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파워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ing means, and may also receive wireless power from one or more transmitters.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기기라면 족하다.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MP3 player, electric It may be used in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toothbrushes, electronic tags, lighting devices, remote controllers, fishing float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device is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apable of battery charging Is enough.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이다.1 is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10)를 간단히 충전 장치라 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necklace type Bluetooth
충전 장치(10)는 제1 블루투스 이어폰(1) 및 제2 블루투스 이어폰(2)가 장착되는 제1 수용부(12) 및 제2 수용부(13), 상기 제1 수용부(12)와 제2 수용부(13)가 연결되는 연성 케이블(14) 및 연성 케이블(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한 유선 충전 플러그(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연성 케이블(14)은 내부 도선이 배치되어 유선 충전 플러그(15)와 제1 수용부(12) 및 제2 수용부(1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13) 내부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와이어 형태의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 충전 플러그(15)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연성 케이블(13)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휘어지지거나 접을 수 있는 프랙시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A battery in the form of a wire capable of charging/discharging may be disposed inside the
연성 케이블(13)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는 유연성과 자유도를 가지도록 3차원 구조의 다공성 물질(예를 들면, 목재 펄프 기반의 에어로겔(aerogel) 물질, 나노셀룰로오스(nanocellulose) 물질)을 전자적 특성을 가지도록 처리-예를 들면,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잉크를 다공성 물질에 투여-하여 획득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휘어지지거나 접을 수 있는 프랙시블 배터리이면 족하다.The battery disposed inside the
연성 케이블(13)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머 재질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테플론(Tefl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기타 중합체(polymeric)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연성 케이블(13)은 방수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제1 수용부(12) 및 제2 수용부(13)의 일측에는 각각 충전 장치(10)와 블루투스 이어폰(1, 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A charging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arging
블루투스 이어폰(1,2)이 수용부(12, 13)에 안착되면, 블루투스 이어폰(1,2)에 구비된 제1 충전 단자와 수용부(12, 13)에 구비된 제2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성 케이블(13)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블루투스 이어폰(1,2)으로 공급되어 블루투스 이어폰(1, 2)에 구비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충전 장치(10)은 블루투스 이어폰(1, 2)의 안전한 휴대뿐만 아니라 충전기 및 보조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충전 장치(10)은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배터리 내장형 전용 충전 케이스 없이도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harging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충전 장치(10)은 블루투스 이어폰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충전 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도 2a는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충전 플러그(15)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ired charging
도 2a의 도면 번호 210을 참조하면, 유선 충전 플러그(15)는 연성 케이블(14)의 일단에 구비되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2A, the wired charging
유선 충전 플러그(15)는 도면 번호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 구비된 USB 단자에 USB 플러그(18)를 연결하여 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다.The wired charging
도면 번호 220의 도면 번호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충전 플로그(15)는 본체(16)의 일측에 구비되며 USB 플러그(18)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본체(1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조절부(17)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본체(16)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조절부(17)의 조작에 따라 USB 플러그(18)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도 2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충전 플러그(15)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ired charging
도 2b의 도면 번호 230을 참조하면, 유선 충전 플러그(15)는 연성 케이블(14)의 일단에 구비되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2B, the wired charging
유선 충전 플러그(15)는 도면 번호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18)와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단말 커넥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d charging
사용자는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 구비된 USB 단자에 USB 플러그(18)를 연결하여 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다.The user can charge the
또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에 구비된 연결 단자에 단말 커텍터(20)를 연결하여 휴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by connecting the
도면 번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충전 플로그(15)는 본체(16)의 일측에 구비되고, 단말 커넥터(20)는 본체(16)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0, the wired charging
도면 번호 240의 도면 번호 10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충전 플로그(15)는 USB 플러그(18)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본체(1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조절부(17)와 단말 커넥터(2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본체(1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조절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6)의 내부에는 USB 플러그(18) 및 단말 커넥터(2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수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의 도면 번호 3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수용부(12, 13)는 원통형의 외벽(311), 제1 단자(312) 및 제2 단자(313), 제1 단자(312) 및 제2 단자(313)가 배치되며 외벽(311)과 연접하는 밑판(3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312)는 플러스(+) 단자이고, 제2 단자(313)는 마이너스(-) 단자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실시 예로, 외벽(311) 및 밑판(314)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벽(311)은 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삽입된 블루투스 이어폰이 이탈을 방지하여 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상기 도 1의 블루투스 이어폰(1, 2)의 본체(331) 일측에는 도면 번호 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자(332) 및 제4 단자(33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자(312)는 + 단자이고, 제4 단자(313)는 - 단자일 수 있다.A
블루투스 이어폰(1, 2)의 본체(331)가 수용부(12, 13)의 외벽(311) 내부로 삽입되면, 도면 번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의 제1 단자(312)와 블루투스 이어폰의 제3 단자(3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장치의 제2 단자(313)와 블루투스 이어폰의 제4 단자(3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도 3에서는 제1 단자(312) 및 제2 단자(313)의 크기가 제3 단자(332) 및 제4 단자(333)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동일하거나 더 작게 설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izes of the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는 충전 장치의 수용부에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된 형태를 보여준다.Figure 4 shows a Bluetooth earphone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는 수용부(421), 제1 내지 제2 단자(422), 제1 제어 회로(423), 연성 케이블(425) 및 제1 배터리(4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는 + 단자이고, 제2 단자는 - 단자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 the form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블루투스 이어폰은 본체(411), 제3 내지 제4 단자(413), 제2 제어 회로(414), 제2 배터리(415), 제어기(416), 안테나(417), 스피커(418) 및 램프(4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자는 + 단자이고, 제4 단자는 - 단자일 수 있다.The Bluetooth earphone includes a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본체(411)가 수용부(421)에 내부에 장착되면 제1 단자 및 제2 단자(422)는 각각 동일 극성의 제3 단자 및 제4 단자(413)과 전기적으로 자동 연결될 수 있다.4, when the
이를 위해, 수용부(421)의 형태는 블루투스 이어폰 본체(411)의 외형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이어폰은 수용부(421)의 형태에 맞게 특정 방향으로만 삽입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손쉽게 동일 극성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hape of the receiving
도면 번호 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421)는 블루투스 이어폰 본체(412)의 특정 영역의 형태에 대응하게 성형되므로 블루투스 이어폰의 삽입 방향이 자동 식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50, the receiving
제1 제어 회로(423)는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되면, 제1 배터리(424)에 충전된 전력이 제1 내지 제2 단자(422)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Bluetooth earphone is mounted, the
제2 제어 회로(414)는 제3 내지 제4 단자(413)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제2 배터리(415)를 충전할 수 있다.The
제2 제어 회로(414)는 과전압/과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차단하는 회로, 과열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는 회로, 수신된 전력을 제2 배터리(424)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기(416)는 안테나(417)를 통해 휴대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안테나(417)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418)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The
또한, 제어기(416)는 제2 배터리(415)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를 램프(419)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 예로, 제어기(416)는 램프(419)를 통해 제2 배터리(415)의 현재 잔량-예를 들면, 만충 상태, Low Battery 상태-, 충전 진행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500)는 제어기(510), 센서(520), 이어폰 충전 단자(530), 유선 충전 플러그(540), 스위치(550) 및 연성 배터리(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harging
센서(520)는 이어폰 충전 단자(530)에 블루투스 이어폰의 충전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기(5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또한, 센서(520)는 유선 충전 플러그(540)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기(51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기(510)는 센서(5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5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기(510)는 이어폰 충전 단자(530)에 블루투스 이어폰의 충전 단자가 연결된 경우, 배터리(560)에 저장된 전력이 이어폰 충전 단자(530)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Bluetooth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다른 일 예로, 제어기(510)는 유선 충전 플러그(540)에 외부 전원에 연결된 경우, 외부 전원을 통해 배터리(560)가 충전되도록 스위치(550)를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여기서, 유선 충전 플러그(540)는 전력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wired charging
상기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블루투스 이어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조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ovide a function as a secondary battery as well as a function as a charger for charging a Bluetooth earphon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수단만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력이 블루투스 이이폰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으로 변환된 후 충전 장치의 수용부에 장착된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인가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ly with a wireless charging means, in this case,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is converted to the power required by the Bluetooth earphone, and then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Charging may be performed by being applied to the Bluetooth earphon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수단 및 유선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 장치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수신기 및(또는) 유선 충전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장치의 수용부에 장착된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할 수도 있다.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means and a wired charging terminal,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may no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attery.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may charge the Bluetooth earphone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using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and/or the wired charging terminal.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수단 및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력이 배터리에 충전된 후 충전 장치의 수용부에 장착된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인가되어 블루투스 이어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means and a battery, in this case,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is charged to the battery and then applied to the Bluetooth earphone moun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The Bluetooth earphone may be charged.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유선 충전 단자만이 구비되어 유선 충전 단자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면 충전 장치의 수용부에 장착된 블루투스 이어폰이 충전될 수도 있다.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with only a wired charging terminal, and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wired charging terminal, the Bluetooth earphone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may be charged.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d/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뮤선 충전 장치(600)를 간단히 유무선 충전 장치라 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necklace type Bluetooth earphone wired/
유무선 충전 장치(600)는 제1 블루투스 이어폰(1) 및 제2 블루투스 이어폰(2)가 장착되는 제1 수용부(610) 및 제2 수용부(620), 상기 제1 수용부(610)와 제2 수용부(620)가 연결되는 연성 케이블(630) 및 연성 케이블(6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 전력을 공급 받거나 외부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선 충전 플러그(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d/
연성 케이블(630)은 내부 도선이 배치되어 유선 충전 플러그(640)와 제1 수용부(610) 및 제2 수용부(6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630)의 내부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와이어 형태의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 충전 플러그(640)와 외부 전원이 연결되면 연성 케이블(630)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휘어지지거나 접을 수 있는 프랙시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A battery in the form of a wire capable of charging/discharging may be disposed inside the
실시 예로, 연성 케이블(630)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는 유연성과 자유도를 가지도록 3차원 구조의 다공성 물질(예를 들면, 목재 펄프 기반의 에어로겔(aerogel) 물질, 나노셀룰로오스(nanocellulose) 물질)을 전자적 특성을 가지도록 처리-예를 들면,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잉크를 다공성 물질에 투여-하여 획득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휘어지지거나 접을 수 있는 프랙시블 배터리이면 족하다.As an embodiment, the battery disposed inside the
연성 케이블(630)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머 재질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테플론(Tefl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기타 중합체(polymeric)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연성 케이블(630)은 표면 방수 처리가 되어 방수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제1 수용부(610) 및 제2 수용부(610)의 내부 일측에는 각각 유무선 충전 장치(600)와 블루투스 이어폰(1, 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A charging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d/
또한, 제1 수용부(610) 및 제2 수용부(610)의 외벽 일측에는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원통 형태의 수신 코일(611, 621)이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cylindrical receiving coils 611 and 621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s of the
물론, 제1 수용부(610) 및 제2 수용부(620)의 일측에는 수신 코일(611, 621)을 통해 수신되는 교류 전력 신호를 처리하여 연성 케이블(630)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각종 회로 소자 및 제어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one side of the first
일 예로, 회로 소자는 교류 전력 신호를 직류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정류기, 정류기 출력 직류 전력을 배터리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circuit elem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rectifier for converting an AC power signal into a DC power signal,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rectifier output DC power into a specific DC power required by the battery, and the like. .
블루투스 이어폰(1,2)이 수용부(610, 620)에 안착되면, 블루투스 이어폰(1,2)에 구비된 제1 충전 단자와 수용부(610, 620)에 구비된 제2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성 케이블(630)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블루투스 이어폰(1,2)으로 공급되어 블루투스 이어폰(1, 2)이 충전될 수 있다.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유무선 충전 장치(600)는 블루투스 이어폰(1, 2)의 안전한 휴대뿐만 아니라 유선 충전 기능, 무선 충전 기능 및 보조 배터리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ecklace-type wired/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의 수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wired or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의 도면 번호 7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의 수용부(610, 620)는 원통형의 외벽(711), 제1 단자(712) 및 제2 단자(713), 일면에 제1 단자(712) 및 제2 단자(713)가 배치되며 외벽(311)과 연접하는 밑판(314), 외벽(711)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수신 코일(715) 및 외벽(711)의 내면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차폐재(7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712)는 + 단자이고, 제2 단자(713)은 - 단자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실시 예로, 외벽(711) 및 밑판(714)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벽(711) 및 차폐재(716)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수용부(610, 620)의 내부에 삽입된 블루투스 이어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도 7의 블루투스 이어폰(1, 2)의 본체(731) 일측에는 도면 번호 7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자(732) 및 제4 단자(73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자(712)는 + 단자이고, 제4 단자(713)는 - 단자일 수 있다.A
블루투스 이어폰(1, 2)의 본체(731)가 수용부(610, 620)의 외벽(611) 내부로 삽입되면, 도면 번호 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610, 620)의 제1 단자(712)와 블루투스 이어폰(1,2)의 제3 단자(7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용부(610, 620)의 제2 단자(713)는 블루투스 이어폰(1,2)의 제4 단자(7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도 7에서는 제1 단자(712) 및 제2 단자(713)의 크기가 제3 단자(732) 및 제4 단자(733)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동일하거나 더 작게 설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izes of the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earphone wir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은 유무선 충전 장치의 수용부에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된 형태를 보여준다.Figure 8 shows a Bluetooth earphone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wired or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형태의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는 수용부(821), 제1 내지 제2 단자(822), 제1 제어 회로(823), 제1 배터리(824), 연성 케이블(425), 수신 코일(826) 및 차폐재(8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는 + 단자이고, 제2 단자는 - 단자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wired/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차폐재(827)는 수신 코일(826)에 유도되는 전자기장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내부 회로 소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블루투스 이어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블루투스 이어폰은 본체(811), 제3 내지 제4 단자(813), 제2 제어 회로(814), 제2 배터리(815), 제어기(816), 안테나(817), 스피커(818) 및 램프(8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자는 + 단자이고, 제4 단자는 - 단자일 수 있다.The Bluetooth earphone includes a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본체(811)가 유뮤선 충전 장치의 수용부(421) 내부에 장착되면 제1 단자 및 제2 단자(822)는 각각 동일 극성의 제3 단자 및 제4 단자(8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when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본체(811)가 수용부(821)에 내부에 장착되면 제1 단자 및 제2 단자(822)는 각각 동일 극성의 제3 단자 및 제4 단자(813)과 전기적으로 자동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이를 위해, 수용부(821)의 형태는 블루투스 이어폰 본체(811)의 외형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이어폰은 수용부(821)의 형태에 맞게 특정 방향으로만 삽입되므로, 사용자의 별도 조작 및 주의 없이도 손쉽게 동일 극성의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hape of the receiving
도면 번호 8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821)는 블루투스 이어폰 본체(811)의 특정 영역의 형태에 대응하게 성형되므로 블루투스 이어폰의 삽입 방향이 자동 식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50, the receiving
제1 제어 회로(823)는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되면, 제1 배터리(824)에 충전된 전력이 제1 내지 제2 단자(822)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Bluetooth earphone is mounted, the
제1 제어 회로(823)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결되면, 수신 코일(826)를 통해 수신되는 교류 전력 신호를 직류 전력 신호로 정류하고, 정류된 직류 전력 신호를 제1 배터리(824)에 의해 요구되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배터리(824)를 충전시킬 수 있다.When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또한, 제1 제어 회로(823)는 유무선 충전 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유선 충전 플러그(640)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면, 유선 충전 플러그(640)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으로 제1 배터리(824)가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power is connected to the wired charging
또한, 제1 제어 회로(823)는 블루투스 이어폰(1, 2)에 구비된 제2 배터리(815)의 현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 회로(823)와 제2 제어 회로(814)는 상호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Further, the
또한, 제1 제어 회로(823)는 블루투스 이어폰(1, 2)에 구비된 제2 배터리(815)의 충전량이 동일한 레벨을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제2 제어 회로(814)는 제3 내지 제4 단자(813)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제2 배터리(815)를 충전할 수 있다.The
제2 제어 회로(814)는 과전압/과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차단하는 회로, 과열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는 회로, 수신된 전력을 제2 배터리(824)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기(816)는 안테나(817)를 통해 휴대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안테나(817)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818)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The
또한, 제어기(816)는 제2 배터리(815)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를 램프(819)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816)는 램프(819)를 통해 제2 배터리(815)의 현재 잔량-예를 들면, 만충 상태, Low Battery 상태-, 충전 진행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920)는 원통형 수용부(911), 원통형 수용부(911)에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송신 코일(922) 및 거치대(9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물론 무선 전력 송신기(920)는 무선 전력 수신기 감지 시 외부 전원(미도시) 또는 내부 배터리 전원(미도시)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류 전력 신호가 송신 코일(922)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가 구비됨을 주의해야 한다.Of course, the
거치대(923)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910)가 배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실시 예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뮤선 충전 장치(910)의 수용부(911)에 블루투스 이어폰이 삽입 장착된 경우,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910)는 구비된 수신 코일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이어폰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Bluetooth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다른 실시 예로,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910)의 수용부(911)에 블루투스 이어폰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유무선 충전 장치(910)는 구비된 수신 코일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유무선 충전 장치(910)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Bluetooth earphone is not mounted to the receiving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d/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유무선 충전 장치(1000)는 수신 안테나(1001), 정류기(1002), DC/DC 변환기(1003), 배터리(1004), 변/복조기(1005), 제어기(1006), 센서(1007), 스위치(1008), 이어폰 충전 단자(1009) 및 유선 충전 플러그(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wired/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1000)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와 각종 신호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대역외 통신으로 각종 신호 및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The wired/
일 예로, 인밴드 통신인 경우, 변/복조기(1005)에는 수신 안테나(1001)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 신호를 내부 변조 스위치 제어를 통해 진폭 변조하여 수신 안테나(1001) 또는 별도의 통신용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전송하는 진폭 변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band communication, the modulator/
또한, 변/복조기(1005)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교류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기(1006)에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dulator/
반면, 대역외 통신이 사용되는 경우, 대역외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ut-of-band communication is u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out-of-band communication.
수신 안테나(1001)는 인덕터와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수신 안테나(1001)을 통해 수신되는 교류 전력 신호는 정류기(1002)로 전달될 수 있다.The AC power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정류기(1002)는 수신 안테나(1001)를 통해 전달 받은 교류 전력 신호를 직류 전력 신호로 변환하여 DC/DC 변환기(1003)에 전송할 수 있다.The
제어기(1006)는 DC/DC 변환기(1003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자동 부팅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When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DC/DC converter 10030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DC/DC 변환기(1004)는 제어기(1006)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류기(1002)의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배터리(1004)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세기의 DC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DC/
센서(1007)는 이어폰 충전 단자(1009)에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기(1006)에 전달할 수 있다.The
또한, 센서(1007)는 유선 충전 플러그(1010)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기(1006)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기(1006)는 센서(1007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1008)를 제어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기(1006)는 이어폰 충전 단자(1009)에 블루투스 이어폰의 충전 단자가 연결된 경우, 배터리(1004)에 저장된 전력이 이어폰 충전 단자(1009)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의 내부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Bluetooth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harging terminal 1009, the
다른 일 예로, 제어기(1006)는 유선 충전 플러그(1010)에 외부 전원에 연결된 경우, 외부 전원을 통해 배터리(1004)가 충전되도록 스위치(1008)를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여기서, 유선 충전 플러그(1010)는 전력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상기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100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외부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ired/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장치(1000)는 내부 배터리가 구비된 별도의 블루투스 이어폰 전용 케이스가 없이도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ir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0)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선 충전 플러그;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와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각각에 장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제1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First to second receiving units to which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are mounted;
A wired charging plu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receive power; And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the wired charging plug
Including,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having a first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luetooth earphone mounted to each.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배치되어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According to claim 1,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 discharged disposed inside the cable.
상기 케이블 및 배터리는 연성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able and battery are flexibl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s.
상기 배터리는 3차원 구조의 다공성 물질에 전자적 특성을 가지는 잉크를 투여하여 형성된 연성 배터리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battery is a flexible earphone formed by administering ink having electronic properties to a porous material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2 충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충전 단자와 상기 제1 충전 단자가 연결되면, 상기 제1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have a second charging terminal,
Whe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is connected,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to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전력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wired charging plug is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USB plug with a power line.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USB 플러그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6,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lide control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to expose the USB plug to the outside or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외부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커넥터가 상기 외부 단말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단말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에 공급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wired charging plug includes a terminal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When the termin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nector.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단말 커넥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8,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slide adjust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to expose the terminal connect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r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선 충전 플러그;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와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각각에 장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제1 충전 단자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First to second receiving units to which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are mounted;
A wired charging plu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receive power; And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the wired charging plug
Including,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having a first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luetooth earphone mounted to each and a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원통형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원통형으로 상기 외벽에 배치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cylindrical outer wall, the receiving antenna is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disposed on the outer wall in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배치되어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신 수신된 전력 및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전력 중 어느 하나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It is disposed inside the cable and include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discharged.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battery is charged by using any one of power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antenna and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d charging plug
상기 케이블 및 배터리는 연성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cable and battery are flexibl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s.
상기 배터리는 3차원 구조의 다공성 물질에 전자적 특성을 가지는 잉크를 투여하여 형성된 연성 배터리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3,
The battery is a flexible earphone formed by administering ink having electronic properties to a porous material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2 충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충전 단자와 상기 제1 충전 단자가 연결되면, 상기 제1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제1 내지 제2 블루투스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s have a second charging terminal,
Whe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is connected,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to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cond Bluetooth earphone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전력 라인이 구비된 USB 플러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d charging plug is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USB plug with a power line.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USB 플러그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6,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lide control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to expose the USB plug to the outside or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는 외부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커넥터가 상기 외부 단말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단말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에 공급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wired charging plug includes a terminal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When the termin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nector.
상기 유선 충전 플러그의 본체 일측에는 상기 단말 커넥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8,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slide adjust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charging plug to expose the terminal connect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r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상기 제1 내지 제2 수용부는 탄성 고무 재질인 블루투스 이어폰 충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o second receiving portion is a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2901A KR20200074478A (en) | 2018-12-17 | 2018-12-17 |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2901A KR20200074478A (en) | 2018-12-17 | 2018-12-17 |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4478A true KR20200074478A (en) | 2020-06-25 |
Family
ID=7140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2901A KR20200074478A (en) | 2018-12-17 | 2018-12-17 |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7447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76808A (en) * | 2021-08-12 | 2021-11-19 |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Bluetooth headset and headset box |
-
2018
- 2018-12-17 KR KR1020180162901A patent/KR20200074478A/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76808A (en) * | 2021-08-12 | 2021-11-19 |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Bluetooth headset and headset box |
CN113676808B (en) * | 2021-08-12 | 2023-09-12 |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 Bluetooth headset and headset box interaction-base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74761B2 (en) | Composite table lighting structure for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 |
US7855528B2 (en) | Power supply for portable apparatuses | |
EP2186180B1 (en) | Intelligent device and power source interaction | |
KR100736053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power sharing by induction method | |
US20100001683A1 (en) | Charging apparatus,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thereof | |
KR101725905B1 (en) | The secondary battery is built-in wired and wireless chargers | |
US20140197784A1 (en) | Wireless side charging | |
KR101477429B1 (en) | Coil apparatus, 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thereof and wireless power receiver having thereof | |
CN110933549B (en) | Wireless earphone, charging box and wireless earphone charging system | |
US9276436B2 (en) | Wireless charger for mobile devices with flexible platform and method | |
CN110994718A (en) | Wireless earphone, charging box and wireless earphone charging system | |
CN107210610A (en) | Wireless charging power station | |
US9153997B2 (en) | Charging device and associated electrical appliances | |
US9531213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CN104065145B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its charging method | |
CN204167924U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1251316B1 (en) | Power supply for charging a battery | |
KR101712647B1 (en) | Auxiliary battery for wirelessly charging and discharging | |
KR20200074478A (en) | Necklace-type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 |
US20220069600A1 (en) | Du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er | |
KR20100010649U (en) | St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display regular position in non-contact charging | |
WO2022046295A1 (en) | Du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er | |
US9543771B2 (en) | Telescopic transmission c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CN201733141U (en) | Electronic device | |
CN205986257U (en) | Novel bluetooth earpho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