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100A - 자기장 차폐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기장 차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100A
KR20200073100A KR1020190024718A KR20190024718A KR20200073100A KR 20200073100 A KR20200073100 A KR 20200073100A KR 1020190024718 A KR1020190024718 A KR 1020190024718A KR 20190024718 A KR20190024718 A KR 20190024718A KR 20200073100 A KR20200073100 A KR 20200073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magnetic
layer
dissipation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635B1 (ko
Inventor
김성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ublication of KR2020007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F27/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01F10/12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e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은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이 배치된 자성체 시트와, 상기 자성체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시트와 폭이 다른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층까지 연장된 형태의 보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장 차폐 구조물 {Shielding Structure for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자기장 차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휴대용 장치에 무선 충전(WPC) 기능, 근거리 통신(NFC) 기능, 전자 결제(MST) 기능 등이 채용되고 있다. 무선 충전(WPC), 근거리 통신(NFC), 전자 결제(MST) 기술은 동작 주파수, 데이터 전송률, 전송하는 전력량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전자기파를 차단과 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성체 시트가 채용되며, 예컨대, 무선 충전 장치에서는 수신부 코일과 배터리 사이에 자성체 시트를 배치한다. 자성체 시트는 수신부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차폐 및 집속하여 배터리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성체 시트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 등이 다기능화, 고기능화되면서 자성체 시트의 성능 향상은 계속하여 요구되고 있다. 자성체 시트를 사용하여 무선충전을 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수~수십 Watt의 전력이 이동하면서 재료와 회로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전자파 차폐 시트나 코일부 등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방열 성능이 향상되어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 전자파 차폐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 성능이 향상되어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한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일 예를 통하여 자성체 시트의 신규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이 배치된 자성체 시트와, 상기 자성체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시트와 폭이 다른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층까지 연장된 형태의 보호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자성체 시트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열층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자성체 시트를 벗어나는 오프셋 영역의 폭은 0.1m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자성체 시트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열층을 벗어나는 오프셋 영역의 폭은 0.1m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열층은 그라파이트 및 그라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접착층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열층의 상면과 측면, 그리고 상기 자성체 시트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자성체 시트 및 상기 방열층의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와 상기 방열층은 측면의 조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의 측면 조도는 상기 방열층 측면 조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이 배치된 자성체 시트와, 상기 자성체 시트 상에 배치된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층까지 연장된 형태의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시트와 상기 방열층은 측면의 조도가 서로 다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의 측면 조도는 상기 방열층 측면 조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Fe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층은 그라파이트 및 그라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안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의 경우, 방열 성능이 향상되어 신뢰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밀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와 방열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의 제조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방열층의 제조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와 방열층의 제조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와 방열층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자장치무선전력 전송장치(1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전력 수신장치(20)는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3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의 내부를 보면, 기판(12) 상에 송신부 코일(11)이 형성되어 있어 무선전력 전송장치(10)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내장된 수신부 코일(21)에는 송신부 코일(11)로부터 유도된 기전력에 의하여 배터리(22)가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2)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니켈수소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터리(22)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배터리(2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부 코일(11)과 수신부 코일(21)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구리 등의 금속 와이어를 권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권회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나 권회 횟수 등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하여 설정할 수 있다.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이 배치되며,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은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 위치하여 자속을 집속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신부 코일(21) 측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은 자속 중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2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은 코일부와 결합되어 상술한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 외에도 상기 코일부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는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가 아닌 송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는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송신부와 수신부 코일을 모두 코일부로 칭하기로 한다. 이하,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와 방열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의 제조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방열층의 제조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와 방열층의 제조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자성체 시트와 방열층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은 자성체 시트(110), 방열층(120), 베이스층(140) 및 보호층(150)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하며,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의 폭이 서로 다르다. 또한, 방열층(120) 상에 배치된 보호층(150)은 베이스층(140)까지 연장된 형태이다. 한편,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11)과 방열층(120) 사이에는 접착층(130)이 개재되어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자성체 시트(110)는 베이스층(140) 상에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복수의 자성층(111)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자성층(111)을 포함하는 예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자성층(111)의 개수는 의도하는 차폐 성능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1개의 자성층(111)만으로 자성체 시트(1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자성체 시트(110)가 복수의 자성층(111)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자성층(111)은 그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112)에 의하여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112)은 양면 테이프, 접착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자성층(111)은 비정질 합금이나 나노 결정립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 리본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질 합금으로는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합금은 Si를 포함하는 물질, 예를 들어, Fe-Si-B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Fe를 비롯한 금속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포화 자속 밀도가 높아지지만, Fe 원소의 함유량이 과다할 경우 비정질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Fe의 함량은 70-90atomic%일 수 있으며, 비정질 형성 가능성 측면에서는 Si 및 B의 합이 10-30atomic%의 범위인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기본 조성에 부식을 방지시키기 위해 Cr, Co 등 내부식성 원소를 20atomic% 이내로 첨가할 수도 있고, 다른 특성을 부여하도록 필요에 따라 다른 금속 원소를 소량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층(111)의 투자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성층(111)에 크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노 결정립 합금을 이용하여 자성층(111)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Fe계 나노 결정립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나노 결정립 합금은 Fe-Si-B-Cu-Nb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성층(111)은 폐라이트계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Mn-Zn계, Mn-Ni계, Ba, Sr계 페라이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들 물질을 나노 결정 분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등의 베이스에 자성 입자가 충진된 형태의 폴리머 복합체를 이용하여 자성층(1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방열층(120)은 자성체 시트(110) 상에 배치되며, 방열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열층(120)은 탄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성분의 예로서, 그라파이트(graphite), 그라핀(graphene)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방열층(120)을 이러한 탄소 성분으로 구현하는 경우 단위 자성체 시트로 절단하는 다이싱 공정에 의해 방열층(120)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의 폭을 다르게 하였고 이러한 형태는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분리하여 다이싱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착층(130)은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접합하기에 적합한 것이라면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이 가능하며, 양면테이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베이스층(140)은 그 상부에 자성체 시트(110) 등이 배치되며, 자성체 시트(110)를 보호함과 함께, 이에 의하여 자성체 시트(110)를 보다 용이하게 핸들링 할 수 있다. 베이스층(140)은 양면 테이프의 형태로 제공되어 코일 부품 등에 접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층(140)은 접착층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베이스층(140)의 하면에는 점착 물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부품 등에 접합되기 전 자기장 차폐 구조물(100)을 용이하게 핸들링하기 위해 베이스층(140)의 하면에는 캐리어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보호층(150)은 방열층(120)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층(140)까지 연장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보호층(150)은 방열층(120)의 상면과 측면, 그리고 자성체 시트(1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나아가 보호층(150)은 베이스층(14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의해 자성체 시트(110) 및 방열층(120)의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Fe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111)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110)는 외부에 노출될 경우 수분이나 염분 등에 취약하며, 이러한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체 시트(110), 방열층(120)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층(150)을 자성체 시트(110)의 상면과 측면에 모두 적용하였으며, 나아가, 보호층(150)의 베이스층(140)의 상면과 접합됨으로써 보호 기능이 향상됨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층(150)은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베이스층(140)의 상면과 접착되어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밀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층(150)은 이러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으며, 에폭시, PET 필름 등의 절연성 수지를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보호층(150)은 블랙 PET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보호 기능 외에 보호층(150)은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고방열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방열성 필러는 탄소, 구리, 철 등의 전도성 물질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층(150)이 높은 열 전도성을 가짐에 따라, 자성체 시트(110) 등에서 발생된 열은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즉, 보호층(150)은 공기보다 열 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자성체 시트(110)에 축적된 열은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은 폭이 서로 다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열층(120)의 폭이 더 넓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방열층(120)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자성체 시트(110)를 벗어나는 오프셋 영역의 폭(L1)은 0.1mm 이상일 수 있다. 그라파이트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열층(120)과 Fe계 합금 성분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110)를 동시에 절단(다이싱)하는 경우 금형의 칼날에 의해 방열층(120)에는 그라파이트 구조층의 면간 분리(분층)이 생길 수 있다. 이는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 성분을 포함하는 방열층(120)이 유연성이 높으며 두께 방향으로 충 분리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렇게 방열층(120) 분층이 생기면 자성체 시트의 방열 성능과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분리하여 별개의 공정으로 다이싱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싱 공정의 예로서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각각 캐리어 필름(201, 202)에 배치한 후 칼날(301, 302)을 이용해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각각 절단할 수 있다. 이렇게 시트 단위로 절단된 상태에서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접합할 수 있다. 다만, 도 6 및 도 7에서는 자성체 시트(110)를 1차로 절단하고 방열층(120)을 2차로 절단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은 각각 별개로 절단되어 접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그 순서는 일부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를 시트 단위로 절단한 후 절단되지 않은 상태, 예컨대 롤 형태의 방열층(120)을 분리된 자성체 시트(110)에 접합하며, 그 이후에 방열층(120)을 시트 단위로 절단할 수 있다. 반대로 방열층(120)을 시트 단위로 절단한 후 절단되지 않은 자성체 시트(110)를 분리된 방열층(120)에 접합하며, 그 이후에 자성체 시트(110)를 시트 단위로 절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다이싱 공정과 관련하여,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의 물성을 고려하여 각각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이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방열층(120) 절단용 칼날(302)을 자성체 시트(110) 절단용 칼날(301)보다 더 날카로운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강도와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성체 시트(110)를 가공하기 위해 종래에는 칼 끝이 무디고 강도가 높은 금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방열층(120)에 사용하는 경우 분층 현상이 발행할 수 있다. 반대로 날카로운 칼날로 자성체 시트(110)를 가공하는 경우 금형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날이 무딘 칼날(301)을 사용하여 자성체 시트(110)를 절단하고, 날카로운 칼날(302)을 사용하여 방열층(120)을 절단하였다. 이에 따라, 자성체 시트(110)의 측면(S1)과 방열층(120)의 측면(S2), 즉, 절단면은 표면 조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의 측면(S1) 조도가 방열층(120)의 측면(S2) 조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방열층(120)은 자성체 시트(110)보다 폭이 넓은 형태, 즉, 자성체 시트(110)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방열층(120)은 자성체 시트(110)의 외곽으로부터 벗어난 오프셋(offset) 영역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상술한 도 6 내지 8의 분리 절단 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종래의 동시 절단 공정으로부터는 얻을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오프셋 영역은 자성체 시트(110)의 크기가 더 큰 경우에도 얻어질 수 있다. 즉, 도 10의 변형 예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방열층(120)은 자성체 시트(110)보다 폭이 좁을 수 있고 자성체 시트(110)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 방열층(120)을 벗어나는 오프셋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방열층(120)이 자성체 시트(110)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발생하는 오프셋 구조에 의해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하는 방열층(120)의 성능 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체 시트(110)의 측면과 방열층(120)의 측면이 동일한 면에 위치하는 경우, 공정 중이나 사용 중 의도하지 않은 외력과 자성체 시트(110)가 갖는 두께에 의한 단차의 복합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성체 시트(110)의 외각 선단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거나 부자재의 유동이 발생할 때, 원자 구조상 층 분리가 쉽게 발생하는 방열층(120)의 선단부의 분층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 사이의 점착층이 얇아질수록 강도 차이에 의한 방열층(120)의 손상 정도는 심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방열층(120) 또는 자성체 시트(110)의 오프셋 구조는 방열층(120)의 분층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고려하여, 방열층(120)의 상기 오프셋 영역의 폭(L1), 그리고 자성체 시트(110)의 상기 오프셋 영역의 폭(L2)은 0.1m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와 방열층(120)을 별개로 절단하는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방열층(120)의 분층 현상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도 11의 변형 예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과 방열층(120)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 즉, 상술한 오프셋 영역이 없이 자기장 차폐 구조물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별개의 다이싱 공정에 의하여, 자성체 시트(110)의 측면(S1)과 방열층(120)의 측면(S2), 즉, 절단면은 표면 조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 형태와 같이 자성체 시트(110)의 측면(S1) 조도가 방열층(120)의 측면(S2) 조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송신부 코일
20: 무선전력 수신장치
21: 수신부 코일(코일부)
22, 130: 배터리
30: 전자기기
100: 자기장 차폐 구조물
110: 자성체 시트
111: 자성층
112: 접착층
120: 방열층
130: 접착층
140: 베이스층
150: 보호층
201, 202: 캐리어 필름
301, 302: 칼날

Claims (15)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이 배치된 자성체 시트;
    상기 자성체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시트와 폭이 다른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층까지 연장된 형태의 보호층;
    을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자성체 시트보다 폭이 넓은 자기장 차폐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자성체 시트를 벗어나는 오프셋 영역의 폭은 0.1mm 이상인 자기장 차폐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자성체 시트보다 폭이 좁은 자기장 차폐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열층을 벗어나는 오프셋 영역의 폭은 0.1mm 이상인 자기장 차폐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그라파이트 및 그라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접착층인 자기장 차폐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열층의 상면과 측면, 그리고 상기 자성체 시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과 접촉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자성체 시트 및 상기 방열층의 밀봉 구조를 형성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와 상기 방열층은 측면의 조도가 서로 다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의 측면 조도는 상기 방열층 측면 조도보다 더 높은 자기장 차폐 구조물.
  13.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이 배치된 자성체 시트;
    상기 자성체 시트 상에 배치된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층까지 연장된 형태의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시트와 상기 방열층은 측면의 조도가 서로 다른 자기장 차폐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의 측면 조도는 상기 방열층 측면 조도보다 더 높은 자기장 차폐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Fe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층은 그라파이트 및 그라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구조물.
KR1020190024718A 2018-12-13 2019-03-04 자기장 차폐 구조물 KR102158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0639 2018-12-13
KR1020180160639 2018-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00A true KR20200073100A (ko) 2020-06-23
KR102158635B1 KR102158635B1 (ko) 2020-09-22

Family

ID=7113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718A KR102158635B1 (ko) 2018-12-13 2019-03-04 자기장 차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545A1 (ko) * 2021-04-02 2022-10-06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88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엠피코 전자파 차폐 및 열방출용 다기능성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1106A (ko) * 2015-07-21 2017-02-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전도 이방성 자성 시트 복합체
KR20170067635A (ko) * 2015-12-08 2017-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자기장 차폐 구조물 및 전자기기
KR20170076566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88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엠피코 전자파 차폐 및 열방출용 다기능성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1106A (ko) * 2015-07-21 2017-02-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전도 이방성 자성 시트 복합체
KR20170067635A (ko) * 2015-12-08 2017-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자기장 차폐 구조물 및 전자기기
KR20170076566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545A1 (ko) * 2021-04-02 2022-10-06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635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1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med thereby
KR102671965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CN107836062B (zh) 散热片和包括该散热片的无线电力传输模块
KR101892799B1 (ko) 자기장 차폐 구조물 및 전자기기
KR20140093647A (ko)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CN107393677B (zh) 磁性片及无线充电模块
KR102406262B1 (ko) 무선충전용 차폐유닛
US10028420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JP2018535634A (ja) 無線電力伝送用磁場遮蔽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無線電力受信モジュール
US9955614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102201600B1 (ko) 무선충전용 방열시트
CN209983020U (zh) 磁性片、电子装置和电子设备
EP3387702A1 (en) Magnetic isolator,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2158635B1 (ko) 자기장 차폐 구조물
KR102315813B1 (ko)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용 방열부재,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 및 무선충전 수신장치
KR20180000490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CN106856358B (zh) 磁场屏蔽用结构物及电子设备
KR20180005945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20170053272A (ko) 자성체 시트 및 무선 충전장치
KR102505439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20200055237A (ko) 자성체 시트
KR102555569B1 (ko) 자성체 시트
CN106685107B (zh) 磁性片和无线充电装置
KR102479826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20180057011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