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851A -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851A
KR20200073851A KR1020180162488A KR20180162488A KR20200073851A KR 20200073851 A KR20200073851 A KR 20200073851A KR 1020180162488 A KR1020180162488 A KR 1020180162488A KR 20180162488 A KR20180162488 A KR 20180162488A KR 20200073851 A KR20200073851 A KR 2020007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maranth
skin whiten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096B1 (ko
Inventor
최찬기
정경태
백현
채가연
전병국
오지정
Original Assignee
(주) 아마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마란스 filed Critical (주) 아마란스
Priority to KR102018016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0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란스(Amara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comprising Amaranth extracts}
본 발명은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마란스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한 추출물로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는 크게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 intrinsic aging)와 광 노화(photoaging)로 나눌 수 있는 데, 자연 노화는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노화이고 광 노화는 생활 속에서 햇빛에 노출되어 생기는 노화이다.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에 노출되면 피부에서는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생성되고, 과잉 생성된 활성산소는 산화작용을 일으켜 세포막, DNA 그리고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 질, 다당류 및 핵산과 반응하여 세포에 손상을 주고 피부 노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성분으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등이 알려져 있다.
노화에 의해 나타나는 조직적인 변화로는 피부의 각 구조별로 차이가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표피의 두께가 얇아 지고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가 편평해지며 탄력섬유의 수도 감소하게 되어 주름이 생기게 된다.
또한, 피부의 주름형성은 근본적으로 나이가 들거나 자외선의 영향으로 피부의 노화가 진행됨으로써 진피층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변화에 관련한다. 피부의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이 줄어들게 되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 주름이 형성되게 된다.
UV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멜라닌은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서 표피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 존재하는 멜라노코르틴 1 리셉터(melanocortin 1 receptor, MC1R)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α-멜라노사이트 스티뮬레이팅 호르몬(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이 결합하여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PKA(protein kinase A) 경로에 의해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이 증가되면서 형성된다. 또한 전구물질인 티로신(tyrosine) 단백질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L-DOPA(3,4-dihydroxyphenylalanin)로 전환되는 가수분해과정과 L-DOPA를 DOPA quinone(phenylanine-3,4-quinone)로 전환시키는 산화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중에 침착되어 "검버섯", "주근깨" 로 발전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미백 화장품으로 다양한 소재가 이용되었으나,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피부 부작용이 없는 천연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KR 10-170010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한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아마란스(Amara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은 아마란스 잎 추출물, 아마란스 꽃잎 추출물, 아마란스 줄기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 익모초(Leonurus siviricus) 추출물, 백선(Dictamnus dasycarpus) 추출물, 인동덩굴(Lonicerajaponica) 추출물,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 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아마란스(Amara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아마란스(Amaranth)는 비름과(Amaranthus spp. L.)에 속하는 일년생 유사화곡류(pseudo-cereal)로서, 쌍자옆 식물(Lee 등 1996a)에 속하며, 다른 곡류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주 지방산은 리놀렌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함된 단백질 15 내지 16%중에는 lysine과 황 함유 아미노산이 풍부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Lee 등 1996a), 국내에서는 관상용으로 강원 일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고, 독특한 맛과 영양가치가 높아, 종실 부분 은 국수, 비스킷 등의 식품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 아마란스 종자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아마란스 잎, 줄기와 같은 부산물을 채소 형태로 소비되고 있을 뿐, 특별한 활용 없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아마란스 잎, 아마란스 꽃잎 및 아마란스 줄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이용한 추출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로 알코올 또는 비극성 용매인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이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추출 용매로 사용 가능한 용매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아마란스 추출물 이외에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 익모초(Leonurus siviricus) 추출물, 백선(Dictamnus dasycarpus) 추출물, 인동덩굴(Lonicerajaponica) 추출물,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늘타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흑산도 등 남부 다도해 섬 지방)과 중부지방의 구릉지나 숲 가장자리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그 뿌리에서 전분을 빼내어 식용으로 쓰며, 한방에서는 열매와 뿌리를 타박상 어혈황달피부병 등의 약재로 쓰고, 과피는 기침약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익모초는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1년 또는 1년생 초본으로서, 한국 각지에 분포하며, 그 전초를 익모초라 지칭하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레오누린 (Leonurine), 스타키드린(stachydrine), 레오누리딘(leonuridine), 레오누리닌(leonurinine), 등의 알칼로이드(Alkaloid), 라우인산(lauric acid), 레 놀렌산(linolenic acid), 올레산(oleic acid), 스테롤 (Sterol), 루틴(rutin)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월경불순, 출산 출혈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상기 백선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높이는 90cm 안팎이고 굵은 뿌리가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자란다.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만주, 몽고,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생약으로는 백선의 근피를 백선피(白鮮皮)라 하며, 북방에서는 봄과 가을, 남방에서는 여름에 채취하 여 흙을 털어내고 깨끗이 씻은 후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굵은 뿌리를 싱싱할 때 세로로 잘라 코르크층인 목심부 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백선피는 원통모양이고 길이 510 cm, 지름 12 cm, 두께 13 mm이며 잔뿌리 가 있다. 바깥 면은 황백색 또는 엷은 갈색이고 매끄러우며, 안쪽 면은 엷은 황색이고, 질은 부드러워 쉽게 부러지며 꺾은 면은 유백색 또는 엷은 황색이고 층 모양을 나타낸다. 육이 두텁고 색이 회백색이며 단면은 층층이 나뉜 것이 좋으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다. 민간에서 거풍(風), 조습(燥濕), 해열(解熱), 해독(解毒), 옴, 피부습진, 류머티즘으로 인한 통증, 황달 등의 치료에 사용하였다.
상기 인동덩굴은 폐, 위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어 급성 열병으로 인한 발열, 열독으로 인하여 생긴 적리, 큰 종기, 종독, 간질, 급성 전염병, 갈증해소, 옴, 혈액보충, 장염, 세균성 이질, 홍역, 이하선염, 패혈증, 맹장염, 유행성 B형 뇌염, 유행성 뇌척수막염, 담도감염, 급성인 후염, 매독에서 오는 가래톳, 골수염, 급성유선염, 유방암, 비인암, 중만기 암환자의 재감염, 인후부종류(咽喉 部腫瘤), 농약중독, 폐렴, 젖먹이 어린이 설사, 화농성 질환, 자궁경미란, 눈 급성 염증, 두드러기, 외상감염, 어린이 땀띠, 감기, 나력, 치루, 일사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백화사설초는 한의학뿐만 아니라, 민간요법으로도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어온 한방약제의 하나이다.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 Willd)는 중국의 남부, 동남아시아, 제주도의 울창하고 그늘진 숲속에서 자생하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식물로 중국 전통의학에서 간암, 폐암, 직장암의 치료, 해열, 해독에 사용되어 왔다. 백화사설초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베툴린(Betulin), 베툴릭산(Betulinic acid), 우루솔릭산(Ursolic acid),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베타-글리시레티닉산(β-Glycyrretinic acid), 펜타-쿠마릭산(ρ-Coumaric acid), 글루코사이드(Glucoside), 헨트리아콘테인 (Hentriacontane) 등이 있으며 항암활성, 항염증효과 및 항바이러스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 하늘타리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백선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및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마란스 추출물에 하늘타리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백선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혼합함에 따라,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의 피부 미백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며, 하늘타리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백선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및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은 아마란스 잎 추출물, 아마란스 꽃잎 추출물, 아마란스 줄기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늘타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백선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인동덩굴 추출물 40 내지 60 중 및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간의 혼합 작용에 의해 피부 미백 효과의 상승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 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 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주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푼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아마란스 추출물의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아마란스 추출물의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에는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아마란스 추출물의 제조
아마란스 잎을 깨끗하게 세척한 이후, 건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한 아마란스 잎 20g을 헥산 400ml에 넣고 9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3,000 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pore size가 0.45 ㎛인 여과지로 부유물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아마란스 잎 헥산 추출물(ALHE)을 제조하였다.
또한, 아마란스 줄기도 같은 방식으로 아마란스 줄기 추출물(ASHE)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며, 추출용매를 헥산에서 70% 에탄올로 변경한 이후, 아마란스 잎 에탄올 추출물(ALEE) 및 아마란스 줄기 추출물(ASEE)를 제조하였다.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하늘타리를 건조하고, 분쇄한 이후, 분쇄한 하늘타리 100g을 류수 2,000 ㎖에 넣어 90℃에서 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3,000 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pore size가 0.45 ㎛인 여과지로 부유물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하늘타리 열수 추출물(TWE)를 제조하였다.
익모초 추출물(SWE), 백선 추출물(DWE), 인동덩굴(LWE) 및 백화사설초(OWE)도 하늘타리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ALHE, ASHE, ALEE, ASEE), 하늘타리 추출물(TWE), 익모초 추출물(LWE), 백선 추출물(DWE), 인동덩굴(LWE) 및 백화사설초(OWE)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범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ALHE 100 100 100 100 - - - - - - - - - - - -
ASHE - - - - 100 100 100 100 - - - - - - - -
ALEE - - - - - - - - 100 100 100 100 - - - -
ASEE - - - - - - - - - - - - 100 100 100 100
TWE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SWE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DWE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LWE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OWE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30 40 60 8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피부 미백 효과 실험]
세포 내 melanin 생성 저해 실험 방법
B16F10 세포계를 이용하여 세포 내 melanin 생성량을 정상군과 비교하여 저해율을 구하였다. 35mm dish에 1X105 세포를 1 내지 3일 배양하였다. melanin 생성을 유발하기 위해 배지에 α-MSH 또는 3-isobutyl-1-methylanthine (IBMX)를 처리하여 melanin 생성 과정을 촉진시켰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침전된 세포에 1N 수산화나트륨 용액 150 μl를 넣고 80 ℃ 항온조에서 용해하고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회수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합성 멜라닌을 이용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멜라닌의 양을 계산하였다.
아마란스 추출물(ALHE, ASHE, ALEE, ASEE), 하늘타리 추출물(TWE), 익모초 추출물(LWE), 백선 추출물(DWE), 인동덩굴(LWE) 및 백화사설초(OWE)에 대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각각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 및 3과 같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Concentration (mg/ml) (-)α-MSH (ug/ml) (+)α-MSH (ug/ml) 멜라닌
생성율(%)
멜라닌 생성 저해율(%)
Control 0 268.1 637.6 100 0
Arbutin 0.1 370.4 58.1 41.9
TWE 0.1 500.1 78.4 21.6
LWE 1.0 399.2 62.6 37.4
DWE 1.0 249.4 39.1 60.9
LWE 1.0 240.6 37.7 62.3
OWE 1.0 431.7 67.7 32.3
  Concentration (mg/ml) (-)IBMX
(ug/ml)
(+)IBMX
(ug/ml)
멜라닌
생성율(%)
멜라닌 생성 저해율(%)
Control 0 5.7 19.3 100 0
Arbutin 0.2 7.9±2.6 40.93 59.07
ALHE 0.01 4.4±1.8 60.10 39.90
ALEE 0.01 4.1±2.6 21.24 78.76
ASHE 0.01 4.3±2.8 55.26 44.74
ASEE 0.01 4.1±3.6 20.68 79.32
상기 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마란스 추출물(ALHE, ASHE, ALEE, ASEE), 하늘타리 추출물(TWE), 익모초 추출물(LWE), 백선 추출물(DWE), 인동덩굴(LWE) 및 백화사설초(OWE)에 대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각 추출물에 대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4는 복합 추출물에 대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멜라닌 생성 저해율(%) 23.41 88.21 87.14 57.21 32.14 79.24 82.42 42.57 40.54 62.54 63.45 52.14 48.54 72.54 71.48 41.54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복합 추출물로 구성 시,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내에서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다만, 범위 값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복합 추출물로 구성에 의해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가 상승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아마란스(Amara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은 아마란스 잎 추출물, 아마란스 꽃잎 추출물, 아마란스 줄기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란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 익모초(Leonurus siviricus) 추출물, 백선(Dictamnus dasycarpus) 추출물, 인동덩굴(Lonicerajaponica) 추출물,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162488A 2018-12-14 2018-12-14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7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88A KR102178096B1 (ko) 2018-12-14 2018-12-14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88A KR102178096B1 (ko) 2018-12-14 2018-12-14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51A true KR20200073851A (ko) 2020-06-24
KR102178096B1 KR102178096B1 (ko) 2020-11-12

Family

ID=7140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488A KR102178096B1 (ko) 2018-12-14 2018-12-14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46B1 (ko)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리베코스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한 쓴풀, 서양고추나물 및 하늘타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313A (ja) * 1997-10-21 1999-05-11 Nonogawa Shoji Kk 美白用皮膚外用剤
KR20020047760A (ko) * 2000-12-14 2002-06-22 김광석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KR20100059033A (ko) * 2008-11-25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백화사설초, 대황,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700105B1 (ko) 2014-12-31 2017-01-26 주식회사 유니솔브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056747A (ko) * 2015-11-13 2017-05-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마란스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아마란스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37544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313A (ja) * 1997-10-21 1999-05-11 Nonogawa Shoji Kk 美白用皮膚外用剤
KR20020047760A (ko) * 2000-12-14 2002-06-22 김광석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KR20100059033A (ko) * 2008-11-25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백화사설초, 대황,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700105B1 (ko) 2014-12-31 2017-01-26 주식회사 유니솔브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056747A (ko) * 2015-11-13 2017-05-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마란스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아마란스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37544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46B1 (ko)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리베코스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한 쓴풀, 서양고추나물 및 하늘타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096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745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90083083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EP1793792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opecia and seborrheic skin disorders
KR102178096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989B1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JP3938693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並びに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20082974A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081433A (ko) 양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3935360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並びに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JP4261571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並びに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102434150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76746B1 (ko) 꽃을 포함하는 혼합 화장료 조성물
KR102342410B1 (ko) 비정제당 벌노랑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그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5081A (ko) 지모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또는 지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이소망기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