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960A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1960A KR20200071960A KR1020180159606A KR20180159606A KR20200071960A KR 20200071960 A KR20200071960 A KR 20200071960A KR 1020180159606 A KR1020180159606 A KR 1020180159606A KR 20180159606 A KR20180159606 A KR 20180159606A KR 20200071960 A KR20200071960 A KR 202000719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lidar
- data
- image
- object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 G06K9/20—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6—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with non-radar systems, e.g. sonar, direction finder
- G01S13/867—Combination of radar systems with camera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6—Combinations of lidar systems with systems other than lidar, radar or sonar, e.g. with direction finders
-
- G06K9/0020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융합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융합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 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20: 영상 처리부 330: 객체 검출부
Claims (8)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라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라이다 데이터를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 영역 상에 투영하여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라이다 데이터의 포인트 좌표, 상기 카메라 파라미터, 상기 카메라와 상기 라이다 센서 사이의 회전 행렬 및 이동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다 데이터의 3D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영역 상에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라이다 데이터의 포인트 좌표를 상기 회전 행렬 및 상기 이동 벡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좌표계로 변경하고, 상기 카메라 좌표계를 상기 카메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영역에 투영하여 상기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좌표계를 상기 카메라의 초점거리 및 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메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 좌표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라이다 데이터의 거리, 밝기 강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좌표계에 상응하는 거리, 밝기 강도 및 높이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라이다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별로 대응되는 상기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한 개수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 상에 매칭되는 분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분할 영역에 대한 상기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생성 시 상기 라이다 데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라이다 영상 데이터의 생성 대상이 되는 분할 영역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 상에 매칭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장치. -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라이다 센서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라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라이다 데이터를 카메라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 영역 상에 투영하여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라이다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606A KR102151815B1 (ko) | 2018-12-12 | 2018-12-12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606A KR102151815B1 (ko) | 2018-12-12 | 2018-12-12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1960A true KR20200071960A (ko) | 2020-06-22 |
KR102151815B1 KR102151815B1 (ko) | 2020-09-03 |
Family
ID=7114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9606A Active KR102151815B1 (ko) | 2018-12-12 | 2018-12-12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81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8294B1 (ko) * | 2020-08-24 | 2022-01-1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인지 학습데이터를 이용하는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20220071999A (ko) * | 2020-11-23 | 2022-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객체 분류 기반의 오류 제거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KR102433287B1 (ko) * | 2021-10-12 | 2022-08-18 | 주식회사 에너자이(ENERZAi) | 학습 세트 생성 방법, 학습 세트 생성 장치, 및 학습 세트 생성 시스템 |
CN115267746A (zh) * | 2022-06-13 | 2022-11-01 | 广州文远知行科技有限公司 | 激光雷达点云投影错误的定位方法及相关设备 |
KR102479774B1 (ko) * | 2022-09-15 | 2022-12-21 | 주식회사 라스테크 | 로봇팔을 구비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
KR20230052208A (ko) * | 2021-10-12 | 2023-04-19 | 주식회사 에너자이(ENERZAi) | 학습 세트 생성 방법, 학습 세트 생성 장치, 및 학습 세트 생성 시스템 |
WO2023071909A1 (zh) * | 2021-10-28 | 2023-05-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测量流体表面流速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
KR20230109406A (ko) | 2022-01-13 | 2023-07-2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화상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 융합 기반 객체 탐지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64377A (ko) | 2023-11-02 | 2025-05-0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에 기반한 객체 검출방법 및 장치 |
KR102812738B1 (ko) | 2023-12-15 | 2025-05-27 | 주식회사 에이아이블루 | LiDAR 스캔 데이터와 원격탐사 데이터를 융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863A (ko) * | 2014-10-23 | 2016-05-0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물체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160077684A (ko) * | 2014-12-24 | 2016-07-04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객체 추적 장치 및 방법 |
-
2018
- 2018-12-12 KR KR1020180159606A patent/KR10215181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863A (ko) * | 2014-10-23 | 2016-05-0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물체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160077684A (ko) * | 2014-12-24 | 2016-07-04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객체 추적 장치 및 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8294B1 (ko) * | 2020-08-24 | 2022-01-1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인지 학습데이터를 이용하는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20220071999A (ko) * | 2020-11-23 | 2022-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객체 분류 기반의 오류 제거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KR102433287B1 (ko) * | 2021-10-12 | 2022-08-18 | 주식회사 에너자이(ENERZAi) | 학습 세트 생성 방법, 학습 세트 생성 장치, 및 학습 세트 생성 시스템 |
KR20230052208A (ko) * | 2021-10-12 | 2023-04-19 | 주식회사 에너자이(ENERZAi) | 학습 세트 생성 방법, 학습 세트 생성 장치, 및 학습 세트 생성 시스템 |
WO2023063661A1 (ko) * | 2021-10-12 | 2023-04-20 | 주식회사 에너자이 | 학습 세트 생성 방법, 학습 세트 생성 장치, 및 학습 세트 생성 시스템 |
WO2023071909A1 (zh) * | 2021-10-28 | 2023-05-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测量流体表面流速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
KR20230109406A (ko) | 2022-01-13 | 2023-07-2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화상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 융합 기반 객체 탐지 장치 및 방법 |
CN115267746A (zh) * | 2022-06-13 | 2022-11-01 | 广州文远知行科技有限公司 | 激光雷达点云投影错误的定位方法及相关设备 |
KR102479774B1 (ko) * | 2022-09-15 | 2022-12-21 | 주식회사 라스테크 | 로봇팔을 구비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1815B1 (ko) | 2020-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1815B1 (ko) |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융합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Liu et al. | A novel real-time moving target tracking and path planning system for a quadrotor UAV in unknown unstructured outdoor scenes | |
US7684590B2 (en) | Method of recognizing and/or tracking objects | |
US20200355820A1 (en) | Selective attention mechanism for improved perception sensor performance in vehicular applications | |
Oliveira et al. | Multimodal inverse perspective mapping | |
CN107122770B (zh) | 多目相机系统、智能驾驶系统、汽车、方法和存储介质 | |
US20170030722A1 (en) | Vehicle localization system | |
CN110178156A (zh) | 包括可调节焦距成像传感器的距离传感器 | |
CN111045000A (zh) | 监测系统和方法 | |
CN108364304A (zh) | 一种用于单目机载目标检测的系统和方法 | |
JP6552448B2 (ja) | 車両位置検出装置、車両位置検出方法及び車両位置検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06252473A (ja) | 障害物検出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 |
JP6032034B2 (ja) | 物体検知装置 | |
WO2022135594A1 (zh) | 目标物体的检测方法及装置、融合处理单元、介质 | |
JP6669182B2 (ja) | 乗員監視装置 | |
JP2016085602A (ja) | センサ情報統合方法、及びその装置 | |
US20180276844A1 (en) | Position or orientation estimation apparatus, position or orientation estimation method, and driving assist device | |
KR20120065067A (ko) | 다중센서 융합을 통한 3차원 환경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 | |
JP4344860B2 (ja) | ステレオ画像を用いた道路平面領域並びに障害物検出方法 | |
Benli et al. | Thermal multisensor fusion for collaborative robotics | |
JP6410231B2 (ja) | 位置合わせ装置、位置合わせ方法及び位置合わせ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20120108256A (ko) | 로봇 물고기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로봇 물고기 위치 인식 방법 | |
JP2020077293A (ja) | 区画線検出装置及び区画線検出方法 | |
KR20160125803A (ko) | 영역 추출 장치, 물체 탐지 장치 및 영역 추출 방법 | |
KR20210112672A (ko) |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객체 검출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