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644A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644A
KR20200070644A KR1020180158006A KR20180158006A KR20200070644A KR 20200070644 A KR20200070644 A KR 20200070644A KR 1020180158006 A KR1020180158006 A KR 1020180158006A KR 20180158006 A KR20180158006 A KR 20180158006A KR 20200070644 A KR20200070644 A KR 2020007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motor
drawer
doo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윤
김창원
장진호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644A/ko
Publication of KR2020007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9Drawers in a casing being stackable in modula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 상승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초기 구동시 부하의 무게를 판단한 후 부하에 따른 적정 출력으로 조절되어, 부하 무게에 관계없이 상기 승강장치를 설정 속도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빈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랍 도어의 인출입 및 승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인출입과 승강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에 수납되는 부하에 관계없이 동일 속도로 승강장치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 장치의 상승시 초기에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오래 유지하더라도 승강장치의 동작시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인출입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 상승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초기 구동시 부하의 무게를 판단한 후 부하에 따른 적정 출력으로 조절되어, 부하 무게에 관계없이 상기 승강장치를 설정 속도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기 구동시, 상기 승강 모터는 구동 시작 후 설정 시간동안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을 증감시켜 상기 설정 속도를 만족하는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초기 구동은 0.5 ~1초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장치 상승 단계는, 상기 승강 모터의 구동 시작시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을 증감시켜, 투입된 상기 부하를 상기 설정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출력을 탐색하는 부하 판단 운전 구간과; 상기 부하 판단 운전에서 탐색된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으로 상기 승강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장치를 상승시키는 상승 운전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승 운전 구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일정한 출력이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 완료 후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승강 장치의 상승 방향으로 회전된 후 정지되는 추가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가 구동 단계는, 상기 도어 인입 단계의 종료 후에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가 구동 단계는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와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가 구동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승강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들의 백래쉬가 해소될 수 있는 만큼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 구동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승강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의 하강 완료신호가 입력되면,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 될 때마다 상기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를 유동시키는 결빙 방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단계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가 동일한 크기로 정역회전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단계는 설정 온도 이하에서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단계의 실시 주기는 고내 온도에 따라 설정되며, 고내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결빙 방지 단계는 짧은 주기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단계가 실시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하강 완료 단계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인출입 구간에 따라 속도가 가변되면서 인출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구동 시작 후 단계적으로 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서랍 도어는 전체 이동 거리를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상기 인출입 모터가 단계적으로 가속 및 감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이동이 시작되는 구간의 속도는 상기 서랍 도어의 이동이 정지되는 구간의 속도보다 더 낮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구동이 시작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의 종료 후 가속되는 제 2 구간; 상기 제 2 구간의 종료 후 상기 제 2 구간의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가속되는 제 3 구간; 상기 제 3 구간의 종료 후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의 사이 속도로 감속되는 제 4 구간; 상기 제 4 구간의 종료 후 구동이 정지되는 제 5 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서랍 도어는 인출입과 승강이 모두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냉장고의 직접적인 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위한 승강 모터는 구동이 시작되는 초기 출력을 증감시키면서 투입된 부하가 설정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정 출력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에 어떤 무게를 가지는 부하가 투입되더라도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 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장치의 동작시 항상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어 사용자에게 동작 신뢰성을 줄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가 하강완료된 후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승강장치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역회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추가 운전 후 상기 승강 모터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가 다시 인출되고 상기 승강장치가 다시 상승하게 되는 순간에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어들의 백래쉬가 해소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들 사이에서도 유격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마다 상기 승강 모터가 미세하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의 미세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자치는 결빙상태가 해소되거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상기 서랍 도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고내 공간의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승강장치가 결빙되어 승강장치가 오작동 되거나 동작 과정 중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르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는 인출입시 속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특히 동작 초기와 종료 사이를 다수의 구간으로 단계적으로 속도를 증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전체적인 인출 및 인입은 빠르게 이루어지면서도 열리는 순간 닫히는 순간에는 안정적인 속도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속도의 변화를 통해서 상기 서랍 도어의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상기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구동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구동장치의 스크류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레버가 승강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7은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승강장치가 상승되는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승강장치가 상승 완료되어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은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승강장치가 하강되는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인출입 모터의 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28 및 도 29는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시 부하에 따른 승강 모터 출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30은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 운전시 상기 승강 모터의 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31은 상기 승강장치의 결빙 방지를 위한 승강 모터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11)은 냉장실로, 하부의 공간(12)은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에 구비된 서랍 도어(30)와 하부에 구비된 서랍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 도어라 부를 수 있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적어도 투명 패널(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21)은 고내측의 투시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 또는 상기 회전 도어(20) 배면에 조명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고내측이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명 패널(21)을 통한 고내측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21)은 복수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패널 사이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여 고내측의 냉각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패널(2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21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패널(21)을 통해 화면을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1)는 상기 투명 패널(21)의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211)는 상기 투명 패널(21)의 전체에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21)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입력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조작부로 기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조작부라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패널(21)은 별도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21)의 개구를 개폐하여 상기 회전 도어(20)에 구비되는 바스켓(212)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도어(20)는 이중 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도어(20)의 개폐 및 상기 투명 패널(21)의 개폐가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도어(20)는 투명 패널(21)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에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제 1 근접 감지장치(2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근접 감지장치(213)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 또는 레이저 센서 등 사용자가 냉장고(1) 앞에 위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제 1 조작부(21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작부(214)는 상기 회전 도어(20)의 좌우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조작부(214)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조작부(214)는 상기 회전 도어(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터치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 도어(20)의 표면을 터치 조작하는 것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조작부(214)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서랍 도어(30)가 한 번의 조작을 통해서 인출입 및 승강 동작이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승강이 별도의 조작에 의해 각각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의 설정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11)의 터치 조작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한 상기 서랍 도어(30)의 동작 설정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의 동작을 위한 입력은 제 1 근접 감지장치(213)에 의해서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된 경우에만 유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사용 의도를 가지고 냉장고 전방에 서게 되면 제 1 근접 감지장치(213)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조작부(214)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서랍 도어(30)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조작에 의한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에 제 2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서랍 도어(30)의 일측에 상기 제 2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의 서랍 도어(30) 또한 승강 가능한 구조라면 상기 제 2 조작부(301)가 상기 상부의 서랍 도어(30)의 전면에도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하부의 서랍 도어(30)의 하단에 제 3 조작부(30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3 조작부(302)는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3 조작부(302)를 통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조작부(302)의 경우 상기 하부 도어에 구비되므로 상기 하부 도어의 자동 인출입시 사용자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이 아닌 승강 조작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캐비닛(10)에 상기 회전 도어(20)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 3 조작부(302)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 도어(20)가 개방되도록 조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다수의 조작부들(214,301,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부들(214,301,30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들(214,301,302)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조작부들(214,301,302)의 조작 조합 또는 순차적인 조작에 따라 인출입과 승강이 조작될 수도 있다.
하부의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수납을 위해 상기 조작부들(214,301,302)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서랍 도어(30)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어서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용기(36)가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후술할 승강장치(80)에 안착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에 상기 용기(36)의 높이가 더하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사용자가 상기 용기(36)로의 접근 또는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기 매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26)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시 서랍부(32)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방 공간(도 3의 S1참조)의 크기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에도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가장 하방에 배치된 서랍 도어(30) 내부의 식품 또는 용기(36)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 및 피니언(141)과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방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용기는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서랍 도어(30) 및 상기 서랍 도어(30)의 동작을 위한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하부의 서랍 도어(30)를 서랍 도어 또는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개수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부의 저장 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도 13에서 391,392,39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는 레일 브라켓(33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일측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고내측 벽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즉,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이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상방에서 안착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언더 레일(under rail)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80)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 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와 용기(36)가 수용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용기(36)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6)의 장착시 상기 용기(36)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가 가려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어떠한 구성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으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후방 공간(S2)을 가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되도록 하여보다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 및 용기(36)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가려서 승강 도중 식품이 낙하하거나 틈새에 물건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낟.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승강장치(80)는 간단히 분리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여 상기 서랍부(32)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외관은 플레이트들(도 13의 391,392,395참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되는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와 내부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도 13의 391,392,395참조)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보다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도 6의 40참조)는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도 6의 40참조)는 전원의 입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들과 동력을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도 6의 40참조)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316a)와, 상기 도어 결합부(31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랍 결합부(31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결합부(316a)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와 인접하도록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인출입 레일(33)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될 수 도 있다. 삽입되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316a)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에 삽입되어 상기 서랍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서로 형합되는 구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부(32) 전면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실질적으로 개폐하고 동시에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311)와 도어 라이너(314) 사이의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및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된 구동장치(4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상기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구동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구동장치의 스크류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11)에 의해 전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의해 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한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 라이너(314)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311)와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12) 내부를 단열시키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도어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함몰부는 상기 구동장치(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함몰부는 고내를 밝히기 위한 도어 라이트(318)를 비롯한 전장 부품들이 더 장착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배면 좌측에서 우측까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스켓(317)의 내측 영역 중 가장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다수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측 특히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서랍부(32)의 내부를 밝히게 된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기 구동장치(40)를 차폐한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구동장치(40)를 후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버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함몰부는 상기 도어 커버(315)의 전면 즉 상기 구동장치(40)와 마주보는 면이 함몰되며, 상기 도어 커버(315)의 배면 즉 상기 저장공간 내측을 향하는 면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사이드 절개부(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절개부(315a)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도어부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 양측에는 커버 개구(31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상기 구동장치(40)의 일구성인 레버(42)의 수용부(421a)가 노출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 개구(315b)를 통해 상기 수용부(421a)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상기 서랍 개구(35)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 개구(315b)와 상기 서랍 개구(도 13에서 35)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버 개구(315b)와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서 상기 수용부(421a)와 상기 승강장치(80)의 결합부(842c)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421a)와 결합부(842c)의 분리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80)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도어 라이트(318) 등의 전장 부품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출입되는 케이블 홀(315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홀(315c)을 통해 출입되는 전선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방을 지나 상기 캐비넷(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도어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가스켓(317)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접하여 기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서 차폐되어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의 동력은 상기 승강장치(8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80) 좌우 양측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치우치지 않고 좌우 양측이 수평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40)는, 모터 어셈블리(6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과, 상기 각 스크류 유닛(50, 50a)에 연결되는 한 쌍의 레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의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승강 모터(64)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60)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스크류 유닛(50, 50a) 및 레버(42)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다수의 기어의 조합을 통해 감속 및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될 때 함몰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승강 모터(64)와 기어들이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좌우측 방향 폭을 넓게 하고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기 서랍부(32)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부(31)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신호가 입력되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64)의 부하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정지신호의 입력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승강 모터(64)가 설치되는 모터 케이스(61)와, 상기 모터 케이스(61)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 모터(64)를 커버하는 모터 커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64)의 회전 축은 상기 모터 케이스(61)에서 상기 모터 커버(62)의 반대편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승강 모터(64)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 케이스(61)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 모터(6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승강 모터(64)의 반대편에서 장착되는 커버부재(66)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 케이스(61)를 관통한 상기 승강 모터(64)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기어(651)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 기어(651)와 맞물리는 제 1 전달 기어(6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는 일 예로 다단 기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는, 상기 구동 기어(651)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2a)와, 상기 제 1 기어(652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2 기어(6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652a) 및 상기 제 2 기어(652b) 각각은 평 기어일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와 맞물리는 제 2 전달 기어(6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의 제 2 기어(652a)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3a)와, 상기 제 1 기어(653a)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 2 기어(6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의 제 1 기어(653a) 및 상기 제 2 기어(653b) 각각은 평 기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의 제 2 기어(653b)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의 제 1 기어(652a)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와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에 의해서 상기 구동장치(60)의 전후 폭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와 맞물리는 제 3 전달 기어(6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의 제 2 기어(653b)의 하방에서 상기 제 2 기어(653b)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는 평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의 일부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케이스(61)에는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샤프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에 맞물리는 한 쌍의 교차 기어(655, 6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교차 기어(655, 656)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 중심이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의 회전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각 교차 기어(655, 656)가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각 교차 기어(655, 656)는 평기어 형태의 평기어부(655a,656a)와 헬리컬 기어 형태의 제 1 헬리컬 기어부(655b, 656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이격 배치된 상기 교차 기어(655, 656)의 회전 중심선은 서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각 교차 기어(655, 656)와 맞물리는 한 쌍의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는,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부(655b, 656b)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 중심선은 상기 교차 기어(655, 656)의 회전 중심선과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부(655b, 656b)와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는 서로 교차 상태로 결합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차기어(655,656)의 회전 중심선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 중심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 중심선은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교차 헬리컬 기어를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동력 전달 방향을 쉽게 전환시킬 수 있으면서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해 큰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소음이 크게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도어부(31) 내측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은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의 하측부에서 상기 승강 모터(64)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양측의 스크류 유닛(50, 50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들의 사이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의 거리가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승강 모터(6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52, 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외측을 향하고 하단은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52)에는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2, 52a)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중심선과 동일한 중심선상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배치를 가지게 된다.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스크류(52, 52a)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스크류 홀더(56,5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는 상기 스크류(52, 52a)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52, 52a)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상기 레버(4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이동 시 상기 레버(42)는 회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중앙는 홀더 관통구(561)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관통구(561)는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52,52a)가 상기 홀더 관통구(561)를 통과하도록 삽입 장착된다. 홀더 관통구(561)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2,52a)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는 상기 스크류(52,52a)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관통부(561)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 홀(56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562)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 바(53,54)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 바(53,54)를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홀(562)의 내측면에는 베어링 또는 마찰 감소를 위한 다른 구성이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가이드 바(53,54)가 상기 가이드 홀(562)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는 좌우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승강장치(80)의 구동을 위해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되며, 소음 또한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는 자석(563)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는 자석이 압입되는 자석 장착홈(56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 장착홈(563a) 상에 상기 자석(563)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석(563)은 상기 스크류 홀더(56a)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홀더(56a)가 상기 스크류(52,52a)의 가장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 감지장치(55)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 장착된 상기 자석(563)의 감지 여부로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 완료 및 하강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자석(563)이 구비되는 상기 스크류 홀더(56a)의 후면의 반대측 즉, 상기 스크류 홀더의 전면에는 홀더 커넥터(564)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홀더 커넥터(564)는 상기 레버(42)와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즉, 홀더 커넥터(564)는 상기 레버(4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홀더 커넥터(564)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42)는 장방형의 슬롯(42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 양측에 스크류 유닛(50, 50a)이 배치되므로, 좌우 양측의 스크류(52, 52a)의 연장선은 상기 구동장치(40)의 외측에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는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와 상기 승강장치(80)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스크류 홀더(56,56a)와 상기 승강장치(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스크류(52, 52a)를 수용하는 하우징(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스크류(52, 52a) 및 스크류 홀더(56,56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개구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부재(66)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상기 스크류(52, 52a)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511)와,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511)와 상기 제 2 수용부(512)는 구획벽(513)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512)는 상기 제 1 수용부(511)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수용부(512)에는 상기 교차 기어(655, 656)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수용부(512) 내에서 상기 교차 기어(655, 656)와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52, 52a)의 하측은 상기 구획벽(513)을 관통하고, 상기 구획벽(513)을 관통한 상기 스크류(52, 52a)에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51)에는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상승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53, 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53, 54)는 상기 스크류(52, 52a)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52, 52a)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스크류 홀더(56,56a)가 상기 스크류(52, 52a)를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가이드바(53, 54)가 상기 하우징(51)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바(53, 54) 사이에 상기 스크류(5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케이스(61)와 한 쌍의 하우징(5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의 커버부재(66)가 상기 모터 케이스(61) 및 상기 한 쌍의 하우징(51)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66)는 상기 모터 케이스(61)와 체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를 커버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51)과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52, 52a), 가이드바(53, 54), 스크류 홀더(56,56a)를 커버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66)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스크류유닛(50,50a)을 각각 차폐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구동장치(40)가 컴팩트해져 상기 구동장치(40)를 상기 도어부(31)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커버부재(66)가 상기 모터 케이스(61) 및 한 쌍의 하우징(51)을 함께 커버하므로, 상기 커버부재(66)의 분리 시 상기 동력 전달부나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서비스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좌우 양측의 스크류유닛(50,50a) 중 일측의 스크류 유닛(50a)에는 승강 감지장치(55)가 구비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스크류유닛(50a)은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60)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기 때문에 일측의 스크류유닛(50a)에만 상기 승강 감지장치(55)가 구비되더라도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감지장치(55)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쪽의 스크류 유닛(50,50a)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승강 감지장치(55)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완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완료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승강 감지장치(55)는 상기 커버부재(6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유닛(50a)을 따라 상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감지장치(55)는, 서포트 플레이트(551)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에 장착되는 감지 센서(552,553),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를 수용하는 케이스(5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한쌍의 감지 센서(552,553)가 양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는 단순히 상기 감지 센서(552,553)가 감지 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는 상기 감지 센서(552,553)가 장착되는 기판일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센서(552,553)는 자석(563)을 감지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통상적으로 자석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홀 센서를 대신하여 상기 자석(563)을 감지하는 다른 센서 또는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563)과 홀 센서를 대신하여 상기 스크류 홀더(56a)의 특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센서(552,553)는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완료되었을 때 상기 자석(56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었을 때 상기 자석(56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감지 센서(552,553)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552,553)가 상기 자석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 또는 하강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감지 센서(552,553)가 장착된 서포트 플레이트(551)는 상기 케이스(55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54)는 상기 커버부재(66)의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554)는 상기 커버부재(66) 내측면에서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554)는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부재(66)상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554)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에는 커넥터(5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55)는 한쌍의 상기 감지 센서(552,553)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연결되며, 외부에서 전선(555a)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 또는 감지 센서(552,553)를 분리할 필요 없이 외부에서 커넥터(555) 결합방식으로 전선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가 상기 감지 센서(552,553)가 장착된 기판인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951)와 대응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551) 상에 상기 커넥터(55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및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80) 및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의 프레임 장착부(3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서랍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 사이의 형합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중 일측에는 자석(38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38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인입 감지장치(15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입 감지장치(151)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380)을 감지하여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 완료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완전한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인입 감지장치(151)는 스위치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316)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면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4)는 상기 서랍 본체(38)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구비로 증가된 상기 도어의 중량에 대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보다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84)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를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80)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구동장치(40)와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우 양측이 균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구동장치(4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부에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한편, 승강장치(80)는 시저스 타입으로 구성되어 하강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펼쳐지게 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서포트 플레이트(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상기 용기(36)의 안착 면 또는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 개구(35)의 높이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 개구(35)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방 공간(S1)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장치(80)로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장치(80)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레버가 승강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 및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저스 어셈블리(84)를 포함할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승강장치(80)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와 함께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36)를 지지한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전체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둘레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821)와,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외형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높은 강도가 요구되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강도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단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의 하측면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8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822)를 기준으로 양측의 공간(823, 824)에 각각 시저스 어셈블리(8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4)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824a)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방향만 다를 뿐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프레임부와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프레임(83)의 상면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8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4)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834a)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의 시저스 어셈블리(84)는 하나의 상기 승강 모터(6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므로,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무거운 하중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양측에 독립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한쌍의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어퍼 프레임(82)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수평 상태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사각 틀 형태의 제 1 시저스 프레임(841)과,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각 틀 형태의 제 2 시저스 프레임(8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시저스 프레임(845)의 좌우 폭은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의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시저스 프레임(845)은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샤프트(도 24의 841a)와 상부 샤프트(도 24의 8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샤프트(도 24의 841a)는 상기 로어 프레임(8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도 24의 841b)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슬라이딩 가이드(824)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로드(도 24의 852a)와 상부 샤프트(도 24의 841b)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시저스 프레임(84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샤프트(851a)와 상부 샤프트(미도시)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로드(852a) 및 제 2 로드(8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의 제 1 로드(842a)에는 상기 레버(42)와 연결되기 위하여 돌출되는 연장부(842b)와, 상기 연장부(842b)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84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42)는 상기 결합부(842c)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부(842c)를 수용하는 수용부(4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842c)의 단부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842c)가 상기 수용부(421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42)가 회전될 때, 상기 레버(42)가 상기 결합부(842a)와 헛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842a) 및 상기 연장부(842b)는 상기 서랍 개구(35)를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연장부(842b)는 상기 서랍 개구(3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승강장치(80)가 상기 연장부(842b)와 상기 결합부(842a)에 의해서 상기 서랍부(32) 외부의 구동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6은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기 상기 서랍 도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하부에 구비된 서랍 도어(30)는 인출입을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없이 상부의 서랍 도어(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의 상기 서랍 도어(30)와 하부의 상기 서랍 도어(30)의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매우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다.
하부의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입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수의 상기 조작부들(214,301,302)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동작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들(214,301,302)의 조작시 상기 근접 감지장치(213)에서는 사용자의 근접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근접 감지장치(213)에 의한 사용자의 근접 인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들(214,301,302)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유효한 조작 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 서서 상기 제 1 조작부(21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근접 감지장치(213)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제 1 조작부(214)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에서는 최종적으로 상기 서랍 도어(30)의 동작에 유효한 조작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근접 감지장치(213)에서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조작부들(214,301,302)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서랍 도어(30)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S110 : 조작 입력 단계]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는 상기 조작 입력 단계에서 조작 입력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상기 인출입 모터(14)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의 지시에 의해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면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될 때까지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 및 20에서와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 도어(30)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여야만 한다.
특히, 상기 전방 공간(S1)의 후단(L1)은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 더 인출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위치까지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의 후방 공간(S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후단(L3)은 적어도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를 포함한 상기 서랍 도어(30)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수납물의 무게까지 더하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자체의 처짐이나 파손이 없이 안정적인 인출입과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서랍 도어(30)에 배치되는 인출 감지장치(152)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인출 감지장치(152)와 인입 감지장치(151)를 통칭하여 인출입 감지장치(151,152)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인출 감지장치(152)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상기 인출입 레일(33)과 같은 상기 서랍부(32)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에 상기 인출 감지장치(152)가 구비될 수 있다. 르리고, 상기 인출 감지장치(152)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 감지장치(152)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인출 감지장치(152)에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설정된 거리까지 인출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을 완료하기 위해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S120 :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브레이킹 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상기 승강장치(80)가 동작되는 동안에는 상기 서랍 도어(30)는 반드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선택적인 모터의 구속이 가능한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모터(통상적으로 브레이킹 모터, 브레이크 모터라 부름)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승강장치(80)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유동되거나 닫히게 되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중에 상기 서랍 도어(30)가 유동하거나 닫히게 되면, 저장 중인 식품의 낙하 또는 손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승강을 위한 구조 또는 냉장고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는 적어도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서랍 도어(3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더 이상의 인출입이 불가능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자체의 브레이킹 구조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 자체를 구속하여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S130 : 도어 인출입 구속 단계]
물론,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도어 인출입 구속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인출입 구속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인출입 모터(14)와 승강 모터(64)가 함께 구동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을 시작하게 되더라도 즉각적으로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부의 도어와 간섭을 일으키지는 않게 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면, 상기 승강 모터(64)가 구동을 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와 승강 모터(64)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면서 동시에 승강되므로 부드러운 동작 상태를 보일 수 있으며, 보다 짧은 시간 안에 상기 승강장치(80)가 목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가 도 19 및 도 20에서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구동장치(40) 및 승강장치(80)는 동작되지 않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기 전에는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42) 및 상기 스크류 홀더는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 감지장치(55)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상태가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크류 홀더(56a)는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 구비된 자석(563)은 한쌍의 상기 감지 센서(552,553) 중 하방에 위치된 감지 센서(93)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방에 위치된 상기 감지 센서(93)에서 상기 자석(563)을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는 완전히 하강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감지장치(55)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완전한 인출시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승강 감지장치(55)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설정 거리로 인출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 모터(64)의 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에 의해 구동장치(40)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장치(80)는 도 22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고,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상기 승강 모터(64)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만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승강장치(80)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서 어퍼 프레임(82)이 하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또는 하강 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 모터(64)가 정역회전 하게 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승강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 모터(64)와 상기 스크류(52,50a) 사이의 다수의 기어들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스크류(52,50a)가 회전하게 된다. 양측의 상기 스크류(52, 5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홀더(56,56a)가 상승하면서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레버(42)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레버(42)의 높이 증가에 의해서 상기 레버(42)와 연결되는 제 1 시저스 프레임(84)의 제 1 로드(842a)의 높이가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의 제 1 로드(842a)의 높이 증가에 의해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펼쳐질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펼쳐지면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안착된 상기 용기(36) 또는 식품은 상승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는 최대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고도 식품 또는 용기(36)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S140 :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42) 및 상기 스크류 홀더는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 감지장치(55)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상태가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승강 감지장치(55)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80)가 도 24에서와 같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 모터(64)가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80)에는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36)를 기준으로 본다면, 상기 용기(36)의 상단(H1)은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상단(H2)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때의 높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손을 뻗어 상기 용기(36)를 들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사용에 가장 적합한 높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36)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S150 : 승강장치 정지 단계]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승강 모터(64)는 정지하게 되고 타이머(91)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64)의 정지 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설정 시간동안 대기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에서는 상기 타이머(91)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어부(90)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정지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 모터(64)는 역회전을 시작하고 상기 승강장치(80)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 시간은 대략 9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식품을 수납하는데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식품의 수납을 완료하기 전에 승강장치(80)가 하강하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시간이 너무 길면 상기 서랍 도어(30)가 개방된 상태로 장기간 노출되어 냉기의 손실이 과도하게 될 수 있으며, 냉각성능의 저하 및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기간은 대략 90초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11)의 조작 또는 마이크(93)를 통한 음성 입력을 통해서 설정 가능할 것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시간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정지되어 대기되는 상태에서 상기 설정 시간의 경과는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화면 출력되거나, 스피커(92)를 통해서 외부 출력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설정 시간의 변화를 인지하고 식품의 수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히는 시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S161 : 설정 시간 경과 판단 단계]
한편,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식품의 수납 작업을 완료하여 상기 서랍 도어(30)를 닫고자 할 때에는 상기 조작부들(214,301,302)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211)에서 출력되는 화면 또는 상기 스피커(92)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히기 전까지의 잔여 시간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식품의 수납 작업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힐 때까지 잔여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상기 조작부들(214,301,302)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및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을 강제 조작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지나기 전에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및 서랍 도어(30)의 인입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들(214,301,302) 중 어느 하나를 조작 입력하게 된다. [S162 : 하강 조작 입력 단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 되거나, 상기 하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 모터(64)의 동작을 지시하게 되고, 상기 승강장치(80)는 도 25에서와 같이 하강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승강 모터(64)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도 20과 같이 하강 완료되면, 상기 승강 감지장치(55)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를 감지하게 된다. 즉, 하방에 위치된 상기 감지 센서(93)에서 상기 자석(563)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모터(6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S170 :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동시에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브레이킹을 해제하거나, 상기 서랍 도어(30)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완전히 구속하여 승강장치(80)의 승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식품의 수납 작업 또한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S180 : 도어 인출입 구속 해제 단계]
한편, 상기 도어 인출입 구속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인출입 구속 해제 단계 또한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이 시작되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시작되는 시점은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캐비닛(10) 또는 도어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브레이킹이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역회전되도록 지시하게 된다.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는 도 26에서와 같이 인입될 수 있다. [S190 : 서랍 도어 인입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역회전하게 된다. 도 18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인입 감지장치(151)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 완료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상기 서랍 도어(30)가 개방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고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운전을 수행하도록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승강을 위한 각 단계는 적어도 한번 이상의 조작에 의해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동 있다.
예컨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14,301,302)를 최초 조작하게 되면,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고, 재차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고, 다시 한 번 더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한 후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4,301,302)를 단계적으로 조작하여 각 단계에 맞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조작부(214,301,302)의 조작은 한 번의 조작에 의해 한 단계만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상기 조작부(214,301,302)의 조작시 복수의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작부(214,301,302)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하기만 할 뿐 승강장치(80)는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승강장치의 사용을 원하지 않거나, 상기 서랍 도어(30)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장치(80)를 제거한 상황이라면 상기 서랍 도어(30)는 인출입 동작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서랍 도어(30)의 다양한 운전 방식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11)를 통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설정 상태는 물론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 정보와 설정 정보는 스피커(92)를 통한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상기 조작부(214,301,302)들의 직접적인 조작 외에도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93)로 수신하여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인출입 모터(14)와 승강 모터(64)는 상황에 따라 속도 및 출력이 가변 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상태를 제공하도록 동작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와 승강 모터(64)의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횡방향으로 인출입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횡방향으로 인출입되는 특성상 하중에 관계없이 정해진 속도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인출 및 인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시 전체 인출입 과정 동안 동일한 속도로 동작되는 않는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인출입 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가변되어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과정에서 각 구간별로 속도를 다르게 하여 사용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인출입 모터의 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서랍의 인출 동작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서랍 인출입 단계(S120)의 시작에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가 너무 빠른 속도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며 가까운 곳에 신체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다. 반면에 너무 느린 속도로 인출되면 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으며, 수납 공간의 외부 노출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냉기의 손실 및 소비전력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는 빠르게 열릴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 안정감있고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출입 과정을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속도로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인출이 시작되는 제 1 구간(P1)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전체 인출입 구간 중 가장 낮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속도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최대 RPM의 10% 정도의 속도로 회전되어 전체 인출 과정에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가장 느린 속도로 부드럽게 개방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간(P1)이 완료되면 제 2 구간(P2)이 시작된다. 상기 제 2 구간(P2)은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시작된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게 된 상태로 본격적인 가속에 앞서 가속을 위한 완충 구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간(P2)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최대 RPM의 50% 정도의 속도로 회전되어 빠른 속도로 인출되기 시작한다.
상기 제 2 구간(P2)이 완료되면 제 3 구간(P3)이 시작된다. 상기 제 3 구간(P3)에서는 상기 서랍 도어(30)는 인출을 위한 가속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로 보다 빠르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입 모터(14)는 최대 RPM의 70% 정도의 속도로 회전되어 사실상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 거리 대부분 만큼 인출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구간(P2)과 제 3 구간(P3)에서의 이동 거리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전체 스트로크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간(P2) 및 제 3 구간(P3)의 속도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전체 인출 행정의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구간(P3)이 완료되면 제 4 구간(P4)이 시작된다. 상기 제 4 구간(P4)은 사실상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완료된 후 상기 서랍 도어(30)가 부드럽게 정지될 수 있도록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 4 구간(P4)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최대 RPM의 30% 정도의 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가 정지하기 전에 충분히 감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4 구간(P4)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의 속도가 너무 낮아지면 제 4 구간(P4) 진입시 충격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인출입 모터의 속도가 너무 높으면 최종적으로 정지되는 제 5 구간(P5)에서 정지될 때까지 충분히 감속될 수 없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에 무거운 식품이 수납된 경우에는 관성에 의해 이러한 충격이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구간(P4)이 완료되면 제 5 구간(P5)이 시작된다. 상기 제 5 구간(P5)은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 완료되어 정지되는 구간으로, 상기 제 4 구간(P4)의 속도로부터 점차 속도가 줄어들어 최종적으로 속도가 0이 되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는 제 4 구간(P4)에서 충분히 감속된 상태이므로 부드럽게 정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랍 도어(30)의 정지시 관성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을 최소화 수 있다.
또한, 인출된 상태의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히게 될 때에는 상기한 구간과 동일한 속도 변화 구간(P1~P5)으로 인입이 진행되어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힐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히게 될 때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에는 다양한 무게를 가지는 식품들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의 내측에서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 상승 단계(S140)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특성상 상승시 부하에 따른 상승 속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는 안착된 식품의 무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에 목표된 높이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승강 모터(64)는 부하에 관계없이 동일한 시간 동안 동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는 무게를 판단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승강 모터(64)의 동작 특성을 이용하여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모터(64)는 부하 판단 운전을 통해 항상 일정한 속도로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시 부하에 따른 승강 모터 출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모터(64)는 정지 상태에서 최초 구동시 설정된 시간 동안 부하 판단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부하 판단 운전은 최초 구동 시작부터 대략 0.5 ~ 1초간 실시되며, 상기 부한 판단 운전 구간(D1) 동안 상기 승강 모터(64)의 출력을 증가 감속시키면서 상기 승강 모터(6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설정 회전 속도에 도달하게 될 때의 상기 승강 모터(64) 출력을 확인하고, 상기 승강장치(8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적정 출력으로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90)에서는 상기 부한 판단 운전을 통해 부하에 관계없이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하여 설정된 시간에 설정 높이에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승강 모터(64)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하 판단 운전 구간(D1)이 지나면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승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승 운전의 시작시 상기 부하 판단 운전에서 설정된 출력으로 상기 승강 모터(64)가 회전되며,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승 운전 구간(D2) 동안 설정된 속도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는 다양한 부하가 투입된 상황에서도 항상 동일한 속도로 상승할 수 있게 되며, 설정된 시간에 설정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설정 높이에 도달하게 되는 정지 지점(D3)에서 상기 승강 모터(64)는 정지하게 된다.
한편, 도 28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에 대략 20kg의 부하가 제공된 상태에서의 상기 승강 모터(64) 출력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부하 판단 운전 구간(D1)에서 상기 승강 모터(64)의 적정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승강 운전 구간(D2) 동안 상기 승강 모터(64)는 적정 출력을 유지하면서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목표시간 내에 목표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
반면에, 도 29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에 대략 0kg의 부하가 제공된 상태에서의 상기 승강 모터(64) 출력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하 판단 운전 구간(D1)에서 상기 승강 모터(64)의 적정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승강 운전 구간(D2) 동안 상기 승강 모터(64)는 적정 출력을 유지하면서 구동된다. 이때, 상기 승강 모터(64)의 출력은 도 28에 비해 대적으로 낮은 상태로 구동되지만, 상기 승강장치(80)는 동일한 목표 시간에 목표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40)에는 다수의 기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들 간에는 백래쉬(backlash)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42) 및 상기 승강장치(80) 자체의 구성들의 결합 구조에도 유격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정지된 후 재 구동되는 경우 승강 시작시 백래쉬와 유격에 의해 상기 승강 모터(64)가 오버슈트되거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된 후 하강할 때에는 부하의 무게 및 상기 승강장치(80)의 자중에 의해서 이러한 백래쉬 또는 유격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된 상태에서 다시 상승하게 될 때에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모터(64)는 미세 상승 운전을 더 수행하여 이와 같은 소음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0은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 운전시 상기 승강 모터의 속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면, 상기 승강 모터(64)가 구동되고,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80)는 설정된 속도로 정회전 하면서 상기 승강장치(80)를 상승시키게 된다. [S1, S140 : 승강장치 상승 단계]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승강 모터(64)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 승강 모터(64)는 정지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되거나 하강 조작이 입력될 때가지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2, S150 : 승강장치 정지 단계]
상기 승강 모터(64)가 정지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되거나 하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승강 모터(64)는 역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된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지속적으로 하강하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승강 감지장치(55)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승강 모터(64)는 역회전을 완료하게 된다. [S3, S170 : 승강장치 하강 단계]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운전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가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 모터(64)를 다시 정회전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 모터(64)를 약간 회전시켜 하강 완료된 상기 승강장치(80)를 미세하게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실질적인 큰 높이 변화를 위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하게 회전(모터 FG 50)되는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즉,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하방으로 하중이 작용될 수 있을 정도로만 상기 승강장치(80)를 미세하게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정회전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가 실질적으로 상승되지 않더라도, 상기 기어들과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장치(40)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백래쉬가 해소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유격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S4 : 추가 구동 단계]
상기 추가 구동 단계의 종료 후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승강 모터(64)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후 다시 상기 승강장치(80)의 구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 모터(64)가 재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가 배치되는 공간은 저온의 공간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결빙이 발생할 수 있는 냉동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를 일정시간 개폐하지 않거나 온도가 매우 낮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승강장치(80)의 빈번한 결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승강 후 인입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습기가 함께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승강장치(80)에 결빙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따라서, 결빙 발생으로 인한 상기 승강장치(80)의 정상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상기 승강장치(80)의 오작동의 가능성이 존재하데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모터(64)는 결빙 방지 운전을 통해 상기 승강장치(80)의 결빙상태를 주기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승강장치의 결빙 방지를 위한 승강 모터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와 승강 모터(64)가 모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 유지 단계(S0)와,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의 종료시 승강장치(80)가 미세 동작되는 결빙 방지 단계(S5)를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즉, 서랍 도어(30)가 닫혀 있는 동안에 상기 승강장치(80)는 주기적으로 상하 유동을 반복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가 동작되도록 상기 승강 모터(64)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80)는 과도하게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없으며, 내부의 구성들과 충돌하거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모터(64)는 미세하게(모터 FG 50) 역회전된 후 정회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미세하게 하강한 후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에서는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에서의 높이보다 다소 높은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결빙 방지 단계에서 하방 및 상방으로의 유동시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와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의 높이 차이만큼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의 미세한 상방 및 하방 유동으로 결빙의 해소가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인출입 및 승강 조작시 즉각적이고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의 수행 후에는 설정 시간동안 상기 승강장치(80)가 정지되는 정지 유지 단계(S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의 유지 시간에 따라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의 빈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의 유지 시간은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의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가 0℃ 또는 결빙 가능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결빙 방지 단계(S5)의 설정 여부와 상기 정지 유지 단계(S0)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 상승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초기 구동시 부하의 무게를 판단한 후 부하에 따른 적정 출력으로 조절되어, 부하 무게에 관계없이 상기 승강장치를 설정 속도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구동시,
    상기 승강 모터는 구동 시작 후 설정 시간동안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을 증감시켜 상기 설정 속도를 만족하는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구동은 0.7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 상승 단계는,
    상기 승강 모터의 구동 시작시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을 증감시켜, 투입된 상기 부하를 상기 설정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출력을 탐색하는 부하 판단 운전 구간과;
    상기 부하 판단 운전에서 탐색된 상기 승강 모터의 출력으로 상기 승강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장치를 상승시키는 상승 운전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운전 구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일정한 출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6.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 완료 후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승강 장치의 상승 방향으로 회전된 후 정지되는 추가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구동 단계는, 상기 도어 인입 단계의 종료 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구동 단계는 상기 승강장치 하강 단계와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구동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승강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들의 백래쉬가 해소될 수 있는 만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 구동 단계에서 상기 승강 모터는 승강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의 하강 완료신호가 입력되면,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1.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 될 때마다 상기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를 유동시키는 결빙 방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단계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가 동일한 크기로 정역회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단계는 설정 온도 이하에서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단계의 실시 주기는 고내 온도에 따라 설정되며,
    고내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결빙 방지 단계는 짧은 주기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단계가 실시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하강 완료 단계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6.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 입력 단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인출입 모터가 구동되며, 서랍 도어가 인출되면서 개방되는 서랍 도어 인출 단계;
    상기 서랍 도어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승강 모터가 구동되어 승강장치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는 승강장치 상승 단계;
    상기 승강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가 초기 높이로 하강되는 승강장치 하강 단계;
    상기 인출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가 인입되면서 닫히는 서랍 도어 인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인출입 구간에 따라 속도가 가변되면서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구동 시작 후 단계적으로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서랍 도어는 전체 이동 거리를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상기 인출입 모터가 단계적으로 가속 및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이동이 시작되는 구간의 속도는 상기 서랍 도어의 이동이 정지되는 구간의 속도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 인출 단계 및 서랍 도어 인입 단계에서 상기 인출입 모터는,
    구동이 시작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의 종료 후 가속되는 제 2 구간;
    상기 제 2 구간의 종료 후 상기 제 2 구간의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가속되는 제 3 구간;
    상기 제 3 구간의 종료 후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의 사이 속도로 감속되는 제 4 구간;
    상기 제 4 구간의 종료 후 구동이 정지되는 제 5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180158006A 2018-12-10 2018-12-10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070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06A KR20200070644A (ko) 2018-12-10 2018-12-10 냉장고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06A KR20200070644A (ko) 2018-12-10 2018-12-10 냉장고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44A true KR20200070644A (ko) 2020-06-18

Family

ID=7114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006A KR20200070644A (ko) 2018-12-10 2018-12-10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06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2584A (ko) 냉장고
KR20200025515A (ko) 냉장고
EP3617632B1 (en) Refrigerator
EP3617629B1 (en) Refrigerator
CN112229129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20200025396A (ko) 냉장고
KR20200070629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07062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07062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070644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3767207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able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134777A (ko) 냉장고
EP3767208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859256B1 (en) Refrigerator
KR20200140572A (ko) 냉장고
KR20200140556A (ko) 냉장고
KR20200134785A (ko) 냉장고
KR20200134781A (ko) 냉장고
KR20200134772A (ko) 냉장고
KR20200140561A (ko) 냉장고
KR2020013478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