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263A - retractable door handle - Google Patents

retractable door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263A
KR20200071263A KR1020180158802A KR20180158802A KR20200071263A KR 20200071263 A KR20200071263 A KR 20200071263A KR 1020180158802 A KR1020180158802 A KR 1020180158802A KR 20180158802 A KR20180158802 A KR 20180158802A KR 20200071263 A KR20200071263 A KR 2020007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ip body
grip
rotated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3041B1 (en
Inventor
박병학
김민석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5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6Defrosting, e.g.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3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a single actuator for driving a lock and additional vehicle components, e.g. window wipers or window li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rovides is a retractable door handle which can be used in a freezing environment to improve usability. The retractable door handle comprises: a door case part disposed on a door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grip part provided to form an outer surface profile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cluding a grip body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extension body extending integrally from one end of the grip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a pop-up driving part connected to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part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grip body firstly can rotate to be popped up; and a latch part having one end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wire for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rotate so that a door locking device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grip body, which has been firstly rotated and popped up, is secondly rotated and pu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retractable door handle}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door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ractable door handle which is provided to be used even in an icing environment to improve usability.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by a plurality of doors.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on the outside so that the occupant grips the door hand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ere, since the door handle provided for the occupant to grip on the door of the vehicle is installed in a form protruding to the outside, wind noise is generated due to wind, which increases noise and degrades driving performance due to air resistance when driving the vehicl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on a door handle for a vehicle that can minimize wind interference or wind noise while driving by selectively inserting a door handle that protrudes outside the door of the car into the inside of the door. That is true.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pop up and insert into a recessed space formed by opening one surface on one side of the door. Here, when the door handle is inserted into the door, the door handle and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door may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handle pops up from the recessed space of the door, the user can pull the door handle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At this time, in order to release the latch of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oor, th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to be hinged and pullable.

그러나, 한랭지 또는 기온이 급격히 하강됨에 따라 도어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지 않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없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freezing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door due to a rapid drop in the cold or the temperature, the user can not board the vehicle because the door handle does not pop up from the recessed space of the door. there was.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378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ractable door handle that is provided to be used even in an ic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및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door, the door case portion having one surface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rovided to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exterior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p body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tegrally i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grip body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ded body; A pop-up driving part selectively pressurizing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as it is connected to an actuator and rotated; And a wire which provides a tensile force to the other side while being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second rotation in which the grip body in the first rotated pop-up state is pulled outward in the door case part. It provides a retractable door handle including a latch that is rotated.

한편,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는 열전도시트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발열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및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door, the door case portion having one surface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rovided to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exterior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p body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tegrally i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grip body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ded body;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re provided in the grip body to selectively freeze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so that the grip body pops up in the freezing environment, and the heating body is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but when the heating element is heated, the grip body A heat-conducting sheet for diffusing heat on the surface, and a heat-generating part includ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A pop-up driving part connected to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part to selectively press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One side is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second rotation in which the grip body in the first rotated pop-up state is pu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but a wire providing a tensile forc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 latch part rotated; An access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approach when the separately provided smart key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freezing of the grip body to selectively drive the heat of the heating unit, and to control the actuator such that the grip body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Provides a trolley door handl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액츄에이터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연동 회전되는 링크부에 의해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며 1차 팝업된 그립몸체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2차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smart key is approached by the proximity sensor, when the actuator is electrically controlled,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popped up by the link part rotated interlocked, and when the first popped grip body is pulled by the user Since it is rotated a second time, the locking of the door locking device is released, so that the usability and operation precision can be improved.

둘째, 액츄에이터 및 링크부를 포함하는 팝업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is maintain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grip body is popped up selectively by the pop-up driving part including the actuator and the link part, unintentional automatic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is prevented beforehand, and the safety of use is significantly It can be improved.

셋째, 그립부의 그립몸체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발열부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ird, the grip body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receiving space as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is thawed even in an extreme freezing environment through a heating unit that detects whether or not ice on the grip body surface of the grip portion is generated and heats when ice occurs. Since it is possible to pop up, the us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넷째, 상기 그립부의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면 상기 그립몸체와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Fourth, when the grip body of the grip portion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ind noise caused by wind is prevented and noise is reduced as the outer profile of the grip body and the door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and noise is reduced. This can be improved.

다섯째, 그립몸체가 팝업구동부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그립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팝업시 경사몸체의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배치되므로 심미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fth, since the grip body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grip rotation axis by the actuator of the pop-up driving part, and when popping up,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body is disposed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o that aesthe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가 부분 투영되어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
도 5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후방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portion is partially projected grip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nd 7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가 부분 투영되어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후방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generating portion is partially projected by the grip portion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interior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s 5 and 6 and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Figure 8 is a re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oor handle.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도어케이스부(310), 그립부(320), 팝업구동부(330), 링크부(340), 래치부(360), 제어부(370), 그리고 발열부(38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1 to 8,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case part 310, a grip part 320, a pop-up driving part 330, and a link part 34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atch unit 360, a control unit 370, and a heating unit 38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는 차량의 도어마다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3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도어 자체의 외측 프레임에 본 발명의 각 구성이 배치되도록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케이스부(310)가 차량 도어에 구비되어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ase portion 31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door device that is provided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for each door of the vehicle, and the door case portion 310 is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evic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general door device as well as a door device of a vehicle.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case part 310 is not separately provided and that the receiving space is recessed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frame of the door itself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door case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mounted on a vehicle do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는 도어에 장착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320)가 수용되도록 개구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case portion 310 is mounted on the door, an opening 3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310 to accommodate the grip portion 320, the door case portion 3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space 311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는 상기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311)은 상기 그립부(320)의 전후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개구부(313)측 테두리가 상기 그립부(3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3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의 상기 그립부(320), 상기 팝업구동부(330), 상기 링크부(340), 상기 래치부(360)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door case part 310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s preferably formed to exceed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320, the edge of the opening 313 side of the door case portion 310 is fin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20 They can be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grip portion 320, the pop-up driving portion 330, the link portion 340, and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i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formed in the door case portion 310 The latch part 360 may be disposed.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311)에는 상기 래치부(360)가 고정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하면부로부터 상방 연장 돌설되되 상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홀(315a)이 형성된 돌설프레임(315)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310 so that the latch part 360 is fixed, but a protruding frame 315 formed with a through hole 315a in the front-rear direction. )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수용공간(311)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권취되도록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권취돌설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s provided with a bar shape so that the wire (w) providing a tensile force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opened, a winding protrusion (not shown)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It might be.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311)의 상부프레임(316) 높이는 상기 링크부(340)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311)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311)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16)의 내측부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홀이 관통된 연장프레임(316a)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316 of the receiving space 311 is increas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door case part 310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311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link part 340 is limited. Can be formed. Here, an extension frame 316a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o protrude downward from an inn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316 and penetrate a rotation ho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더욱이, 경우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311)에는 상기 링크부(340)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링크부(34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링크스토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Moreover, in some cases, in the receiving space 311, a link stopper (not shown)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ink portion 340 to limit the rotational range of the link portion 340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상기 그립부(320)는 그립몸체(321)와, 상기 그립몸체(3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3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320)의 그립몸체(321) 및 연장몸체(322)의 배치 형상이 차량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ㄱ"자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ㄴ", "ㄷ" 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320)가 "ㄱ"자 형상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grip part 320 preferably includes a grip body 321 and an extended body 322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body 32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extension body 322 of the grip part 320 is viewed from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it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a “a” shape, It may be provided in a "b", "c" shap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grip par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는 상기 수용공간(311)에 삽입시 차량의 도어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ip body 321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or the door case portion 310 of the vehicle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grip body 3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311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는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3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개구부(313)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ip body 32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height and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is such that the door is opened so that the opened on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s completely covered. It is preferably formed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313 of the case 310.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320)의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면 상기 그립몸체(321)와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ehicle is driving, when the grip body 321 of the grip part 3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of the door case part 310, the outer surface profiles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door are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As it is formed, wind noise caused by wind is prevented to reduce noise inside the vehicle, and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may be improved according to air flow improvement.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에 상기 발열부(380)의 열전도시트(384)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recessed space may b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so that the heat conductive sheet 384 of the heating part 38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recessed space is formed. A cover part for covering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그립부(320)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320)에는 그립회동축(320a)이 구비되되, 상기 그립회동축(320a)은 상기 그립몸체(321)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에 상기 그립몸체(321)의 길이방향, 즉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홀에 삽입되되,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에 회동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320 is preferably rotated selectively based on an edge where the upper end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out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abut. In detail, the grip portion 320 is provided with a grip rotation shaft 320a, wherein the grip rotation shaft 320a has the grip at an edge where an upper end of the grip body 321 and an out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abut. It is preferably inserted into a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321,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eferably provided to be rotated and fixed inside the door case part 310.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는 상기 그립회동축(320a)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회동되며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부(320)의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되 상기 그립회동축(320a)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인출됨을 의미한다. Here, the grip body 321 is selectively through the opening 313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based on the grip rotation axis 320a. It is desirable to rotate and pop up. At this time, the pop-up means that the grip body 321 of the grip part 320 is drawn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310, but is rotated and drawn based on the grip rotation shaft 320a.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는 상기 링크부(340)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3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322)가 가압시 1차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된 상태로부터 1차 회동시 회동되는 각도는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된 상태로부터 2차 회동시 회동되는 각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rip body 321 is the extension body 322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ip body 321 by the link portion 340 is rotated first when pressed,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can be rotated secondarily as it is pull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by the user in the state of being firstly rotated and popped up. At this time, the angle that is rotated during the first rotation from the state where the grip body 321 is ful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s secondary from the state where the grip body 321 is ful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angle that is rotated during rotation.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의 하부 내측 및 후술되는 경사몸체(323)의 외측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그립몸체(3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In addition, a grip space in which a user's finger is inser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outer side of the inclined body 323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grip space and pulls the grip body 321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310, a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may be opene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연장몸체(322)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일단부, 즉,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장몸체(322)가 상기 그립몸체(321) 상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body 322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at least one side of the grip body 321, that is,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310.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extended body 322 extends integ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grip body 321 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310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n example.

또한, 각 상기 연장몸체(322)는 상기 그립몸체(3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며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322)가 상기 그립몸체(3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321)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경계면 외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of the extended body 322 is preferably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ip body 321 and is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is case, substantially vertical means that the extended body 322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certain predetermined angle close to the grip body 321 and perpendicular,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grip body 321 and the extended body 322 When the outer side is formed to be rou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n a comprehensive sense.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의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3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상기 돌설프레임(315)의 상단에 걸림되어 팝업 최대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ip body 321 pops up,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body 321 is caught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frame 315, so that the maximum range of pop-up may be limited. .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 상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외측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313)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의 삽입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ip body 3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e opening of the out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long the inside and outside directions of the door case part 310. The insertion range of the grip body 321 may be limited as it is caught by the 313.

한편, 상기 그립부(320)는 상기 경사몸체(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몸체(323)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 및 하측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grip part 320 may further include the inclined body 323. In detail, the inclined body 323 is protruded from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outer end of the extended body 322 to be inclined between the inn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door case part 310. desirable.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팝업시, 상기 경사몸체(323)는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And, when the grip body 321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rough the opening 313, the inclined body 323 is arrang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desirable.

반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경사몸체(323)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31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ip body 3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e inclined body 323 is rot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so that it is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is preferred to be inserted.

이때, 상기 경사몸체(323)는 상기 돌설프레임(315)의 외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경사몸체(323)가 상기 돌설프레임(315)에 의해 걸림되므로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ed body 323 is preferably disposed outside of the protruding frame 315, when the grip body 3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1, the inclined body 323 is the protruding frame Since it is locked by 315, the insertion range in which the grip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door case part 310 may be limited.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 및 상기 경사몸체(323) 사이 각도는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angle between the grip body 321 and the inclined body 323 is at an angle at which the grip body 321 is rot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310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310. It is preferably formed at a corresponding angle.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 및 상기 경사몸체(323) 사이 각도는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링크부(340)의 위치 및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링크부(340)의 위치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grip body 321 and the inclined body 323 is the position of the link portion 340 and the grip portion 320 is accommodated when the grip portion 320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When fully inserted into the space 31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et to correspond to the angl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link portion 340.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팝업구동부(330)의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그립회동축(320a)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팝업시 상기 경사몸체(323)의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배치되므로 제품의 심미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grip body 321 is rotated based on the grip rotation axis 320a by the actuator 331 of the pop-up driving part 330, and when pop-up,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body 323 i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since it i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팝업구동부(3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부(340)를 통해 상기 그립부(320)가 1차 회동되어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3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pop-up driving part 330 is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art 310 or inside the door, and the grip part 320 is first rotated through the link part 340 to receive the space 311.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press the extension body 322 to pop up from.

여기서, 상기 팝업구동부(330)는 상기 도어 내부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를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331)와,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부(332)와, 상기 링크부(3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op-up driving unit 330 is provided inside the door or inside the door case 310 to be driven to pop up the grip body and the actuator 331, and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331 to selectively rot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drive shaft portion 332 and the link portion 340.

상세히,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면이 개구되어 상기 도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길이방향 일면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후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개구된 일면이 상기 그립부(320)의 배치방향을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상기 도어의 내부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됨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the actuator 331 may be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and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opened and disposed inside the door. In addition, the actuator 331 is disposed such that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310, and the opened one surface is preferably arranged towar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grip part 320. In addition, the actuator 33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and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310, but the placement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구동축부(332)는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부(332)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 shaft portion 33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tuator 331,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ve shaft portion 332 is form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ctuator 331 This is preferred.

그리고, 상기 구동축부(332)는 일단이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3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링크부(3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shaft portion 332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actuator 331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 an exposed state from the actuator 331 and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340 described later. .

또한, 상기 구동축부(322)는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구동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의 상기 연장몸체(322)의 배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shaft portion 322 is selectively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drive of the actuator 331, is dispo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310, the inner end of the extending body 322 from the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At this time, the grip body 321 may be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extension body 322 when ful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부(332)가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driving shaft portion 332 may be rotated in any one of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by using the actuator 331 as a rota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331. Here, if the drive shaft portion 332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rotated by the actuator 331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370) 및 접근감지센서(3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축부(332)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unit 370 and the access detection sensor 371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actuator 331, the actuator 331 is the drive shaft unit so that the drive shaft unit 332 is rotated ( 332), so the operating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팝업구동부(330)는 상기 링크부(3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340)는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그립몸체(321)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p-up driving unit 330 preferably includes the link unit 340. Here, the link portion 340 is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rip body 321.

그리고, 상기 링크부(340)는 상기 구동축부(33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부(332)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는 상기 링크부(340)에 의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을 통해 1차 회동되어 팝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340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drive shaft portion 332. Here, as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322 is selectively pressed by the link portion 340 that is interlocked and rotates when the drive shaft portion 332 is rotated, the grip body 321 is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may be first rotated through the opening 313 and popped up.

또한, 상기 링크부(340)는 내측단이 상기 연장프레임(316a)의 회동홀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프레임(316a)은 상기 수용공간(311)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316)의 내측부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16a)에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회동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portion 3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ner end is hinged to the rotation hole of the extension frame 316a and selectively rotated. At this time, the extension frame 316a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inn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316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311, and the rotation hole can be formed through the extension frame 316a in the front-rear direction. have.

그리고, 상기 링크부(340)는 외측단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부(340)의 외측단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으로 배치된 상기 구동축부(332)에 연결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3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310 so that the outer end selectively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322. At this time, the outer end of the link portion 34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322, the inner end of the link portion 340 is the drive shaft portion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ortion 310 ( 332) is preferably disposed.

또한, 상기 링크부(340)는 외측단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316)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16)에 의해 상방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portion 340 has an outer e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32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316, the upper frame 316 may limit the upward movement rang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연장몸체(322)와 힌지 회동되도록 링크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링크부(340)가 직육면체 평판 형상이 아닌 바 형상의 복수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부(332)에 개별 연결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link portion 340 may be linked to the extension body 322 by hinge rotation, and the link portion 3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bar shape, not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drive shaft. It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ortion 332.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 일측이 상기 회동홀에 힌지 연결되되, 내측단 타측이 상기 구동축부(332)에 맞물림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구동축부(33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것이 아닌,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에 형성된 별도의 축 외주가 상기 구동축부(332)의 외주에 맞물려 기어 연동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 타측의 외주 및 상기 구동축부(332)의 외주에 맞물린 회전을 위한 톱니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되면 상기 링크부(340)가 기어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ase, one side of the inner end of the link part 340 may be hinged to the rotation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part 340 may be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drive shaft part 332. In other words, the link portion 340 does not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drive shaft portion 332, but a separate shaft outer circumference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link portion 340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e shaft portion 332 It may be provided in a gear-engaged configuration in engagement with. Here, a toothed gear for rotation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inner end of the link portion 34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e shaft portion 332 may be formed. Accordingly, when the drive shaft portion 332 is rotated by the actuator 331, the link portion 340 may be rotated in gear linkage.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3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is preferably a smart key (not shown) of a separately provided vehicle further comprises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371 that detects an approach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320)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 내부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Here, the proximity sensor 371 may be provided as a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to be embedded in the grip part 320. At this time,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371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side mirror and the vehicle when installed in the vehicle, or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or the door case unit 310 in some cases.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user who has a smart key (not shown) approaches the access detection sensor 371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distance, the access detection sensor 371 detects the access of the smart key (not shown). Can be.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 제10-1302944호)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에는,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에 있는 실제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302944)'Vehicl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since the contents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from an actual vehicle in a specific direction using a LIDAR sensor are disclo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Is omitted.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팝업구동부(33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is the pop-up driving unit so that the grip body 321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when the proximity sensor 3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control unit 370 for controlling the 330. In detail, 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actuator 331 so that the grip body 321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when the proximity sensor 3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구동축부(332) 및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구동축부(332)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uator 331 is selectively driven and controll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s the actuator 331 is driven and controlled, the drive shaft part 332 and the link part 340 interlocked therewith are driven by the drive shaft. It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ased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ortion 332.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이라 함은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을 후방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링크부(3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역방향이라 함은 상기 링크부(3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의미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팝업구동부(3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S. 5 to 7, the forward direction means a case in which the link portion 340 is rotated clockwise when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is viewed from the rear sid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verse direction means that the link part 3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above-described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s examples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pop-up driving unit 330 are mutually switched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referred.

상세히,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팝업구동부(3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연동된 상기 링크부(340)가 역방향 회전되어 상기 연장몸체(322)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370 is the pop-up driving unit 330 so that the grip unit 3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when the door case unit 310 is mov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powered off.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everse drive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when the pop-up driving unit 33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ink body 340 interlocked with the actuator 33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pressure of the extension body 322 is released, so that the grip body 321 is the It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측으로 완전 삽입되도록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 등의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3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parate elastic member (not shown), such as a torsion spring, may be further provided to elastically restore the grip body 321 so as to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side. In addition, a separate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vehicle or the door case unit 310 and power-off of the vehicle may be further provided. Through this, when a signal for the movement of the vehicle or the door case unit 310 and the power-off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70, the pop-up driving unit 33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have.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wind noise caused by wind is prevented as the grip body 3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when the door case portion 310 is mov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powered off. The noise inside is reduced and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air flow.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팝업구동부(3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연동된 상기 링크부(340)가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연장몸체(32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70, when the proximity sensor 3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nd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r the vehicle is stopped, the grip body 321 is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is preferable that the pop-up driving unit 330 is forward-contro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it is firstly rotat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to pop up. Here, when the pop-up driving unit 330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grip unit 321 is the receiving space as the link unit 340 interlocked with the actuator 33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presses the extension body 322. It may be first rotated from 311 and popped up.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로부터 상기 제어부(3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Here, when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3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371 to the control unit 370. Through this, as the smart key (not shown) i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of the proximity sensor 371, the pop-up driving unit 33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forward for a predetermined time.

따라서, 상기 팝업구동부(330), 상기 제어부(370),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3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가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us, when the pop-up driving unit 330, the control unit 370, and the grip body 321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rough the mutual configuration of the access sensor 371 is required to pop up Since it is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rough the opening 313,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Here, when the grip body 321 is first rot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o pop up,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door case part 310 is maintained and popped up. D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몸체(321)의 팝업과정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pop-up process of the grip body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액츄에이터(33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First, referring to FIG. 5, when the door case portion 310 is mov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vehicle is powered off, the grip body 321 in a popped state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e control unit 370 preferably controls the actuator 331 for reverse dri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부(340)에 의한 상기 연장몸체(322) 상부의 가압이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Here, as the driving shaft portion 332 is rotated by the actuator 331 when the actuator 331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ink portion 34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extension body by the link portion 340 is rotated. (322)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ressure is released.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역방향 구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 완전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과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이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Through this, as the actuator 331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grip body 321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Here, when the grip body 3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art 3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may be formed into a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액츄에이터(33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when the proximity sensor 3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nd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r the vehicle is stopped, the grip body 321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370 forward-controls the actuator 331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it is rotated and popped up by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정방향 구동시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연장몸체(322) 상부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actuator 331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ink part 34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s the drive shaft part 332 is rotated by the actuator 331 so that the link part 340 is the extended body ( 322) It is preferable to press the upper portion.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정방향 구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1차 회동되어 팝업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the actuator 331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grip body 321 may be first rotated through the opening 313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o pop up.

따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기 링크부(340)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기 그립몸체(321)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면 2차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mart key (not shown) is approached by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371, the grip body 321 is rotated by the link unit 340 that is interlocked and rotated when the actuator 331 is electrically controlled.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and when the grip body 321 popped up by being rotated first is pulled outwardly by the use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it is rotated and locke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evice is unlocked can improve usability and operational precision.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팝업구동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후술되는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grip body 321 is first rot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by the pop-up driving part 330 and pops up,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is the latch part 36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paced apart state is maintained without contacting the one end portion 361.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하부가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와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팝업구동부(330)에 의한 상기 그립몸체(321)의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되,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regardless of whether the grip body 321 is popped up and inser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ded body 322 is spaced apart from one end 361 of the latch part 360 and is not contacted. In this state,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not opened. That is, regardless of the pop-up and insertion of the grip body 321 by the pop-up driving part 330,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se part 310 is not opened. Therefore, a contact senso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when the contact sens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andle, the door is locked, but when the handle pops up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ensor,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or is unlocked.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이를 통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몸체(321)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grip body 321 is first rot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o pop up,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maintained and pops up. Accordingly, even if the grip body 321 is unintentional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due to aging, external force action,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automatic releas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can be prevented. .

따라서, 상기 팝업구동부(330)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grip body 321 is popped up and inserted selectively by the pop-up driving unit 330,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maintained, so that the unexpected door locking device ( The automatic release of (not shown) is prevented beforehand, and the safety of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래치부(360)는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도록 일단부(361)가 상기 연장몸체(322)에 의해 가압되되 타단부(363)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 part 360 is rotated first, and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during the second rotation in which the grip body 321 in the popped state is pulled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310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361 is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322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ut a wire w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other end 363 is connected and rotated.

상세히, 상기 래치부(360)는 바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31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타단부(363)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latch part 36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or the like. It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Her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361 of the latch part 360 is disposed outside the door case part 310 and the other end 363 is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art 310.

그리고,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 상부에는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에 의해 가압되는 피접촉부가 형성되며, 타단부(363)에는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에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w)의 타측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에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연결부는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 외주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상기 와이어연결부에 권선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ntact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end portion 361 of the latch portion 360, and one side of the wire w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363. It is preferred that the wire connection is forme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wire (w)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363 of the latch portion 360,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other side of the wire (w) is connected to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Further, the wir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363 of the latch portion 360,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one side of the wire w is wound on the wire connection portion.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w)는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311)에 별도로 고정되어 구비된 와이어권선부(미도시)에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w)의 일부분이 상기 래치부(360)의 타측에 권선되어 타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case, the wire (w) is one side is fixed to the receiving space 311 is separately connected to a wire winding (not shown) provided, a portion of the wire (w) the latch portion 360 It may be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may extend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래치부(360)의 길이방향 중앙측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축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홀이 상기 돌설프레임(315)의 관통홀(315a)에 정렬되어 고정핀(362)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힌지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부(36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상술된 링크부(34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ivoting shaft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atch portion 360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pivoting shaft hole is aligned with the through-hole 315a of the protruding frame 315 and a fixing pin ( 362) can be hing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latch part 360 is understoo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irections of the link part 340 described above.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몸체(321)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어 2차 회동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상기 래치부(360) 일단부(361)의 피접촉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래치부(360)가 상기 고정핀(362)이 삽입된 상기 회동축홀을 기준으로 정방향 회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the grip body 321 is rotated first and the pop-up state, the grip body 321 is pulled by the use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310 is rotated secondary When the inner end of the extended body 322 presses the contact portion of the one end portion 361 of the latch part 360, the latch part 360 opens the rotation shaft hole into which the fixing pin 362 is inserted. It can be rotated forward as a reference.

여기서, 상기 래치부(360)가 정방향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가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가 이에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방 이동될 수 있다.Here, when the latch part 36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ne end 361 of the latch part 360 is pressed and moved downward by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322, and the latch part 360 of the The other end 363 may be moved upward as it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it.

이어서,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가 회전됨에 따라 상방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other end 363 of the latch part 360 is rotated and moved upward,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as the wire w connected to the other end 363 of the latch part 360 is pulled. Time) can be released.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어 2차 회동되면,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상기 래치부(360) 일측의 피접촉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래치부(360)가 상기 회동축홀을 기준으로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grip body 321 is pull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310 by the user and rotated for a second time, the inner end of the extended body 322 is avoided on one side of the latch part 360. As the contact portion is pressed, the latch portion 36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ivot shaft hole, and thu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may be released as the wire w is pulled.

따라서,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된 이후에 상기 래치부(360)가 탄성 복원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부(360)는 별도의 탄성복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refore, when the grip body 321 in the pop-up state is pressed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310,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unlock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And, in some cases, after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unlocked, the latch part 360 is elastically restored and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latch part 36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elastic restoration part (not shown). It may further include.

한편, 상기 발열부(380)는 상기 그립몸체(321)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380)는 발열체(381), 열전도시트(382), 전원부(38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그립몸체(321) 외면의 결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380)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380 is provided on the grip body 321,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body 321 is selectively heated to pop up through the opening 313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even in an ice environment. Do.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380 preferably includes a heating element 381, a heat conductive sheet 382, and a power supply unit 38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70 is preferably provided to selectively drive the heating of the heating unit 380 by detecting whether the grip body 321 is frozen.

여기서, 상기 발열체(381)는 상기 그립몸체(321)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 및 상기 그립부(320)에 인접한 상기 도어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321)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열체(381)는 상기 열전도시트(382)의 일면에 복수개소 배치되는 발열단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열전도시트(382)의 표면 전체를 따라 배치되는 전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발열이 가능한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heating body 381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in the grip body 321,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and the door surface adjacent to the grip part 320 in the freezing environment is removed, so that the grip body ( 321)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selectively heated to pop up. At this time, the heating element 381 may be provided with a heating terminal disposed in a plurality of places on one surface of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382, and in some cases, may be provided in a wire form disposed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382. It may be, if the structure that can generate heat is not limited to this.

그리고, 상기 열전도시트(382)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381)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시트(382)는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면상발열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382 may be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but may be provided to diffuse heat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when the heating body 381 is heated. Here,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382 may be provided as a planar heating element made of a carbon nanotube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또한, 상기 열전도시트(382)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함몰공간에 상기 그립몸체(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시트(382)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부터 노출이 방지되도록 별도로 상기 커버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382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body 321 in a recessed spac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the thermal conductive sheet 382 is the door case portion In order to prevent exposure from the outer direction of 310, the cover part is further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도어의 외면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삽입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cover portion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grip portion 3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door may be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그리고, 상기 전원부(383)는 상기 발열체(38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383)는 배터리 형태로 상기 그립부(320)의 내부 또는 상기 수용공간(3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383)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383)가 차량의 전력공급원에 전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차량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383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381. Here, the power unit 383 may be disposed inside the grip unit 320 or i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n the form of a battery,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ower unit 383 is not limited thereto. Here, when the retractable door handle 4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unit 383 may be wired to the vehicle's power supply source, or may be direct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vehicle's power supply source.

한편, 상기 발열부(381)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결빙감지센서(3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384)는 온도센서, 대기센서,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빙감지센서(384)가 온도센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381 may further include an ice sensor 384 provided to sen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rip body 321. Here, the freezing sensor 384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 atmospheric sensor, a pressure sensor, a piston tube, an anemomet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case where the freezing sensor 384 is provided as a temperature senso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3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즉,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되는 경우, 결빙이 제거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전원부(3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381)에 전원을 인가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384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that is, when ic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the control unit 370 removes the ice so that the power unit It is preferable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381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383.

더욱이, 상기 결빙감지센서(3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을 감지시 상기 발열체(381)가 발열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전원부(3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38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Moreover, at the same time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384 is below a preset temperature, the smart key (not shown) through the access detection sensor 371 is preset from the door case unit 310. The control unit 37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power unit 383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381 so that the heating element 381 heats up when the distance is detected within a distance.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상기 발열부(380)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is thawed even in an extreme freezing environment through the heating unit 380 that detects whether or not ice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321 is generated and removes ice as it heats up when ice occurs. Accordingly, since the grip body 321 can be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rough the opening 313,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빙감지센서(384)의 결빙감지 방식이 공기역학적 방식으로 연산 및 산출되는 경우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통해 상기 도어 외면의 공기 흐름방향 및 각도, 미끄럼(Side Slip) 각도, 각속도, 공기역학적 하중, 차량의 속도 등의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기설정된 연산식에 의해 결빙유무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공기역학적 결빙감지 방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연산부에 의해 결빙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체가 발열될 수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when the freezing detection method of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384 is calculated and calculated in an aerodynamic method, the air flow direction and angle of the outside surface of the door through a pressure sensor, a pipe tube, an anemometer, etc. ) As information such as an angle, an angular velocity, an aerodynamic load, and a vehicle speed is obta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reezing may be calculated by a predetermined calculation formula. Through th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is detected by the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aerodynamic freezing detection method, the control unit may apply power to the power unit to generate heat.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prepare" as described above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ementation of such modification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4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310: 도어케이스부
311: 수용공간 313: 개구부
320: 그립부 320a: 그립회동축
321: 그립몸체 322: 연장몸체
323: 경사몸체 330: 팝업구동부
331: 액츄에이터 332: 구동축부
340: 링크부 360: 래치부
370: 제어부 371: 접근감지센서
380: 발열부 381: 발열체
382: 열전도시트 383: 전원부
384: 결빙감지센서
400: retractable door handle 310: door case
311: accommodation space 313: opening
320: grip portion 320a: grip pivot
321: grip body 322: extended body
323: inclined body 330: pop-up driving unit
331: actuator 332: drive shaft portion
340: link section 360: latch section
370: control unit 371: approach detection sensor
380: heating unit 381: heating element
382: thermal conductive sheet 383: power supply
384: freezing detection sensor

Claims (14)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및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 door case part disposed on the door and having one surface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rovided to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exterior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p body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tegrally i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grip body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ded body;
A pop-up driving part selectively pressurizing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as it is connected to an actuator and rotated; And
A wire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to the other side while being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is connected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second rotation in which the grip body in the first rotated pop-up state is pulled outward in the door case part. Retractable door handle including a latch that is rot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구동부는, 상기 그립몸체를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구동축부의 회전시 상기 연장몸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링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pop-up driving unit, an actuator driven to pop up the grip body,
A drive shaft part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selectively rotated;
Retractable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drive shaft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link portion that selectively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when the drive shaft portion rotates so that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hand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상기 구동축부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ing shaft portion is dispo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and is selectively rotated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The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shaft portion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중앙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래치부에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에 의해 가압되는 피접촉부가 형성되는 일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는 타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portion, the pivot shaft hole is form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cen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portion in which a contact portion to be pressed is formed by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ody, and the other end portion in which the wir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is formed is formed in the latch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몸체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부와,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A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heated to pop up the grip body in an freezing environment;
A retractable door hand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cts freezing of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drives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그립몸체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는 열전도시트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ting unit,
A heating element provid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grip body to selectively freeze the ice so that the grip body pops up by removing ice on 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in an freezing environment,
A heat conductive sheet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to diffuse heat on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when the heating element is heated;
A retractable door handle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는 결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n ice sensor for sen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rip body,
The control unit is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reezing detection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접근감지센서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ourc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reezing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and the smart key provided separately through the access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unit.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applied to.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ly provided smart key further includes an access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ccess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part,
A retractable door hand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such that the grip body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도어의 개폐시 상기 링크부가 상기 그립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forward-controls the actuator so that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s the access unit senses the smart key and the link unit presses the grip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is reversely controlled so that the grip bod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door case is moved and the power is turned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회동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상기 모서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몸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ortion is selectively rotated based on an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grip body and the outer end of the extended body,
The grip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body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edge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a rotation angle when the grip body is popped up so as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when the grip body pops up. Features a retractable door hand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몸체 및 상기 경사몸체 사이 각도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상기 링크부의 위치 및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시 상기 링크부의 위치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11,
Retrac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grip body and the inclined body is set to correspond to the angl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link portion when the grip body pops up and the position of the link portion when the grip bod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Door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면부로부터 상방 연장 돌설되되 상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돌설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ccording to claim 1,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fram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case portion bu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는 열전도시트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발열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및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 door case part disposed on the door and having one surface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rovided to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ontinuous exterior profi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p body selectively popped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tegrally i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grip body to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ded body;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re provided in the grip body to selectively freeze the heating surface so that the grip body pops up by removing ice on the surface of the grip part in an freezing environment, and along the surface of the grip body, the heating body generates heat when the heating body is heated. A heat-conducting sheet for diffusing heat on the surface, and a heat-generating unit including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A pop-up driving part connected to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part to selectively press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One side is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second rotation in which the grip body in the first rotated pop-up state is pu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case part, but a wire providing a tensile forc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 latch part rotated;
An access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approach when the separately provided smart key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case unit; And
A retractor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detects freezing of the grip body to selectively drive the heat of the heating unit, and controls the actuator so that the grip body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proximity sensor senses the smart key. Door handle.
KR1020180158802A 2018-12-11 2018-12-11 retractable door handle KR102143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02A KR102143041B1 (en) 2018-12-11 2018-12-11 retractable door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02A KR102143041B1 (en) 2018-12-11 2018-12-11 retractable door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63A true KR20200071263A (en) 2020-06-19
KR102143041B1 KR102143041B1 (en) 2020-08-10

Family

ID=7113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802A KR102143041B1 (en) 2018-12-11 2018-12-11 retractable door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17A (en)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smart door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010126A (en) * 2021-07-09 2023-01-18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Vehicle rada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CN107371372A (en) * 2015-03-25 2017-11-21 捷豹路虎有限公司 Extendable handle device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CN107371372A (en) * 2015-03-25 2017-11-21 捷豹路虎有限公司 Extendable handle device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17A (en)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smart door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010126A (en) * 2021-07-09 2023-01-18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Vehicle rada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041B1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437B2 (en)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US11661762B2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for a door or the like
CN107839451B (en) Anti-pinch logic for vehicle door opening actuator
US9080352B2 (en) Controller apparatus and sensors for a vehicle door handle
US7905530B2 (en) Self-actuating devices
US7357435B2 (en) Power tailgate anti-theft system
US20190277071A1 (en) Flap for handless closure panel in motor vehicles
KR20200071263A (en) retractable door handle
WO2003004809A1 (en) Door hand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etractable flap
KR102157301B1 (en) retractable door handle
KR102143038B1 (en) retractable door handle
KR102157294B1 (en) 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KR101878121B1 (en) Safety apparatus for heater
KR100387438B1 (en) Key assembly with a temperature responsive effect
JP2004255986A (en) Door ope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