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723A -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723A
KR20200073723A KR1020180162218A KR20180162218A KR20200073723A KR 20200073723 A KR20200073723 A KR 20200073723A KR 1020180162218 A KR1020180162218 A KR 1020180162218A KR 20180162218 A KR20180162218 A KR 20180162218A KR 20200073723 A KR20200073723 A KR 2020007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kerage
benefit
distributed resource
distributed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723A/ko
Publication of KR2020007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자원의 유형별로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부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하는 기본편익요소 산출부;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하는 추가편익요소 산출부;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을 연산하는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 상기 분산자원의 발전량, 상기 기본편익요소 및 상기 추가편익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편익(B)을 연산하는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 및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 및 편익(B)을 기반으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ECONOMIC ANALYSIS METHOD BY DISTRIBUTED ENERGY RESOURCE TYP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산자원 중개 시장 도입 시, 분산자원 유형별로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발전사업자(의무대상자)가 공급하는 전력 중에서 일정 부분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정부는 2001년부터 신재생에너지원별로 차등하여 지원하던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 Tariff: FIT)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RPS 제도를 도입하였다.
최근 들어, 정부는 선진국 수준의 신재생 보급 확대를 목표로 RPS 의무 비율을 상향 조정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 및 풍력을 향후 신재생 중점 전원으로 육성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RPS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다수 국가가 전력 판매사업자에게 공급의무를 부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력공사가 유일한 판매사업자로 경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공급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공급 의무 이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는 신재생에너지설비에서 생산된 전력임을 증명하는 문서로서, 해당 공급인증서에는 신재생에너지공급자 및 발전설비,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공급량 및 공급기간, 유효기간 등이 기록되며, 공급인증기관이 개설한 거래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고, 의무대상자가 정부에 공급인증서를 제출(의무이행)하면 공급인증서는 폐기된다.
정부는 전원별 기술경제성, 산업, 환경, 정책 등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신재생에너지원 간 경쟁유도 및 균등발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별 가중치를 차등적으로 부여하여 공급인증서를 발급한다. 예컨대, 정부는 태양광에너지의 경우, 설치유형에 따라 0.7 내지 5의 가중치를 공급인증서에 부여하고 있고, 기타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설치 유형에 따라 0.25 내지 5의 가중치를 공급인증서에 부여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거래소 또는 한전 등에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자 하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은, RPS 제도에 참여하는 절차와 RPS 공급인증서 발급대상 설비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절차들을 완료한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의 수입(또는 수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된 전력을 전력 시장에 판매하여 획득하는 전력시장가격(System Marginal Price, SMP)과 공급 의무자에 판매하여 획득하는 공급인증서(REC) 가격을 통해 산정된다. 여기서, SMP는 급전 전일 이루어지는 가격결정발전계획에서 주어진 제약조건들을 만족하며 총 발전 비용이 최소가 되는 당일 발전량 배분을 통해 결정된다. REC는 신재생 발전설비의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 수준으로 발급되어 가치를 인정받는다.
현재까지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력시장가격(SMP) 및 공급인증서(REC) 가격과, 우선급전(Must-Run) 혜택을 통해 신재생발전사업자의 발전설비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우선급전(Must-Run)은 가격결정발전계획에서 발전량 배분 시, 비용에 상관없이 우선적으로 배분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기존의 보상 체계에서는, 신재생 발전설비의 특성인 출력 변동성 및 출력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를 전력계통 내의 화력발전이 담당하고 있으며, 신재생 발전설비의 확산이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미래에는 그 제어 비중이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분산자원 중개사업자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출력 변동성 및 출력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분산자원 중개 시장 도입 시, 분산자원 중개사업자가 단독 태양광시스템 또는 복합 태양광시스템을 매집하여 분산자원 중개 시장에 참여할 경우, 중개사업자 또는 정부 입장에서 해당 중개사업자의 사업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분산자원 중개 시장 도입 시,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고려하여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분산자원 중개 시장 도입 시, 단독 태양광시스템을 매집하여 중개하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와 복합 태양광시스템을 매집하여 중개하는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부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하는 기본편익요소 산출부;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하는 추가편익요소 산출부;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ost)을 연산하는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 상기 분산자원의 발전량, 상기 기본편익요소 및 상기 추가편익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편익(Benefit)을 연산하는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 및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 및 편익(B)을 기반으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를 포함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부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하는 단계;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분산자원의 발전량, 상기 기본편익요소 및 상기 추가편익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편익(B)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 및 편익(B)을 기반으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부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하는 과정;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을 연산하는 과정; 상기 분산자원의 발전량, 상기 기본편익요소 및 상기 추가편익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편익(B)을 연산하는 과정; 및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 및 편익(B)을 기반으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분산자원 중개사업 비즈니스 모델을 전력 시장에 도입하는 경우, 분산자원 유형별로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보상을 고려하여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제성 분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국가 전체의 전력 거래 시장을 담당하는 정부 또는 전력 거래소는, 분산자원 중개사업 비즈니스 모델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들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RPS 제도 참여절차와 RPS 공급인증서 발급대상 설비확인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신재생발전사업자의 수입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개사업자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가편익요소 산출부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의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의 구성 블록도;
도 10은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 분석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 분석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분산자원 중개 시장 도입 시,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고려하여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분산자원 유형은 단독 태양광시스템과 복합 태양광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독 태양광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태양광발전소(Photovoltaics, PV)만을 포함하는 태양광시스템을 지칭하고, 복합 태양광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태양광발전소(PV)와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포함하는 태양광시스템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개사업자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개사업자 비즈니스 모델은 중개사업자들이 소규모 분산자원을 갖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을 모집하여 하나의 태양광시스템(또는 하나의 신재생 발전설비)으로 전력거래소에 입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여기서,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은 태양광발전소(PV)만을 소유하는 발전사업자이거나 혹은 태양광발전소(P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소유하는 발전사업자를 포함한다.
분산자원 중개사업자들은 단독 태양광시스템을 중개하는 사업자(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독 PV 중개사업자'라 칭함)와 복합 태양광시스템을 중개하는 사업자(이하, 설명의 편의상 '복합 PV 중개사업자')로 구분될 수 있다. 단독 PV 중개사업자들은 태양광발전소 매집 운용 효과를 통해 신재생 발전설비들의 출력 변동성 및 출력 불확실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PV 중개사업자들은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하거나 혹은 별도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여 신재생 발전설비들의 출력 변동성 및 출력 불확실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거래소에서는 신재생 발전설비들의 출력 안정성에 대한 기여를 인센티브(incentive) 형태로 해당 중개사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개사업자 비즈니스 모델을 전력 거래 시장에 도입함으로써, 중개사업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소규모 신재생발전사업자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정부 입장에서는 신재생 발전설비들의 출력 안정성을 담보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향후 중개사업자 비즈니스 모델이 적용된 분산자원 중개 시장 도입 시, 분산자원 중개사업자가 단독 태양광시스템 또는 복합 태양광시스템을 매집하여 분산자원 중개 시장에 참여할 경우, 중개사업자 또는 정부 입장에서 해당 중개사업자의 사업성 및 경제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추가편익요소 산출부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120), 기본편익요소 산출부(130), 추가편익요소 산출부(140),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0),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0) 및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기술 DB(111), 발전 DB(112), 기상 DB(113), 설비 DB(114), 비용 DB(115), 기본편익요소 DB(116) 및 추가편익요소 DB(117)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 DB(111)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의 발전설비에 관한 정보와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분산자원들(PV, ESS)의 기술 데이터(또는 스펙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술 DB(111)는 중개사업자들의 발전설비에 관한 정보와 중개사업자들이 관리하고 있는 분산자원들(PV, ESS)의 기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 데이터는 PV 모듈 효율 데이터, ESS 충/방전 효율 데이터, PV 효율 저하율 데이터, ESS 효율 저하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전 DB(112)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이 소유하는 태양광발전소(PV)의 태양광 발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발전 DB(112)는 분산자원 중개사업자들이 관리하고 있는 태양광발전소(PV)의 태양광 발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데이터는 일 평균 발전 시간 데이터, 발전일수 데이터, 이용률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상 DB(113)는 기상청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국의 기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상 DB(113)는 기상 데이터를 지역별 및 시간대별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상 데이터는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운량 데이터, 강수 데이터, 일사량 데이터, 풍향/풍속 데이터, 일출/일몰 시간 데이터, 기압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비 DB(114)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이 소유하는 분산자원들(PV, ESS)의 설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설비 DB(114)는 분산자원 중개사업자들이 관리하고 있는 분산자원들(PV, ESS)의 설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비 데이터는 설비 유형 데이터, 설비 용량 데이터, 설비 수명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용 DB(115)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이 소유하는 분산자원들(PV, ESS)의 비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비용 DB(115)는 분산자원 중개사업자들이 관리하고 있는 분산자원들(PV, ESS)의 비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용 데이터는 설비비 데이터, 운영비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편익요소 DB(116)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기본편익요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본편익요소 데이터는 시간대별 SMP 가격 데이터와, 월 또는 연 단위의 REC 가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편익요소 DB(116)는 시간대별 SMP 가격 데이터를 일/주/월/년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추가편익요소 DB(117)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거나 혹은 시스템 운영자로부터 입력되는 추가편익요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추가편익요소 데이터는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인센티브 데이터로서,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 및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Capacity Payment, CP)는 분산자원의 매집 및 관리에 따른 용량 보상을 적용한 가격 데이터이고,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는 송전회피 보상에 따른 가격 데이터이며,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는 입찰 준수 보상에 따른 가격 데이터이다. 이러한 용량편익/분산편익/예측편익 가격 데이터는 단독 및/또는 복합 태양광시스템을 중개하는 중개사업자들에게 수익의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120)는 단독 태양광시스템의 출력패턴을 산출하기 위한 단독 태양광시스템 출력패턴 산출부(121)와,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출력패턴을 산출하기 위한 복합 태양광시스템 출력패턴 산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120)가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단독 태양광시스템 출력패턴 산출부(121)는 발전 DB(112)로부터 수신한 태양광 발전 데이터와 기상 DB(113)로부터 수신한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독 태양광시스템(PV)의 연평균 시간대별 출력패턴(즉, 발전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단독 태양광시스템 출력패턴 산출부(121)는 단독 태양광시스템(PV)의 연간 출력패턴과 효율 저하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체 운영 기간에 걸친 단독 태양광시스템의 연평균 시간대별 출력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복합 태양광시스템 출력패턴 산출부(123)는 발전 DB(112)로부터 수신한 태양광 발전 데이터와 기상 DB(113)로부터 수신한 기상 데이터와 기술 DB(111)로부터 수신한 ESS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합 태양광시스템(PV, ESS)의 연평균 시간대별 출력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출력패턴은 태양광발전소(PV)의 발전패턴과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방전패턴을 포함한다.
복합 태양광시스템 출력패턴 산출부(123)는 복합 태양광시스템(PV/ESS)의 연간 출력패턴과 효율 저하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체 운영 기간에 걸친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연평균 시간대별 출력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기본편익요소 산출부(130)는 기본편익요소 DB(116)에 저장된 SMP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SMP 가격 패턴을 시간대별(즉, 일, 주, 월, 년 단위)로 검출할 수 있다. 기본편익요소 산출부(130)는 국가의 예상 전력 발전량을 기반으로 미래의 SMP 가격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기본편익요소 산출부(130)는 연도별 SMP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SMP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추가편익요소 산출부(140)는 용량편익요소 산출부(141), 분산편익요소 산출부(143) 및 예측편익요소 산출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추가편익요소 산출부(140)가 세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용량편익요소 산출부(141)는 추가편익요소 DB(117)에 저장된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용량편익 가격 패턴을 시간대별(즉, 일, 주, 월, 년 단위)로 검출할 수 있다. 용량편익요소 산출부(141)는 분산자원의 예상 출력패턴을 기반으로 미래의 용량편익 가격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용량편익요소 산출부(141)는 연도별 용량편익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분산편익요소 산출부(143)는 추가편익요소 DB(117)에 저장된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산편익 가격 패턴을 시간대별(즉, 일, 주, 월, 년 단위)로 검출할 수 있다. 분산편익요소 산출부(143)는 분산자원의 예상 출력패턴을 기반으로 미래의 분산편익 가격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분산편익요소 산출부(143)는 연도별 분산편익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측편익요소 산출부(145)는 추가편익요소 DB(117)에 저장된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편익 가격 패턴을 시간대별(즉, 일, 주, 월, 년 단위)로 검출할 수 있다. 예측편익요소 산출부(145)는 분산자원의 예상 출력패턴을 기반으로 미래의 예측편익 가격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편익요소 산출부(145)는 연도별 예측편익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0)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비용(Cost)을 산출하기 위한 단독 PV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1)와,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비용(Cost)을 산출하기 위한 복합 PV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0)가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단독 PV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1)는 비용 DB(115)에 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독 PV 중개사업자가 전체 운영 기간 동안에 지출할 비용(Cost)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단독 PV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1)는 PV 설비비와 PV 운영비 등을 합산하여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복합 PV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3)는 비용 DB(115)에 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합 PV 중개사업자가 전체 운영 기간 동안에 지출할 비용(Cost)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복합 PV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153)는 PV 설비비, ESS 설비비, PV 운영비, ESS 운영비 등을 합산하여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0)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편익(Benefit)을 산출하기 위한 단독 PV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1)와,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편익(Benefit)을 산출하기 위한 복합 PV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0)가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단독 PV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1)는 단독 PV 중개사업자가 단독 태양광시스템을 매집 및 관리하는 전체 운영 기간 동안에 얻게 될 편익(Benefit)을 계산할 수 있다.
단독 PV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1)는 분산자원(PV)의 발전량에 따른 기본 편익과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 편익을 합산하여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 편익은 송전회피 보상에 따른 분산편익과 입찰 준수 보상에 따른 예측편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은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고, 기본 편익은 아래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될 수 있으며, 추가 편익은 아래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i년도의 평균 SMP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04
은 i년도의 평균 PV 발전량, n은 전체 운영 기간임.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은 i년도의 평균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07
은 i년도의 평균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08
은 i년도의 평균 PV 발전량, n은 전체 운영 기간임.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추가 편익 산출 시, 분산편익 및 예측편익을 고려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수학식 3의 변수들 중에서, 상기 분산편익 및 예측편익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혹은 새로운 추가편익요소가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복합 PV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3)는 복합 PV 중개사업자가 복합 태양광시스템을 매집 및 관리하는 전체 운영 기간 동안에 얻게 될 편익(Benefit)을 계산할 수 있다.
복합 PV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161)는 분산자원(PV/ESS)의 발전량에 따른 기본 편익과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 편익을 합산하여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 편익은 용량 보상에 따른 용량편익과 송전회피 보상에 따른 분산편익과 입찰 준수 보상에 따른 예측편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은 아래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될 수 있고, 기본 편익은 아래 수학식 5를 통해 계산될 수 있으며, 추가 편익은 아래 수학식 6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여기서,
Figure pat00011
는 i년도의 평균 SMP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12
은 i년도의 평균 PV 발전량과 평균 ESS 방전량을 합산한 값, n은 전체 운영 기간임.
Figure pat00013
여기서,
Figure pat00014
은 i년도의 평균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15
은 i년도의 평균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16
은 i년도의 평균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
Figure pat00017
은 i년도의 평균 PV 발전량과 평균 ESS 방전량을 합산한 값, n은 전체 운영 기간임.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추가 편익 산출 시, 용량편익, 분산편익 및 예측편익을 고려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수학식 6의 변수들 중에서, 상기 용량편익, 분산편익 및 예측편익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혹은 새로운 추가편익요소가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0)는 단독 PV 중개사업자 모델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와, 복합 PV 중개사업자 모델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0)가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C)과 전체 편익(B)을 기반으로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다. 즉,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et Present Value, NPV) 등을 분석하여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는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비용 및 추가편익의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여 복수의 경제성 대안들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는 각각의 대안 별로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PV) 등을 분석하여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는 PV 설치비와 분산편익의 변동에 따른 4가지의 경제성 대안을 구성할 수 있다. 단독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1)는 제1 내지 제4 대안 별로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0의 표 및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 별 경제성 분석 결과, 순 현재 가치(NPV)가 0이상이고, 비용편익비율(B/C)이 1을 넘는 대안 3과 대안 4가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는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C)과 전체 편익(B)을 기반으로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다. 즉,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는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PV) 등을 분석하여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는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비용 및 추가편익의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여 복수의 경제성 대안들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는 각각의 대안 별로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PV) 등을 분석하여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는 ESS 투자비, 용량편익, 분산편익의 변동에 따른 4가지의 경제성 대안을 구성할 수 있다. 복합 PV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173)는 제1 내지 제4 대안 별로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1의 표 및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 별 경제성 분석 결과, 순 현재 가치(NPV)가 0이상이고, 비용편익비율(B/C)이 1을 넘는 대안 3과 대안 4가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전국의 신재생발전사업자들 및/또는 분산자원 중개사업자들이 운영하고 있는 분산자원들(PV, ESS)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1210).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분산자원들(PV, ESS)의 기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 DB, 태양광발전소(PV)의 태양광 발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발전 DB, 전국의 기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상 DB, 분산자원들(PV, ESS)의 설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비 DB, 분산자원들(PV, ESS)의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용 DB,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기본편익요소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편익요소 DB,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 데이터를 저장하는 추가편익요소 DB 등을 구축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출력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S1220). 여기서,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은 중개사업자가 단독 태양광시스템(PV)을 매집하여 중개하는 단독 PV 중개사업자와, 중개사업자가 복합 태양광시스템(PV, ESS)을 매집하여 중개하는 복합 PV 중개사업자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은 분산자원 유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이 단독 PV 중개사업자인 경우,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발전 DB로부터 수신한 태양광 발전 데이터와 기상 DB로부터 수신한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독 태양광시스템의 연평균 시간대별 출력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이 복합 PV 중개사업자인 경우,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발전 DB로부터 수신한 태양광 발전 데이터와 기상 DB로부터 수신한 기상 데이터와 기술 DB로부터 수신한 ESS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연평균 시간대별 출력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국가 전체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할 수 있다(S1230). 즉,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기본편익요소 DB에 저장된 SMP 가격 데이터와 국가의 예상 전력 발전량을 기반으로 연도별 SMP 가격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연도별 SMP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SMP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할 수 있다(S1240). 이때, 상기 추가편익요소는 용량 보상에 따른 용량편익요소, 송전회피 보상에 따른 분산편익요소, 입찰 준수 보상에 따른 예측편익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추가편익요소 DB에 저장된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와 분산자원의 예상 출력패턴을 기반으로 연도별 용량편익 가격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연도별 용량편익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추가편익요소 DB에 저장된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와 분산자원의 예상 출력패턴을 기반으로 연도별 분산편익 가격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연도별 분산편익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추가편익요소 DB에 저장된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와 분산자원의 예상 출력패턴을 기반으로 연도별 예측편익 가격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연도별 예측편익 가격 패턴을 이용하여 연도별 평균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원/kWh)를 산출할 수도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별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Cost)을 연산할 수 있다(S1250). 즉,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과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을 각각 연산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비용 DB에 저장된 비용 데이터(즉, PV 설비비, PV 운영비)를 이용하여 단독 PV 중개사업자가 전체 운영 기간 동안에 지출할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비용 DB에 저장된 비용 데이터(즉, PV 설비비, ESS 설비비, PV 운영비, ESS 운영비)를 이용하여 복합 PV 중개사업자가 전체 운영 기간 동안에 지출할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별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Benefit)을 연산할 수 있다(S1260). 즉,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과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을 각각 연산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자원(PV)의 발전량에 따른 기본편익(SMP)과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 편익(분산편익, 예측편익)을 합산하여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을 계산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상술한 수학식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자원(PV/ESS)의 발전량에 따른 기본 편익(SMP)과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 편익(용량편익, 분산편익, 예측편익)을 합산하여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편익을 계산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사업 유형별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연산할 수 있다(S1270). 즉,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과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각각 분석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C)과 전체 편익(B)을 이용하여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et Present Value, NPV)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100)은,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전체 비용(C)과 전체 편익(B)을 이용하여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et Present Value, NPV)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제성 분석 방법은, 분산자원 중개사업 비즈니스 모델을 전력 시장에 도입하는 경우, 분산자원 유형별로 분산자원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보상을 고려하여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경제성 분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국가 전체의 전력 거래 시장을 담당하는 정부 또는 전력 거래소는 분산자원 중개사업 비즈니스 모델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들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경제성 분석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
120: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 130: 기본편익요소 산출부
140: 추가편익요소 산출부 150: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
160: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 170: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

Claims (13)

  1. 정부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하는 기본편익요소 산출부;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하는 추가편익요소 산출부;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ost)을 연산하는 중개사업자 비용 연산부;
    상기 분산자원의 발전량, 상기 기본편익요소 및 상기 추가편익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편익(Benefit)을 연산하는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 및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 및 편익(B)을 기반으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를 포함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기술 DB, 발전 DB, 기상 DB, 설비 DB, 비용 DB, 기본편익요소 DB 및 추가편익요소 DB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라, 단독 태양광시스템의 출력패턴 또는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출력패턴을 산출하기 위한 분산자원 출력패턴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편익요소는 SMP(System Marginal Price) 가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편익요소는, 용량 보상에 따른 용량편익 가격 데이터, 송전회피 보상에 따른 분산편익 가격 데이터, 입찰 준수 보상에 따른 예측편익 가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는,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라,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편익 또는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편익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는, 단독 태양광시스템의 발전량에 따른 기본편익과 상기 단독 태양광시스템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을 합산하여 상기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편익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사업자 편익 연산부는,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발전량에 따른 기본편익과 상기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을 합산하여 상기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편익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는,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라, 단독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 또는 복합 PV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는, 상기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비용 및 추가편익의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여 복수의 경제성 대안들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사업자 경제성 분석부는, 각각의 대안 별로 비용편익비율(B/C)과 순 현재 가치(NPV)를 분석하여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시스템.
  12. 정부의 전력 거래 시장에 따른 기본편익요소를 산출하는 단계;
    분산자원의 중개 거래에 따른 추가편익요소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산자원의 유형에 따른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ost)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분산자원의 발전량, 상기 기본편익요소 및 상기 추가편익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편익(Benefit)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자원 중개사업자의 비용(C) 및 편익(B)을 기반으로 해당 중개사업자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13. 청구항 제12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80162218A 2018-12-14 2018-12-14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73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18A KR20200073723A (ko) 2018-12-14 2018-12-14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18A KR20200073723A (ko) 2018-12-14 2018-12-14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723A true KR20200073723A (ko) 2020-06-24

Family

ID=7140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218A KR20200073723A (ko) 2018-12-14 2018-12-14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7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8577A (zh) * 2020-10-27 2021-02-09 国家电网公司西南分部 一种西南龙头水库梯级水电跨省区消纳的市场力评估方法
WO2024096239A1 (ko) * 2022-11-04 2024-05-10 한국전기연구원 수요반응자원 포트폴리오 구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8577A (zh) * 2020-10-27 2021-02-09 国家电网公司西南分部 一种西南龙头水库梯级水电跨省区消纳的市场力评估方法
WO2024096239A1 (ko) * 2022-11-04 2024-05-10 한국전기연구원 수요반응자원 포트폴리오 구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g et al. Coupon-based demand response considering wind power uncertainty: A strategic bidding model for load serving entities
Walwyn et al. Renewable energy gathers steam in South Africa
Reichelstein et al. The prospects for cost competitive solar PV power
Pikas et al. Cost-benefit analysis of nZEB energy efficiency strategies with on-site photovoltaic generation
Gaul et al. Solar set asides and renewable electricity certificates: early lessons from North Carolina's experience with it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Golmohamadi et al. Retail energy management in electricity markets: Structure, challenges and economic aspects-a review
Simoglou et al. Electricity market models and RES integration: The Greek case
Dzobo et al. Proposed framework for blockchain technology in a decentralised energy network
Goteti et al. How much wind and solar are needed to realize emissions benefits from storage?
KR20190065780A (ko) 단독 태양광시스템 및 복합 태양광시스템의 수익 산정 방법 및 그 장치
Sisodia et al. Strategic business risk evaluation for sustainable energy investment and stakeholder engagement: A proposal for energy policy development in the Middle East through Khalifa funding and land subsidies
Byrom et al. A case study of Australia's emissions reduction policies-An electricity planner's perspective
KR20200073723A (ko) 분산자원 유형별 경제성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Barbosa et al. Solar energy policy to boost Brazilian power sector
Ahmad et al. Power exchange and its significance to enhance the deployment of smart microgrids in India and key barriers in its adoption
Li et al. A swing-contract market design for flexible service provision in electric power systems
Arellano et al. Electricity procurement of large consumers considering power-purchase agreements
KR102387318B1 (ko)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KR102542717B1 (ko) 유연 수요 자원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Authority Regulatory Framework for Mini-Grids
Hwang et al.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changes in the Korean electricity industry
Prakash et al. Quantifying reserve capabilities for designing flexible electricity markets: An Australian case study with increasing penetrations of renewables
Hrga et al. Decentralized platform for investments and operation of energy communities
Kumar et al. Grid Connected Rooftop Solar Photo-Voltaic Power Plants Programme in India: A Review of State Solar Rooftop Policies, Net Metering Regulations, Challenges and Way Forward
Thapar Renewable Energy in India—Policy and Regulatory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