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160A -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160A
KR20200073160A KR1020190166575A KR20190166575A KR20200073160A KR 20200073160 A KR20200073160 A KR 20200073160A KR 1020190166575 A KR1020190166575 A KR 1020190166575A KR 20190166575 A KR20190166575 A KR 20190166575A KR 20200073160 A KR20200073160 A KR 2020007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ickness
virtual reality
reality content
feature inform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1257B1 (en
Inventor
노용만
김학구
이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6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257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60A/en
Priority to US16/985,333 priority patent/US112523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2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3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dependent on presence/absence of motion, e.g. of motion z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4Backpropagation, e.g. using gradient desc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Abstract

Disclosed are a virtual reality content sensory fatigue degree reduc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nsory fatigue degree reduction device comprises: a first module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motion sickness inducing factors set in advance through analysis of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 second module determining the motion sickness inducing factors required to reduce motion sickness among the motion sickness inducing factors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motion sickness inducting factors and performing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by using a pre-learned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ting factors to generat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n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which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Description

가상현실 컨텐츠 체감피로도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본 발명은 가상현실(VR) 컨텐츠의 사이버 멀미를 저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미유발인자 특징 정보에 대한 분석 기반으로 VR 컨텐츠의 사이버 멀미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ducing cyber motion sickness of virtual reality (VR)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yber motion sickness of VR content based on analysis of motion sickness inducer feature information will be.

최근 3D display, head mount display(HMD) 등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함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게임, 방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로 VR 관련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splays such as 3D display and head mount display (HMD), interest in virtual reality (VR) content has increased, and the VR-related market has been greatly expanded to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broadcasting, and entertainment.

VR 컨텐츠란 시청자가 지금 보고 있는 영상을 실제로 자신이 체험하는 것 같은 몰입감을 주는 컨텐츠를 말한다. 실제와 같은 몰입감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촬영 및 제작된 VR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형식, 360도 영상정보, 빠르고 많은 움직임 등의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몰입감이 높은 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약 70~80%의 시청자는 심한 피로 또는 사이버 멀미(Cybersickness)를 느낀다고 알려져 있다.VR content refers to content that gives viewers a sense of immersion as if they are actually experiencing the video they are viewing. VR content photographed and produced to provide viewers with a lifelike immersion generally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tereo format, 360-degree video information, and fast and many movements. However,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when watching VR content with high immersion, about 70-80% of viewers are known to experience severe fatigue or cybersickness.

그리고, 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피로나 멀미를 느낀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시청 이후에도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는 현상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고 안전한 VR 컨텐츠 시청 및 제작을 위해 VR 컨텐츠의 사이버 멀미를 저감하는 기술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In addition, when watching VR content, most viewers who have experienced fatigue or motion sickness are known to experience a phenomenon in which these symptoms persist even after viewing. In order to prevent such side effects and to watch and produce VR content safely,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reduces cyber sickness of VR content.

VR 컨텐츠 시청자의 경우, VR 컨텐츠 멀미 저감 기술을 통해 제작된 안전한 VR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VR 컨텐츠 제작자의 경우, VR 컨텐츠 멀미 저감 기술을 통해, 멀미 유발이 심한 VR 컨텐츠의 멀미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VR의 멀미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저감하는 연구가 거의 없다.For VR content viewers, it is possible to receive secure VR content produced through VR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technology. In the case of VR content creators, through VR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duce safer VR content by adjusting the motion sickness level of VR content that causes severe motion sicknes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urrently analyzing VR elements and reducing them.

VR 컨텐츠를 시청할 때 피로와 멀미를 유발하는 요인에는 다양한 VR 컨텐츠 특성들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빠르고 복잡한 움직임과 영상의 낮은 해상도, 영상의 낮은 프레임 레이트 등이 있다.When watching VR content, there are various VR content characteristics that cause fatigue and motion sickness, for example, fast and complex motion, low resolution of the image, and low frame rate of the image.

따라서, VR 컨텐츠로부터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에 의해 분석된 피로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자동으로 저감할 수 있는 VR 컨텐츠 멀미 저감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VR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technology that can automatically reduce factors that can cause fatigue and the like analyzed by a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from VR cont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미유발인자 특징 정보에 대한 분석 기반으로 VR 컨텐츠의 사이버 멀미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cyber motion sickness of VR content based on analysis of motion sickness inducer featur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VR 컨텐츠 분석을 통해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에 기반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VR 컨텐츠의 멀미 유발 특징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Specific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tract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through VR content analysis, and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to reduce the motion-inducing features of the VR content Provided is a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장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중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에 대해 미리 학습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dule for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motion sickness inducers preset through analysis of virtual reality content; And determining motion sickness inducers requir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among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xtracted motion sickness inducers, and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previously learned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s. And a second module for genera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by perform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on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상기 제1 모듈은 딥 러닝 기반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움직임 특징, 해상도 특징과 프레임레이트 특징을 포함하는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first module may perform analysis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deep learning, and extract feature information on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including motion characteristics, resolution characteristics, and frame rate characteristics.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module sequentially reduces the motion sickness for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s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ecome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Can be created.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멀미 점수에 대한 각 특징 정보에서의 그래디언트(gradient) 크기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그래디언트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 점수에 대한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의 영향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로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module calculates a motion sickness scor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calculates a gradient size in each feature information for the calculated motion sickness score, and the By analyzing the influen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motion sickness score based on the calculated gradient size,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may be determined as a motion sickness inducer.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움직임 특징을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제1 딥 뉴럴 네트워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는 제2 딥 뉴럴 네트워크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들에 대한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딥 뉴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 first deep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a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a fram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motion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motion characteristic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the A second deep neural network that upscales the resolution of a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preset high resolution when the resolution has a standard motion sickness score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frame rate of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or higher. It may include a third deep neural network for generating an interpolation frame for the frames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은 가상현실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중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에 대해 미리 학습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preset through analysis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Determining a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 requir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among the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on each of the extracted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And by perform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the feature information by using the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previously learned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below the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And generating.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딥 러닝 기반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움직임 특징, 해상도 특징과 프레임레이트 특징을 포함하는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extracting may perform analysis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deep learning, and extract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including motion characteristics, resolution characteristics, and frame rate characteristics.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sequentially reduces the motion sickness of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s for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o tha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ecome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below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Can be created.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멀미 점수에 대한 각 특징 정보에서의 그래디언트(gradient) 크기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그래디언트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 점수에 대한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의 영향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로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calculates the motion sickness scor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calculates a gradient size in each feature information for the calculated motion sickness score, and the By analyzing the influen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motion sickness score based on the calculated gradient size,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may be determined as a motion sickness inducer.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움직임 특징을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제1 딥 뉴럴 네트워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는 제2 딥 뉴럴 네트워크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들에 대한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step,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motion characteristic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the first deep neural network generating the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a fram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eing the A second deep neural network that upscales the resolution of a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preset high resolution when the resolution has a standard motion sickness score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frame rate of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or higher.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third deep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an interpolation frame for frames 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VR 컨텐츠 분석을 통해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에 기반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VR 컨텐츠의 멀미 유발 특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컨텐츠 내 피로와 사이버 멀미를 유발하는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VR 컨텐츠의 멀미 요소를 적정 수준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may be extracted through VR content analysis, and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may be used to reduce motion sickness-inducing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VR content. hav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feature information of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that causes fatigue and cyber motion sickness in VR content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and uses the analyzed feature information to set the motion sickness factor of VR content to an appropriate level.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청자와 VR 컨텐츠 제작자들이 멀미를 유발하는 VR 컨텐츠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하여 안전한 시청 환경을 조성하도록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rs and VR content creators can effectively respond to VR content causing motion sickness, thereby creating a safe view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자동으로 VR 컨텐츠를 분석하여 멀미 요소를 저감하는 기술을 제안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 제작, 디지털 컨텐츠 제공 플랫폼, 가상현실, 의료시설, 방송 및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시청 안전 표준화 등의 VR 시장 전반에 걸쳐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analyzing VR content to reduce motion sickness, thereby providing digital content production, digital content providing platforms, virtual reality, medical facilities, broadcasting and multimedia, entertainment, and viewing safety standardization in the overall VR market. Can be utilized across.

VR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실제와 같은 뛰어난 몰입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컨텐츠 상 물체 및 카메라 움직임, 해상도, 프레임레이트 등에 의해서도 시청자에게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VR 컨텐츠 제작 업체는 컨텐츠의 몰입감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피로도 간에 균형 있는 VR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VR 컨텐츠 제작 업체에서는 노동력이나 긴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업체에서 제작한 VR 컨텐츠들의 멀미를 원하는 수준으로 저감할 수 있다.While VR content is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n immersive feeling that is as real as possible, it can cause fatigue to viewers due to object and camera movement, resolution, and frame rate on the con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 VR content production company to produce a VR content that balances the immersion of the content and the user's fatigue. In the cas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VR content production companies can reduce motion sickness of VR content produced by companies to a desired level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consuming labor or long time.

본 발명을 이용하여 극심한 피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컨텐츠의 경우, 멀미유발인자 예를 들어, 낮은 해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한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tent that may cause extreme fatigu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motion sickness inducers, for example, by adjusting a low resolution, can create a user-safe VR content.

VR 컨텐츠 플랫폼 업체에서는 VR 컨텐츠 시청자들에게 멀미 저감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들이 직접 원하는 수준으로 멀미를 저감하게 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적절한 몰입감과 피로도의 균형을 가진 VR 컨텐츠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VR content platform companies can provide VR content viewers with motion sickness reduction, allowing viewers to reduce motion sickness directly to the desired level, enabling VR content viewing with a balance of appropriate immersion and fatigue to suit individual tastes.

본 발명을 이용하여 VR 멀미에 민감한 시청자의 경우, VR 컨텐츠 플랫폼 업체에서 제공한 저감 기능을 사용하여 VR 멀미 유발 수준을 낮게 조절함으로써, 안전한 VR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For viewers who are sensitive to VR motion sicknes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atch safe VR content by controlling the level of VR motion sickness to be low by using a reduction function provided by a VR content platform company.

VR 장비 업체에서는 VR 재생 장비를 통해 VR 컨텐츠를 재생할 때, 해당 컨텐츠가 극심한 피로도를 유발하는 영상일 경우, 본 발명을 통해 파악된 멀미 요소를 재생장치에서 저감 예를 들어,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 등을 높게하여 사용자에게 멀미유발인자가 완화된 VR 컨텐츠를 보여주는 시청 안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VR content is played through VR playback equipment, VR equipment companies reduce motion sickness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yback device when the content is an image that causes extreme fatigue, for example, resolution and frame rate. By heighte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 viewing safety function that shows VR content in which motion sickness inducers are relax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컨텐츠 멀미 저감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급격한 움직임으로 인한 멀미 유발 저감을 위한 움직임 안정화 딥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낮은 해상도로 인한 멀미 유발 저감을 위한 고해상도화 딥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낮은 프레임레이트로 인한 멀미 유발 저감을 위한 프레임 보간 딥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figuration for a VR content sickness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a motion stabilization deep neural network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caused by rapid motion.
4 shows an exemplary diagram of a high-resolution deep neural network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caused by low resolution.
5 shows an exemplary diagram of a frame interpolation deep neural network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caused by a low frame rat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 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미유발인자 분석 기반으로 VR 컨텐츠의 사이버 멀미를 저감시키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cyber sickness of VR content based on motion sickness inducer analysis is the gist.

이 때, 본 발명은 VR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VR 멀미유발인자 예를 들어, 움직임 특징, 해상도 특징, 프레임레이트 특징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VR 멀미유발인자를 미리 설정된 영상 처리 기술 예를 들어,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시간적 멀미 요소와 공간적 멀미 요소를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줄임으로써, VR 컨텐츠의 사이버 멀미를 저감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VR motion sickness inducers, for example, motion characteristics, resolution characteristics, frame rate characteristics, etc. through analysis of VR content, and analyzes the VR motion sickness inducers in advance, for example,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By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etc., the temporal motion sickness factor and the spatial motion sickness factor can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ereby reducing cybersickness of VR content.

본 발명은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에 의해 측정된 멀미 정도에 따라 원하는 멀미 유발 수준까지 저감을 반복 수행하는 재귀적 멀미 저감 프레임워크와 분석된 VR 컨텐츠 영상의 멀미유발인자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딥 러닝 영상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각 멀미 유발 특징을 저감하는 VR 멀미 저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recursive motion sickness reduction framework that repeatedly reduces the motion to a desired level of motion sickness according to the motion sickness measured by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nd various dips based on motion sickness inducer feature information of the analyzed VR content image. It may include a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that reduces each motion sickness-inducing feature by utilizing a runn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컨텐츠 멀미 저감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configuration for a VR content sickness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컨텐츠 멀미 저감 시스템은 딥 러닝 기반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과 딥 러닝 기반 VR 멀미 저감 모듈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R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ep learning based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nd a deep learning based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은 멀미를 저감시키기 위한 VR 컨텐츠 예를 들어, 360도 VR 비디오 영상이 입력 또는 수신되면 딥 러닝 기반으로 입력된 VR 컨텐츠를 분석하여 VR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된 VR 멀미 점수가 저감하기 원하는 수준의 기준 점수 이하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평가된 VR 멀미 점수가 기준 점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멀미 저감이 필요한 것이므로, VR 멀미 저감 모듈로 추출된 각각의 멀미유발인자의 특징 정보를 제공한다. 반면, 평가된 VR 멀미 점수가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에는 원하는 수준까지 멀미 저감이 이루어졌다 판단하여 멀미 요소가 저감된 최종 VR 컨텐츠로 저장된다. 이렇게 멀미 요소가 저감된 최종 VR 컨텐츠는 컨텐츠 시청자의 VR 컨텐츠 시청과 컨텐츠 제작자의 VR 컨텐츠 제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시청자는 피로나 사이버멀미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컨텐츠에서 멀미 정도를 적정 수준으로 저감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안전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고, VR 컨텐츠 제작자는 자신이 만든 VR 컨텐츠의 피로나 사이버멀미를 정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여 보다 안전한 VR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nalyzes VR content to reduce motion sickness, for example, when a 360-degree VR video image is input or received, and inputs VR content based on deep learning to obtain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VR motion sickness inducer. It is extracted and judged whether the VR motion sickness score evaluate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is below a reference score of a level desired to be reduced. Here, when the evaluated VR motion sickness sco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score, motion sickness reduction is necessary, and thu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extracted by 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if the evaluated VR motion sickness score is below the reference score, motion sickness reduction is determined to a desired level, and the motion sickness factor is saved as the reduced final VR content. The final VR content with reduced motion sickness elements can help viewers view VR content and content creators create VR content. For example, content viewers can reduce the level of motion sickness to an appropriate level in content that is likely to cause fatigue or cybersickness, and watch content that is safe for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degree of cybersickness to an appropriate level, it can help to create safer VR content.

VR 멀미 저감 모듈은 딥 러닝 기반으로 VR 컨텐츠의 멀미유발인자를 저감시킴으로써, 멀미 요소가 저감된 VR 컨텐츠를 생성한다.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generates VR content with reduced motion sickness factors by reducing motion sickness inducers of VR content based on deep learning.

이 때, VR 멀미 저감 모듈은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로부터 수신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딥 러닝 기반으로 멀미유발인자 각각을 저감시킴으로써,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저감을 통해 멀미 요소가 저감된 VR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reduces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based on deep learning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of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received from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so that motion sickness factors are reduced through reduc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Reduced VR content can be created.

멀미 요소가 저감된 VR 컨텐츠는 다시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을 거쳐 멀미 점수가 기준 점수에 미치는지 판단하게 되고 원하는 수준으로 저감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저감 과정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다면 저감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VR 멀미 저감 시스템을 이용하여 VR 컨텐츠의 멀미 요소를 저감하는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VR content with reduced motion sickness is analyzed again through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tion sickness score has reached the reference sco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sickness has been reduced to a desired level, the reduction process is terminated. Otherwise, the reduction process is repeated. The process of reducing motion sickness elements in VR content using 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system is automatic.

나아가, VR 멀미 저감 모듈은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VR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Guided backpropagation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멀미 점수에 대한 각 특징 정보에서의 그래디언트(gradient) 크기를 계산하여 멀미 점수에 대한 특징 정보 각각의 영향력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특징의 영향력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넘었을 때 해당 특징에 대해 저감을 수행한다고 판별하고, 판별된 멀미유발인자의 특징 정보를 저감켜 VR 컨텐츠의 멀미를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calculates motion sickness scores of VR content based on each feature informa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and calculates the gradient size in each feature information about motion sickness scores using an algorithm such as guided backpropagation. By analyzing the degree of influence of each feature information on motion sickness scores, it is determined that reduction is performed on the feature when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featur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 is reduced to VR Motion sickness can be reduced.

여기서, VR 멀미 저감 모듈은 각 멀미유발인자의 특징 정보에 해당하는 특징 벡터들을 concatenation한 뒤 완전 연결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s)를 적용하여 멀미 점수로 회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VR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Here, 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uses a method of returning to the motion sickness score by applying fully connected layers after concatenation of feature vectors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thereby reducing the motion sickness score of VR content. Can be calculated.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각 모듈에서의 동작을 상세하기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2 show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each module illustrated in FIG. 1 in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은 딥 러닝 기반으로 VR 컨텐츠의 멀미유발인자들 예를 들어, 움직임 정도, 해상도 정도, 프레임레이트 정도 각각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즉,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은 VR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멀미유발인자들 예를 들어, VR 멀미유발인자1 내지 VR 멀미유발인자N 각각에 대하여 분석하고 추출함으로서, VR 멀미유발인자1 내지 VR 멀미유발인자N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은 VR 컨텐츠로부터 VR 멀미유발인자1의 특징을 분석하고 추출함으로써, VR 멀미유발특징1 예를 들어, 급격한 움직임을 추출하고, VR 컨텐츠로부터 VR 멀미유발인자2의 특징을 분석하고 추출함으로써, VR 멀미유발특징2 예를 들어, 기준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추출하며, VR 컨텐츠로부터 VR 멀미유발인자N의 특징을 분석하고 추출함으로써, VR 멀미유발특징N 예를 들어, 기준 프레임레이트보다 낮은 프레임레이트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VR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은 VR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프레임 정보와 특징 정보를 결과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공된 결과물을 이용하여 VR 멀미 점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또한 VR 멀미 저감 모듈의 입력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nalyzes motion motion, resolution, and frame rate, respectively, and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deep learning do. That is,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nalyzes and extracts VR motion sickness trigger factors 1 to VR motion sickness trigger factors 1 to VR motion sickness trigger factors N through pre-set motion sickness factors, for example, VR motion sickness trigger factors 1 to Feature information of each VR motion sickness inducer N is extracted. For example,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nalyzes and extracts features of VR motion sickness inducer 1 from VR content, extracts VR motion sickness feature 1, for example, rapid motion, and features of VR motion sickness trigger 2 from VR content. By analyzing and extracting, VR motion sickness-causing feature 2, for example, extracting a resolution lower than the reference resolution, and analyzing and extracting features of VR motion sickness-inducer N from VR content, VR motion sickness-causing feature N, for example A frame rate lower than the frame rate is extracted. In addition, the motion sickness score of the VR content may be calculated us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extracted motion sickness inducers. Here,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can provide frame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through analysis of VR content as a result, and the VR motion sickness scor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result provided as such. It can be used as input information of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VR 멀미 저감 모듈은 멀미 유발 인자 저감 여부를 판별하는 부분과 각 멀미유발특징에 대해 저감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딥 러닝 기반 VR 멀미 저감 모듈은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에 의해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와 VR 컨텐츠를 입력으로 받는다.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is composed of a part that determines whether motion sickness inducing factors are reduced and a part that performs reduction for each motion sickness inducing feature. The deep learning based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receives as input the feature information and VR content of motion sickness inducers extracted by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이 때,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는 급격한 움직임, 낮은 해상도과 낮은 프레임레이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멀미유발인자들이 상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VR 멀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멀미유발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may include sudden movement, low resolution and low frame rate, and the motion sickness triggerer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ll motion sickness triggers that can cause VR motion sickness It can contain.

멀미 유발 인자 저감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에서는 VR 멀미 분석 및 평가 모듈에 의해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해당 특징에 대한 저감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각 특징에 대해 저감 필요 여부 판별을 위해서는 높은 멀미 점수에 대해 각 멀미 유발 특징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가 고려되어야 한다.The discri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motion sickness inducing factors are reduced is determined by receiving feature informa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extracted by the VR motion sickness analysis and evaluation module as input,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reduction for the featur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reduction is necessary for each fea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much each motion-causing feature affects a high motion sickness score.

이 때, 판별부는 Guided backpropagation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예측된 높은 VR 멀미 점수에 대해 각 멀미 유발 특징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할 수 있으며, 특징의 영향력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Figure pat00001
를 넘었을 때 해당 특징에 대해 저감을 수행한다고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판별부는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VR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하여 계산된 멀미 점수의 비중을 분석하여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비중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멀미유발인자를 판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rimination unit can analyze how much each motion sickness-causing feature had an effect on the predicted high VR motion sickness score using an algorithm such as guided backpropagation, and a reference value in which the influence level of the feature was set in advance
Figure pat00001
When it exceeds, it can be determined that reduction is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For example, the discrimination unit calculates motion sickness scores of VR content based on each feature informa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analyzes the weight of motion sickness scores calculated for each feature information, and sets weights in advance to each feature informa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above the standard value can be identified.

각 특징에 대한 저감을 수행하는 저감부에서는 VR 컨텐츠와 판별부에서 판별된 해당 특징에 대한 저감 여부를 고려하여 딥 러닝 기반으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하여 멀미 저감을 수행한다.The reduction unit that performs reduction for each feature considers whether the VR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feature determin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are reduced, and performs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each feature informa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based on deep learning.

이 때, 저감부는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멀미 저감을 수행하기 위한 멀미유발인자 각각에 대하여, 저감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모델링된 학습 모델의 뉴럴 네트워크 예를 들어,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멀미유발인자의 특징 정보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저감 수행 과정을 멀미 저감을 수행하기 위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for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for performing motion reduction, the reduction unit determines the motion sickness by using a neural network of a pre-modeled learning model for performing reduction, for example,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rigger, and this reduction process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for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for perform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예를 들어, 도 2에서 멀미유발특징1, 멀미유발특징2와 멀미유발특지N이 멀미 저감을 수행하기 위한 멀미유발인자로 결정되면, 저감부는 VR 컨텐츠에 대하여 딥 러닝 기반 뉴럴 네트워크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움직임 안정화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멀미유발특징1의 멀미 요소를 저감시키고, VR 멀미유발특징1의 멀미 요소가 저감된 VR 컨텐츠에 대하여 딥 러닝 기반 뉴럴 네트워크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고해상도화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멀미유발특징2의 멀미 요소를 저감시키며, VR 멀미유발특징1의 멀미 요소와 VR 멀미유발특징2의 멀미 요소가 저감된 VR 컨텐츠에 대하여 딥 러닝 기반 뉴럴 네트워크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프레임 보간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멀미유발특징N의 멀미 요소를 저감시킴으로써, 멀미 요소가 저감된 VR 컨텐츠를 생성한다.For example, in FIG. 2, if motion sickness-inducing feature 1, motion sickness-inducing feature 2, and motion sickness-inducing feature N are determined as motion sickness inducers for perform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the reduction unit is a deep learning-based neural network for VR content, for example. A deep learning based neural network, for example, for VR content in which motion sickness-causing feature 1 motion-reducing motion sickness elements are reduced using the motion-stabilized deep neural network shown in FIG. Deep learning on VR content with reduced motion sickness factor of VR motion sickness feature 1 and VR motion sickness feature feature 2 using the high resolution deep neural network shown in 4 Based neural network For example, by using the frame interpolation deep neural network shown in FIG. 5, the motion sickness factor of VR motion sickness inducing feature N is reduced, thereby generating VR content with reduced motion sickness factors.

이러한 저감부는 해당 특징에 대해 저감이 필요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만 저감을 수행하여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저감부에서는 급격한 움직임, 낮은 해상도, 낮은 프레임레이트 등의 멀미 유발 특징들을 완화하기 위해 움직임 안정화, 고해상도화 그리고 프레임보간 딥 뉴럴 네트워크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The reduction unit can provide efficiency by performing reductio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duction is necessary for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At this time, in the reduction unit, motion stabilization, high resolution, and frame interpolation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s may be used to alleviate motion-induced features such as rapid motion, low resolution, and low frame rate.

도 3은 급격한 움직임으로 인한 멀미 유발 저감을 위한 움직임 안정화 딥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안정화를 위한 딥 네트워크는 VR 컨텐츠의 공간적 특징 추출을 위한 공간적 특징 인코더인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VR 컨텐츠의 시간적 특징 추출을 위한 시간적 특징 인코더인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Conv LSTM(Long Short-Term Memory)과 추출된 특징에서 움직임이 안정화된 프레임 생성을 위한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디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DeCNN)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IG. 3 shows an exemplary diagram of a motion stabilization deep neural network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caused by rapid motion, and as shown in FIG. 3, a deep network for stabilizing motion is a spatial feature for extracting spatial features of VR content. Deep network as an encoder, for examp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emporal feature for extracting temporal features of VR content. Deep network as an encoder, for example, Conv LSTM (Long Short-Term Memory) and motion from extracted feature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ep network for generating a stabilized frame, for example, a de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eCNN).

여기서, 각각의 딥 네트워크는 VR 컨텐츠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트레이닝을 통해 움직임 안정화를 위한 학습 모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각각의 학습 모델 기반의 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컨텐츠에 대하여 움직임이 안정화된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Here, in each deep network, a training model for stabilizing mo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training on motion information of VR content, and motion is stabilized for VR content using a deep network based on each learning model thus generated. Frames can be created.

즉, 도 3은 VR 컨텐츠가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움직임 특징을 가지는 경우 VR 컨텐츠의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하 또는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도록 움직임 특징을 저감시킨 프레임으로 생성할 수 있다.That is, FIG. 3 may generate a frame of VR content as a frame in which motion characteristics are reduced to have a motion sickness score of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motion or a motion sickness score of less than a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when the VR content has motion characteristics of a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or higher.

도 4는 낮은 해상도로 인한 멀미 유발 저감을 위한 고해상도화 딥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해상도화를 위한 딥 네트워크는 VR 컨텐츠의 공간적 특징 추출을 위한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와 추출된 특징에서 입력 해상도보다 더 높은 고해상도의 프레임 생성을 위한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디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DeCNN)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딥 뉴럴 네트워크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K×K인 경우 2K×2K의 해상도로 업스케일하여 고해상도의 프레임 각각을 생성함으로써, 고해상도의 VR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낮은 해상도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멀미 유발 인자를 저감시킬 수 있다.FIG. 4 shows an example of a high resolution deep neural network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caused by low resolution, and as shown in FIG. 4, a deep network for high resolution is a deep network for extracting spatial features of VR content.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a deep network, for example, a de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eCNN) for generating a frame having a higher resolution than the input resolution from the extracted feature. In the deep neural network of FIG. 4, when the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is K×K, upscaled to a resolution of 2K×2K to generate each high-resolution frame, thereby generating high-resolution VR content and through this, may be generated due to low resolution. Reduces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여기서, 각각의 딥 네트워크는 VR 컨텐츠의 고해상도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통해 프레임 각각을 업스케일링하는 학습 모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각각의 학습 모델 기반의 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컨텐츠에 대하여 해상도가 업스케일링된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Here, in each deep network, a training model for upscaling each frame through training for high resolution of VR content may be generated, and the resolution of the VR content using the deep network based on each learning mode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ted. Can generate upscaled frames.

즉, 도 4는 VR 컨텐츠가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해상도 특징을 가지는 경우 VR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고해상도로 업스케일할 수 있다.That is, FIG. 4 can upscale the resolution of a frame of VR content to a preset high resolution when the VR content has a resolution characteristic of a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or higher.

도 5는 낮은 프레임레이트로 인한 멀미 유발 저감을 위한 프레임 보간 딥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보간를 위한 딥 네트워크는 VR 컨텐츠의 공간적 특징 추출을 위한 공간적 특징 인코더인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VR 컨텐츠의 두 프레임의 특징 융합을 위한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Concatenation 및 CNN 그리고 추출된 특징에서 보간 프레임 생성을 위한 딥 네트워크 예를 들어, 디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DeCNN)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IG. 5 shows an exemplary diagram of a frame interpolation deep neural network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caused by a low frame rate. As shown in FIG. 5, a deep network for frame interpolation is a spatial feature for extracting spatial features of VR content. Deep network for encoder, for examp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eep network for fusion of features of two frames of VR content, for example, Concatenation and CNN, and deep network for generation of interpolated frames from extracted features , De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eCNN).

여기서, 각각의 딥 네트워크는 VR 컨텐츠의 프레임레이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을 통해 보간 프레임 생성을 위한 학습 모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각각의 학습 모델 기반의 딥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R 컨텐츠에 대하여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VR 컨텐츠의 프레임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Here, each deep network may generate a training model for generating an interpolation frame through training to improve the frame rate of VR content, and use the deep network based on each learning mode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for VR content. An interpolation frame can be generated, thereby improving the frame rate of VR content.

즉, 도 5는 VR 컨텐츠가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프레임레이트 특징을 가지는 경우 VR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하 또는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도록 보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That is, FIG. 5 may generate an interpolation frame such that when the VR content has a frame rate characteristic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the VR content has a motion sickness sco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or a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멀미유발인자를 저감시키기 위한 각각의 저감 네트워크 구성은 상술한 특정 딥 네트워크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능 즉, 멀미유발인자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능의 뉴럴 네트워크 구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Each of the reduction network configurations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ducers described in FIGS. 3 to 5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deep network structure, and includes all neural network structures of a corresponding function, that is, a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motion sickness inducers. Can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VR 멀미 저감 모듈은 VR 컨텐츠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해상도를 높이며, 프레임을 보간하는 등 각 멀미 유발 인자에 해당하는 멀미 요소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R motion sickness reduction module may perform motion sickness factor reduction corresponding to each motion sickness inducing factor, such as smoothing motion of VR content, increasing resolution, and interpolating fram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또는 장치는 VR 컨텐츠 분석을 통해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에 기반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VR 컨텐츠의 멀미 유발 특징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through VR content analysis, and uses the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to get motion sickness of the corresponding VR content Induced characteristics can be reduced.

종래 기술에서는 최종 멀미 점수를 기준으로 각 멀미 유발 인자들을 모두 저감하여 실제 멀미를 유발하지 않는 요소에서도 저감이 적용되는 비효율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실제 멀미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 특징을 분석하는 저감 여부 판별 과정을 추가하여 특정 멀미 유발 특징에 대해서만 저감이 진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ior art, there was an inefficiency in which reduction is applied to elements that do not actually cause motion sickness by reducing all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based on the final motion sickness score. By adding a discrimination process,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configuring the reduction to be performed only for specific motion sickness-inducing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또는 장치는 시청자와 VR 컨텐츠 제작자들이 멀미를 유발하는 VR 컨텐츠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하여 안전한 시청 환경을 조성하도록할 수 있다. 에컨대, 본 발명은 극심한 피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컨텐츠의 경우 멀미유발인자 예를 들어, 낮은 해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한 VR 컨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고, VR 멀미에 민감한 시청자의 경우 VR 컨텐츠 플랫폼 업체에서 제공한 저감 기능을 사용하여 VR 멀미 유발 수준을 낮게 조절함으로써, 안전한 VR 컨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ow viewers and VR content creators to effectively respond to VR content causing motion sickness, thereby creating a safe viewing environment.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duce motion-prone VR content for a user who is sensitive to VR motion sickness, for example, by adjusting a low resolution in case of content that may cause extreme fatigue. You can also watch safe VR content by adjusting the level of VR motion sickness to a low level using the reduction function provided b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1 내지 도 5의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operation flowchart in the apparatus or system of FIGS. 1 to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VR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S610).Referring to FIG. 6,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motion sickness inducers through analysis of VR content (S610).

여기서, 단계 S610은 VR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된 VR 컨텐츠를 딥 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멀미유발인자들 예를 들어, 움직임 특징, 해상도 특징, 프레임레이트 특징 각각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Here, in step S610, when VR content is input, the input VR content is analyzed based on deep learning to analyze motion sickness inducers, for example, motion characteristics, resolution characteristics, frame rate characteristics, and extract feature information from each. Can.

단계 S610에 의해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를 결정한다(S620).Whe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is extracted by step S610, the motion sickness inducer that needs to be reduc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S620).

이 때, 단계 S620은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VR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하여 계산된 멀미 점수의 비중을 분석 또는 계산하여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비중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멀미유발인자를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로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620 calculates the motion sickness score of the VR content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and analyzes or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motion sickness score for each feature information, thereby calculat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motion sickness inducer. In this case, a motion sickness inducer whose specific grav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may be determined as a motion sickness inducer requiring reduction.

단계 S620에 의해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가 결정되면 저감이 결정된 멀미유발인자의 특징 정보를 딥 러닝 기반으로 저감시킴으로써, 멀미가 저감된 VR 컨텐츠를 생성한다(S630).When the motion sickness inducer requiring reduction is determined in step S620,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 determined to be reduced is reduced based on a deep learning to generate VR content with reduced motion sickness (S630).

이 때, 단계 S630은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에 대해 미리 학습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함으로써, VR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VR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630 performs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previously learned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s, so that VR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Can be created with

여기서, 단계 S630은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VR 컨텐츠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상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VR 컨텐츠의 프레임을 상기 기준 움직임 이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제1 딥 뉴럴 네트워크, VR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는 제2 딥 뉴럴 네트워크와 VR 컨텐츠의 프레임레이트가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레이트보다 낮은 경우 VR 컨텐츠의 프레임들에 대한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Here, in step S630,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eac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on VR content, and a frame of VR content including a mo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motion is set to a frame below the reference motion. The first deep neural network to be generated, the second deep neural network that upscales the resolution of the frames of the VR content to a preset high resolution, and the frames of the VR content when the frame rate of the VR content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frame rate.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third deep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an interpolation frame.

비록, 도 6의 방법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6의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의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FIG. 6 is omitted, the method of FIG. 6 may include all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pparatus or system of FIGS. 1 to 5, which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combinations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a processor, controller, arithmetic logic unit (ALU), digital signal processor (micro signal processor), microcomputer,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programmabl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logic unit,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one being used,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Can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t this time, the medium may continue to store a program executable on a computer, or may be temporarily stored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single or several hardware, and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omputer system, but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include an application store for distributing applications, a site for distributing or distributing various software, and a recording medium or storage medium managed by a serv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가상현실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중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에 대해 미리 학습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하는 제2 모듈
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장치.
A first module for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preset through analysis of virtual reality content; And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xtracted motion sickness inducers, the motion sickness inducer among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is determined, and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previously learned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s is used. A second module that genera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by perform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on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Virtual reality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딥 러닝 기반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움직임 특징, 해상도 특징과 프레임레이트 특징을 포함하는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dule
A device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of virtual reality content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alysis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deep learning and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including motion characteristics, resolution characteristics, and frame rate characteristic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dule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 feature inform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reby genera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below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Virtual reality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멀미 점수에 대한 각 특징 정보에서의 그래디언트(gradient) 크기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그래디언트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 점수에 대한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의 영향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dule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the motion sickness scor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calculated, the gradient size in each feature information for the calculated motion sickness score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gradient size A virtual reality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influen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motion sickness score,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is determined as a motion sickness indu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움직임 특징을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제1 딥 뉴럴 네트워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는 제2 딥 뉴럴 네트워크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들에 대한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딥 뉴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dule
A first deep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a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a fram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motion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motion characteristic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and a resolution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xceeds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When having a second deep neural network upscaling the resolution of the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preset high resolution and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frame rat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for the frames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 third deep neural network generating an interpolation frame.
가상현실 컨텐츠의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중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에 대해 미리 학습된 딥 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re-set motion sickness inducers through analysis of virtual reality content;
Determining a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 requir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among the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on each of the extracted motion sickness-inducing factors; And
By generating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previously learned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generated a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below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Steps to
Virtual reality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딥 러닝 기반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움직임 특징, 해상도 특징과 프레임레이트 특징을 포함하는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extracting step
A virtual reality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alysis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deep learning and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including motion characteristics, resolution characteristics, and frame rate characteristics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멀미유발인자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하의 멀미 점수를 가지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generating step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for each of the determined motion sickness inducer feature inform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reby genera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virtual reality content having a motion sickness score below a preset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How to reduce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cont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멀미유발인자들 각각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멀미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멀미 점수에 대한 각 특징 정보에서의 그래디언트(gradient) 크기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그래디언트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멀미 점수에 대한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의 영향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멀미 저감이 필요한 멀미유발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determining step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tion sickness inducers, the motion sickness scor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calculated, the gradient size in each feature information for the calculated motion sickness score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gradient size A virtual reality content motion sickness red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influen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motion sickness score, the motion sickness reduction is determined as a motion sickness induc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움직임 특징을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이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제1 딥 뉴럴 네트워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해상도를 미리 설정된 고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는 제2 딥 뉴럴 네트워크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상기 기준 멀미 점수 이상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프레임들에 대한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특징 정보에 대한 멀미 저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멀미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generating step
A first deep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a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s a fram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motion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motion characteristic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and a resolution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xceeds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When having a second deep neural network upscaling the resolution of the fram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preset high resolution and wh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has a frame rat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motion sickness score, for the frames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contents, wherein motion sickness reduction is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feature information by using a third deep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an interpolation frame.
KR1020190166575A 2018-12-13 2019-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KR1022912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75A KR102291257B1 (en) 2018-12-13 2019-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US16/985,333 US11252371B2 (en) 2019-12-13 2020-08-05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20 2018-12-13
KR20180160720 2018-12-13
KR1020190166575A KR102291257B1 (en) 2018-12-13 2019-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60A true KR20200073160A (en) 2020-06-23
KR102291257B1 KR102291257B1 (en) 2021-08-20

Family

ID=7113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575A KR102291257B1 (en) 2018-12-13 2019-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2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579A (en) * 2020-10-27 2022-05-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lleviating visual complexity metric of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505272B1 (en) * 2022-09-16 2023-03-09 주식회사 금강바이오 Novel Neorhizobium sp. FWR7 and compost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522A1 (en) * 2015-02-05 2016-08-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otion sicknes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supplemental sound to counteract sickness
KR20170105905A (en)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rtual reality content
WO2018057980A1 (en) * 2016-09-23 2018-03-29 Apple Inc. Immersive virtual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522A1 (en) * 2015-02-05 2016-08-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otion sicknes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supplemental sound to counteract sickness
KR20170105905A (en)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rtual reality content
WO2018057980A1 (en) * 2016-09-23 2018-03-29 Apple Inc. Immersive virtual displa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성철 외 4인, 가상현실 미디어 기술동향과 VR 멀미저감 방안, 방송공학회논문지 제23권 제6호, 2018.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579A (en) * 2020-10-27 2022-05-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lleviating visual complexity metric of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505272B1 (en) * 2022-09-16 2023-03-09 주식회사 금강바이오 Novel Neorhizobium sp. FWR7 and compos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257B1 (en)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9052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334222B2 (en) Focus-based video loop switching
KR102250821B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6445157B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icture display direction
KR102055486B1 (en) Apparatus for sickness assessment of vr contents using deep learning based analysis of visual­vestibular mismatch and the method thereof
US114092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obots within in an interactive arena and generating a virtual overlayed
KR202000731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US10671151B2 (en) Mitigating digital reality leakage through session modification
KR20180013892A (en) Reactive animation for virtual reality
KR20200073109A (en) Method for vr sickness assessment considering neural mismatch model and the apparatus thereof
US10924525B2 (en) Inducing higher input latency in multiplayer programs
KR201701048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rtual reality content
CN109167989B (en) VR video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10942617B2 (en) Runtime adaptation of augmented reality gaming content based on context of surrounding physical environment
CN111679739A (en) Readable storage medium, virtual reality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thereof
US10831266B2 (en) Personalized adapt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eye strain context
WO2022115160A1 (en) In-game dynamic camera angle adjustment
KR201701059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rtual reality content
US11252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ckness reduc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sickness assessment
KR1023571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KR201801228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3 dimensional image
KR102284913B1 (en) Users Field of View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360 degree videos
KR20170133684A (en) Method and device to divide screen
US20240033619A1 (en) Impaired player accessability with overlay logic providing haptic responses for in-game effects
KR10196874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target resource file and a server perform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