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440A -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440A
KR20200073440A KR1020180161586A KR20180161586A KR20200073440A KR 20200073440 A KR20200073440 A KR 20200073440A KR 1020180161586 A KR1020180161586 A KR 1020180161586A KR 20180161586 A KR20180161586 A KR 20180161586A KR 20200073440 A KR20200073440 A KR 20200073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strands
strand
rot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7769B1 (en
Inventor
임덕규
Original Assignee
임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규 filed Critical 임덕규
Priority to KR102018016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69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8Auxiliary apparatus for spreading or untwisting ropes or cables into constituent parts for treatment or splic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9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strand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utomatically loosening a strand of a wire rope, comprising: a driving unit; a support unit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and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a plurality of rotational loosening tubes having one end supported on the support unit and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닥의 소선이 꼬여져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이러한 스트랜드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여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and more specifically, a simple and quick wire strand formed by twisting several strands of strands, and a wire rope formed by twisting these strands into several strands again. It relates to a device that automatically releases.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는 여러 가닥의 금속 소선을 꼬아서 만들어진 스트랜드를 다시 연선한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화물 또는 기계 등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고 내려야 하는 하역 작업에 있어서의 리프팅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현수구조용 또는 견인용 수단으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wire rope refers to a strand re-twisted by twisting several strands of metal wires, used as a lifting means in unloading operations that require lifting and unloading of cargo or machinery, or for suspension or towing. It is mainly used as a means.

이러한 와이어 로프의 구조는 와이어 로프 중 스트랜드의 수 * 스트랜드 중 소선의 수로 나타내며, 여기서 소선은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강선을 일컫고, 스트랜드는 이들 복수의 소선을 꼬아서 만들어진 와이어 로프의 구성요소들 일컫는다.The structure of such a wire rope i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strands in the wire rope * the number of strands in the strand, where the strand refers to the steel wires constituting the strand, and the strand refers to the components of the wire rope made by twisting these plurality of strands.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와이어 로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와이어 로프(10)는 하나의 중심 스트랜드와, 이 중심 스트렌드를 감싸는 6개의 외층 스트랜드가 꼬여진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각 스트랜드(20)는 한 개의 중심 소선을 중심으로 하여 6개의 외층 소선들이 소정의 꼬임 피치로 연선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ire rope in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wire rope 10 has one center strand and this center The six outer layer strands surrounding the strand are made of a twisted structure, and each strand 2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six outer layer strands are twisted at a predetermined twist pitch around one central strand.

한편, 종래의 와이어 로프를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랜드(20)는 모두 7가닥의 소선(30)이 꼬여져서 형성되고, 이러한 스트랜드(20)는 다시 7가닥이 꼬여저서 와이어 로프(10)를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종래에 제공되는 하나의 와이어 로프로서 그 소선과 스트랜드의 가닥 수는 가감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ventional wire rope, one strand 20 is formed by twisting the strands 30 of all 7 strands, and the strand 20 is twisted by twisting the 7 wires again. Although forming was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one wire rope provided in the prior art, and the number of strands of the strands and strands can be adjusted.

따라서, 종래의 와이어 로프(10)는 그 가닥 수가 다른 와이어 로프로 재생하기 위하여 여러 가닥이 꼬여진 상태의 스트랜드(20)를 각각 낱개의 스트랜드로 풀어주거나 또는 여러 가닥의 소선(30)이 꼬여진 상태의 스트랜드를 각각 낱개의 소선으로 풀어주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ire rope 10, in order to regenerate the wire rope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strands, the strands 20 in which several strands are twisted are released as individual strands, or the strands 30 of several strands are twisted. The task of releasing the strands of the state into individual wires is performed.

또한, 종래의 와이어 로프(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소선(30)이 꼬여져서 하나의 스트랜드(20)를 형성하고,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20)가 꼬여져서 하나의 와이어 로프(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 로프(10)가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 이를 풀어주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ire rope 10, as described above, several strands of strands 30 are twisted to form one strand 20, and several strands of strands 20 are twisted to form one wire rope ( 10) to be formed, when the wire rope 10 is partially damaged by the load of the heavy object, a work to release it is performed.

즉, 여러 가닥의 소선(30)들과,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20) 중, 일부의 소선 또는 일부의 스트랜드만 손상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풀어서 손상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를 제외하고 손상되지 않은 다른 소선 또는 스트랜드로서 다시 와이어 로프(1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10)를 풀어주는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That is, if only a part of the strands 30 and the strands of the strands 20 are damaged, only some of the strands or a part of the strands are damaged. As a result, there is a case where the work of releasing the wire rope 10 is performed to regenerate the wire rope 10 again.

그런데, 종래에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0)를 풀어주기 위해서는, 긴 길이의 와이어 로프를 바닥에 펼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스트랜드(20) 또는 소선(30)을 수작업에 의해 풀어주어야 함으로써, 그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인원도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바, 그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loosen the wire rope 10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wire rope of a long length is unfolded on the floor, the worker must manually loosen the strand 20 or the wire 30 manually, The work takes a lot of time and also requires a lot of workforce, so the workability is very poor.

한국특허등록 제10-1272763호(2013.06.0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2763 (2013.06.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가닥의 소선이 꼬여져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이러한 스트랜드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여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주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원수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줄여 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nd formed by twisting several strands of wire, and a wire rope formed by twisting these strands into several strands again.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workabil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and reducing the working time by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releasing th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그 일단이 지지되어 임의의 설정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회전 풀림 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 of the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driving unit;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driving portion and movable relative to a bottom surface; And it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otational unwinding tube tha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n arbitrary predetermined length is support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 rotation by the drive of the drive unit.

이 때, 상기 받침부는, 바닥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대와,상기 수평대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대의 각 모서리 측 하부에는 구동 휠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horizontal stand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floor surface, and a vertical st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stand, and a driving wheel is installed at each lower edge side of the horizontal stand. And, a handle portion protruding upward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stand.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abl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loosening rotating tube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through the rotating plate, and the driving portion and the rotating plate are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means, so that the driving portion When driving, the plurality of loosening rotating pipes may be rotated and rotated as the rotating plate rotates.

또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oot switch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operator's ope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은, 와이어 로프를 이루도록 복수의 스트랜드가 한쪽 방향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가 꼬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untwisted rotating tubes ar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trands are twis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are twisted in one direction to form a wire ro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는,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중간 단 또는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바닥 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쪽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 홀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 of the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middl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loosening rotating tube, and a lower support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It comprises an upper support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wherein the upper support, the plurality of loosening rotating tub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for passing through each of the rotating plate is freely rotatabl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install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는, 여러 가닥의 소선이 꼬여져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이러한 스트랜드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여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줄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인원수를 줄이면서도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바,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s of a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quick automatic of a strand formed by twisting several strands of strands and a wire rope formed by twisting these strands into several strands again. By being able to loose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ork time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work b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greatly improves the workability.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어 로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제공되는 회전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회전 지지대가 구비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wire rope.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5 is a front view of FIG. 3;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support provided to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 of the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wire rope strands are automatically released in the state that the rotation support of Figure 6 is provid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Includes and/or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Used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side views and/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lightly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exemplary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3.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100)는, 받침부(110), 이 받침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50) 및 받침부(1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풀림 회전 관(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3 to 5, 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ase 110,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loosening rotating tubes 200 that a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receiving unit 110 to rotate.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풀림 회전 관(200)이 2개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림 회전 관(200)은 2개 이상 즉, 3개나 4개 등 일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for suppor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unscrewed rotating pipes 200 are shown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two or more, i.e. three or four.

여기서, 받침부(110)는 바닥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대(120)와, 이 수평대(12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받침부(110)는 대략 ㄴ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110 may be composed of a horizontal stand 120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a vertical stand 130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stand 120. Thereby, the support 110 may be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b-shape.

받침부(110)에서 수평대(120)의 각 모서리 측 하부에는 구동 휠(122)이 설치되어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직대(13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대략 ㄷ자 형태의 손잡이부(132)가 설치될 수 있다.A driving wheel 122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corn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form 120 in the supporting unit 110 to facilitat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platform 130 protrudes upward. An approximately U-shaped handle portion 132 may be installed.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부(132)를 파지한 상태에서 받침부(110)를 원하는 위치로 밀거나 잡아 당기게 되면 받침부(110)의 수평대(120) 모서리 측 저부에 설치된 구동 휠(122)들의 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pushes or pulls the supporting portion 110 to a desired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handle portion 132 is gripped, the driving wheels 122 installed at the corner side of the horizontal band 120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are lowered. It can be easily moved by driving.

구동부(150)는 받침부(110)의 수평대(120) 상부에 설치되고, 풀림 회전 관(200)은 그 일측 단부가 받침부(110)의 수직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된 회전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se 120 of the base 110, and the unwinding rotation tube 200 is rotated at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se 130 of the base 110. It may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plate 140.

이 때, 풀림 회전 관(200)의 일측 단부는 회전 플레이트를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게 설치됨으로써, 풀림 회전 관(200)의 일측 단부 끝단에 형성되는 유입공(210)은 수직대(130)의 배면에 대하여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unwinding rotating tube 20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plate, so that the inlet hole 210 formed at the end of one end of the unwinding rotating tube 200 has a vertical base 130. The state exposed to the back is achieved.

한편, 구동부(150)의 구동축과 회전 플레이트(140)의 둘레 면은 체인(154)등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부(150)의 구동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140)는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풀림 회전 관(200)은 회전 플레이트(140)의 회전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e unit 15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40 are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chain 154, so that the rotating plate 14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50. By being made, at least two or more loosening rotating pipes 200 are rot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4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50)의 구동축과 회전 플레이트(140)가 체인(154)에 의해 연결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와 기어 등과 같이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rotating plate 140 are connected by a chain 154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Needless to say, various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belts and gears may be applied.

여기서, 구동부(150)는 풋 스위치(15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발로서 밟아주게 되는 경우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unit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foot switch 152 so that the driving is performed when the operator steps on the foot.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5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풋 스위치(152)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스위치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switch 152 is given as an example of inpu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50,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various switches may be appli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100)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10)의 스트랜드(20)를 풀어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releasing the strand 20 of the wire rope 10 using the device 100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 of the wire rope that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와이어 로프(10)의 일측 단부에서 여러 가닥을 이루는 스트랜드(20)를 풀림 회전 관(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가닥으로 벌려 주도록 한다.First, the strands 20 constituting several strands at one end of the wire rope 10 are to be spread with stran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nwinding rotating tubes 200.

예를 들어, 풀림 회전 관(200)이 2개인 경우, 와이어 로프(10)의 단부 측을 벌려서 복수의 스트랜드(20)를 2개의 가닥으로 벌어지도록 한 후, 각각의 가닥을 풀림 회전 관(200)의 각 유입공(210)에 삽입시킨 다음, 작업자가 풋 스위치(152)를 밟아주어 구동부(150)가 구동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unwinding rotating tubes 200, the end portions of the wire rope 10 are opened so that a plurality of strands 20 are opened into two strands, and then each strand is unwinding rotating tube 200 ) Is inserted into each inlet hole 210, and the operator presses the foot switch 152 so that the driving unit 150 is driven.

구동부(150)의 구동으로 회전 플레이트(140)가 연동하여 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140)에 그 일측 단부가 고정되게 지지된 회전 풀림 회전 관(200)들 또한 연동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 때 작업자는 스트랜드(20)를 풀고자 하는 와이어 로프(10)를 계속해서 조금씩 풀림 회전 관(200)들의 유입공(210) 쪽으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As the rotation plate 14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50, the rotation unwinding rotation pipes 200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plate 140 are also interlocked to rotate.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operator may push the wire rope 10 to loosen the strand 20 gradually toward the inlet hole 210 of the loosening rotating pipes 200.

여기서, 와이어 로프(10)를 이루는 복수의 스트랜드(20)는 나선 형과 같이 한 쪽 방향으로 감겨지면서 꼬인 상태를 이루는바, 회전 플레이트(140)는 복수를 이루는 스트랜드(20)의 꼬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lurality of strands 20 constituting the wire rope 10 are wound in one direction, such as a spiral shape, to form a twisted state, and the rotating plate 140 is opposite to the twist direction of the strands constituting the plurality 20 It is desirable to make the rotation in the direction.

따라서, 와이어 로프(10)의 스트랜드(20)들 꼬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풀림 회전 관(200)의 각 유입공(210)에 풀림 회전 관(200)의 수에 대응되는 가닥으로 분리한 와이어 로프(10)의 각 스트랜드(20)를 삽입시켜서 작업자가 조금씩 밀어주게 되면, 각 가닥의 스트랜드(20)는 꼬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 풀림 회전 관(200)을 통해 자동으로 풀리면서 유출공(220)을 통해 배출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strands 20 of the wire rope 10 are separated into stran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nwinding rotating tubes 200 in each inlet hole 210 of the unwinding rotating tube 200, which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wisting direction. When each strand 20 of one wire rope 10 is inserted and the operator pushes a little, the strand 20 of each strand is automatically pulled through each loosening rotating tube 200 tha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wist direction. Whil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220 is separated.

이 때, 풀림 회전 관(200)은 그 길이가 짧으면 각 유출공(220)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20)들이 다시 엉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풀림 회전 관(200)은 길이가 긴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풀림 회전 관(200)의 길이가 길게 되면 유출공(220)이 위치하는 타 측은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는바, 별도의 지지부재(300)를 구비하여 길이가 긴 풀림 회전 관(20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loosening rotating tube 200 is shor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ands 20 discharged through each outlet hole 220 may be entangled again, so that the loosening rotating tube 200 is applied with a long length. In this case, when the length of the unwinding rotating tube 200 is long, the other side on which the outlet hole 220 is located has no separate support means, so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and thus a separate support member 300 It is provided with a long unwinding rotating tube 200 can be rotated in a state that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제공되는 가변형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사시도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는, 바닥 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310)와, 이 하부 지지대(310)의 상부 쪽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320)로 구성될 수 있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upport provided to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 of the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wire rope strand in the state provided with the support member of Figure 6 automatically As a perspective view of a use state showing a released stat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lower support 310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a floor surface, and this lower support It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upport 320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on the upper side of (310).

상부 지지대(320)에는 관통된 지지 홀(340)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330)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내설되어 있는데, 이 때 회전 플레이트(330)는 베어링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 지지대(32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32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late 330 having a through hole 340 formed thereon to allow free rotation. At this time, the rotating plate 330 is coupled by a bearing or the like to the upper support 320. Free rotation can be installed.

여기서, 지지 홀(340)은 풀림 회전 관(200)이 통과되기 위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풀림 회전 관(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hole 340 is formed in a diameter for the unwinding rotating tube 200 to pass through, and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nwinding rotating tube 200.

예를 들어, 풀림 회전 관(200)이 2개인 경우 지지 홀(340) 또한 2개인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풀림 회전 관(200)이 3개인 경우에는 지지 홀(340) 또한 3개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loosening rotating tubes 200, two supporting holes 340 may also be applied, and when three loosening rotating tubes 200 are three, three supporting holes 340 may also be applied. .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회전 관(200)이 지지부재(300)의 지지 홀(340)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시키게 되면, 일정 길이를 갖는 풀림 회전 관(200)의 중간 단 또는 유출공(220)과 인접한 타측 단부가 지지됨으로써,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loosening rotating tube 200 is disposed in a stat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hole 340 of the support member 300, the intermediate end of the loosening rotating tube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by being supported by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utlet hole 220, it is stably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즉, 풀림 회전 관(200)의 일측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부(110)의 수직대(130)에 내설된 회전 플레이트(140)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가 이루어지고, 중간 단 또는 타측 단부는 지지부재(300)의 회전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지지 홀(340)에 통과되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풀림 회전 관(200)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loosening rotating tube 200 is supported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e rotating plate 140 installed on the vertical stand 130 of the supporting part 110, and the middle end or the other side is provided. The end is passed through the support hole 340 formed in the rotating plate 330 of the support member 300 to be supported, so that the loosening rotating tube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stably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Will be done.

이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풀림 회전 관(300)이 수평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부(15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받침부(110)의 회전 플레이트(14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풀림 회전 관(200)들은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풀림 회전 관(200)들의 회동에 의해 지지부재(300)의 회전 플레이트(330) 또한 지지부재(300)의 상부 지지대(32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unwinding rotating tube 3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horizontal and stably supported,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50, the rotating plate 140 of the supporting unit 110 rotates. As at least two or more loosening rotating tubes 200 are rotated, at this time, the rotating plate 330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is also rotated by the rotating rotating tubes 2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is rotated. As the free rot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320, rot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따라서, 각각의 풀림 회전 관(200)의 각 유입공(210)을 통해 유입되는 분리된 가닥의 스트랜드(20)는 회동되는 풀림 회전 관(200)에 의해 꼬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됨에 따라 풀린 상태로서 각 유출공(220)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strands 20 of the separated strands flowing through each inlet hole 210 of each unwinding rotating tube 200 are continuously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wisting direction by the rotating unwinding rotating tube 200. Accordingly, the discharge is made through each outlet hole 220 as a loose state.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풀림 회전 관(200)이 2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들었는바, 7개의 스트랜드(20)가 꼬여진 와이어 로프(10)의 경우 3개와 4개 묶음의 스트랜드(20)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시 3개 묶음의 스트랜드(20)는 1개와 2개 묶음의 스트랜드(20)로 풀어줄 수 있으며, 2개 묶음의 스트랜드(20)는 다시 각각 낱개의 스트랜드(20)로 풀어줄 수 있게 된다.For referenc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wo unwinding rotating pipes 200 are provided, and in the case of the wire rope 10 in which the seven strands 20 are twisted, three and four strands are bundled. It can be separated into (20), in this case, the three bundles of strands 20 can be released into one and two bundles of strands 20, and the two bundles of strands 20 are each one strand again. (20).

또한, 하나의 스트랜드(20)는 다시 복수의 소선(30)이 꼬인 형태를 이루는바, 하나의 스트랜드(20) 단부에서 복수의 소선(30)을 다시 2개의 묶음으로 분리시킨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대로 작업을 실시하여 각각 낱개의 소선(30)으로 풀어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one strand 20 forms a twisted form of a plurality of strands 30 again, afte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trands 30 from the ends of one strand 20 into two bundles again,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lease each of the individual wires (3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100)에 의하면, 여러 가닥의 소선(30)이 꼬여서 이루어진 스트랜드(20)와, 이러한 스트랜드(20)를 여러 가닥 구비한 후 꼬아서 이루어진 와이어 로프(10)를 보다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줄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인원수가 줄게 됨은 물론 작업시간도 크게 줄어들게 되는바,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nd 20 formed by twisting several strands of strands 30 and several strands of such strands 20 After being able to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release the wire rope 10 made after twisting, the number of working persons is reduced and the working time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낱개의 스트랜드(20) 또는 낱개의 소선(30)으로 풀어준 상태에서, 손상되지 않은 스트랜드(20) 또는 소선(30)을 이용하여 다시 양품의 와이어 로프(10)를 재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개수의 가닥 수를 갖는 와이어 로프(10)로 재생산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using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strand 20 or a single strand 30 in the released state, the undamaged strand 20 or strand ( 30) can be used to regenerate the wire rope 10 of good quality again, or reproduce it with the wire rope 10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strand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와이어 로프 20 : 스트랜드
30 : 소선 100 : 장치
110 : 받침부 120 : 수평대
122 : 구동 휠 130 : 수직대
132 : 손잡이부 140 : 회전 플레이트
150 : 구동부 152 : 풋 스위치
154 : 체인 200 : 풀림 회전 관
210 : 유입공 220 : 유출공
300 : 지지부재 310 : 하부 지지대
320 : 상부 지지대 330 : 회전 플레이트
340 : 지지 홀
10: wire rope 20: strand
30: wire 100: device
110: base 120: level
122: drive wheel 130: vertical
132: handle 140: rotating plate
150: driving unit 152: foot switch
154: chain 200: loosening rotating tube
210: inlet hole 220: outlet hole
300: support member 310: lower support
320: upper support 330: rotating plate
340: support hole

Claims (6)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그 일단이 지지되어 임의의 설정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회전 풀림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Drive unit;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driving portion and movable relative to a bottom surface; And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n arbitrary set length, and automatically unwinds a strand of a wire ro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otating loosening tubes that are rotated by driving of the driving uni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바닥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대의 각 모서리 측 하부에는 구동 휠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horizontal stand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It is composed of a vertical stand that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nd,
A driving whee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corner of the horizontal platform,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st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rotatabl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base,
One end of the loosening rotating tube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through the rotating plate,
The drive unit and the rotating plate are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when the drive unit is driven, the plurality of unwinding rotating pipes are rotated and rotated as the rotating plate rotates to automatically rotate the strands of the wire rope. Release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풋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further comprising a foot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operator's oper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은,
와이어 로프를 이루도록 복수의 스트랜드가 한쪽 방향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가 꼬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loosening rotating tube,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trands of a wire rope, wherein a plurality of strands are twisted in one direction to form a wire rope, and the plurality of strands ar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wisted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중간 단 또는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바닥 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쪽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 홀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s supporting the middl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unwinding rotating tube,
A lower support supported in an uprigh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It comprises an upper support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On the upper support,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 strand of a wire ro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unwinding rotation pipes are respectively passed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mber installed to enable free rotation.
KR1020180161586A 2018-12-14 2018-12-14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KR102137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86A KR102137769B1 (en) 2018-12-14 2018-12-14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86A KR102137769B1 (en) 2018-12-14 2018-12-14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40A true KR20200073440A (en) 2020-06-24
KR102137769B1 KR102137769B1 (en) 2020-07-24

Family

ID=7140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86A KR102137769B1 (en) 2018-12-14 2018-12-14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76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704A (en) * 1978-05-24 1979-05-01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up elongate members
US4590755A (en) * 1985-03-11 1986-05-27 Northern Telecom Limited Low fatigue apparatus for stranding wire
KR920008090Y1 (en) * 1991-03-21 1992-11-06 윤병문 Untwisting apparatus of wire rope
KR930004576A (en) * 1991-08-28 1993-03-22 세포 아호넨 Reverse twisting device
KR100567811B1 (en) * 2004-12-30 2006-04-05 주식회사 효성 Apparatus performing filament of steel cord for reinforcing rubber product and a preforming method thereby
KR101272763B1 (en) 2011-11-17 2013-06-10 전성숙 apparatus for twist-releasing strands of line typic wire rop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704A (en) * 1978-05-24 1979-05-01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up elongate members
US4590755A (en) * 1985-03-11 1986-05-27 Northern Telecom Limited Low fatigue apparatus for stranding wire
KR920008090Y1 (en) * 1991-03-21 1992-11-06 윤병문 Untwisting apparatus of wire rope
KR930004576A (en) * 1991-08-28 1993-03-22 세포 아호넨 Reverse twisting device
KR100567811B1 (en) * 2004-12-30 2006-04-05 주식회사 효성 Apparatus performing filament of steel cord for reinforcing rubber product and a preforming method thereby
KR101272763B1 (en) 2011-11-17 2013-06-10 전성숙 apparatus for twist-releasing strands of line typic wire r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69B1 (en)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2395T3 (en) Wir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9093648A1 (en) Spineless wire-rope sling manufacturing method, wire-rope sling manufacturing apparatus, spineless wire-rope sling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and spineless wire-rope sling
CN106216435B (en) Wire drawing machine continuous paying out device and its line-putting method
KR20110035423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able-lai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laid grommet thereof, and cable-laid grommet manufactured by it
KR102137769B1 (en) 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CN202210652U (en) Tool for cross-over wire releasing
DE102018107565A1 (en) METHOD FOR RAISING A POSSIBLE AND LIFTABLE ELEMENT AND CRANE
CN107313174A (en) A kind of knotting method
JP2562071B2 (en) How to replace the crane wire rope
CN201490620U (en) Balanced dual-traction type running board
KR101683101B1 (en) Wire rope disk drum for stage equipment
JP5596373B2 (en) Vertical trunk line drawing method and equipment used in middle-high-rise buildings
JPH11199157A (en) Existing main rope take-up device for elevator
CN209308434U (en) A kind of inverted U prestress wire anti-slip device
CN209835232U (en) Power cable pay-off device
CN106968048A (en) The knotting methods that a kind of bifilar rope is once tied more
CN209779158U (en) Spindle of cable braider
CN206155919U (en) Manual spooler
KR20150005193A (en) Middle block for guiding wire rope and floating crane having the same
JP3993506B2 (en) Helical steel wire holding device
JP6132607B2 (en) Collective drawing jig for multiple cables to cable rack and cable draw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8969637U (en) Wire rope inserting device
JP2001226082A (en) Wire rope winding device
WO2017158528A1 (en) System for coiling up a cable
CN207077497U (en) A kind of non-bending steel cable device for pe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