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049A - 안전 사다리 - Google Patents

안전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049A
KR20200073049A KR1020180161309A KR20180161309A KR20200073049A KR 20200073049 A KR20200073049 A KR 20200073049A KR 1020180161309 A KR1020180161309 A KR 1020180161309A KR 20180161309 A KR20180161309 A KR 20180161309A KR 20200073049 A KR20200073049 A KR 2020007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afety
blocking bar
horizontal member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서광수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049A/ko
Publication of KR2020007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사다리를 이용하는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로프를 고정시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사다리가 제공된다. 안전 사다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부와, 상기 수평부재마다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접촉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상기 수직부재에 인접하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로프의 고리부가 체결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사다리부 및 상기 가이드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바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사다리{Safety Ladder}
본 발명은 안전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를 이용하는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로프를 고정시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시설이나 건설현장에서는 높은 곳에 시설물이 산재되어 있고, 이러한 시설물의 개보수 혹은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높은 곳으로 이동하여 작업하게 된다. 통상 굴뚝, 타워, 대형탱크, 화물차, 선박 등의 높은 구조물에는 엘리베이터나 승강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는 이동 및 작업 시 수직사다리(Vertical ladder)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사다리는 1-2 미터의 사다리도 있지만 수십 미터에 이르는 사다리도 있어, 작업자가 안전벨트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더라도 사다리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다리가 파손되거나, 작업자의 실수로 손을 놓치거나 발을 헛디디면 추락하여 큰 부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벨트와 연결된 안전로프를 수직사다리에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사다리의 형상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사다리에 안전로프를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자가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안전로프의 결합 및 분리 과정 중에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여전히 추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4121호 (2012. 11. 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다리를 이용하는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로프를 고정시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사다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부와, 상기 수평부재마다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접촉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상기 수직부재에 인접하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로프의 고리부가 체결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사다리부 및 상기 가이드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바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이 두 부분 이하로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차단바를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바는 상기 수평부재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를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사다리는, 높은 곳을 오르내리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안전로프를 고정시켜, 작업자가 이동 중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을 경우 이동을 차단하여 작업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면서 작업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사다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안전 사다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안전 사다리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안전 사다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전 사다리(1)는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이다. 안전 사다리(1)는 엘리베이터나 승강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굴뚝, 타워, 대형탱크, 화물차, 선박 등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여 안전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작업자가 높은 곳에 위치한 시설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수칙 준수 여부에 따라 안전장치가 작동하므로 작업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면서 작업하도록 유도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사다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1)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사다리부(10),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는 센서부(20), 작업자의 안전로프(R)가 체결되는 가이드바(30), 안전로프(R)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바(40), 및 센서부(20)의 신호에 따라 차단바(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사다리부(10)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 위치한 시설물로 이동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부재이다. 사다리부(10)는 시설물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부재(11), 및 작업자가 파지하거나 디딜 수 있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12)를 포함한다. 수직부재(11)는 사다리부(1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사다리 기둥이다. 수직부재(11)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재(11)는 시설물에 연결되고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재(12)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발로 디딜 수 있는 사다리 발판이다. 수평부재(12)는 한 쌍의 수직부재(11) 사이에 연결되고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사각형 등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좋고 가벼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다리부(10)의 구조는 반드시 고정적인 것은 아니며, 사다리 안전보건작업 지침, 설치장소의 형상, 주변 구조물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센서부(20)는 안전 사다리(1)가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부(10)에 설치된다. 센서부(20)는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수평부재(12)에 가하는 압력, 작업자의 신체 일부와 수평부재(12)의 접촉상태, 사다리부(10)를 이용 중인 작업자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부(20)는 작업자가 수평부재(12)를 손으로 파지하거나 발로 디디는 것을 감지하며, 감지신호를 후술할 제어부(50)로 전달한다.
센서부(20)는 작업자의 손 또는 발이 수평부재(12)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2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경우 접촉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20)가 압력센서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레이저를 수평부재(12)에 조사하여 작업자의 손 또는 발과 수평부재(12)의 접촉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 등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수평부재(12)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20)가 레이저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센서부(20)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발신부와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수평부재(12)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발신부에서 조사한 레이저가 수신부에 전달되지 않을 경우 접촉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센서부(20)는 제어부(50)가 '3점 접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3점 접촉'은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때 양 손과 양 발 네 개 중 사다리와 접촉된 부분이 세 지점인 상태를 의미한다. 통상, 안전을 위하여 작업자는 3점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다리에서 이동하거나 작업하도록 권장된다. 사다리 이용 시 작업자는 하나의 수평부재(12)의 최대 두 지점에 접촉하므로, 센서부(20)는 하나의 수평부재(12)가 두 지점의 접촉부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센서부(20)는 각각의 수평부재(12)에 두 개씩 설치되고, 하나의 센서부(20)가 하나의 접촉부분을 감지하고 하나의 감지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여, 하나의 수평부재(12)가 두 지점의 접촉부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수평부재(12) 상부에 센서부(20)가 두 개씩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접촉부분을 감지하는 센서부(20)가 각각의 수평부재(12)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하나의 접촉부분을 감지하는 센서부(20)가 각각의 수평부재(12)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등 하나의 수평부재(12)가 둘 이상의 감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부(20)의 개수, 형상,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이드바(30)는 작업자의 안전로프(R)가 체결되는 기둥이다. 가이드바(30)는 수직부재(11)에 인접하여 이격 배치되며, 수직부재(11)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바(30)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시설물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바(30)는 원통형, 사각형 등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30)는 수직부재(11)와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작업자가 사다리부(10)를 오르내리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에 연결된 안전로프(R)의 고리부(L) 또한 상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는 가이드바(30)가 사다리부(10)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다리부(10)의 정면 등 사다리부(10)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안전로프(R)가 체결될 수 있는 어느 곳에나 설치될 수 있다.
차단바(40)는 가이드바(30)에 체결된 고리부(L)의 이동을 통제하는 부재이다. 차단바(40) 또한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바(40)는 고리부(L)가 가이드바(30)를 이동할 때 걸림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12)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수평부재(12) 내부에 삽입된 차단바(40)는 센서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이드바(30)를 향하여 돌출되어 고리부(L)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차단바(40)는 3점 접촉 상태일 경우 수평부재(12) 내부에 삽입되고, 3점 접촉 상태가 아닐 경우 가이드바(30)에 밀착되도록 수평부재(12)로부터 돌출된다. 고리부(L)는 차단바(40)가 삽입 상태일 때 이동이 가능하고, 돌출 상태일 때 이동이 불가능하다. 즉, 고리부(L)는 차단바(40)의 작동에 의해 이동이 제어된다. 도면 상에는 차단바(40)가 수평부재(12)마다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수로 조정될 수 있다.차단바(40)는 수평부재(12) 내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41)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41)는 유압에 의해 차단바(40)를 삽입 또는 돌출시키는 장치이다. 유압실린더(41)는 수평부재(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단바(40)는 유압실린더(41)의 피스톤(410)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41)는 피스톤(410)을 기준으로 실린더 헤드측, 즉, 차단바(40)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1포트(411)와 실린더 헤드 반대측, 즉, 차단바(40)측에 위치한 제2포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트(411)는 차단바(40)가 삽입되어 피스톤(410)이 실린더 헤드측으로 최대로 이동한 위치보다 실린더 헤드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포트(412)는 차단바(40)가 돌출되어 피스톤(410)이 실린더 헤드 반대측으로 최대로 이동한 위치보다 실린더 헤드로부터 더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41)는 센서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1포트(411) 또는 제2포트(412)로 유압을 공급하여 차단바(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는 차단바(40)가 유압실린더(41)의 피스톤(410)에 직접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실린더(41)의 피스톤(410)에 연결된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등 유압실린더(41)의 동작에 의하여 차단바(40)가 작동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바(40)는 탄성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42)는 사다리부(10)에 설치되고, 차단바(40)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42)는 유압실린더(41)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이완되면 탄성력에 의해 차단바(40)를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는 탄성부재(42)가 실린더헤드와 피스톤(4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실린더(41)와 유압실린더(41) 외측의 차단바(40)에 형성된 판 형상의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등 탄성부재(42)에 의하여 차단바(40)를 돌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센서부(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차단바(40)를 제어한다. 센서부(20)가 작업자와 수평부재(12)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하면, 제어부(50)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바(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수평부재(12)에 접촉되는 부분이 두 부분 이하로 센서부(2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차단바(40)를 돌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50)는 작업자가 수평부재(12)에 접촉한 부분의 수에 따라 차단바(4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접촉부분이 세 부분 이상일 경우 차단바(40)를 삽입 상태로 유지하고, 접촉부분이 두 부분 이하일 경우 차단바(40)를 돌출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센서부(20)로 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통해 3점 접촉 상태에 따라 차단바(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3점 접촉 상태일 경우 모든 차단바(40)를 삽입 상태로 유지하고, 3점 접촉 상태가 아닐 경우 모든 차단바(40)를 돌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점 접촉 상태가 아닐 경우 접촉부분이 감지된 수평부재(12) 중 가장 상측 수평부재(12)의 높이와 같거나 아래에 위치하는 차단바(40)만이 돌출되는 등 돌출되는 차단바(40)의 개수는 변동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안전 사다리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안전 사다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안전 사다리(1)는 사다리부(10), 센서부(20), 가이드바(30), 차단바(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센서부(20)는 수평부재(12)의 접촉상태를 인식하여 제어부(5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50)는 3점 접촉 상태에 따라 차단바(40)를 제어한다.
도 3의 (a)와 (b)는 3점 접촉 상태의 안전 사다리(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작업자의 양 손과 한 발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작업자의 한 손과 양 발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손과 양 발 모두 수평부재(12)에 접촉하는 경우도 포함되고, 수평부재(12)에 접촉되는 부분이 각각 다른 수평부재(1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의 (c)와 (d)는 3점 접촉 상태가 아닌 안전 사다리(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의 (c)는 작업자의 양 손만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3의 (d)는 작업자의 한 손과 한 발만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양 발만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하는 경우, 작업자의 한 손만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하는 경우, 작업자의 한 발만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하는 경우, 및 작업자와 수평부재(12)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되고, 수평부재(12)에 접촉되는 부분이 각각 다른 수평부재(1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센서부(2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유압파워팩(H) 등의 유압실린더 구동장치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50)는 3점 접촉 상태에 따라 유압실린더(41)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바(40)를 가이드바(30) 방향으로 돌출시키거나 가이드바(30) 반대 방향으로 삽입시켜 복귀시킬 수 있다.
3점 접촉 상태일 경우, 제어부(50)가 유압파워팩(H)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차단바(40)측에 위치한 제2포트(412)로 유압을 공급하면 탄성부재(42)가 압축되고 차단바(40)가 삽입된다. 또한, 3점 접촉 상태를 유지할 경우, 유압파워팩(H)은 차단바(40)측 유압실린더(41) 내부의 유압을 유지하여, 탄성부재(42)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차단바(4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차단바(4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바(30)에 체결된 고리부(L)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3점 접촉 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50)가 유압파워팩(H)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차단바(40) 반대측에 위치한 제1포트(411)로 유압을 공급하면 탄성부재(42)가 이완되어 탄성력에 의해 차단바(40)를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3점 접촉 상태가 아닌 상태를 유지할 경우, 유압파워팩(H)은 차단바(40) 반대측 유압실린더(41) 내부의 유압을 유지하여, 탄성부재(42)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고 차단바(4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차단바(40)가 돌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바(30)에 체결된 고리부(L)가 차단바(40)에 걸려 이동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없고, 작업자가 추락한 경우 가이드바(30)에 매달려 더이상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다리(1a)는 차단바(40a)가 가이드바(30)로부터 돌출되어 고리부(L)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면 상에는 차단바(40a)가 수직부재(11)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바(3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모터,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돌출될 수 있다. 안전 사다리(1a)는 기존에 사용하던 사다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차단바(40a)가 설치된 가이드바(30)만을 추가 설치하여 안전 사다리(1a)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안전 사다리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안전 사다리(1)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 위치한 시설물로 이동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안전로프(R)에 연결된 고리부(L)를 가이드바(30)에 체결한 후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3점 접촉 여부에 따라 차단바(40)를 삽입 또는 돌출시켜 고리부(L)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의 양 손만이 수평부재(12)에 접촉하고 있어 3점 접촉 상태가 아니므로, 차단바(40)가 돌출된다. 차단바(40)가 돌출되면 고리부(L)가 차단바(40)에 걸려 이동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 또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가 추락하더라도 고리부(L)가 차단바(40)에 걸려 가이드바(30)에 매달릴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전 사다리(1)를 작동하여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3점 접촉 상태를 준수하면 차단바(40)가 복귀하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안전 사다리(1)는 작업자가 이동 및 작업 시 3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안전 사다리
10: 사다리부 11: 수직부재
12: 수평부재 20: 센서부
30: 가이드바 40: 차단바
41: 유압실린더 410: 피스톤
411: 제1포트 412: 제2포트
42: 탄성부재 50: 제어부
H: 유압파워팩 R: 안전로프
L: 고리부

Claims (3)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부;
    상기 수평부재마다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접촉상태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수직부재에 인접하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로프의 고리부가 체결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바;
    상기 사다리부 및 상기 가이드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바;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이 두 부분 이하로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차단바를 돌출시키는 안전 사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상기 수평부재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를 향하여 돌출하는 안전 사다리.
KR1020180161309A 2018-12-13 2018-12-13 안전 사다리 KR20200073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309A KR20200073049A (ko) 2018-12-13 2018-12-13 안전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309A KR20200073049A (ko) 2018-12-13 2018-12-13 안전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49A true KR20200073049A (ko) 2020-06-23

Family

ID=7113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309A KR20200073049A (ko) 2018-12-13 2018-12-13 안전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0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96B1 (ko) * 2021-07-08 2021-11-10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원격 탈부착 기능을 갖는 선박용 승강사다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21Y1 (ko) 2002-07-31 2002-11-04 곽상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21Y1 (ko) 2002-07-31 2002-11-04 곽상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96B1 (ko) * 2021-07-08 2021-11-10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원격 탈부착 기능을 갖는 선박용 승강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772B2 (en) Deformable energy absorber with deformation indicator
WO2016051171A1 (en) Safety device
KR1020483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74665B2 (ja) 高所作業車用上部衝突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衝突防止方法
CA2925776C (en) Fall protection device
CN101575061A (zh) 电梯坠井保护装置
KR20200073049A (ko) 안전 사다리
CN103994127A (zh) 油缸直线运动冗余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CN204434015U (zh) 一种激光式电梯层门安全装置
CN204310629U (zh) 一种电梯断绳检测装置
WO2003018459A1 (en) Safety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elevator systems from top of the car
JP6090202B2 (ja)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時の安全装置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06744182B (zh) 电梯井道部件用多功能安装平台
KR102329887B1 (ko) 비전과 레이더를 활용한 산업용로봇 안전시스템
JP201508119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6481537B1 (en) Rooftop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servicing
KR20160003632U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및 충돌 방지 안전모
KR20170141510A (ko) 수직사다리
CN205419385U (zh) 一种建筑施工电梯紧急防坠安全设备
CN209052228U (zh) 安全升降装置
CN107512687B (zh) 人员安全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0479252Y1 (ko) 선박용 사다리 장치
KR20180074232A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KR20170096639A (ko) 추락방지용 안전기능을 가진 호이스트 안전장치 및 추락사고 방지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